맨위로가기

FC 힘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힘키는 1996년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1996년 아마추어 리그 우승을 시작으로 프로로 전환하여, 2000년 러시아 2부 리그 우승 후 1부 리그로 승격했다. 2006년 러시아 1부 리그 우승을 통해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으며, 2005년과 2020년에는 러시아 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9년과 2023년 프리미어 리그에서 강등되었으나, 2020년과 2024년에 다시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힘키 - 아레나 힘키
    아레나 힘키는 2008년 개장한 러시아 힘키 소재의 18,636석 규모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FC 힘키의 홈 구장이며 러시아 최초로 하이브리드 잔디를 도입하여 UEFA 챔피언스 리그 경기를 개최하기도 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축구단 - 사간 도스
    사간 도스는 1997년 창단되어 2011년 J1리그에 승격, 2012년과 2014년 J1리그 5위를 기록했으나 2024년 J2리그로 강등된 사가현 도스시 연고의 지역밀착형 일본 프로축구단이다.
  • 1997년 설립된 축구단 - 중경고등학교 축구부
FC 힘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명칭힘키
전체 명칭힘키 시 구역 자치 기관 "힘키 축구 클럽"
별칭크라스노-초르니예 (붉은색-검은색)
창단1997년
홈 경기장아레나 힘키
수용 규모18,636석
구단주힘키
회장니콜라이 올레네프
감독프랑크 아르티가
리그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시즌2023–24 시즌
최종 순위러시아 퍼스트 리그 1위 (승격)
웹사이트힘키 공식 웹사이트
힘키 축구 클럽 로고
힘키 축구 클럽 로고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빨간색
하의: 검은색
양말: 빨간색
원정 유니폼상의: 노란색
하의: 검은색
양말: 노란색
써드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2. 역사

Равиль Сабитов|라빌 사비토프ru19993부, "중앙"63617118513562R256—Сабир Хамзин|사비르 함진ru – 11Равиль Сабитов|라빌 사비토프ru
Вадим Коц|바딤 코츠ru20001382846682288R64—Константин Генич|콘스탄틴 게니치ru – 18Александр Пискарёв|알렉산드르 피스카료프ru
Виктор Папаев|빅토르 파파예프ru20012부123413417425443R32—Сергій Січеглов|세르게이 시체글로프uk – 5
Виктор Воронков|빅토르 보론코프ru – 5
Николай Ковардаев|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ru – 5Алексей Петрушин|알렉세이 페트루신ru
Равиль Сабитов|라빌 사비토프ru2002734141010382752R32—Николай Ковардаев|니콜라이 코바르다예프ru – 6Равиль Сабитов|라빌 사비토프ru
Сергей Деркач|세르게이 데르카치ru2003124216917364657QF—Денис Киселёв|데니스 키셀료프ru – 15Сергей Деркач|세르게이 데르카치ru
Дмитрий Галямин|드미트리 갈랴민ru2004542171015393361R32—Павел Погребняк|파벨 포그레브냑ru – 6Володимир Шевчук|블라디미르 셰브추크uk
Павло Яковенко|파벨 야코벤코uk200544223136753682RU—Андрей Тихонов|안드레이 티호노프ru – 15Павло Яковенко|파벨 야코벤코uk20061423093833099R64—Андрей Тихонов|안드레이 티호노프ru – 22Владимир Казачёнок|블라디미르 카자쵸노크ru20071부93091011323337R32—Роман Широков|로만 시로코프ru – 7Славолюб Муслин|슬라볼류브 무슬린sr200814306915345427R16—Эльдар Низамутдинов|엘다르 니자무트디노프ru – 9Сергей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200916302424206410R32—Александр Антипенко|알렉산드르 안티펜코ru – 6Константин Сарсания|콘스탄틴 사르사니야ru
Игорь Чугайнов|이고르 추가이노프ru20102부1338111710393850R32—Артур Римович Юсупов|아르투르 리모비치 유수포프ru – 7
Костянтин Дудченко|코스티안틴 두드첸코uk – 7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Евгений Бушманов|예브게니 부시마노프ru2011–121348161121547459R32—Касьян Мамтов|카산 맘토프ru – 10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알렉산드르 그리고리안ru
Олег Долматов|올레그 돌마토프ru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2012–13163261016234028R16—Михаил Комков|미하일 콤코프ru – 3
Владислав Никифоров|블라디슬라프 카타자욘코프ru – 3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Омари Тетрадзе|오마리 테트라제ru
Валерий Петраков|발레리 페트라코프ru2013–143부, "서부"33216106673758R64—Алексей Антонюк|알렉세이 안토니코프ru – 9
Виктор Земченков|빅토르 젬첸코프ru – 9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Владимир Муханов|블라디미르 무하노프ru
Геннадий Гридин|겐나디 그리딘ru2014–154301596422754R256—Николай Липаткин|니콜라이 리파트킨ru – 6Владимир Маминов|블라디미르 마미노프ru2015–161241950491262R16—Михаил Маркосов|미하일 마르코소프ru – 11Вадим Хафизов|바딤 카피조프ru2016–172부1138111611404749R32—Ян Казаев|얀 카자예프ru – 8Александр Ирхин|알렉산드르 이르킨ru2017–18133812719334943R64—쿠즈미체프 – 7Александр Ирхин|알렉산드르 이르킨ru2018–19938141113474953R32—Илья Кухарчук|일리야 쿠하르추크ru – 10Игорь Шалимов|이고르 샬리모프ru2019–202271665501954RU—Камран Алиев|캄란 알리예프ru – 8Сергей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2020–211부83013611353945R16—Резиуан Мирзов|레지우안 미르조프ru – 6Сергей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2021–221부133071112344732GS—Денис Глушаков|데니스 글루샤코프ru – 10Игорь Черевченко|이고르 체레브첸코tg

[1]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96-2000)

1996년 힘키의 두 아마추어 팀인 로디나와 노바토르가 합병하여 FC 힘키가 창단되었다. 힘키는 아마추어 리그에 참가하여 1996년 5월 17일에 공식 첫 경기를 치렀다. 150개가 넘는 아마추어 팀이 참가한 리그에서 우승 팀만이 러시아 3부 리그로 승격될 수 있었는데, 힘키는 승부차기 끝에 에네르기야 울리야노프스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1997년 1월 30일, 힘키는 프로 축구 클럽이 되었다.[2] 그 해 러시아 3부 리그에서 2위를 기록하며 러시아 2부 리그로 승격하였다.[2]

2000 시즌 힘키는 러시아 2부 리그 중앙 지역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3]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세베르스탈 체레포베츠와 3-3으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세베르스탈에게 밀려 승격에 실패했다.[3] 그러나 세베르스탈이 1부 리그 참가를 포기하면서 힘키가 승격 기회를 얻었다.[3]

2. 2. 1부 리그와 러시아 컵 준우승 (2001-2006)

FC 힘키는 2005년 러시아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CSKA 모스크바에 0-1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 2006년 시즌에는 러시아 1부 리그(현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1]

2. 3. 프리미어리그와 강등 (2007-2009)

FC 힘키는 2007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하여 2009년까지 활동했다. 2007 시즌에는 9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고,[1] 2008 시즌에는 14위를 기록하며 힘겨운 시즌을 보냈다.[1]

2008년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같은 지역을 연고로 하는 사투른 라멘스코예와의 합병이 발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합병은 무산되었고,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합병 시도가 지역 축구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1]

2009 시즌에는 극심한 부진을 겪으며 15연패를 기록, 최하위인 16위로 러시아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최다 득점자 (리그)감독
20071부93091011323337R32-로만 시로코프|로만 시로코프ru – 7슬라볼류브 무슬린|슬라볼류브 무슬린sr
200814306915345427R16-엘다르 니자무트디노프|엘다르 니자무트디노프ru – 9세르게이 유란|세르게이 유란ru
200916302424206410R32-알렉산드르 안티펜코|알렉산드르 안티펜코ru – 6콘스탄틴 사르사니야|콘스탄틴 사르사니야ru
이고르 추가이노프|이고르 추가이노프ru


2. 4. 하부 리그와 승격 (2010-2020)

FC 힘키는 2010년부터 2019-20 시즌까지 러시아 1부 리그 (및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2012-13 시즌에는 1부 리그에서 16위를 기록하며 3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1] 2015-16 시즌 3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다시 2부 리그로 승격했다.[1]

2019-20 시즌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리그가 조기 종료된 가운데, 2위를 기록하며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1]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최다 득점자 (리그)감독
20102부1338111710393850R32Артур Римович Юсупов|아르투르 리모비치 유수포프ru – 7,
Костянтин Дудченко|코스티안틴 두드첸코uk – 7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Евгений Бушманов|예브게니 부시마노프ru
2011–121348161121547459R32Касьян Мамтов|카산 맘토프ru – 10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ян|알렉산드르 그리고리안ru,
Олег Долматов|올레그 돌마토프ru,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2012–13163261016234028R16Михаил Комков|미하일 콤코프ru – 3,
Владислав Никифоров|블라디슬라프 카타자욘코프ru – 3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Омари Тетрадзе|오마리 테트라제ru,
Валерий Петраков|발레리 페트라코프ru
2013–143부, "서부"33216106673758R64Алексей Антонюк|알렉세이 안토니코프ru – 9,
Виктор Земченков|빅토르 젬첸코프ru – 9
Александр Тарханов|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ru,
Владимир Муханов|블라디미르 무하노프ru,
Геннадий Гридин|겐나디 그리딘ru
2014–154301596422754R256Николай Липаткин|니콜라이 리파트킨ru – 6Владимир Маминов|블라디미르 마미노프ru
2015–161241950491262R16Михаил Маркосов|미하일 마르코소프ru – 11Вадим Хафизов|바딤 카피조프ru
2016–172부1138111611404749R32Ян Казаев|얀 카자예프ru – 8Александр Ирхин|알렉산드르 이르킨ru
2017–18133812719334943R64쿠즈미체프 – 7Александр Ирхин|알렉산드르 이르킨ru
2018–19938141113474953R32Илья Кухарчук|일리야 쿠하르추크ru – 10Игорь Шалимов|이고르 샬리모프ru
2019–202271665501954RUКамран Алиев|캄란 알리예프ru – 8Сергей Юран|세르게이 유란ru

[1]

2. 5. 프리미어리그 복귀와 강등, 그리고 재승격 (2020-현재)

2019-20 시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의 영향으로 리그가 제27라운드 시점에서 중단되었고, 힘키는 2위를 기록하여 2009년 시즌 이후 처음으로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 2020년 7월 25일에는 2005년 이후 두 번째로 러시아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0-1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최다 득점자 (리그)감독
2020–211부83013611353945R16-레지우안 미르조프|Резиуан Мирзовru - 6세르게이 유란|Сергей Юранru
2021–221부133071112344732GS-데니스 글루샤코프|Денис Глушаковru - 10이고르 체레브첸코|Игорь Черевченкоtg



2020-21 시즌에는 리그 8위를 기록했고, 2021-22 시즌에는 13위를 기록했다.

3. 역대 성적

} 마미노프|마미노프uz

|-

| 2015–16

| '''1'''

| 24

| 19

| 5

| 0

| 49

| 12

| '''62'''

| R16

| —

| 마르코소프|마르코소프arm – 11

| 카피조프|카피조프ru

|-

| 2016–17

| rowspan="4" | 2부

| '''11'''

| 38

| 11

| 16

| 11

| 40

| 47

| '''49'''

| R32

| —

| 카자예프|카자예프ru – 8

| 이르킨|이르킨ru

|-

| 2017–18

| '''13'''

| 38

| 12

| 7

| 19

| 33

| 49

| '''43'''

| R64

| —

| 쿠즈미체프 – 7

| 이르킨|이르킨ru

|-

| 2018–19

| '''9'''

| 38

| 14

| 11

| 13

| 47

| 49

| '''53'''

| R32

| —

| 쿠하르추크|쿠하르추크ru – 10

| 샬리모프|샬리모프ru

|-

| 2019–20

| '''2'''

| 27

| 16

| 6

| 5

| 50

| 19

| '''54'''

| 준우승

| —

| 알리예프|알리예프az – 8

| 유란|유란ru

|-

| 2020–21

| 1부

| '''8'''

| 30

| 13

| 6

| 11

| 35

| 39

| '''45'''

| R16

| —

| 미르조프|미르조프ru – 6

| 유란|유란ru

|-

| 2021–22

| 1부

| '''13'''

| 30

| 7

| 11

| 12

| 34

| 47

| '''32'''

| GS

| —

| 글루샤코프|글루샤코프ru – 10

| 체레브첸코|체레브첸코tj

|}

  •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우승: 2006
  •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우승: 2000 (중앙), 2015-16 (서부)
  • '''러시아 컵''' 준우승: 2005, 2020

4. 선수

FC 힘키는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다른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들도 있다.
임대 선수다음은 현재 다른 구단에서 FC 힘키로 임대 온 선수들이다.

시즌디비전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유럽최다 득점자 (리그)감독
19974부, 3존2402668803884-크라브추크|크라브추크ru – 17슈타포프|슈타포프ru
19983부, "서부"104015817636053-게오르기에프스키|게오르기에프스키ru – 11데멘티예프|데멘티예프ru / 비치코프|비치코프ru / 사비토프|사비토프ru
19993부, "중앙"63617118513562R256함진|함진ru – 11사비토프|사비토프ru / 코츠|코츠ru
20001382846682288R64게니치|게니치ru – 18피스카료프|피스카료프ru / 파파예프|파파예프ru
20012부123413417425443R32시체글로프|시체글로프uk – 5 / 보론코프|보론코프ru – 5 / 코바르다예프|코바르다예프ru – 5페트루신|페트루신ru / 사비토프|사비토프ru
2002734141010382752R32코바르다예프|코바르다예프ru – 6사비토프|사비토프ru / 데르카치|데르카치ru
20031242169173646578강키셀료프|키셀료프ru – 15데르카치|데르카치ru / 갈랴민|갈랴민ru
2004542171015393361R32포그레브냑|포그레브냑ru – 6셰브추크|셰브추크uk / 야코벤코|야코벤코uk
200544223136753682준우승티호노프|티호노프ru – 15야코벤코|야코벤코uk
20061423093833099R64티호노프|티호노프ru – 22카자쵸노크|카자쵸노크ru
20071부93091011323337R32시로코프|시로코프ru – 7무슬린|무슬린sr
200814306915345427R16니자무트디노프|니자무트디노프ru – 9유란|유란ru
200916302424206410R32안티펜코|안티펜코ru – 6사르사니야|사르사니야ru / 추가이노프|추가이노프ru
20102부1338111710393850R32유수포프|유수포프ru – 7 / 두드첸코|두드첸코uk – 7타르하노프|타르하노프ru / 부시마노프|부시마노프ru
2011–121348161121547459R32맘토프|맘토프ru – 10그리고리안|그리고리안ru / 돌마토프|돌마토프ru / 타르하노프|타르하노프ru
2012–13163261016234028R16콤코프|콤코프ru – 3 / 카타자욘코프|카타자욘코프ru – 3타르하노프|타르하노프ru / 테트라제|테트라제ru / 페트라코프|페트라코프ru
2013–143부, "서부"33216106673758R64안토니코프|안토니코프ru – 9 / 젬첸코프|젬첸코프ru – 9타르하노프|타르하노프ru / 무하노프|무하노프ru / 그리딘|그리딘ru
2014–154301596422754R256리파트킨|리파트킨ru – 6{{lang|ru|}
선수 이름원 소속팀
디에고 루나발티카 칼리닌그라드
젤림칸 바카예프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베르트 메히아온세 칼다스


타 구단 임대다음은 FC 힘키에서 다른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들이다.

선수 이름임대 구단임대 기간
일리야 디아틀로프볼가 울리야노프스크2025년 6월 30일까지
올레그 이사옌코발티카 칼리닌그라드2025년 6월 30일까지
스타니슬라프 포로이코프튜멘2025년 6월 30일까지
자카르 볼코프아스널 툴라2025년 6월 30일까지
로만 유제프추크소콜 사라토프2025년 6월 30일까지
보니 아미안디나모 민스크2024년 12월 31일까지
티무르 카시모프로토르 볼고그라드2025년 6월 30일까지
일리야 포로호프우랄 예카테린부르크2025년 6월 30일까지


국가대표 경력 선수FC 힘키를 거쳐간 선수들 중에는 각 국가를 대표하여 국제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이 많다. 러시아,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조지아, 카자흐스탄 등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힘키에서 활약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등번호포지션국적이름
2DF페타르 골루보비치
3DF이라클리 체지야
5DF다닐 스테파노프
6DF스테판 멜렌티예비치
7FW일리아 사디고프
8FW키릴 판첸코
9FW알렉산드르 루덴코
10MF사미누 압둘라히
11FW레지우안 미르조프
13DF세르게이 테레호프
14MF게오르기 지키야
15DF디에고 루나 (발티카 칼리닌그라드로부터 임대)
17MF일리아 베르코프스키
18MF젤림칸 바카예프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부터 임대)
21FW알리셰르 오디로프
22MF로베르트 메히아 (온세 칼다스로부터 임대)
24DF에드가르도 파리냐
25DF알렉산드르 필린
26DF네마냐 안젤코비치
27DF세드릭 고고우아
32MF루카스 베라
44GK야로슬라프 부리첸코프
55MF키릴 카플렌코
68MF파벨 말로제모프
72DF다니 페르난데스
77MF알렉스 코레데라
80MF케타그 코소노프
85DF아르툠 베스키발니
87GK니키타 코카레프
88MF데니스 글루샤코프
91FW안톤 자볼로트니
96GK이고르 오부호프
97MF부타 마고메도프
99DF오리뇨


4. 2. 유명 선수

라쿠야마 타카시|라쿠야마 다카시일본어는 2010년에 힘키에서 잠시 활동했던 일본 선수로 대한민국에서 알려져 있다.

FC 힘키에서 활동한 주요 선수
국가선수 이름활동 기간
{{lang2010


5. 감독

이름기간
블라디미르 슈타포프1996–1997
이고르 비치코프 (임시)1997
라빌 사비토프1997–1999, 2001–2002
알렉산드르 피스카레프2000
빅토르 파파예프2000
알렉세이 페트루신2001
세르게이 데르카치2002–2003
드미트리 갈랴민2003
바실리 쿨코프2004
블라디미르 셰브추크2004
파벨 야코벤코2004–2005
블라디미르 카자쵸노크2006–2007
슬라볼류브 무슬린2007–2008
세르게이 유란2008
콘스탄틴 사르사니아2009
이고르 추가이노프2009
알렉산드르 타르하노프2009–2010, 2012, 2013
올레그 돌마토프2011–2012
발레리 페트라코프2012–2013
블라디미르 무하노프2013–2014
블라디미르 마미노프2014–2015
바딤 하피조프2015–2016
알렉산드르 이르킨2016–2018
이고르 샬리모프2018–2019
안드레이 탈랄라예프2019–2020
세르게이 유란2020
드미트리 군코2020
이고르 체레브첸코2020–현재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Russian Premier League website http://www.rfpl.org/[...]
[2] 웹사이트 Заместитель министра спорта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Оленев стал генеральным директором "Химок" https://www.champion[...] championat.com 2022-09-20
[3] 웹사이트 Исполком РФС утвердил итоги Олимп-Первенства ФНЛ-2019/20. "Ротор" и "Химки" выходят в Тинькофф-РПЛ https://1fnl.ru/news[...] Russian Football National League 2020-05-15
[4] 웹사이트 "Химки" вылетели из РПЛ после трех сезонов в лиге https://www.sports.r[...] Sports.ru 2023-05-22
[5] 웹사이트 "Динамо" Махачкала впервые сыграет в РПЛ. "Химки" вернулись в высший дивизион https://www.sports.r[...] Sports.ru 202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