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FG-823 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함 (FFG-823)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할 울산급 Batch-II (대구급 호위함) 사업의 다섯 번째 함정으로, 노후화된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2021년 대우조선해양에서 진수되었으며, 2800톤급 규모에 최신 AESA 레이더를 장착하여 구축함급 방공 능력을 갖춘다. KMk.45 127mm 함포, 해궁, 해성, 해룡 미사일, 팰렁스, 홍상어, 청상어 어뢰 등 다양한 무장을 탑재하고,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적용하여 수중 방사 소음을 줄였다. 2022년 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며,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이전의 대전함 (DD-919)은 기어링급 구축함으로, 냉전 기간 동안 운용된 후 퇴역하여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기도 했다. 대구급 호위함은 인천급 호위함의 개량형으로, K-VLS를 포함한 다양한 무기 체계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급 호위함 - FFG-818 대구
    대구급 호위함 1번함인 FFG-818 대구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며 울산급과 포항급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고, SPS-550K 3차원 레이다, 해궁 미사일, 홍상어 어뢰 등을 탑재했으며, 대한민국 해군 수상함 최초로 CODLOG 방식의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 대구급 호위함 - FFG-822 동해
    FFG-822 동해는 대한민국 해군의 대구급 호위함으로, TB-250K 예인형 소나, K-SAAM, 홍상어 어뢰, 해룡 미사일 등의 무장을 갖추고 헬리콥터 갑판이 확대된 인천급 호위함 개량형이다.
FFG-823 대전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정 정보
함명대전 (대전)
함명 유래대전
함번FFG-823
함종호위함
상태현역
건조 정보
함급대구급 호위함
건조사대우조선해양
진수2021년 5월 3일
취역2023년 2월 27일
제원
배수량경하: 2,800톤
만재: 3,592톤
길이122미터
14미터
흘수4미터
추진 방식CODLAG
엔진1 × 롤스로이스 MT30 가스 터빈
4 × MTU 12V 4000 M53B 디젤 엔진
2 × 레오나르도 DRS 전기 모터
속력최대: 30노트
순항: 18노트
항속 거리4,500 해리
승조원140명
센서 및 레이더
레이더SPS-550K 3차원 대공 레이더
SPG-540K 사격 통제 레이더
소나SQS-240K 함수 소나
SQR-250K 예인 소나
전자 광학 추적 장비SAQ-540K EOTS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비한화 시스템 SAQ-600K IRST
전투 관리 시스템Naval Shield 통합 전투 관리 시스템
전자전 장비LIG 넥스원 SLQ-200(V)K Sonata 전자전 장비
SLQ-261K 어뢰 음향 대응 장치
MASS 기만기 발사대
무장
주포1 × 5인치 (127mm)/L62 구경 Mk 45 Mod 4 함포
근접 방어 무기 체계1 × 20mm 팔랑스 CIWS
어뢰 발사관2 × 3연장 어뢰 발사관 (K745 청상어 어뢰용)
대함 미사일8 × SSM-700K 해성 대함 미사일
수직 발사 시스템16셀 K-VLS
수직 발사 시스템 무장해궁 K-SAAM (셀당 4발)
해룡 VL-전술 육상 공격 미사일
K-ASROC 홍상어
항공 전력
헬리콥터Super Lynx 또는 AW159 헬리콥터
항공 시설헬기 갑판 및 격납고 (중형 헬리콥터 1대 수용 가능)

2. 역사

대전함대한민국 해군울산급 Batch-II(대구함급) 사업을 통해 2011년부터 2023년까지 확보한 8척의 신형 호위함 중 다섯 번째 함정이다. 이 함정은 노후화된 1500톤급 호위함(FFG)과 1000톤급 초계함(PCC)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으며, 2021년 5월 3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진수되었다.[4]

대전함은 길이 122m, 폭 14m, 높이 35m, 2800톤급 규모이며, 최고 속력은 30노트(시속 55.5km)이다. 최신형 AESA 레이다를 장착하여 구축함급 방공 능력을 갖추었으며, 특히 5번함인 대전함은 질화 갈륨 레이더를 사용하여 탐지 거리가 300km에 달한다. 이는 이전 1~4번함의 갈륨 소재 레이더보다 향상된 성능이다. 해군은 Batch-II 사업 완료 후 FFX Batch-III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주요 무장으로는 KMk.45 127mm 함포, 해궁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SAAM), 해성 함대함유도탄, 해룡 함대지유도탄, 팰렁스 Block 1B 근접방어무기체계, 홍상어 장거리대잠어뢰, 청상어 대잠어뢰 등이 있으며, 해상작전헬기 1대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터빈과 추진전동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탑재하여 수중 방사 소음을 줄였다.

대전함은 시운전 평가를 거쳐 2022년 말 해군에 인도되었으며, 이후 전력화 과정을 거쳐 실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2. 1. 이전의 대전함 (DD-919)

해군은 호위함의 함명으로 시·도 단위급 지명을 사용해 온 전통에 따라 FFX Batch-Ⅱ 5번함을 대전함으로 명명했다. 이전의 대전함(DD-919)은 만재배수량 3,500톤급 기어링급 구축함이다. 기어링급 구축함은 워낙 많이 건조되었고, 건조 시기가 늦은 탓에 대부분 상태가 좋아서 미 해군 당국은 종전 후 남아도는 이 구축함의 처리에 상당히 고심했다고 한다. 그나마 냉전기간 동안에는 소련 해군의 잠수함에 대한 대책이 중요해져서 개량(FRAM I/II)을 거쳐 비교적 장기간 운용했고 1982년을 끝으로 미 해군에서 기어링급은 모두 퇴역했다. 이들을 대체할 구축함의 건조가 끝난 후에는 우방국가들에 헐값으로 넘겼다.

그중에는 대한민국 해군도 있었고, 한국 해군이 가장 많이 운용한 미국제 구축함이기도 하다.

3. 제원

대전함은 길이 122m, 폭 14m, 높이 35m, 최고 속력 30노트(시속 55.5km), 2800ton급 호위함이다.[1]

KMk.45 127mm 함포 1문을 장착했으며, 최대 사거리 23km, 대수상 사거리 15km, 대공 사거리 7km, 분당 발사 속도 20발이다.[1] 해궁(SAAM)은 프랑스의 VL-MICA와 유사한 수직 발사 체계를 채택해 모든 방향의 표적에 대응 가능하다. 해성 함대함유도탄은 명중률이 높고, 해룡 함대지유도탄, 팰렁스 Block 1B, 홍상어 장거리 대잠어뢰, 청상어 경어뢰를 갖추고 있다.[1] 해상작전헬기 1대를 운용할 수 있다.[1]

3. 1. 레이더

대전함은 최신형 AESA 레이다를 장착하여 사실상 구축함급 방공 능력을 갖게 되었다. 1~4번함은 갈륨 소재 레이더를 사용했지만, 5번함인 대전함은 질화 갈륨 레이더를 사용하여 탐지 거리가 300km 가까이로 늘어났다.[1]

3. 2. 추진 체계

FFG-823 대전은 영국 등 주요 국가에서 성능이 입증된 가스터빈과 추진전동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탑재해 수중방사소음을 감소시켰다.[1]

4. 무장

KMk.45 127mm 함포 1문으로 최대 사거리는 23km, 대수상 사거리는 15km, 대공 사거리는 7km이며, 분당 발사속도는 20발 수준이다. 해궁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SAAM)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RIM-116 RA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유도탄으로 프랑스의 VL-MICA와 흡사한 수직발사 체계를 채택했다. 사거리 등은 VL-MICA와 유사하다. 터렛 방식의 RIM-116이 탑재위치에 따라 표적에 대응할 수 없는 사각이 나오는 반면, 수직발사 방식은 어느 방향이나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직발사 방식은 최소사거리가 500m 정도 길어지는 대신 유효사거리가 RAM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해 전체 교전구역이 대폭 확대된다. 해성 함대함유도탄은 하푼 대함 미사일 후기급 성능을 가진 미사일로써 ROC 성능검증부터 현재까지 모든 발사검증에서 명중률이 매우 높아 해군에서 신용하는 대함타격체계이다. 해룡함대지유도탄, 팰렁스(Phalanx) Block 1B 근접방어무기체계, 홍상어 장거리대잠어뢰(ASROC), 청상어 경어뢰 기반으로 운용되는 로켓탑재형 대잠수함 타격체계, 청상어 대잠어뢰 등을 갖추고 있으며 해상작전헬기 1대를 운용할 수 있다.[1][2][3]

5. 개발 (대구급 호위함)

대전함은 노후화된 1500톤급 호위함(FFG)과 1000톤급 초계함(PCC)을 대체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총 8척의 신형 호위함을 확보하는 울산급 Batch-II (대구급 호위함) 사업의 다섯 번째 함정으로, 2021년 5월 3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진수되었다.[4]

길이 122m, 폭 14m, 높이 35m 규모에 최고속력은 30노트(시속 55.5㎞)인 2800톤급 신형 호위함이다. 최신형 AESA 레이다를 장착해서 사실상 구축함급 방공 능력을 갖게 되었다. 1~4번함이 갈륨 소재 레이더인데 5번함인 대전함은 질화 갈륨 레이더를 사용하여 탐지 거리가 300km 가까이로 늘어났다.

무장으로는 KMk.45 127mm 함포 1문(최대 사거리 23km, 대수상 사거리 15km, 대공 사거리 7km, 분당 발사 속도 20발), 해궁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SAAM), 해성 함대함유도탄, 해룡함대지유도탄, 팰렁스 Block 1B 근접방어무기체계, 홍상어 장거리대잠어뢰, 청상어 대잠어뢰 등을 갖추고 있으며 해상작전헬기 1대를 운용할 수 있다.

해궁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RIM-116 RA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유도탄으로 프랑스의 VL-MICA와 흡사한 수직발사 체계를 채택했다. 홍상어청상어 경어뢰 기반으로 운용되는 로켓탑재형 대잠수함 타격체계이다.

추진체계로는 영국 등 주요 국가에서 성능이 입증된 가스터빈과 추진전동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탑재해 수중방사소음을 감소시켰다.

''대구''급은 ''인천''|인천영어급 호위함의 개량형이다. TB-250K 예인형 배열 음파 탐지 시스템과 K-SAAM, 홍상어 대잠미사일, 해룡 전술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을 배치할 수 있는 16셀 한국형 수직 발사 시스템(K-VLS)이 포함된다.[1] 선체 설계는 일반적으로 ''인천''급을 기반으로 하지만, 상부 구조가 상당히 변경되었다. 격납고와 선미의 헬리콥터 데크가 10톤 헬리콥터의 운용을 지원하도록 확대되었다.[2][3]

6. 향후 계획

FFG-823 대전은 시운전 평가 기간을 거쳐 2022년 말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며, 이후 전력화 과정을 마치고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참조

[1] 뉴스 ROK Navy Launches New Warship Capable of Hitting Targets Inside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Thediplomat.com 2016-06-09
[2] 웹사이트 Koreas New Coastal Frigates: the FFX Incheon Class http://www.defensein[...]
[3] 뉴스 South Korea Orders Two Daegu-class FFX-II Frigates Ahead of Schedule to Support Shipbuilder http://navyrecogniti[...] Navyrecognition.com 2016-12-21
[4] 웹사이트 DSME launches 5th Daegu Class frigate ROKS Daejeon (FFG-823) - Naval Post https://navalpost.co[...] 2021-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