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1940년 창단된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을 포함하여 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에서 1958-59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에서는 1999-2000, 2000-01 시즌 2연패를 달성했다. 슬로바키아 컵에서도 6회 우승을 기록했다. 1968-69 미트로파컵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와 UEFA컵 등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했다. 2009년 구단 라이선스를 매각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2010년 재창단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 축구에 관한 - FC 로코모티바 코시체
    FC 로코모티바 코시체는 슬로바키아 코시체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며,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에서 3위를 두 번 기록하고 컵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슬로바키아 리그에 참가하다가 재정 문제로 기권했다.
  • 3. 리가 (슬로바키아) 구단 - FC 로코모티바 코시체
    FC 로코모티바 코시체는 슬로바키아 코시체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며,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에서 3위를 두 번 기록하고 컵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슬로바키아 리그에 참가하다가 재정 문제로 기권했다.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명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풀 네임Futbalový Klub Inter Bratislava a.s.
별칭žlto-čierni (노랑-검정)
창단1940년 7월 1일 (ŠK 아폴로)
구장Stupava FK Stupava 경기장 (수용 인원: 800명)
브라티슬라바 – Ružinov Drieňová ulica 경기장 (수용 인원: 1,000명)
Pasienky Bratislava 경기장 (2024년 7월부터) (수용 인원: 11,591명)
소유주Ján Palenčár
회장Jozef Barmoš
감독Andrej Štellár
리그3. Liga (서부)
2023–24 시즌4. liga (브라티슬라바), 1위 (승격)
웹사이트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공식 웹사이트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로고
클럽 로고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노란색 상의, 검은색 하의, 노란색 양말
원정 유니폼빨간색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2. 역사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1940년 아폴로 정유 공장(나중에 슬로브나프트로 개명)에 의해 ŠK 아폴로 브라티슬라바로 창단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체코슬로바키아가 재건되면서 클럽은 체코슬로바키아 축구의 중요한 팀으로 발전했다.[1]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체르베나 흐비에즈다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어로 "붉은 별"이라는 뜻)의 성공적인 역사를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와 FK ŠKP 인테르 두브라프카 브라티슬라바 중 누가 계승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TJ 인터나시오날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 클럽의 업적은 논쟁의 여지가 거의 없다.

1959년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후, 1972-73 시즌과 1986-87 시즌을 제외하고는 항상 1부 리그에 소속되는 등 중견 클럽의 실력을 유지했다.[1] 1962년부터 1993년까지 클럽은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에서 31시즌 중 29시즌을 보냈으며, 1970년대에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고, 1983–84, 1987–88, 1989–90 시즌에는 슬로바키아 컵에서 우승했다.[1] 이 기간 동안 많은 인테르 선수들이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1] 요제프 바르모시, 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 라디슬라프 페트라시는 UEFA 유로 1976에서 우승을 차지했고,[1] 4년 후, 바르모시와 유르케미크는 UEFA 유로 1980에서 3위를 차지했다.[1]

벨벳 혁명 이후 슬로바키아로 독립한 후에도 전력을 유지하며, 1999-2000, 2000-2001 시즌에는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와 슬로바키아 컵에서 2년 연속 더블을 달성했다.[1] 그러나 이후에는 성적이 부진하여 2006-07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의 슬로바키아 리그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디비전 (이름)순위/팀경기득점실점승점슬로바키아 컵유럽 대항전득점왕 (골)
1993-941부 (1. 리가)2/(12)3218410654540준결승align=center|align=center| 마틴 오브시트니크 (14)
1994-951부 (1. 리가)3/(12)3214810474550우승UC예선align=center|
1995-961부 (1. 리가)9/(12)32117144245402라운드CWC1라운드 야로슬라프 팀코 (9)
1996-971부 (1. 리가)4/(16)301398383548준결승align=center|align=center| 롤프 란덜 (10)
1997-981부 (마르스 수페르리가)3/(16)301866552560준결승align=center|align=center| 페테르 바브니치 (9)
1998-991부 (마르스 수페르리가)2/(16)3021546415688강UC2차 예선 페테르 바브니치 (13)
1999-20001부 (마르스 수페르리가)1/(16)302172651670우승UC2라운드 실라르드 네메스 (16)
2000-011부 (마르스 수페르리가)1/(10)362556732880우승CL
UC
3차 예선
2라운드
실라르드 네메스 (23)
2001-021부 (마르스 수페르리가)3/(10)36168125339568강CL
UC
3차 예선
1라운드
미로슬라프 드롭냐크 (9)
2002-031부 (1. 리가)6/(10)36127174858431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미로슬라프 드롭냐크 (10)
유라이 할레나르 (10)
2003-041부 (코르곤 리가)7/(10)36129153844452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유라이 할레나르 (9)
2004-051부 (코르곤 리가)9/(10)36911163760388강align=center|align=center| 유라이 할레나르 (12)
2005-061부 (코르곤 리가)9/(10)3679202762302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마리안 톰착 (6)
2006-071부 (코르곤 리가)13/(16)361111143940443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라도슬라브 쿤조 (6)
2007-082부 (1. 리가)3/(12)33158104940538강align=center|align=center| 토마시 마이탄 (16)
2008-092부 (1. 리가)1/(12)33191046427672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09-10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align=center bgcolor=black|
2010-116위 (V. 리가 시니어리 BA-메스토)1/(12)221822721556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11-125위 (IV. 리가 시니어리 BA-메스토)1/(14)261664622854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12-134위 (마이스트로브스트바 레기오누 BA)7/(16)3013710423346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13-144위 (마이스트로브스트바 레기오누 BA)1/(17)32219283247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14-153위 (III. 리가 브라티슬라바)6/(16)3013894641474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2015-163위 (III. 리가 브라티슬라바)2/(16)3018667020602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파트리크 페도르 (13)
2016-173위 (III. 리가 브라티슬라바)1/(16)3024429311763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야쿱 슐츠 (23)
2017-182위 (DOXXbet 리가)8/(16)30125134546415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에리크 프레코프 (8)
2018-192위 (II. 리가)14/(16)3085173756294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야쿱 슐츠 (11)
2019-203위 (III. 리가)2/(16)151122461635미참가align=center|align=center| 토마시 마이탄 (14)
2020-213위 (III. 리가)2/(16)151014532131미참가align=center|align=center| 토마시 마이탄 (13)
2021-223위 (III. 리가)3/(16)302163791869미참가align=center|align=center| 안드레이 라부다 (18)
2022-233위 (III. 리가)13/(16)2887133443313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토마시 마이탄 (6)
2023-244위 (IV. 리가 브라티슬라바)1/(16)3025327833781라운드align=center|align=center| 이반 베티크 (23)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을 변경했다.


  • 1940년: ''ŠK 아폴로 브라티슬라바''[1]
  • 1945년: ''TKNB 브라티슬라바''[1]
  • 1948년: ''소콜 SNB 브라티슬라바''[1]
  • 1952년: ''TJ 체르베나 흐비에즈다 브라티슬라바''[1]
  • 1962년: ''TJ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 (''TJ 이스크라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와 합병)[1]
  • 1965년: ''TJ 인터나시오날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1]
  • 1986년: ''TJ 인터나시오날 슬로브나프트 ZTS 브라티슬라바'' (''TJ ZTS 페트르잘카''와 합병)[1]
  • 1991년: ''AŠK 인터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1]
  • 2004년: ''FK 인터 브라티슬라바''[1]

2. 1. 창단과 초기 (1940-1965)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1940년 ''ŠK 아폴로 브라티슬라바''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 이 팀은 아폴로 정유 공장(나중에 슬로브나프트로 변경)에 의해 만들어졌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클럽은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꾸었다.[1]

  • 1945년: ''TKNB 브라티슬라바''[1]
  • 1948년: ''소콜 SNB 브라티슬라바''[1]
  • 1952년: ''TJ 체르베나 흐비에즈다 브라티슬라바''(레드 스타)[1]
  • 1962년: ''TJ 이스크라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 및 ''TJ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와 합병[1]
  • 1965년: ''TJ 인터나치오날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1]


1959년에는 1959–60 시즌에 참가하며 처음으로 유럽 대회에 진출하였다.[1]

2. 2. 슬로브나프트와의 합병과 전성기 (1965-1991)

1962년,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TJ 이스크라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와 합병하여 TJ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가 되었다.[1] 1965년에는 TJ 인터나시오날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로 명칭을 변경했다.[1]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1958-59 시즌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다.[1] 1959-60 시즌에는 유러피언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예선 라운드에서 포르투를 합계 4-1로 꺾었으나, 1라운드에서 레인저스에게 합계 4-5로 패배했다.[1]

시즌대회라운드국가클럽원정합계
1959-60유러피언컵예선 라운드FC 포르투2–12–04–1
1라운드레인저스 FC1–13–44–5



이후에도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꾸준히 유럽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68-69 시즌 미트로파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1970년대에는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고, 1983-84, 1987-88, 1989-90 시즌에는 슬로바키아 컵에서 우승했다.[1] 이 시기에는 많은 인테르 선수들이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요제프 바르모시, 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 라디슬라프 페트라시는 UEFA 유로 1976 우승 멤버로 활약했다.[1]

2. 3. ZŤS 페트르잘카 합병과 슬로바키아 독립 (1986-2009)

1986년,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TJ ZŤS 페트르잘카와 합병하여 TJ 인터나시오날 슬로브나프트 ZŤS 브라티슬라바가 되었다.[1] 1991년에는 AŠK 인터 슬로브나프트 브라티슬라바로 명칭을 변경했다.[1]

벨벳 혁명 이후 슬로바키아가 독립하면서, 인테르는 새롭게 창설된 슬로바키아 축구 최상위 리그와 슬로바키아 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특히 1999-2000 시즌과 2000-01 시즌에는 리그와 컵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며 더블을 두 번이나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

2. 4. 재정 위기와 재건 (2009-현재)

FK 인터 브라티슬라바는 2008-09 시즌에 1. 리가에서 우승했지만, 구단의 재정 문제로 인해 2009년 6월 구단주 류보미르 흐렌코가 인테르의 라이선스를 FK 세니차에 매각했다.[1] 이로 인해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의 성인 선수단은 세니차로 이동했고, 인테르의 유소년 팀은 인테르 팬클럽이 결성한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시민 협회에서 맡게 되었다.[2]

2010-2011 시즌, 성인팀이 재창단되어 슬로바키아 축구 6부 리그인 V. 리가에서 활동했다.[3] 구단 구조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인테르는 1967년부터 사용하던 Štadión Pasienky 대신 Štadión ŠKP Inter Dúbravka로 이전했다.[4] 2015-2016 시즌부터는 알 수 없는 이유로 남자팀은 다시 Štadión Drieňová ulica로 돌아왔고, 유소년팀은 Stadium ŠKP Inter Dúbravka에 남았다.

2016-2017 시즌 가을, 인테르는 페트르잘카의 Marie Curie-Skłodowska 거리에 있는 스타디움(FC 페트르잘카 아카데미의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렀지만, 2017년 봄에 팀 소유주가 인테르를 위한 훈련 센터를 만든 스투파바로 팀을 옮겼다. 앞으로 브라티슬라바로 복귀할 계획이며, 스투파바는 훈련 센터 역할을 할 예정이다. 2부 리그에서 강등된 후, 인테르는 IV. 리가까지 떨어졌지만, 다음 시즌에 승격을 목표로 3부 리그로 다시 올라섰다.

2023년, 구단은 다시 브라티슬라바 스타디움인 Štadión Pasienky로 돌아왔다. 이 지역이 개발업체 JTRE에 의해 아파트 건설에 사용될 예정이므로, 이는 앞으로 2시즌 동안의 임시 조치이다.

3. 경기장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여러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해 왔다. 1967년부터 Štadión Pasienky를 홈 구장으로 사용해 왔으나, 2010-2011 시즌부터 구단의 구조 변화로 인해 Štadión Drieňová ulica로 이전했다.[3] 2014년 여름에는 Štadión ŠKP Inter Dúbravka로 이전했다.[4] 2015/2016 시즌부터는 남자팀은 다시 Štadión Drieňová ulica로 복귀했고, 유소년팀은 Štadión ŠKP Inter Dúbravka에 남았다.

2016/2017 시즌 가을에는 브라티슬라바 페트르잘카의 Marie Curie-Skłodowska 거리에 있는 FC 페트르잘카 아카데미의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렀고, 2017년 봄에는 스투파바에 있는 훈련 센터로 팀을 옮겼다. 2023년에는 다시 Štadión Pasienky로 돌아왔지만, 개발업체 JTRE에 의해 아파트 건설이 예정되어 있어 2025년까지 임시로 사용할 예정이다.

파시엔키 경기장은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었으며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의 홈 구장이었다. 경기장은 13,295명을 수용할 수 있다.

3. 1. ŠKP 인터 두브라프카 경기장 (Štadión ŠKP Inter Dúbravka)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2014/2015 시즌부터 파시엔키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파시엔키 경기장은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었다. 경기장은 13,295명을 수용할 수 있다.

3. 2. 기타 경기장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1967년부터 홈 구장으로 Štadión Pasienky를 사용해 왔으나, 구단 구조 변화로 인해 여러 경기장을 임시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4]

경기장사용 기간비고
Štadión Drieňová ulica2010-2011 시즌 ~ 2013-2014 시즌2015-2016 시즌 남자팀 복귀[4]
Štadión ŠKP Inter Dúbravka2014년 여름 ~ 현재2015-2016 시즌부터 유소년팀 사용,[4] 수용 인원 10,200명
FC 페트르잘카 아카데미 스타디움2016-2017 시즌 가을브라티슬라바 페트르잘카 Marie Curie-Skłodowska 거리에 위치
스투파바 훈련 센터2017년 봄 ~ 현재
Štadión Pasienky2023년 ~ 2025년 (예정)개발업체 JTRE의 아파트 건설 예정으로 임시 사용


4.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6DF브루노 빌리치
18MF다미앙 클레망 마리
26DF요반 파블로비치



'''굵게''' 표시된 선수는 인터 소속으로 자국 대표팀에서 활약한 선수들이다.

align="center" | 주요 선수


4. 1. 현역 선수 명단 (2019년 기준)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다니엘 고가
3DF안드레이 슈르바
4DF토마시 살라타 (부주장)
6DF보이테흐 토트
8MF파트리크 코찬
9DF안드레이 라부다
10FW마틴 블체크
11FW야쿱 슐츠 (주장)
12DF파트리크 길리안
14FW파트리크 페도르
16DF브루노 빌리치
17MF마리오 발도브스키
18MF다미앵 클레멘트 마리
19MF로날드 타카치
20MF루카시 자코
22MF이사 아데쿤레 (AS 트렌친으로부터 임대)
23MF퀸턴 크리스티나
24DF차르니 에캉가메네
25DF에밀 할라데이
26DF요반 파블로비치 (AS 트렌친으로부터 임대)
30GK리보르 흐르들리치카 (AS 트렌친으로부터 임대)
FW토마시 마이탄


4. 2. 역대 주요 선수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을 다수 배출한 클럽으로, 슬로바키아 축구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거나 클럽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우승자
1961–62Adolf Scherer|아돌프 셰레르cs24
1974–75Ladislav Petráš|라디슬라프 페트라슈cs20
1989–90Ľubomír Luhový|류보미르 루호비sk20
1999–00Szilárd Németh|실라르드 네메트sk16
2000–01Szilárd Németh|실라르드 네메트sk23



최근에는 젊은 선수들이 더 높은 수준의 리그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순위선수이적 구단이적료연도
1.Szilárd Németh|실라르드 네메트sk 미들즈브러 FC675만유로*2001[7]
2.Vratislav Greško|브라티슬라프 그레슈코sk 바이어 04 레버쿠젠100만유로1999[8]
3.Marek Čech|마레크 체흐sk 스파르타 프라하60만유로*2004[9]
4.Peter Vavrovič|페테르 바브니치sk 스파르타 프라하40만유로*2001[10]



''*- 비공식 이적료''
주요 선수 목록


  • '''페테르 바브니치'''
  • '''요제프 바르모시'''
  • '''티투스 부베르니크'''
  • 얀 차프코비치
  • 마레크 체흐
  • 야로슬라프 체르베냔
  • 에리크 치코시
  • '''마리안 치쇼프스키'''
  • '''유라이 치네게'''
  • 마리안 디른바흐
  • '''밀란 돌린스키'''
  • '''미로슬라프 드롭냑'''
  • '''페테르 주릭'''
  • 페테르 피에베르
  • '''카지미르 가이도시'''
  • 브라티슬라프 그레슈코
  • 유라이 할레나르
  • 얀 흘라바티
  • '''졸트 호르냐크'''
  • '''미로슬라프 힐'''
  • 퀸턴 크리스티나
  • '''유스틴 야보레크'''
  • '''바르토로메이 유라슈코'''
  • '''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
  • '''라디슬라프 카차니'''
  • 필리프 키스
  • 토마시 코시츠키
  • '''야로슬라프 코슈나르'''
  • '''로만 크라토흐빌'''
  • 마레크 크레이치
  • '''미쿨라시 크르나치'''
  • 롤프 란덜
  • '''보진 라스코프'''
  • '''요제프 레비츠키'''
  • 알리아스 렘바코알리
  • '''류보미르 루호비'''
  • '''슈테판 마틀라크'''
  • 밀란 말라틴스키
  • 요제프 모데르
  • '''라디슬라프 몰나르'''
  • '''파볼 몰나르'''
  • '''스타니슬라프 모라베츠'''
  • '''구스타프 므라즈'''
  • '''페테르 므라즈'''
  • 얀 무하
  • '''페테르 네메트'''
  • '''실라르드 네메트'''
  • '''안톤 오브로진스키'''
  • '''마르틴 오브시트니크'''
  • 미할 판치크
  • '''라디슬라프 파블로비치'''
  • 마리오 페찰카
  • '''라디슬라프 페트라슈'''
  • 페테르 페트라슈
  • '''아틸라 핀테'''
  • 루보미르 포클루다
  • 안드레이 포라지크
  • 시라지 사니
  • '''아돌프 셰레르'''
  • 이반 스란츠
  • '''얀 솔라르'''
  • 필리프 셰보
  • 파볼 세들라크
  • 온드레이 슈멜코
  • '''마리안 슈찬초크'''
  • 카밀 수스코
  • '''유라이 시코라'''
  • '''이르지 티히'''
  • 이반 트라발리크
  • 루돌프 우르반
  • 요제프 발라호비치
  • '''블라디미르 바이스'''
  • '''블라디미르 바이스 시니어'''
  • 블라디미르 바이스 주니어
  • 류도비트 즈로차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들은 인테르 소속으로 자국 대표팀에서 활약한 선수들이다.

5. 역대 감독

감독임기
Jozsef Ember|요제프 엠베르sk1953
František Kolman|프란티셰크 콜만cs1954–1955
Teodor Reimann|테오도르 레이만cs1955–1957
Karol Borhy|카롤 보르히sk1958–1960
Arnošt Hložek|아르노슈트 흘로제크sk1962–1966
Ladislav Kačáni|라디슬라프 카차니sk1967–1970
Jozef Marko|요제프 마르코sk1970–1972
František Skyva|프란티셰크 스키바cs1972
Valér Švec|발레르 슈베츠sk1972–1978
Michal Vičan|미할 비찬sk1978–1980
Justín Javorek|유스틴 야보레크sk1980–1982
Arnošt Hložek|아르노슈트 흘로제크sk1982–1984
Štefan Šimončič|슈테판 시몬치치cs1984
Michal Vičan|미할 비찬sk1984–1986
Karol Kögl|카롤 쾨글sk1986–1988
Vladimír Hrivnák|블라디미르 흐리브나크sk1988
요제프 아다메츠1989–1991
Jozef Jankech|요제프 얀케흐sk1991–1992
요제프 아다메츠1992–1993
Ladislav Petráš|라디슬라프 페트라시sk1994
카렐 브뤼크네르1995
요제프 아다메츠1995
Jozef Valovič|요제프 발로비치sk1996
요제프 부벤코1996–2002
요제프 바르모시2004–2005
Ladislav Jurkemik|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sk2006–2008
Vladimír Koník|블라디미르 코니크sk2007–2009
Peter Fieber|페테르 피베르sk2009
요제프 바르모시2009–2016
Richard Slezák|리하르트 슬레자크sk2016-2017
요제프 바르모시2017
Jozef Brezovský|요제프 브레조브스키sk2018
Miroslav Jantek|미로슬라프 얀테크sk2018–2019
Michal Pančík|미할 판치크sk2019-2021
Ladislav Hudec|라디슬라프 후데츠sk2022
Andrej Stellár|안드레이 슈텔라르sk2023-


6. 수상 기록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 축구를 대표하는 클럽 중 하나로, 국내외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슬로바키아 독립 이후'''

  •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2회 우승(1999–2000, 2000–01), 2회 준우승(1993–94, 1998–99)
  • 슬로바키아 컵: 6회 우승(1983–84, 1987–88, 1989–90, 1994–95, 1999–2000, 2000–01), 2회 준우승(1975–76, 1978–79)


'''국제 대회'''

6. 1. 국내 대회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국내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회15px 우승15px 준우승15px 3위
Československocs (1944-93)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1958–591960–61, 1974–75, 1976–771953, 1954, 1957-58, 1961-62, 1989-90
1.SNL (1st Slovak National football league)1986–87
Slovenskosk (1993-)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1999–2000, 2000–011993–94, 1998–99
슬로바키아 컵1983–84, 1987–88, 1989–90, 1994–95, 1999–2000, 2000–011975–76, 1978–79



1959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1976에서는 라디슬라프 유르케미크가 우승 멤버로 활약했다.

벨벳 혁명 이후 슬로바키아가 독립한 후, 2000년과 2001년에는 슬로바키아 리그와 슬로바키아 컵에서 2년 연속 2관왕을 달성했다.

6. 2. 국제 대회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미트로파컵에서 1968-69 시즌 우승, 1969-70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다. UEFA 인터토토컵에서는 1962-63 시즌과 1963-64 시즌에 우승했고, 1976 시즌과 1977 시즌에는 조별 우승을 차지했다.

유럽 대항전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대회라운드국가클럽원정합계
1959-60유러피언컵예선 라운드FC 포르투2–12–04–1
1라운드레인저스 FC1–13–44–5
1975-76UEFA컵1라운드레알 사라고사5–03–28–2
2라운드AEK 아테네2–01–33–3(a)
3라운드스탈 미엘레츠1–00–21–2
1977-78UEFA컵1라운드SK 라피트 빈0–13–03–1
2라운드그라스호퍼1–01–52–5
1983-84UEFA컵1라운드라바트 아약스 FC10–06–016–0
2라운드라드니키 니시3–20–43–6
1984-85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1라운드FC 쿠우시시2–10–02–1
2라운드에버튼0–10–30–4
1988-89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1라운드CSKA 소피아2–30–52–8
1990-91UEFA컵1라운드아베니르 베겐5–01–26–2
2라운드1. FC 쾰른0–21–01–2
1994-95UEFA컵예선 라운드MYPA0–31–01–3
1995-96UEFA 컵 위너스 컵예선 라운드발레타 FC5–20–05–2
1라운드레알 사라고사0–21–31–5
1998-99UEFA컵1차 예선KF 티라나2–02–04–0
2차 예선슬라비아 프라하2–00–42–4
1999-00UEFA컵예선 라운드KS 빌리스3–12–05–1
1라운드라피트 빈1–02–13–1
2라운드FC 낭트0–30–40–7
2000-01UEFA 챔피언스 리그2차 예선FC 하카1–0(aet)0–01–0
3차 예선올랭피크 리옹1–21–22–4
2000-01UEFA컵1라운드로다 JC 케르크라데2–12–04–1
2라운드로코모티프 모스크바1–20–11–3
2001-02UEFA 챔피언스 리그2차 예선슬라비아 모지르1–01–02–0
3차 예선로젠보르그3–30–43–7
2001-02UEFA컵1라운드리텍스 로베치1–00–31–3


7. 클럽 문화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으로, 스폰서십 및 제휴 클럽을 통해 클럽 문화를 엿볼 수 있다.

7. 1. 스폰서십

기간유니폼 제조사셔츠 스폰서
1998–2002험멜슬로브나프트
2002–2006나이키슬로브나프트
2006–2009레게아Asset
2009–2019험멜없음
2020-아디다스없음


7. 2. 제휴 클럽

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와 제휴 관계를 맺었던 클럽은 다음과 같다.

  • AS 트렌친 (2016–2021)[5]
  • FKM 스투파바 (2016–2022)[6]

참조

[1] 웹사이트 Prvé mužstvo FK Inter zaniklo, hráči so zmluvou idú do Senice http://www.profutbal[...] Profutbal 2009-06-18
[2] 웹사이트 Inter nezanikol, logo žlto-čiernych zachránili pre deti http://www.profutbal[...] Profutbal 2009-07-17
[3] 웹사이트 Návrat Interu Bratislava, od sezóny 2010/11 na scéne aj A-tím http://www.profutbal[...] Profutbal 2010-04-29
[4] 웹사이트 Tradičný klub sa vracia, Inter Bratislava má postupový hetrik http://sport.aktuali[...] Šport 2014-07-31
[5] 웹사이트 Tlačová konferencia AS Trenčín pred jarnou časťou sezóny https://www.youtube.[...] 2016-03-10
[6] 웹사이트 Bratislavský Inter nadviazal po Trenčíne spoluprácu aj s FK Stupava http://www.profutbal[...] 2016-02-24
[7] 웹사이트 Szilárd Németh: Príbeh posledného gólového slovenského útočníka https://www.totojefu[...] 2018-01-10
[8] 웹사이트 TOP 10 najdrahších prestupov slovenských futbalistov https://www.sport7.s[...] 2016-07-22
[9] 웹사이트 Marek Čech prestúpil do Sparty za 15 miliónov českých korún https://www.cas.sk/c[...] 2005-04-09
[10] 웹사이트 Sparťan Peter Babnič v Tatrách https://www.sme.sk/c[...] 2022-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