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C 02652-0132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SC 02652-01324는 TrES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된 외계 행성계이다. 2004년 대서양 양안 외계 행성 탐사를 통해 통과법으로 외계 행성 TrES-1이 발견되었다. TrES-1b는 4인치 망원경으로 관측되었으며, 켁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으로 존재가 확인되고 질량이 측정되었다. TrES-1b의 통과 시간 변화를 통해 추가 행성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문고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거문고자리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GSC 02652-01324 | |
---|---|
명칭 | |
GSC | 02652-01324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0 |
별자리 | 거문고자리 |
겉보기 등급 (V) | +11.806 |
특징 | |
분광형 | K0V |
겉보기 등급 (B) | +12.405 |
겉보기 등급 (V) | 11.806 |
겉보기 등급 (J) | +10.294 |
겉보기 등급 (H) | +9.887 |
겉보기 등급 (K) | +9.819 |
변광성 유형 | 행성 통과 변광성 |
측성학 | |
고유 운동 (적경) | −32.168 |
고유 운동 (적위) | −20.463 |
시차 | 6.2648 |
절대 등급 (V) | +5.81 |
세부 정보 | |
질량 | 0.87 ± 0.03 |
반지름 | 0.82 ±0.02 |
광도 | 0.49 |
표면 온도 | 5250 |
금속 함량 | 0.001 ± 0.004 |
나이 | 2.5 ± 1.4 |
카탈로그 명칭 | |
이름 | TrES-1 Parent Star |
2MASS | 19040985+3637574 |
TYC | 2652-1324-1 |
V | V672 Lyr |
기타 명칭 | |
별칭 | TrES-1 Parent Star 거문고자리 V672 별 2MASS 19040985+3637574 TYC 2652-1324-1 |
이미지 | |
![]() |
2. 행성계
2004년 대서양 횡단 외계행성 탐사(TrES)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TrES-1b의 통과 시간 변화로 인해 이 항성계에 추가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1]
특성 | 값 |
---|---|
질량 | 0.752 MJ |
궤도 장반경 | 0.03925 AU |
공전 주기 | 3.030065 일 |
궤도 이심률 | 0 |
궤도 경사각 | 90.0° |
반지름 | 0.110 R☉ |
2. 1. 발견 방법
TrES 프로젝트 중 통과법을 사용하여 외계 행성 TrES-1이 발견되었다. 관측에는 약 10.16cm 지름의 망원경이 사용되었다. 이 행성의 발견은 켁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검증되었으며, 질량값을 도출할 수 있었다.2004년 대서양 양안 외계 행성 탐사에서 통과법으로 외계 행성 TrES-1을 발견했다. 이 행성이 항성 표면을 통과하는 모습이 구경 10.2cm의 소형 망원경으로 포착되었다. 이후 구경 61cm에서 1.2m의 망원경으로 추적 관측하여 행성으로 보이는 천체의 통과임을 확인했으며, W. M. 케크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으로 관측을 실시하여 그 존재가 확인되었고, 질량이 추정되었다.
2. 2. TrES-1b
대서양 횡단 외계행성 탐사(Trans-Atlantic Exoplanet Survey)는 2004년에 외계 행성 TrES-1b를 통과 방법으로 발견했다. 이 행성은 약 10.16cm 지름의 작은 망원경으로 모항성을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었다. 이 발견은 켁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며, 질량을 결정할 수 있었다.TrES-1b의 통과 시간 변화로 인해 이 항성계에 추가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1]
2. 2. 1. 물리적 특성
대서양 양안 외계 행성 탐사는 2004년에 이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TrES-1b를 통과 방법을 사용하여 발견했다. 이 행성은 약 10.16cm 지름의 작은 망원경을 사용하여 모항성을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었다. 이 발견은 켁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질량을 결정할 수 있었다.TrES-1b의 통과 시간 변화로 인해 이 항성계에 추가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1]
TrES-1b의 주요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특성 | 값 |
---|---|
질량 | 0.697 MJ |
궤도 장반경 | 0.03926 AU |
공전 주기 | 3.0300689 일[1] |
궤도 이심률 | 0.012 |
궤도 경사각 | 90° |
반지름 | 1.067 RJ |
참조
[1]
논문
Searching for Transit Timing Variations and Fitting a New Ephemeris to Transits of Tres-1 B
[2]
웹사이트
TrES-1 Parent Star -- Star
https://simbad.u-str[...]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
2009-04-22
[3]
간행물
TrES-1: The Transiting Planet of a Bright K0V Star
[4]
간행물
The 80th Name-List of Variable Stars. Part III -- RA 16h to 24h
2013-04-05
[5]
간행물
Improved Parameters for Extrasolar Transiting Planets
2008-04
[6]
간행물
High-Resolution Spectroscopy of the Transiting Planet Host Star TrES-1
2004-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