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40307 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40307 c는 HD 40307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HD 40307 b, HD 40307 d와 함께 도플러 분광법을 통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최소 지구 질량의 6.8배이며, 항성으로부터 0.081 천문단위 거리에 위치하여 9.6일 주기로 공전한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어 표면 온도, 조성 등 자세한 특징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작은 해왕성형 행성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조석력의 영향으로 자연 위성을 가질 확률은 낮으며, xkcd 만화에서 "Problemland"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HD 40307 - HD 40307 b
HD 40307 b는 지구 질량의 최소 4.2배인 슈퍼지구로, 항성 HD 40307을 4.3일에 한 바퀴 돌며 칠레 라 실라 천문대에서 발견되었고, 궤도 논란과 함께 'Good Planet'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HD 40307 - HD 40307 d
HD 40307 d는 HD 40307 항성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9.2배 이상이고 20.46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 화가자리 - HD 40307
HD 40307은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진 오렌지색 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75%이며, 2008년 3개의 슈퍼지구 발견 후 2012년 추가 발견으로 총 6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고,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한다. - 화가자리 - 캅테인의 별
캅테인의 별은 야코뷔스 캅테인이 발견한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준왜성이었으나, 현재는 슈퍼지구형 외계 행성 존재가 부정되고 있다. - 슈퍼지구 - MOA-2007-BLG-192Lb
궁수자리에 위치한 적색 왜성 MOA-2007-BLG-192L은 지구로부터 약 70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0.24배이다. - 슈퍼지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HD 40307 c | |
---|---|
개요 | |
명칭 | HD 40307 c |
별자리 | 화가자리 |
발견 | |
발견일 | 2008년 6월 16일 |
발견자 | Mayor 연구진 |
발견 방법 | 시선 속도법, HARPS 사용 |
발견 장소 | 라 실라 천문대, 칠레 |
상태 | 발견 사실 공표됨 |
궤도 특성 | |
궤도 장반경 | 0.0799 ± 0.0040 AU |
공전 주기 | 9.6184 (+0.0050/-0.0049)일 |
궤도 이심률 | 0.06 (+0.11/-0.06) |
근점 인수 | 234.9° |
평균 근점각 | 303.7° |
준진폭 | 2.45 (+0.30/-0.28) m/s |
모항성 | HD 40307 |
물리적 특징 | |
질량 | 지구 질량의 > 6.6 (+1.1/-1.0) 배 |
위치 정보 | |
기준 좌표계 | J2000.0 |
거리 | 42.19 광년 (12.94 pc) |
식별 정보 | |
다른 이름 | HIP 27887 c GJ 2046 c SAO 249388 c CD-60 1303 c CPD-60 508 c TYC 8892-01247-1 c IRAS 05534-6001 c 2MASS J05540421-6001245 c WISE J055404.19-600124.9 c |
2. 발견
HD 40307 b와 HD 40307 d와 마찬가지로 HD 40307 c는 도플러 분광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도플러 분광법은 행성의 중력이 항성을 흔드는 것을 이용, 천체의 존재를 밝히는 관측 방법이다. 관측 도구로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 소재 라 실라 천문대의 유럽 우주국 보유 3.6미터 망원경에 장착된 고정밀 시선 속도 행성 탐색기(HARPS) 분광사진기가 사용되었다.[10][2] 이 행성들의 발견 사실은 2008년 6월 중순 프랑스 낭트에서 있었던 학회에서 발표되었다.[10][2]
HD 40307 c는 이 행성계에서 세 번째로 무거운 행성으로, 최소 지구 질량의 6.8배이다.[9][1] 항성으로부터 0.081 천문단위 떨어져 있는데,[9] 이는 지구와 태양 간 거리의 약 8%에 해당한다. 이처럼 가까이 있기 때문에 HD 40307 c의 1년은 지구 시간으로 9.6일에 불과하다.[9] 시선 속도 분석 결과, HD 40307 c의 궤도는 원형에 가깝다는 통계학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9][3]
HD 40307 c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표면 온도, 조성, 반지름 등 자세한 특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1][13][4] 질량이 최소 지구의 6.9배로 작아 처음에는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되었다.[14][5]
[1]
논문
Habitable-zone super-Earth candidate in a six-planet system around the K2.5V star HD 40307
2012-12-17
3. 공전 궤도 및 질량
어머니 항성 HD 40307의 중원소 함량은 다른 외계 행성 주인 항성들보다 낮은데, 이는 다소 특이한 상황이다. 이 사실은 "항성이 태어날 때의 중원소 함량이 자신의 강착 원반으로부터 가스 행성이나 암석 행성이 탄생할지 아닐지 여부를 결정짓는다."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9][3]
4. 특징
2009년 연구에 따르면, 만약 HD 40307 c가 암석 행성이라면 조석가열 현상으로 인해 궤도가 불안정해져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 이 조석가열은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확대판과 같다.[14] 해왕성이나 천왕성과 같은 얼음 가스 행성은 궤도 불안정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HD 40307 c는 '작은 해왕성'일 가능성이 높다.[14][5]
조석력의 영향으로 자연 위성을 가질 확률은 낮다.[12][15][6]
HD 40307 c는 xkcd 만화 "Exoplanet Names"에서 "Problemland"로 명명되기도 했다.[7]
참조
[2]
뉴스
Trio of 'super-Earths' discovered
http://news.bbc.co.u[...]
2008-06-16
[3]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III. A planetary system with 3 Super-Earths (4.2, 6.9, & 9.2 Earth masses)
2009
[4]
서적
Characterizing Extrasolar Plan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논문
The HD 40307 Planetary System: Super-Earths or Mini-Neptunes?
2009
[6]
논문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2002
[7]
웹사이트
Exoplanet Names
https://www.xkcd.com[...]
[8]
웹인용
HD 40307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8
[9]
저널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III. A planetary system with 3 Super-Earths (4.2, 6.9, & 9.2 Earth masses)
http://www.arxiv.org[...]
2008-06-30
[10]
뉴스
Trio of 'super-Earths' discovered
http://news.bbc.co.u[...]
2008-06-16
[11]
서적
Characterizing Extrasolar Plan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2]
저널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http://adsabs.harvar[...]
2002
[13]
저널
Habitable-zone super-Earth candidate in a six-planet system around the K2.5V star HD 40307
2012
[14]
저널
The HD 40307 Planetary System: Super-Earths or Mini-Neptunes?
[15]
저널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