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E0107-524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E0107-5240은 함부르크/ESO 전천 관측에서 발견된 초금속 결핍 별이다. 2002년 노르베르트 크리스트리브 등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철/수소 존재비가 태양의 20만분의 1 이하로 매우 적은 금속량을 보인다. 약 120억 년의 나이로 추정되며,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항성의 초신성 잔해로부터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성 - 적색거성가지
    적색거성가지는 수명을 다한 주계열성이 수소 껍질 연소를 시작하며 진입하는 별의 진화 단계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적색 거성과 주계열성이 구분되며 확인되었고, 적색 거성 가지의 끝은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된다.
  • 거성 - 황색거성
  • 봉황자리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봉황자리 - HD 142
    볼란스자리에 있는 G형 주계열성 HD 142는 외계 행성 3개와 동반성 1개를 거느리고 있으며, 2001년 외계 행성 HD 142 b가 처음 발견된 후 추가 관측으로 HD 142 c와 HD 142 d가 발견되었고, 1894년에는 이중성임이 밝혀졌다.
HE0107-5240
기본 정보
울트라 금속-빈약 별 HE0107-5240
관측 정보
시대J2000.0 (ICRS)
별자리봉황새자리
겉보기 등급 (V)15.86
측정
고유 운동 (적경)+2.357
고유 운동 (적위)−3.826
시차0.1064
시차 오차0.0195
거리약 36,000 광년
세부 정보
질량1.789
반지름3.7
광도14
표면 온도5,765 K
금속 함량 ([Fe/H])−5.3
식별 정보
명칭HE 0107-5240
2MASS J01092916-5224341
기타
심바드HE+0107-5240

2. 발견

HE0107-5240은 남쪽 하늘의 밝은 QSO 목록화를 목적으로 한 함부르크/ESO 전천 관측에서 수집된 천체 중 금속 결핍 별 후보를 추가 관측하여 발견되었다. 2002년 함부르크 대학교의 노르베르트 크리스트리브 (Norbert Christlieb) 등이 발견했다. 이름 "HE 0107-5240"은 함부르크/ESO('''H'''amburg/'''E'''SO)의 머리글자와 천체의 좌표를 조합한 것이다.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서 추가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칠레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대형 망원경 VLT에서 고해상도 스펙트럼을 획득하여 HE 0107-5240이 원자량이 큰 금속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초금속 결핍 별임을 알게 되었다.

2005년에는 HE 0107-5240과 비슷하게 크기가 작고 철이 적은 HE 1327-2326이 발견되었다. 2014년에는 철의 양이 더욱 적은 SMSS J031300.36-670839.3도 발견되었다.

2. 1. 발견 경위

남쪽 하늘의 밝은 QSO 목록화를 목적으로 한 함부르크/ESO 전천 관측에서 수집된 천체 중 금속 결핍 별 후보를 추가 관측하여 발견되었으며, 2002년함부르크 대학교의 노르베르트 크리스트리브 (Norbert Christlieb) 등이 발표하였다. "HE 0107-5240"이라는 이름은 함부르크/ESO('''H'''amburg/'''E'''SO)의 머리글자와 천체의 좌표를 조합한 것이다.

추가 관측은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서 이루어졌으며, 더욱 고해상도의 스펙트럼이 칠레의 유럽 남방 천문대 초대형 망원경 VLT에 의해 획득되어, HE 0107-5240이 원자량이 큰 금속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초금속 결핍 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05년에는 크기가 작고 철이 적다는, HE 0107-5240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 HE 1327-2326이 발견되었다. 2014년에는 더욱 철의 양이 적은 SMSS J031300.36-670839.3의 발견도 보고되었다.

2. 2. 추가 관측

남쪽 하늘의 밝은 QSO 목록화를 목적으로 한 함부르크/ESO 전천 관측에서 수집된 천체 중 금속 결핍 별 후보에 대한 추가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 추가 관측을 통해 2002년 함부르크 대학교의 노르베르트 크리스트리브 (Norbert Christlieb) 등이 HE 0107-5240을 발견하여 발표하였다. HE 0107-5240이라는 이름은 함부르크/ESO('''H'''amburg/'''E'''SO)의 머리글자와 천체의 좌표를 조합한 것이다.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서 추가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칠레의 유럽 남방 천문대 초대형 망원경 VLT를 통해 더 고해상도의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HE 0107-5240이 원자량이 큰 금속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초금속 결핍 별임을 알게 되었다.

2005년에는 HE 0107-5240과 비슷하게 크기가 작고 철이 적은 HE 1327-2326이 발견되었다. 2014년에는 철의 양이 더욱 적은 SMSS J031300.36-670839.3의 발견도 보고되었다.[1]

2. 3. 유사 천체 발견

남쪽 하늘의 밝은 QSO 목록화를 목적으로 한 함부르크/ESO 전천 관측에서 수집된 천체 중 금속 결핍 별 후보에 대한 추가 관측이 이루어졌다. 2002년 함부르크 대학교의 노르베르트 크리스트리브 (Norbert Christlieb) 등이 이 별을 발견하여 발표하였다. 추가 관측은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서 이루어졌으며, 칠레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대형 망원경 VLT를 통해 고해상도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HE 0107-5240이 원자량이 큰 금속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초금속 결핍 별임을 알게 되었다.

2005년에는 HE 0107-5240과 유사하게 크기가 작고 철이 적은 HE 1327-2326이 발견되었다. 2014년에는 철의 양이 더욱 적은 SMSS J031300.36-670839.3의 발견도 보고되었다.

3. 물리적 성질

HE0107-5240은 금속이 매우 적은 항성으로, 금속량 척도인 철/수소 존재비([Fe/H])가 -5 이하로 태양의 20만분의 1에 불과하다. 나이는 약 120억 년으로 추정되며, 빅뱅 직후 최초로 탄생한 항성의 초신성 잔해로부터 생겨났을 것으로 보인다.[1]

이 항성은 초기 우주에 생성된 별 중에서는 비교적 질량이 작아 수명이 길다. 질량이 큰 별은 수명이 짧아 빨리 죽는 반면, 이 항성은 쌍성의 한쪽 짝이었을 가능성이 있어 질량이 작게 유지되었을 수 있다.[2]

3. 1. 금속 결핍

금속이 매우 적으며, 금속량의 척도가 되는 철/수소 존재비 [Fe/H]는 -5 이하로 태양의 20만분의 1에 불과하다. 또한 나이가 120억 년으로 추정되는 매우 오래된 항성으로, 약 130억 년 전, 빅뱅 직후 최초로 탄생한 항성의 초신성 잔해로부터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1]

이 항성은 초기 우주에 생성된 별로서는 비교적 질량이 작다. 그렇기에 수명이 길어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명이 짧기 때문에 빨리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질량이 작은 이유로는 쌍성의 한쪽 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2]

3. 2. 나이와 질량

금속이 매우 적은 구성 원소를 가지고 있으며, 금속량의 척도가 되는 철/수소 존재비 [Fe/H]는 -5 이하로 태양의 20만분의 1에 불과하다. 또한 나이가 120억 년으로 추정되는 매우 오래된 항성으로, 약 130억 년 전, 빅뱅 직후 최초로 탄생한 항성의 초신성 잔해로부터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항성은 초기 우주에 생성된 별로서는 비교적 질량이 작다. 그렇기에 수명이 길어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명이 짧기 때문에 빨리 죽음을 맞이한다. 질량이 작은 이유로는 쌍성의 한쪽 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참조

[1]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Additional Planetary and Low-Luminosity Object Transits from the OGLE 2001 and 2002 Observational Campaigns 2003-06
[2] 간행물 Gaia DR3
[3] 논문 HE 0107-5240, a Chemically Ancient Star. I. A Detailed Abundance Analysis
[4] 논문 Carbon-rich extremely metal poor stars: signatures of Population III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in binary systems 2007
[5] 논문 Is HE 0107-5240 A Primordial Star? The Characteristics of Extremely Metal-Poor Carbon-Rich Stars 2004
[6] 논문 A single low-energy, iron-poor supernova as the source of metals in the star SMSS J031300.36−670839.3 2014
[7] 웹사이트 HE 0107-5240 -- Peculiar Star https://simbad.u-str[...] CDS 2017-04-20
[8] 간행물 Carbon-enhanced Metal-poor Star Frequencies in the Galaxy: Corrections for the Effect of Evolutionary Status on Carbon Abundances 2014-12
[9] 간행물 The Most Metal-poor Stars. III. The Metallicity Distribution Function and Carbon-enhanced Metal-poor Fraction 2013-01
[10] 간행물 A stellar relic from the early Milky Way 2002-10-31
[11] 간행물 Stellar Yields of Rotating First Stars. I. Yields of Weak Supernovae and Abundances of Carbon-enhanced Hyper-metal-poor Stars 2014-10
[12] 간행물 Is HE 0107-5240 A Primordial Star? The Characteristics of Extremely Metal-Poor Carbon-Rich Stars 2004-08
[13] 간행물 A single low-energy, iron-poor supernova as the source of metals in the star SMSS J031300.36-670839.3 2014-02-27
[14]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Additional Planetary and Low-Luminosity Object Transits from the OGLE 2001 and 2002 Observational Campaigns http://adsabs.harvar[...] 20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