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14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42는 이중성으로, 1894년 발견되었다. HD 142 b는 약 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는 가스 행성으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다. 2001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이후 추가 관측을 통해 HD 142 c, HD 142 d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황자리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봉황자리 - 엘 고르도 (은하단)
    엘 고르도는 지구에서 70억 광년 이상 떨어진 거대한 은하단으로, 두 개의 준은하단이 충돌하는 모습이 관측되었으며, 초기에는 우주 모형에 문제를 제기하는 듯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일관성을 보이기도 한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HD 142
관측 정보
별자리봉황자리
적경 (HD 142 A)00시 06분 19.1754초
적위 (HD 142 A)-49도 04분 30.6741초
겉보기 등급 (HD 142 A)5.711
적경 (HD 142 B)00시 06분 19.1480초
적위 (HD 142 B)-49도 04분 34.9177초
겉보기 등급 (HD 142 B)11.5
특징
분광형F7V + K8.5-M1.5
B-V 색 지수0.519
변광성 여부변광성 아님
측성 정보 (HD 142 A)
시선 속도5.76 km/s
고유 운동 (적경)575.099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40.874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38.1945 밀리초각
절대 등급3.66
측성 정보 (HD 142 B)
고유 운동 (적경)566.984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17.387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38.2306 밀리초각
물리적 특성 (HD 142 A)
질량1.25 태양 질량
반지름1.41 태양 반지름
표면 중력4.34
광도2.9 태양 광도
표면 온도6,338 K
금속 함량0.03
나이2.5 × 10^9 년
자전 속도9.58 km/s
물리적 특성 (HD 142 B)
질량0.54 태양 질량
기타 정보
고유 명칭 (HD 142 A)CD=−49°14337
HD=142
HIP=522
HR=6
SAO=214963
WDS=J00063-4905A
고유 명칭 (HD 142 B)2MASS=J00061919-4904348
CD=−49°14337B
NLTT=218
WDS=J00063-4905B

2. 항성계

2001년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영국-호주 행성 탐사팀은 HD 142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2006년에는 시선 속도 데이터에서 추가적인 행성이나 항성 동반성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2012년 추가 관측을 통해 두 번째 행성이 발견되었다. 데이터에는 108일 주기의 세 번째 행성 후보도 확인되었으나, 오경보 확률은 5%였다. 이후 연구에서 b와 c 행성의 매개변수는 업데이트되었지만, d 행성 후보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2022년 가이아 DR3를 통해 HD 142 b의 천체 측정 결과가 발표되어 궤도 경사각과 실제 질량이 밝혀졌다. 같은 해 다른 연구에서는 행성 c의 궤도 경사각과 실제 질량을 결정하고, 행성 d의 존재를 확인했다.

2. 1. HD 142 A

1894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관측을 통해 HD 142가 이중성임이 발견되었다. 각거리가 5.4이고 밝기 차이도 커 관측이 어려워 20세기 중반부터 반세기 이상 관측되지 않았다. 2MASS에 의해 재확인되었을 때에도 위치 관계에 변화가 없었고, 이후의 관측에서도 반성이 배경 별이라는 것이 부정되어 쌍성계를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3]

2001년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AAPS)의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팀이 이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HD 142 b의 발견을 발표했다. 시선 속도 데이터에서는 다른 행성 또는 항성의 동반성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AAPS가 시선 속도 변화의 분석을 더욱 진행한 결과, 두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두 번째 행성 HD 142 c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또한, 공전 주기가 108일인 세 번째 행성의 가능성이 있는 신호가 데이터에서 관측되었지만, 오검출의 가능성은 5%였다. 같은 팀의 다른 논문에서는 b와 c의 매개변수가 업데이트되었지만, 행성 가능성이 있는 d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3]

행성 b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의 측정 결과는 2022년에 공개된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제3판 (DR3)에서 발표되었다.[4] 또 다른 2022년 연구에서는 행성 c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이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행성 b의 더 안쪽을 공전하는 행성 d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5]

HD 142 A의 행성[4][5]
행성질량공전 주기 (일)긴반지름 (AU)궤도 이심률궤도 경사각 (°)
d-
b
c


3. 행성계

2001년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영국-호주 행성 탐사팀은 HD 142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HD 142 b의 발견을 발표했다. 2006년에는 시선 속도 데이터에서 또 다른 행성이나 항성 동반성 때문일 수 있는 추가적인 선형 추세가 감지되었다. 2012년에는 추가 측정으로 두 번째 행성 HD 142 c를 감지할 수 있었다. 108일 주기의 세 번째 행성(HD 142 d) 가능성이 데이터에서 확인되었지만, 오경보 확률은 5%였다.

2022년에는 가이아 DR3의 일부로 HD 142 b의 천체 측정 측정을 통해 궤도 경사각과 실제 질량이 발표되었다. 같은 해 또 다른 연구에서는 행성 c의 궤도 경사각과 실제 질량을 결정하고, 행성 d의 존재를 확인했다.

HD 142 행성계
행성최소 질량공전 주기 (일)궤도 긴반지름 (AU)궤도 이심률궤도 경사각 (°)
d-
b
c


3. 1. HD 142 b

'''HD 142 b'''는 어머니 항성에서 약 1 천문단위 떨어진 곳을 공전하고 있는 가스 행성이다. 어머니 항성의 밝기를 고려할 때, 이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있다. 2001년 10월 15일 발견했으며, 발견 방법에는 시선 속도법이 응용되었다.

2001년에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AAPS)의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팀이 이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HD 142 b의 발견을 발표했다.[3]。시선 속도 데이터에서는 다른 행성 또는 항성의 동반성의 존재가 시사되었다.[4]。AAPS가 시선 속도 변화의 분석을 더욱 진행한 결과, 두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두 번째 행성 HD 142 c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행성 b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 측정 결과는 2022년에 공개된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제3판 (DR3)에서 발표되었다.[5]

dbc
최소 질량
공전 주기 (일)
궤도 긴반지름 (천문단위)
궤도 이심률
궤도 경사각 (°)


3. 2. HD 142 c

2001년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AAPS)의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팀은 HD 142 b의 발견을 발표했다.[3] 시선 속도 데이터는 다른 행성이나 항성 동반성의 존재를 시사했다.[3] AAPS가 시선 속도 변화 분석을 진행한 결과, 두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두 번째 행성 HD 142 c의 발견으로 이어졌다.[3]

2022년 연구에서는 행성 c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이 결정되었으며, 동시에 행성 b의 더 안쪽을 공전하는 행성 d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5]

행성질량공전 주기 (일)긴반지름 (AU)궤도 이심률궤도 경사각 (°)
d-
b
c

[4][5]

3. 3. HD 142 d

2001년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AAPS)의 크리스 티니가 이끄는 팀이 HD 142 b의 발견을 발표했고, 시선 속도 데이터에서 다른 행성 또는 항성의 동반성 존재 가능성이 시사되었다[3]。 추가 분석 결과, 두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는 설명이 가능해졌고, HD 142 c가 발견되었다. 공전 주기가 108일인 세 번째 행성 신호가 관측되었지만, 오검출 가능성은 5%였다[3]

2022년, 가이아 계획 데이터 릴리스 제3판(DR3)에서 행성 b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 측정 결과가 공개되었다[4]。 같은 해 다른 연구에서는 행성 c의 궤도 경사각과 진실 질량이 결정되었고, 행성 b 안쪽을 공전하는 행성 d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5]

dbc
최소 질량
공전 주기 (일)
궤도 장반경 (AU)
궤도 이심률
궤도 경사각 (°)


참조

[1] 간행물 Gaia DR3 4976894960284258048
[2] 간행물 Gaia DR3 4976894960284725632
[3] 논문 Cool Jupiters greatly outnumber their toasty siblings: occurrence rates from the Anglo-Australian Planet Search
[4] arXiv Gaia Data Release 3: Stellar multiplicity, a teaser for the hidden treasure
[5] 논문 3D Selection of 167 Substellar Companions to Nearby Stars 202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