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SL 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SL 4는 벨기에 브뤼셀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브뤼셀 남역에서 시작하여 브뤼셀 중앙역, 브뤼셀 북역을 거쳐 안트베르펜으로 향하며, 안트베르펜에서는 지하 터널을 통과하여 네덜란드 국경까지 이어진다. 안트베르펜과 브뤼셀 사이의 47km 구간은 기존 선로를 개량하여 시속 160km로 운행하며, 안트베르펜 북쪽 구간은 고속 신선 궤도를 따라 최대 시속 300km로 주행한다. 주요 역으로는 안트베르펜 중앙역과 노르더켐펜역이 있으며, 안트베르펜 중앙역은 고속철도 운행을 위해 대대적으로 개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철도 노선 - 벨기에 철도 25호선
    벨기에 철도 25호선은 브뤼셀과 안트베르펜을 잇는 주요 철도 노선으로, 1835년 브뤼셀-메헬렌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유럽 대륙에서 세 번째로 개통된 증기 기관 철도이며 현재는 여객 열차 전용으로 사용된다.
  • 벨기에의 철도 노선 - 벨기에 철도 27호선
    벨기에 철도 27호선은 스하르벡에서 안트베르펜까지 이어지는 복선 철도 노선으로, 1908년부터 1934년까지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IC, L, S33 열차 등이 운행되고 25호선과 연계되어 27/1호선, 27/2호선 등의 연결선을 갖는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강서구 개화역에서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을 잇는 노선으로, 2009년 1단계 개통 후 순차적인 연장을 거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급행 및 일반 열차를 운영하고 수도권 전철 통합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9년 개통하여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TGV - KTX (차량)
    KTX-I는 프랑스 TGV Réseau를 기반으로 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알스톰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일부는 프랑스에서, 일부는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최고 시속 305km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등에서 운행되고, 초기에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개선을 통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 TGV - 유로스타
    유로스타는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를 연결하는 국제 고속철도 서비스로, 영불 해저터널을 통과하며 다양한 노선과 높은 정시 운행률을 제공하고 서비스 개선과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HSL 4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HSL 4 및 [[HSL-Zuid]] 철도 노선도
HSL 4 및 HSL-Zuid 철도 노선
노선 종류고속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노선 위치벨기에
기점안트베르펜-Luchtbal 역
종점네덜란드 국경
개통일2009년 6월 15일
소유주인프라벨
운영자NMBS/SNCB
선로 구성복선
궤간표준궤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50Hz
HSL 4 노선도
HSL 4 노선도
노선 길이

2. 노선

HSL 4 노선은 브뤼셀-안트베르펀 구간과 안트베르펜 이북 구간으로 나뉜다. 브뤼셀-안트베르펀 구간은 기존 25호선을 개량하여 최고 시속 160km로 운행한다. 원래 이 구간에도 고속선을 설치하려고 했으나, 철도 노선을 따라 시가지가 높은 밀도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노선을 개량해서 사용한다. 안트베르펀 중앙역으로 진입하기 직전 터널로 진입하여 지하로 들어간다. 안트베르펀 중앙역의 지상 2층과 지하 1층은 기존선 열차의 종착역이며, 지하 2층은 고속선 열차의 중간역으로 설계되어 있다. 안트베르펜 이북 구간은 신설 고속선(HSL 4)을 통해 최고 시속 300km로 운행한다.

2. 1. 브뤼셀-안트베르펜 구간

브뤼셀 남역을 출발한 열차는 브뤼셀 중앙역과 브뤼셀 북역을 경유하여 스하르베이크역에서 북쪽으로 분기한다. 브뤼셀안트베르펜 사이에서 열차는 25N선에서 160km/h로 운행하며, 이후 기존의 개량된 25선을 이용한다(속도 제한 가 적용되는 몇몇 구간 제외).

2. 2. 안트베르펜 이북 구간

안트베르펜 중앙역 지하 터널을 빠져나온 후 고속선으로 진입한다. 이 노선은 유럽 도로 E19/벨기에 도로 A12 근처를 지나서 네덜란드 HSL 자위트와 직결된다. 고속선 상의 역은 브레흐트 지역에 지어진 노르드켐펜역 뿐이다.

고속선 4는 안트베르펜 북쪽(뤼흐트발 인근)에서 시작하여 36km를 달려 네덜란드 국경에 닿는다. 열차는 안트베르펜-베르켐역을 지나 1.5km 길이의 터널로 시속 90km/h로 진입한다. 터널을 나갈 때는 시속 40km/h로 속도가 줄어든다.

노선은 안트베르펜-담역 인근에서 지상으로 올라와 알베르트 운하를 건너 안트베르펜-에센선과 시속 120km/h로 교차한다. E19/A12 고속도로 분기점에서 열차는 일반 노선을 벗어나 네덜란드 국경까지 약 40km 구간을 최고 시속 300km/h로 운행한다. 경로는 국경까지 E19 고속도로와 평행하며, 쇼텐, 브라스하트, 브레흐트, 우스트베젤, 호흐스트라텐을 통과한 후 네덜란드 국경을 넘어 HSL 자위트에 연결된다.

3. 역

안트베르펀 중앙역은 고속철도 운행을 위해 대대적으로 개조되었다. 안트베르펀 중앙역 지하 터널을 빠져나온 후 진입하는 고속선 상의 역은 브레흐트 지역에 지어진 노르더켐펜역 뿐으로, 2009년 6월 15일부터 안트베르펀 중앙역과 연결되는 열차가 운행하였다. HSL 4는 벨기에에서 정규 속도 여객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해 노르더케멘역(벨기에 브레흐트)에 중간역이 있는 유일한 고속선이다.

앤트워프 중앙역은 완전히 재정비되었다. 앤트워프-베르헴역과 Station Antwerpen-Dam|fr|Gare d'Anvers-Dam|de|Bahnhof Antwerpen-Damnl 사이에 지하 연결로를 만들어 앤트워프 중앙역을 통과하게 되었다. 앤트워프 시 아래로 열차가 지나갈 수 있도록 터널이 건설되었으며, 이 공사가 완료되면서 역은 4개의 층과 14개의 선로를 갖추게 되었다.

선로 수설명
+1층6개겐트행 59/1번 선, 앤트워프-스카인포르트 차량기지/작업장/청소역행 12번 선 (종착)
0층-매표 시설, 상업 공간
-1층4개브뤼셀행 27번 선, 앤트워프 종착 열차 (종착)
-2층4개고속, 인터시티, 지역 여객 열차 (통과)



2007년 3월 23일에 앤트워프의 간선 철도의 남북을 연결하는 노선이 개통했다. 이 프로젝트는 앤트워프-베르헴역과 앤트워프-담역 간 3.8km를 잇는 터널 건설이 진행되어, 지하 18m를 통과하는 단선 터널 2개가 완성되었다. 사업비 총액은 7.65억유로로, 두단식 고가 홈이었던 앤트워프 중앙역에서의 회차 운전이 해소되었다. 지하 2층에 4개의 통과형 홈이 설치되어 3월 26일부터 벨기에 국철의 로컬 열차가 발착하고 있다.

앤트워프 중앙역 지하 홈

4. 터널

HSL 4 노선에는 안트베르펜 중앙역 지하 터널과 안트베르펜 인근 페르드보스에 설치된 태양광 터널이 있다.

4. 1. 안트베르펜 중앙역 지하 터널

안트베르펜 중앙역을 통과하는 고속 열차를 위해 도시 지하에 터널이 건설되었다. 이 터널은 안트베르펜-베르헴역과 Station Antwerpen-Dam|안트베르펜-담역nl 사이 3.8km 구간을 연결하며, 지하 18m에 단선 터널 2개가 설치되었다.[1] 총 사업비는 7.65억유로이며,[1] 2007년 3월 23일에 개통되었다.[1]

이 터널 건설로 안트베르펜 중앙역은 4개 층, 14개 선로를 갖춘 역으로 재정비되었다. 고가 승강장은 6개의 종착 선로, 지하 1층은 4개의 종착 선로, 지하 2층은 4개의 통과식 선로로 구성되어 있다.[1] 이 공사로 안트베르펜 중앙역에서 열차 회차 운전이 필요 없어졌고, 벨기에 국철의 로컬 열차가 지하 2층 승강장을 이용하기 시작했다.[1]

4. 2. 태양광 터널 (페르드보스 터널)

안트베르펜 인근 페르드보스(Peerdsbos)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터널이 있다. 이 터널은 눈 가림 터널과 유사하지만, 눈 대신 열차를 낙엽수와 E19 고속도로 교통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인근 숲의 일부를 벌채하는 대신 건설되어 친환경적이다. 이 '터널'은 16,000개의 태양광 패널로 덮여 있으며, 노선 운영자는 이를 통해 연간 3300M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연간 2,400톤의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