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C 프로파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CC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색상 체계나 장치 간의 색상 표현 차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색상을 재현하기 위한 파일 형식이다. ICC 프로파일은 RGB에서 CMYK로의 변환과 같이, 색상 체계 간 변환 시 각 장치의 색상 특성을 반영하여 색상 데이터를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사용된다. 이 프로파일은 렌더링 인텐트에 따라 색상 매핑을 정의하며, 국제 표준 및 사실상 표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ICC 프로파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확장자 | .icc, .icm |
MIME 형식 | application/vnd.iccprofile |
타입 코드 | 해당 없음 |
Uniform Type Identifier (UTI) | com.apple.colorsync-profile |
호환 대상 | 해당 없음 |
매직 넘버 | acsp |
개발자 | 국제 컬러 협회 |
최초 릴리스 | (ICCv2 "버전 3.0") |
최신 릴리스 버전 | 4.4.0.0 |
장르 | 해당 없음 |
표준 | ICC.1:2001-04 (v2), ICC.1:2010-12 (v4); ISO 15076-1 |
개방 여부 | 예 |
공식 웹사이트 | 국제 컬러 협회 |
상세 정보 | |
종류 | 파일 형식 |
용도 | 컬러 입력 또는 출력 장치 특성화 |
관련 항목 | 삼자극치 색도계 |
2. 색교정의 이해
색교정은 디자이너가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색을 조정하는 색보정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정확한 색보정을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색의 기준을 잡아주는 색교정 과정이 필요하다.
색상 프로파일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서로 다른 색상 체계, 또는 같은 색상 체계라도 서로 다른 장비에 의해 표현될 때 어떻게 하면 정확한 물리적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가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값의 RGB 정보를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그 디스플레이가 속한 방의 밝기와 조명의 색상 등 환경적인 변수에 따라 실제 눈으로 들어오는 물리적인 색상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같은 RGB 색상 체계의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라도, 그 기종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 입력되는 RGB 색상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와 프린터 같은 전혀 다른 방식의 색 체계, 표현 방식에서는 더더욱 물리적인 색상이 달라지는데, 이것들은 물리적인 변수에 따른 실제 물리 색상이 달라지는 연유와 전혀 다른 색 체계 상의 변환 문제 등이 함께 거론되는 부분이다.
2. 1. 색교정의 작동 원리
색교정은 디자이너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색을 조정하는 색보정과는 다르다. 정확한 색보정을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색의 기준을 잡아주는 색교정 과정이 필요하다.현실에서 색교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자. 특정한 RGB와 CMYK 색 공간이 있고 RGB에서 CMYK로 변환한다고 가정할 때, 첫 단계는 두 색상 체계가 독립적인 색상 체계를 기준으로 각각의 ICC 프로파일을 얻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RGB 값을 독립된 색상 체계로 변환하는 것이다. 먼저 RGB 각각의 값(빨강, 녹색, 파랑)을 RGB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PCS로 변환한다. PCS로는 L*a*b*나 CIE XYZ 등이 사용된다. 세 번째 단계는 변환된 PCS를 CMYK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C, M, Y, K 네 개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처럼 프로파일은 특정한 색상을 물리적인 색상으로 변환할 때 한 번, 그것을 다시 특정한 색상으로 변환할 때 또 한 번, 총 두 번 필요하다. 즉, 파이프라인이 성립하려면 특정한 색상 체계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파일이 두 개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파이프라인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색상 프로파일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서로 다른 색상 체계, 또는 같은 색상 체계라도 서로 다른 장비에서 표현될 때 정확한 물리적 색상을 재현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RGB 값을 표시하더라도, 디스플레이가 있는 방의 밝기, 조명 색상 등 환경에 따라 실제 눈으로 보는 물리적인 색상은 다를 수 있다. 또한 같은 RGB 색상 체계의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라도 기종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 입력되는 RGB 색상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와 프린터처럼 전혀 다른 방식의 색 체계에서는 물리적인 색상이 더욱 달라지는데, 이는 물리적 변수에 따라 실제 색상이 달라지는 것과 더불어 서로 다른 색 체계 간의 변환 문제 등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각 색상 체계나 장비에 따른 색상 차이를 기술하고 교정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프로파일의 존재 이유이다. 이를 위해서는 L*a*b*나 CIE XYZ처럼 프로파일이 필요 없는 실제 물리적인 색상을 기술하는 색 체계가 필요하다. 프로파일을 만들고 변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물리적 색 체계를 기준으로 작동한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암실에서 L*a*b*나 CIE XYZ 같은 물리 색상 체계를 기술할 수 있는 센서 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값과 실제 물리 색상을 비교하여 교정값을 프로파일로 작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RGB 프로파일은 운영 체제에서 표현하려는 원래 RGB 값을 다시 L*a*b*나 CIE XYZ 같은 물리 색상 체계의 값으로 변환하고, 그 값을 다시 RGB 값으로 가져와 디스플레이에 표현할 때 사용된다. 또한 어도비 같은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도 내부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포토샵에서 불러오는 문서는 각각 할당된 프로파일이 있으며, 이를 적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작업 프로파일 설정과 비교한다.
그래픽 소스에 프로파일이 없으면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문서가 RGB 값만 가지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현하거나 편집할 경우 그래픽 카드에서 렌더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 운영체제에서는 프로파일이 없으면 강제로 프로파일을 할당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맥 오에스 텐에서 시스템에 필요한 sRGB 같은 기본 프로파일을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강제로 삭제하면 로그인에 필요한 그래픽 소스가 아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단순히 RGB 값이나 CMYK 값만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색상 값과 함께 그에 맞는 프로파일이 있어야만 비로소 정확한 색을 재현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렌더링 인텐트에 따라 몇 가지 매핑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매핑들은 가장 잘 맞는 색의 매핑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며 다른 색역을 허용하는 전반적인 색 범위를 다시 매핑한다.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의 기준 광원은 D50의 16비트 분수 근사값이다.[4] 백색점은 XYZ=(0.9642, 1.000, 0.8249)이다. 서로 다른 소스/대상 백색점은 색순응을 위해 브래드포드 변환을 사용하여 색순응된다.[4]
장치 링크 프로파일은 장치 색 공간과 PCS 간에 매핑하는 대신, 두 개의 특정 장치 공간 간에 매핑하는 덜 유연하지만, 장치 간의 색상 변환을 보다 정확하거나 의도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2. 2. ICC 프로파일의 중요성
정확한 색 보정을 위해서는 색의 기준을 잡아주는 색 교정 과정이 필요하다.RGB와 CMYK 색 공간이 있을 때, RGB에서 CMYK로 변환하는 과정을 예로 들면, 우선 두 색상 체계가 독립적인 색상 체계를 기준으로 각각의 ICC 프로파일을 가진다. RGB 값은 RGB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으로 변환되며, PCS로는 L*a*b*나 CIE XYZ 등이 사용된다. 그 후 PCS는 CMYK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C, M, Y, K 값으로 변환된다. 이처럼 프로파일은 색상 변환 과정에서 두 번 필요하다.
색상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색상 체계나 장비에서 정확한 물리적 색상을 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RGB 값을 표시하더라도, 방의 밝기나 조명 색상 등 환경에 따라 실제 눈으로 보는 색상은 다를 수 있다. 또한, 같은 RGB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라도 기종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 입력되는 RGB 색상은 달라진다. 디스플레이와 프린터처럼 전혀 다른 색 체계에서는 물리적인 색상 차이가 더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각 색상 체계나 장비에 따른 색상 차이를 기술하고 교정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것이 프로파일의 존재 이유이다. 이를 위해 L*a*b*나 CIE XYZ 같은 물리적인 색상을 기술하는 색 체계가 필요하다. 프로파일은 이러한 물리적 색 체계를 기준으로 만들어지고 변환된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암실에서 L*a*b*나 CIE XYZ를 표현할 수 있는 센서 장비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값과 실제 물리 색상을 비교하여 프로파일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RGB 프로파일은 운영 체제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된다.
그래픽 소스에 프로파일이 없으면, 그래픽 카드에서 제대로 렌더링하지 못할 수 있다. 운영체제에서는 프로파일이 없을 경우 강제로 프로파일을 할당하기도 한다. 이처럼 RGB 값이나 CMYK 값만으로는 정확한 색을 재현할 수 없고, 색상 값과 함께 그에 맞는 프로파일이 있어야 한다.
프로파일은 렌더링 인텐트에 따라 여러 매핑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장 잘 맞는 색상 매핑을 선택하고 다른 색역을 허용하는 전체 색 범위를 다시 매핑할 수 있다.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의 기준 광원은 D50의 16비트 분수 근삿값이다.[4] 백색점은 XYZ=(0.9642, 1.000, 0.8249)이다. 서로 다른 소스/대상 백색점은 색순응을 위해 브래드포드 변환을 사용하여 순응된다.[4]
2. 3. 프로파일 연결 공간 (PCS)
RGB 및 CMYK 색 공간에서 RGB를 CMYK로 변환하려는 경우, 먼저 양쪽의 ICC 프로파일을 얻어야 한다. 변환을 위해 각 RGB 값은 RGB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으로 변환된다. PCS는 필요에 따라 CIELAB와 CIEXYZ 간에 변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PCS는 두 번째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필요한 C, M, Y, K의 네 값으로 변환된다.프로파일은 색 공간에서 PCS로의 매핑과 PCS에서 색 공간으로의 매핑, 이 두 가지 매핑 쌍으로 구성된다. 매핑은 보간할 색상 값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일련의 수학 공식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렌더링 의도에 따라 여러 매핑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을 통해 가장 가까운 색상 일치를 선택하거나 전체 색상 범위를 다른 색 영역을 고려하여 다시 매핑할 수 있다.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의 기준 광원은 D50의 16비트 분수 근사값이다.[4] 백색점은 XYZ=(0.9642, 1.000, 0.8249)이다. 서로 다른 소스/대상 백색점은 색순응을 위해 브래드포드 변환을 사용하여 순응된다.[4]
2. 4. 렌더링 인텐트
프로파일은 렌더링 인텐트에 따라 여러 매핑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들은 가장 잘 맞는 색의 매핑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며 다른 색역을 허용하는 전반적인 색 범위를 다시 매핑한다.렌더링 의도에 따라, 하나의 프로파일이 여러 매핑을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매핑이 있으면, 가장 색상이 잘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른 색역으로의 재매핑이 가능해진다.
2. 5. 장치 링크 프로파일
장치 링크 프로파일은 장치 색 공간과 프로파일 연결 공간(PCS) 간에 매핑하는 대신, 두 개의 특정 장치 공간 간에 직접 매핑한다. 이는 덜 유연하지만, 장치 간의 색상 변환을 보다 정확하고 의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두 CMYK 장치 간의 변환에서 검정 잉크만 사용하여 색상이 대상 색상으로 변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4]3. 표준 참조
ICC 프로파일 규격은 현재 국제 표준 ISO 15076-1:2005로 진행 중이며,[15][16] 다른 표준들에 널리 참조되고 있다.[5][6]
3. 1. 국제 표준
ICC 프로파일 사양은 2019년 현재, ISO 15076-1:2005 및 ISO 15076-1:2005로 국제 표준화되어 있으며, 다른 다양한 규격 및 표준에서 참조되고 있다. 다음은 ICC 프로파일을 참조하고 있는 국제 규격과 사실 표준의 예시이다.규격 번호 | 규격 내용 |
---|---|
ISO/IEC 10918-1 | 정지 화상 코딩 - JPEG |
ISO 12234-4 | 사진 - 전자 정지 화상 이미징 – 파트 4: 교환 가능한 이미지 파일 형식(Exif 2.2) (ISO TC42) |
ISO 12639:2004 | 그래픽 기술 —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이미지 기술을 위한 태그 이미지 파일 형식(TIFF/IT) (ISO TC130) |
ISO/DIS 12647-1 | 그래픽 기술 - 하프톤 컬러 분판, 교정 및 생산 인쇄 생산을 위한 공정 관리 – 파트 1: 매개변수 및 측정 방법 (ISO TC130에서 개정 진행 중) |
ISO/DIS 12647-2 | 그래픽 기술 – 하프톤 컬러 분판, 교정 및 생산 인쇄 생산을 위한 공정 관리 – 파트 2: 오프셋 공정 (ISO TC130에서 개정 진행 중) |
ISO/CD 12647-3 | 그래픽 기술 - 하프톤 컬러 분판, 교정 및 생산 인쇄 생산을 위한 공정 관리 - 파트 3: 신문 용지에 콜드셋 오프셋 인쇄, 파트 4: 출판 그라비어 인쇄 |
ISO/CD 12647-6 | 그래픽 기술 – 하프톤 컬러 분판, 교정 및 생산 인쇄 생산을 위한 공정 관리 – 파트 6: 플렉소그래픽 인쇄 |
ISO/IEC 15948 | PNG 파일 형식 (W3C와 공동 정의) |
ISO/IEC15444 | 정지 화상 코딩 - JPEG 2000 (ISO JTC 1/SC 2) |
ISO 15930-1:2001 | 그래픽 기술 —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PDF 사용. 파트 1: CMYK 데이터를 사용한 완전한 교환(PDF/X-1 및 PDF/X-1a) (ISO TC130) |
ISO 15930-3:2002 | 그래픽 기술 —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PDF 사용. 파트 3: 색상 관리 워크플로우에 적합한 완전한 교환 (PDF/X-3) (ISO TC130) |
ISO 15930-4:2003 | 그래픽 기술 - PDF를 사용한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파트 4: PDF 1.4를 사용한 CMYK 및 별색 인쇄 데이터의 완전한 교환 (PDF/X-1a) |
ISO 15930-5:2003 | 그래픽 기술 - PDF를 사용한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파트 5: PDF 1.4를 사용한 인쇄 데이터의 부분적 교환 (PDF/X-2) |
ISO 15930-6:2003 | 그래픽 기술 - PDF를 사용한 프리프레스 디지털 데이터 교환 - 파트 6: PDF 1.4를 사용한 색상 관리 워크플로우에 적합한 인쇄 데이터의 완전한 교환 (PDF/X-3) |
ISO 22028-1:2004 | 사진 및 그래픽 기술 – 디지털 이미지 저장, 조작 및 교환을 위한 확장 색상 인코딩 – 파트 1: 아키텍처 및 요구 사항 (ISO TC42) |
ISO 12052 / NEMA PS3 | 의료 영상 및 통신 (DICOM) |
ISO 32000-2 | PDF 휴대용 문서 형식 (국제 표준; 원래 Adobe Systems, Inc.에서 작성) |
3. 2. 사실 상의 표준
ICC 프로파일 사양은 2019년 현재, ISO 15076-1:2005로 국제 표준화되어 있으며, 다른 다양한 규격 및 표준에서 참조되고 있다. 아래는 ICC 프로파일을 참조하고 있는 국제 규격과 사실 표준의 예시이다.참조
[1]
웹사이트
Self-calibrate your photo printer
https://www.color-ma[...]
2019-11-15
[2]
웹사이트
Version 4 ICC Specification
https://www.color.or[...]
2021-09-14
[3]
웹사이트
Details are at
https://www.color.or[...]
[4]
간행물
Specification ICC.1:2004-10 (Profile version 4.2.0.0)
https://www.color.or[...]
[5]
뉴스
ICC profile specification published as ISO 15076-1:2005
https://www.color.or[...]
[6]
간행물
Image technology color management–Architecture, profile format and data structure–Part 1: Based on ICC.1:2004-10
http://www.iso.org/i[...]
ISO 15076-1:2005
[7]
웹사이트
icc profiles download
http://www.image2out[...]
[8]
웹사이트
カラーマッチングソリューション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
[9]
웹사이트
Version 4 ICC Specification
http://www.color.org[...]
[10]
간행물
Specification ICC.1:2004-10 (Profile version 4.2.0.0)
http://www.color.org[...]
[11]
웹사이트
CIP4公式サイト
http://www.cip4.org
[12]
웹사이트
Scalable Vector Graphics (SVG) 1.1 Specification
http://www.w3.org/TR[...]
W3C
[13]
웹인용
버전 4 ICC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서의 문제
https://web.archive.[...]
2013-07-28
[14]
웹인용
버전 4 ICC 규격
https://web.archive.[...]
2008-09-21
[15]
웹인용
ICC profile specification published as ISO 15076-1:2005
https://web.archive.[...]
2008-09-21
[16]
간행물
Image technology colour management–Architecture, profile format and data structure–Part 1: Based on ICC.1:2004-10
http://www.iso.org/i[...]
ISO 15076-1: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