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스트스크립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트스크립트는 1980년대 초 어도비 시스템즈가 개발한 페이지 기술 언어이자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존 워녹의 디자인 시스템 언어 고안에서 시작되었으며, 1985년 애플의 레이저라이터에 탑재되면서 탁상출판 혁명을 이끌었다. 튜링 완전성을 갖춘 스택 기반 언어이며, 1990년대 PDF가 등장하면서 전자 문서 배포 표준 자리를 내주었지만, 고급 인쇄 분야에서는 여전히 활용된다. 포스트스크립트는 폰트 처리, 다양한 출력 장치 지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PDF와의 관계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어도비의 라이선스 비용 문제와 PDF의 등장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택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포스 (프로그래밍 언어)
    포스는 1958년 찰스 무어가 개발한 스택 기반, 역폴란드 표기법을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고, 1994년 ANSI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 스택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팩터 (프로그래밍 언어)
    팩터는 슬라바 페스토프가 개발한 동적 타입의 함수형 및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스택 기반 구조, 유연성, 확장성을 특징으로 하며 LISP의 기능을 채택하고 Forth의 안전한 버전을 지향한다.
  • 포스트스크립트 - 고스트스크립트
    고스트스크립트는 포스트스크립트 인터프리터로서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 프린터 엔진, 뷰어, 파일 변환기 등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고 AGPL 라이선스를 따르며 자유 글꼴을 포함한다.
  • 포스트스크립트 - 에빈스
    에빈스는 GPdf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문서 뷰어이며, 다양한 문서 형식을 지원하고 통합 검색, 페이지 미리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벡터 그래픽스 - PDF
    PDF는 어도비에서 개발한 파일 형식으로, 플랫폼에 상관없이 문서의 레이아웃과 서식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온라인 인쇄용 문서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보안 취약점의 가능성이 있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벡터 그래픽스 - 벡터 마크업 언어
    벡터 마크업 언어(VML)는 XML 기반의 2차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였으나, SVG 등의 대체 형식 등장과 인터넷 익스플로러 지원 중단으로 현재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포스트스크립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포스트스크립트 3 로고
패러다임다중 패러다임: 연쇄 (스택 기반), 절차적
설계 연도1982년
설계자존 워녹, 찰스 게시케, 더그 브로츠, 에드 태프트, 빌 팩스턴
개발자어도비 시스템즈
최종 배포 버전포스트스크립트 3
최종 배포 날짜1997년
타이핑동적, 약
구현체어도비 포스트스크립트, 트루이미지, 고스트스크립트
영향을 받은 언어메사, 인터프레스, 리스프
영향을 준 언어PDF
파일 포맷 정보
파일 확장자.ps
마임 형식application/postscript
균일 타입com.adobe.postscript
매직 넘버%!
소유자어도비 시스템즈
장르프린팅 파일 포맷
최초 배포1985년
최종 배포 버전3
최종 배포 날짜1996년
확장 대상캡슐화된 포스트스크립트

2. 역사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개념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1984년 어도비 시스템즈에 의해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프린터 출력에 사용되었으나, 이후 다양한 분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특히, 1985년 애플의 레이저라이터 프린터에 채택되면서 탁상출판(DTP) 혁명을 이끌었다.[12]

포스트스크립트는 여러 차례 개선을 거쳐 발전해왔다. 주요 버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85년PostScript Level 1 (초기 버전)
1990년PostScript Level 2 (일본어 및 컬러화 대응)
1996년PostScript 3 (PDF 형식 지원, Level 3는 정식 명칭이 아님)



1985년 애플의 레이저라이터 프린터와 함께 포스트스크립트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탁상출판(DTP) 시장이 열렸다.[21]

2. 1. 초기 개발

존 워녹이 에반스 앤드 서더랜드에서 뉴욕 항구의 3차원 그래픽스 데이터베이스 인터프리터를 개발하던 1976년에 디자인 시스템 언어를 고안한 것이 포스트스크립트의 시초이다.[2][3][4] 1978년, Xerox PARC의 존 개프니와 마틴 뉴웰은 VLSI 설계,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인쇄 연구에 사용될 JaM(John and Martin)을 작성했다.[2][5] 이 작업은 나중에 Interpress 언어로 발전했다.

1982년 12월, 존 워녹과 척 게쉬케는 어도비 시스템즈를 설립하고, Interpress보다 단순한 포스트스크립트 개발을 시작하여 1984년에 출시했다.

2. 2. 애플과의 협력 및 DTP 혁명

1983년, 스티브 잡스는 포스트스크립트의 잠재력에 주목하여 애플에 도입을 추진했다.[6] 존 스컬리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잡스는 포스트스크립트 로열티에 대한 1500000USD의 선급금과 어도비 주식의 20%에 대한 2500000USD를 제공하여 어도비로부터 포스트스크립트 기술을 라이선스했다.[7] 1983년 일련의 회의에서 잡스는 애플이 어도비를 완전히 인수하도록 여러 번 제안했지만, 창립자들은 계속 거절했다.[7] 1983년 12월, 두 회사는 마침내 포스트스크립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어도비는 고가의 고해상도 인쇄 장치에서 소비자를 위한 애플의 레이저라이터 레이저 프린터로 즉시 초점을 전환해야 했다.[8]

1985년, 애플은 포스트스크립트를 탑재한 최초의 프린터인 레이저라이터를 출시하여 탁상출판(DTP) 혁명을 촉발했다.[12] 초기 포스트스크립트 로열티는 판매된 각 레이저 프린터 정가의 5%였으며(LaserWriter 정가 6995USD의 350USD), 어도비 초기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13] 애플은 나중에 계약을 재협상하여 출하된 프린터 수량에 따라 라이선스 수수료를 지불했다.[13] 기술적 장점과 광범위한 가용성으로 인해, 포스트스크립트는 그래픽 출력의 선택 언어가 되었다.

2. 3. 발전과 진화

1985년 애플과 어도비는 애플의 연례 주주총회에서 LaserWriter를 발표했는데, 이것은 PostScript와 함께 출시된 최초의 프린터였다.[11] 이는 1980년대 중반 데스크톱 출판 (DTP) 혁명을 촉발했다.[12] 기술적 장점과 광범위한 가용성으로 인해 PostScript는 인쇄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래픽 출력의 선택 언어가 되었다. PostScript 언어에 대한 인터프리터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레이저 프린터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였다.

그러나 구현 비용은 높았다. 컴퓨터는 프린터에서 프린터의 고유 해상도로 래스터 이미지로 해석될 원시 PS 코드를 출력했다. 이것은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충분한 메모리가 필요했다. LaserWriter는 12MHz Motorola 68000을 사용하여 부착된 모든 Macintosh 컴퓨터보다 빨랐다.[14] 2001년까지, 저가형 프린터 모델은 PostScript에 대한 온보드 지원을 거의 제공하지 않았는데, 이는 주로 훨씬 저렴한 비 PostScript 잉크젯 프린터와의 경쟁 심화 및 PostScript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렌더링하여 모든 프린터에 적합하게 만드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기반 방법 때문이었다. PDF는 PostScript의 후손으로, 이러한 방법 중 하나를 제공하며 전자 문서 배포에 대한 ''사실상'' 표준으로 PostScript를 대체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첫 번째 버전은 1984년에 시장에 출시되었다. "레벨 2"가 도입되었을 때 "레벨 1"이라는 수식어가 추가되었다.

포스트스크립트 레벨 2는 1991년에 도입되었으며, 속도 및 안정성 향상,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싱(RIP) 분판 지원, 이미지 압축 해제 (예: JPEG 이미지를 포스트스크립트 프로그램으로 렌더링 가능), 복합 글꼴 지원, 재사용 가능한 콘텐츠 캐싱을 위한 폼 메커니즘 등 몇 가지 개선 사항을 포함했다.

포스트스크립트 3는 1997년 말에 출시되었으며, 이전 연산자의 새로운 사전 기반 버전과 함께 더 나은 색상 처리 및 새로운 필터(프로그램 내 압축/압축 해제, 프로그램 청크, 고급 오류 처리 허용)를 도입했다.

포스트스크립트 3는 최대 4096개의 회색 음영(포스트스크립트 레벨 2에서 사용 가능한 256개 대신)을 가진 부드러운 음영 연산과, 추가 잉크 색상(별색)을 복합 색상 페이지에 추가할 수 있는 색 공간인 DeviceN의 도입을 통해 잡지 제작에 널리 사용되던 기존의 독점적인 전자식 프리프레스 시스템을 대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도내용
1985년PostScript Level 1 (초기 버전)
1990년PostScript Level 2 (일본어 및 컬러화 대응)
1996년PostScript 3 (PDF 형식 지원, Level 3는 정식 명칭이 아님)


2. 4. 한국에서의 포스트스크립트

1985년 애플의 레이저라이터 프린터와 함께 포스트스크립트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탁상출판(DTP) 시장이 열렸다.[21] 이 프린터는 모토로라 MC68000 프로세서와 1.5 메가바이트의 RAM을 탑재하여, 당시 개인용 컴퓨터와 맞먹는 계산 능력을 갖추고 자체적으로 포스트스크립트 인터프리터를 실행해 페이지를 생성했다. 같은 해, 라이노타이프에서 포스트스크립트를 탑재한 이미지 세터를 발표하면서 상업 인쇄 분야에서도 포스트스크립트가 활용되기 시작했다.

"PS 프린터"는 PDF 기반이 된 Mac OS X 이전의 매킨토시에서 표준 프린터로 사용되었고, Windows에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어도비에 지불해야 하는 라이선스 비용이 높아, PS 프린터 가격은 수십만 엔에서 백만 엔을 넘어 일반 레이저 프린터보다 훨씬 비쌌다. 이 때문에 주로 DTP 전문가들이 PS 프린터를 사용했다.

일반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포스트스크립트를 구현하기도 했다. 어도비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가 엡손 등 일부 제조사에서 자사 프린터용으로 판매되었지만, PS 프린터 가격이 내려가면서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다. 대신, 호환 자유 소프트웨어인 Ghostscript와 같은 대안이 사용되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PDF가 널리 사용되면서 포스트스크립트의 사용이 줄었지만, 고급 인쇄 분야에서는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3. 언어 및 기술적 특징

포스트스크립트는 튜링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인터프리터이자 스택 기반인 연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포스와 유사하지만 강력한 동적 타입 시스템, Lisp에서 영감을 얻은 데이터 구조, 스코프된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언어 레벨 2부터는 가비지 컬렉션을 지원한다.

정교한 데이터 구조는 ''배열'' 및 ''딕셔너리'' 유형을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지만, 타입 시스템에 선언할 수는 없다. 타입 시스템은 이들을 모두 배열과 딕셔너리로만 보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될 추가적인 타입 규칙은 이를 구현하는 코드에 맡겨진다.

일반적으로 PostScript 프로그램은 사람이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마찬가지로 PostScript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20]

포스트스크립트는 글꼴 처리 시 해상도에 관계없이 글리프를 곡선으로 그리는 벡터 그래픽 방식을 사용한다. 작은 크기에서 글꼴이 비례적으로 보기 좋지 않게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꼴 힌팅 기술을 도입하여, 글자 특징을 식별하는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낮은 해상도에서도 글꼴의 가독성을 높였다.[15]

Adobe는 힌트가 적용된 글꼴을 압축 및 암호화하여 ''Type 1 폰트''(PostScript Type 1 Font, PS1, T1, Adobe Type 1)라고 불렀다. Type 1은 윤곽선 정보만 저장하여 포스트스크립트 시스템을 단순화한 형태이다. Adobe는 Type 1 기술 라이선스를 판매했고, 라이선스가 없는 사람들은 ''Type 3 폰트''(PostScript Type 3 Font, PS3, T3)를 사용했다. Type 3 글꼴은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모든 기능을 허용했지만, 힌팅에 대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은 없었다.[15]

Type 2 폰트 형식은 CFF 문자열과 함께 사용되어 파일 크기를 줄였다. CFF/Type2 형식은 OpenType 글꼴에서 포스트스크립트 윤곽선을 처리하는 기반이 되었다.[15]

CID 키 글꼴 형식은 복잡한 아시아 언어(CJK) 인코딩 및 매우 큰 문자 집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CID 키 글꼴은 표준 CID 키 글꼴의 경우 Type 1, CID 키 OpenType 글꼴의 경우 Type 2 형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15]

Adobe는 TrueType에 대항하기 위해 Type 1 글꼴 형식 사양을 발표했고, Fontographer와 같은 도구들이 Type 1 글꼴 제작 기능을 추가했다. 이후 많은 무료 Type 1 글꼴이 출시되었다.[15]

1990년대 후반, Adobe는 Microsoft와 협력하여 Type 1 및 TrueType 형식을 확장한 OpenType을 개발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출력 장치로 인쇄할 때 OpenType 글꼴의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되고, 드라이버는 윤곽선 종류에 따라 TrueType 또는 Type 1 글꼴과 동일한 내용을 장치로 전송한다.[15]

Adobe는 2023년 1월까지 자사 제품에서 Type 1 글꼴을 지원했지만, OpenType 글꼴을 선호하여 지원을 완전히 제거했다.[15]

포스트스크립트는 길이 단위로 포인트를 사용한다. 1인치는 정확히 72포인트이다. 따라서 1포인트는 약 2.54cm, 25.4mm (약 352.777µm)이다.

4cm 길이의 수직선을 그리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postscript

/cm {72 mul 2.54 div} def % 1 inch = 2.54 cm exactly

0 0 moveto

0 4 cm rlineto stroke

3. 1. 기본 문법 및 구조

역 폴란드 표기법을 사용하므로 연산 순서가 명확하지만, 프로그램을 읽으려면 스택의 레이아웃을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 연습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연산자(다른 언어에서는 함수라고 부름)는 스택에서 인수를 가져와 스택에 결과를 배치한다. 리터럴(예: 숫자)은 스택에 자체 복사본을 배치하는 효과가 있다.

문자 "%"는 PostScript 프로그램에서 주석을 도입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모든 PostScript 프로그램은 "%!PS" 문자로 시작해야 인터프리터 지시어로 인식되어 모든 장치에서 PostScript로 제대로 해석된다.[20]

3. 2. "Hello world" 예제

Hello World 프로그램은 포스트스크립트 (레벨 2)에서 다음과 같다:[20]

```postscript

%!PS

/Courier % 원하는 글꼴 이름 지정

20 selectfont % 포인트 단위로 크기를 선택하고

% 글꼴을 현재 글꼴로 설정

72 500 moveto % 현재 포인트를

% 좌표 72, 500에 위치 (원점은

% 페이지의 왼쪽 하단 모서리에 있음)

(Hello world!) show % 괄호 안의 텍스트를 그립니다.

showpage % 페이지에 모든 것을 인쇄합니다.

```

출력 장치가 콘솔을 갖고 있으면 다음과 같다:

```postscript

%!PS

(Hello world!) =

```

다음 내용을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로 전송하면 "Hello World!" 문자열이 인쇄된다.

```postscript

/font /Courier findfont 24 scalefont def

font setfont

100 100 moveto

(Hello World!) show

showpage

```

다음 내용을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로 전송하면 직사각형과 문자열이 인쇄된다. 또한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여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등에서 열 수도 있다.

```postscript

%!

% macro (draw rectangle) ; usage: left top width height RRECT

/RRECT { newpath 4 copy pop pop moveto dup 0 exch rlineto exch 0 rlineto neg 0 exch rlineto closepath pop pop } def

100 100 100 150 RRECT

.5 setgray

fill

100 300 moveto

/Helvetica findfont

12 scalefont

setfont

.5 0 .5 0 setcmykcolor

(test string) show

showpage

3. 3. 글꼴 처리

포스트스크립트는 글꼴을 처리할 때 해상도에 관계없이 글리프를 곡선으로 그리는 벡터 그래픽 방식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글꼴이 작은 크기에서 비례적으로 보기 좋지 않게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꼴 힌팅 기술을 도입했다. 글꼴 힌팅은 글자 특징을 식별하는 정보를 추가하여 낮은 해상도에서도 글꼴의 가독성을 높였다.[15]

Adobe는 힌트가 적용된 글꼴을 압축 및 암호화하여 ''Type 1 폰트'' (또는 ''PostScript Type 1 Font'', ''PS1'', ''T1'', ''Adobe Type 1'')라고 불렀다. Type 1은 윤곽선 정보만 저장하여 포스트스크립트 시스템을 단순화한 형태이다. Adobe는 Type 1 기술 라이선스를 판매했고, 라이선스가 없는 사람들은 ''Type 3 폰트''(또는 ''PostScript Type 3 Font'', ''PS3'', ''T3'')를 사용했다. Type 3 글꼴은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모든 기능을 허용했지만, 힌팅에 대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은 없었다.[15]

Type 2 폰트 형식은 CFF 문자열과 함께 사용되어 파일 크기를 줄였다. CFF/Type2 형식은 OpenType 글꼴에서 포스트스크립트 윤곽선을 처리하는 기반이 되었다.[15]

CID 키 글꼴 형식은 복잡한 아시아 언어(CJK) 인코딩 및 매우 큰 문자 집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CID 키 글꼴은 표준 CID 키 글꼴의 경우 Type 1, CID 키 OpenType 글꼴의 경우 Type 2 형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15]

Adobe는 TrueType에 대항하기 위해 Type 1 글꼴 형식 사양을 발표했고, Fontographer와 같은 도구들이 Type 1 글꼴 제작 기능을 추가했다. 이후 많은 무료 Type 1 글꼴이 출시되었다.[15]

1990년대 후반, Adobe는 Microsoft와 협력하여 Type 1 및 TrueType 형식을 확장한 OpenType을 개발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출력 장치로 인쇄할 때 OpenType 글꼴의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되고, 드라이버는 윤곽선 종류에 따라 TrueType 또는 Type 1 글꼴과 동일한 내용을 장치로 전송한다.[15]

Adobe는 2023년 1월까지 자사 제품에서 Type 1 글꼴을 지원했지만, OpenType 글꼴을 선호하여 지원을 완전히 제거했다.[15]

3. 4. 길이 단위

포스트스크립트는 길이 단위로 포인트를 사용한다. 포스트스크립트에서 1인치는 정확히 72포인트이다. 따라서 1포인트는 인치, mm, mm, 즉 352.777… 마이크로미터이다.

예를 들어, 4cm 길이의 수직선을 그리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postscript

0 0 moveto

0 113.385827 rlineto stroke

```

더 읽기 쉽고 관용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 정의 단위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postscript

/cm {72 mul 2.54 div} def % 1 inch = 2.54 cm exactly

0 0 moveto

0 4 cm rlineto stroke

4. 구현 및 활용

포스트스크립트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페이지 기술 언어이다. 주요 구현 및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인쇄 분야포스트스크립트는 레이저 프린터, 이미지 세터 등 고품질 출력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텍스트와 래스터 그래픽을 함께 생성하고, 고품질 그래픽과 텍스트를 동일한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게 해주며, 모든 브랜드의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제어 언어를 제공한다.[16]

포스트스크립트 코드는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에 의해 해석되어 출력 장치에 맞는 이미지로 변환된다. 어도비는 1980년대에 프린터용 포스트스크립트 구현(RIP) 라이선스 비용으로 많은 수익을 올렸다.[17] Ghostscript와 같은 오픈 소스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면 포스트스크립트 지원이 없는 저렴한 프린터에서도 포스트스크립트 문서를 인쇄할 수 있다.[18]

1985년 애플의 레이저 프린터인 LaserWriter에 채용되었다.[21] 이 프린터는 당시 개인용 컴퓨터와 동등한 계산 능력을 가진 모토로라 MC68000 프로세서와 1.5 메가바이트의 RAM을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포스트스크립트 인터프리터를 실행해 페이지를 생성했다. 같은 해, 라이노타이프는 포스트스크립트를 채용한 이미지 세터를 발표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이전에는 컴퓨터와 프린터 간 통신 속도가 느려 인쇄 품질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프린터 자체에 높은 계산 능력을 부여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는 전자 인쇄가 상업 인쇄 수준으로 발전하고, DTP가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스티브 잡스애플을 떠나 넥스트를 설립했을 때, 어도비에 자신의 새로운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포스트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포스트스크립트(DPS)가 탄생했다. DPS는 성능 향상을 위해 문자열 조회를 32비트 정수로 변경하고, 모든 명령으로 직접 출력을 지원하며, GUI가 다이어그램을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PS 코드를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바인딩"을 제공하여 NeXTStep 시스템에서 객체 지향 그래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

선 마이크로시스템즈는 NeWS를 통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 NeWS는 PS를 컴퓨터의 전체 GUI를 실행하는 데 적합한 언어로 확장했으나, X11 시스템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PDF(Portable Document Format)PDF와 포스트스크립트는 동일한 이미지 모델을 공유하며, 두 문서 간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두 문서는 인쇄 시 동일한 결과를 생성한다. PDF는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만들어진 정적 데이터 구조이고, 대화형 보기에 적합한 탐색 정보를 포함한다.[19]

4. 1. 인쇄 분야

포스트스크립트는 레이저 프린터, 이미지 세터 등 다양한 출력 장치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플로터처럼 고품질의 선화를 제공하고,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처럼 텍스트와 래스터 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고품질 그래픽과 텍스트를 동일한 페이지에 배치할 수 있다. 포스트스크립트는 모든 브랜드의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제어 언어를 제공하여 이러한 특징을 완전히 활용할 수 있게 했다.[16]

포스트스크립트 코드는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에 의해 해석되어 출력 장치에 맞는 이미지로 변환된다. 어도비는 1980년대에 프린터용 포스트스크립트 구현(RIP)에 대한 라이선스 비용으로 대부분의 수익을 올렸다.[17]

Ghostscript와 같은 오픈 소스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포스트스크립트 문서를 처리할 수도 있다. Ghostscript는 포스트스크립트 지원이 없는 저렴한 레이저 프린터에서도 포스트스크립트 문서를 인쇄할 수 있게 해준다.[18]

오늘날 타사 포스트스크립트 호환 인터프리터는 프린터 및 다기능 주변 장치(MFP)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과거 PhoenixPage로 알려졌던 CSR plc의 IPS PS3 인터프리터는 Hewlett-Packard가 개발하여 LaserJet 및 Color LaserJet 라인으로 판매되는 프린터를 포함하여 많은 프린터 및 MFP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16] Global Graphics의 Jaws 및 Harlequin RIP도 널리 사용되는 타사 포스트스크립트 솔루션이다.[17]

1985년에는 애플의 레이저 프린터인 LaserWriter에 포스트스크립트가 채용되었다.[21] 이 프린터는 모토로라 MC68000 프로세서와 1.5 메가바이트의 RAM을 탑재하여 당시의 개인용 컴퓨터와 동등한 계산 능력을 가졌으며, 스스로 포스트스크립트 인터프리터를 실행하여 페이지를 생성했다. 같은 해, 라이노타이프에서 포스트스크립트를 채용한 이미지 세터를 발표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이전에는 컴퓨터와 프린터 간의 통신 속도가 느려 인쇄 품질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프린터 자체에 높은 계산 능력을 부여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를 통해 전자 인쇄가 상업 인쇄 수준으로 발전하고, DTP가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서는 어도비 라이선스의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가 엡손 등에서 판매되었으나, PS 프린터 가격 하락으로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호환 자유 소프트웨어로는 Ghostscript가 있다.

4. 2. 디스플레이 시스템

스티브 잡스애플을 떠나 넥스트를 시작했을 때, 어도비에 자신의 새로운 워크스테이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포스트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 포스트스크립트(DPS)였다. DPS는 문자열 조회를 32비트 정수로 변경하고, 모든 명령으로 직접 출력을 지원하며, GUI가 다이어그램을 검사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PS 코드를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직접 호출할 수 있도록 "바인딩"을 제공했다. 넥스트는 NeXTStep 시스템에서 객체 지향 그래픽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이 바인딩을 사용했다. DPS는 넥스트와 함께 개발되었지만, 어도비는 이를 상업적으로 판매했으며 1990년대 대부분의 유닉스 워크스테이션에서 일반적인 기능이었다.

선 마이크로시스템즈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여 NeWS를 만들었다. DPS가 C 프로그램과 PS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개념 대신, NeWS는 PS를 컴퓨터의 전체 GUI를 실행하는 데 적합한 언어로 확장했다. 선은 타이머, 마우스 제어, 인터럽트 및 상호 작용에 필요한 기타 시스템에 대한 여러 새로운 명령을 추가하고, 내부적으로 완전히 객체 지향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 구조와 언어 요소를 추가했다. 실제로 세 개의 완전한 GUI가 NeWS로 작성되어 한동안 자사의 워크스테이션에서 제공되었다. 그러나 X11 시스템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이 시스템이 도입되어 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NeWS는 널리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3. PDF(Portable Document Format)

PDF와 포스트스크립트는 동일한 이미지 모델을 공유하며, 두 문서 간에는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두 문서는 인쇄 시 동일한 결과를 생성한다. PDF와 포스트스크립트의 차이점은 PDF가 포스트스크립트 언어의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PDF 문서는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만들어진 정적 데이터 구조이며, 대화형 보기에 적합한 탐색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19]

5. 비판 및 한계

어도비의 높은 라이선스 비용으로 인해, 타사 포스트스크립트 호환 인터프리터가 등장하였다.[1] Ghostscript와 같은 호환 자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1]

참조

[1] 논문 'PostScript' prints anything: a case history 1988-05-01
[2] 서적 Milestones i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01-01
[3] 서적 Fiber Optics Illustrated Dictionary Taylor & Francis Group 2018-06-28
[4] 서적 Linux Dictionary https://play.google.[...] Binh Nguyen 2019-09-28
[5] 서적 Masterminds of Programming O'Reilly Media, Inc.
[6]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7]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8]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9]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0]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1]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2]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3]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4] 서적 Inside the Publishing Revolution: The Adobe Story Peachpit Press 2003-01-01
[15] 웹사이트 PostScript Type 1 fonts end of support https://helpx.adobe.[...] 2024-03-02
[16] 웹사이트 IPS PS3 https://archive.toda[...] CSR
[17] 웹사이트 Jaws https://web.archive.[...] Global graphics
[18] 웹사이트 Formats https://web.archive.[...] Undocumented Printing
[19] 서적 PostScript language reference https://www.adobe.co[...] Addison-Wesley 1999-01-01
[20] 웹사이트 PostScript Library https://www.tinaja.c[...]
[21] 웹사이트 印刷と出版を変革したPostScript https://mypage.otsuk[...] 大塚商会 2022-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