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SO/IEC 2700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IEC 27002는 정보 보안 통제를 위한 국제 표준으로, 1999년 BS 7799-1:1999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ISO/IEC 27000 시리즈의 일부가 되었다. 이 표준은 조직적, 인적, 물리적, 기술적 통제 등 4가지 주요 영역을 다루며, 각 영역별로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 실행 요건을 제시한다. ISO/IEC 27002는 특정 정보 보안 위험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도록 설계되었으며, ISO/IEC 27001과 함께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ISMS) 구축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보안 표준 - 콘텐츠 보안 정책
    콘텐츠 보안 정책(CSP)은 웹 사이트의 XSS 공격과 데이터 주입 공격을 완화하기 위해 웹 서버 응답 헤더에 선언적 허용 목록 정책을 적용하여 인라인 JavaScript, CSS, 동적 코드 평가 등을 비활성화하는 웹 브라우저 보안 기능이다.
  • 컴퓨터 보안 표준 - IEEE 802.10
ISO/IEC 27002
개요
도메인정보 보안 관리
상태발행됨
기구국제 표준화 기구
웹사이트공식 URL
시리즈ISO/IEC 27000 패밀리
버전3
버전 날짜2022년 3월
위원회ISO/IEC JTC 1/SC 27

2. 역사

영국 규격 BS 7799-1:1999(1999년은 발행 연도)가 초판 ISO/IEC 17799:2000이 되었고, 2005년에 개정되었다. 2007년에 '''ISO/IEC 27002''':2005로 이름이 바뀌어 ISO/IEC 27000 시리즈의 일부가 되었다.

2. 1. 제정 및 개정

    ↓
ISO/IEC 27002JIS X 5080
   ↓
JIS Q 27002ISM 실천을 위한 규범


3. 주요 내용

ISO/IEC 27002영어는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은 크게 12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특정한 정보 보안 통제 영역을 다룬다.[1]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내용
1위험 평가 및 위험 대응조직의 정보 자산에 대한 위험을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2보안 기본 방침조직의 정보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경영진의 승인을 받는다.
3정보 보안을 위한 조직정보 보안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역할과 책임을 정의한다.
4자산 관리정보 자산을 식별하고 분류하며, 중요도에 따라 관리한다.
5인적 자원의 보안직원 채용, 이동, 퇴직 시 정보 보안 절차를 준수하도록 한다.
6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정보 처리 시설을 물리적, 환경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7통신 및 운영 관리시스템 및 네트워크 운영 시 보안을 유지하고, 기술적 취약점을 관리한다.
8접근 통제네트워크,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통제한다.
9정보 시스템의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정보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시 보안을 고려한다.
10정보 보안 사고 관리정보 보안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사고 발생 시 적절히 대응한다.
11사업 연속성 관리업무 중단 시에도 정보 보안을 유지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12준수정보 보안 관련 법규, 규정, 정책, 표준을 준수한다.



각 조직은 이러한 통제들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체적인 위험 평가를 통해 필요한 통제를 선택하고 구현해야 한다. 모든 통제가 모든 조직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1] 또한, 통신, 금융, 의료 등 특정 산업 분야에서는 별도의 지침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ISO/IEC 27001과 ISO/IEC 27002영어의 산업별 지침이 작성될 예정이다.[1]

3. 1. 2022년 판 (3판)

2022년 판은 4개의 소개 챕터와 4개의 주요 챕터, 그리고 12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서는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 실행 요건이 설명되지만, 개별 통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1]

각 조직은 상황에 맞는 통제를 선택하기 위해 구조화된 정보 보안 위험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위험 평가 프로세스 개요는 도입부에 있지만, ISO Technical Report TR 13335 GMITS Part 3 또는 BS 7799-3 (ISO/IEC 27005)을 참고할 수 있다.[1]

모든 통제를 나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ISO/IEC 27001과 27002의 통신, 금융, 의료 등 산업 분야별 지침이 작성될 예정이다.[1]

3. 1. 1. 개요

표준은 4개의 소개 챕터로 시작한다.

1. 적용 범위

2. 규범적 참조

3. 용어, 정의 및 약어

4. 이 문서의 구조

이어서 4개의 주요 챕터가 이어진다.

1. 조직적 통제

2. 인적 통제

3. 물리적 통제

4. 기술적 통제

도입부 이후, 규격은 다음 12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위험 평가 및 위험 대응

2. 보안 기본 방침 ― 관리 방침

3. 정보 보안을 위한 조직 ― 정보 보안의 거버넌스

4. 자산 관리 ― 정보 자산의 목록 및 분류

5. 인적 자원의 보안 ― 직원의 고용/이동/해고에 따른 보안

6.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 컴퓨터 장비의 보호

7. 통신 및 운영 관리 ―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의 기술적 보안 관리

8. 접근 통제 ― 네트워크/시스템/애플리케이션/기능 및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제한

9. 정보 시스템의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통합

10. 정보 보안 사고 관리 ― 위반 예측 및 위반에 대한 적절한 대처

11. 사업 연속성 관리 ― 업무상 중요한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보호, 유지 및 복구

12. 준수 ― 정보 보안 정책/규격/법률/규정의 준수

각 장 안에서,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이 설명되어 있다. 정보 보안 통제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간주된다. 각 통제에 대해, 실행 요건이 제공된다. 개별적인 통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각 조직은, 고유한 상황에 적절한 통제를 선택하기 전에, 그 특정 요구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정보 보안 위험 평가 프로세스를 실시할 것이 기대된다. 도입부에는 위험 평가 프로세스의 개요도 쓰여져 있지만, 그 부분을 커버하는 다른 표준으로 ISO Technical Report TR 13335 GMITS Part 3 -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IT security - Security Techniques 나 BS 7799-3 (ISO/IEC 27005) 등이 있다.

범용적인 규격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통제를 리스트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ISO/IEC 27001과 27002의 개별 산업 분야에 관한 지침으로, 통신업, 금융 서비스업, 의료 관계 등 각종 산업을 위한 지침 작성이 예정되어 있다.

3. 1. 2. 통제 영역

ISO/IEC 27002는 조직의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다양한 통제 영역을 제시한다. 이러한 통제 영역은 크게 조직적 통제, 인적 통제, 물리적 통제, 기술적 통제로 나눌 수 있다.

규격은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제목내용
1위험 평가 및 위험 대응
2보안 기본 방침관리 방침
3정보 보안을 위한 조직정보 보안 거버넌스
4자산 관리정보 자산 목록 및 분류
5인적 자원의 보안직원 고용, 이동, 해고에 따른 보안
6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컴퓨터 장비 보호
7통신 및 운영 관리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술적 보안 관리
8접근 통제네트워크,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기능 및 데이터 접근 권한 제한
9정보 시스템의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애플리케이션 보안 통합
10정보 보안 사고 관리위반 예측 및 적절한 대처
11사업 연속성 관리업무상 중요 프로세스와 시스템 보호, 유지 및 복구
12준수정보 보안 정책, 규격, 법률, 규정 준수



각 조직은 고유한 상황에 맞는 통제를 선택하기 위해 구조화된 정보 보안 위험 평가 프로세스를 실시해야 한다. 모든 통제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산업 분야별 지침(통신업, 금융 서비스업, 의료 관계 등)을 참고할 수 있다.

3. 2. 2013년 판 (2판)

2013년 판은 5개의 소개 챕터와 14개의 주요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서는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해당 목적을 달성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간주된다. 각 통제에 대해서는 실행 요건이 제공된다.

개별적인 통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각 조직은 고유한 상황에 적절한 통제를 선택하기 전에, 특정 요구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정보 보안 위험 평가 프로세스를 실시할 것이 기대된다.

3. 2. 1. 개요

이 표준은 5개의 소개 챕터로 시작한다.

1. 서론

2. 적용 범위

3. 규범적 참조

4. 용어 및 정의

5. 이 표준의 구조

이어서 14개의 주요 챕터가 있다.

1. 정보 보안 정책

2. 정보 보안 조직

3. 인적 자원 보안

4. 자산 관리

5. 접근 통제

6. 암호화

7.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8. 운영 보안 - 절차 및 책임, 맬웨어로부터의 보호, 백업, 로깅 및 모니터링, 운영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적 취약성 관리 및 정보 시스템 감사 조정

9. 통신 보안 -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및 정보 전송

10. 시스템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 - 정보 시스템의 보안 요구 사항, 개발 및 지원 프로세스의 보안 및 테스트 데이터

11. 공급자 관계 - 공급자 관계에서의 정보 보안 및 공급자 서비스 제공 관리

12. 정보 보안 사고 관리 - 정보 보안 사고 관리 및 개선

13.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의 정보 보안 측면 - 정보 보안 연속성 및 중복성

14. 준수 - 법적 및 계약적 요구 사항 준수 및 정보 보안 검토

도입부 이후, 규격은 다음 12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위험 평가 및 위험 대응

# 보안 기본 방침 ― 관리 방침

# 정보 보안을 위한 조직 ― 정보 보안의 거버넌스

# 자산 관리 ― 정보 자산의 목록 및 분류

# 인적 자원의 보안 ― 직원의 고용/이동/해고에 따른 보안

#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 컴퓨터 장비의 보호

# 통신 및 운영 관리 ―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의 기술적 보안 관리

# 접근 통제 ― 네트워크/시스템/애플리케이션/기능 및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제한

# 정보 시스템의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통합

# 정보 보안 사고 관리 ― 위반 예측 및 위반에 대한 적절한 대처

# 사업 연속성 관리 ― 업무상 중요한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보호, 유지 및 복구

# 준수 ― 정보 보안 정책/규격/법률/규정의 준수

각 장 안에서,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이 설명되어 있으며, 정보 보안 통제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간주된다. 각 통제에 대해 실행 요건이 제공되지만, 개별적인 통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3. 2. 2. 통제 영역

ISO/IEC 27002영어는 다음과 같은 14개의 주요 통제 영역을 다룬다.

# 정보 보안 정책

# 정보 보안 조직

# 인적 자원 보안

# 자산 관리

# 접근 통제

# 암호화

#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 운영 보안 (절차 및 책임, 맬웨어로부터의 보호, 백업, 로깅 및 모니터링, 운영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적 취약성 관리, 정보 시스템 감사 조정)

# 통신 보안 (네트워크 보안 관리, 정보 전송)

# 시스템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 (정보 시스템의 보안 요구 사항, 개발 및 지원 프로세스의 보안, 테스트 데이터)

# 공급자 관계 (공급자 관계에서의 정보 보안, 공급자 서비스 제공 관리)

# 정보 보안 사고 관리 (정보 보안 사고 관리 및 개선)

#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의 정보 보안 측면 (정보 보안 연속성, 중복성)

# 준수 (법적 및 계약적 요구 사항 준수, 정보 보안 검토)

각 영역 안에서 정보 보안 통제와 그 목적이 설명되어 있으며, 각 통제에 대한 실행 요건이 제공된다. 모든 통제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조직은 자체적인 위험 평가를 통해 필요한 통제를 선택해야 한다.

3. 3. 정보 보안 통제

ISO/IEC 27000 시리즈 표준의 중요한 특징은 정보 보안 위험 분석을 사용하여 정보 보안 통제의 선택 및 구현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즉, 이 표준의 일반적인 모범 사례 조언이 각 사용자 조직의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되며 기계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9개 통제 목표 중 모든 조직에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전체 통제 범주가 필요하지 않다고 간주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직은 ISO/IEC 27002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권장하는 광범위한 정보 보안 관련 통제를 구현한다. 정보 보안 통제 체계를 ISO/IEC 27002에 따라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 잘 알려진 국제 표준과 관련이 있다.
  • 적용 범위 격차 및 중복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ISO/IEC 표준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인지될 가능성이 높다.


ISO/IEC 27002 규격은 다음 12개의 주요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에는 정보 보안 통제 및 그 목표가 설명되어 있다.

1. 위험 평가 및 위험 대응

2. 보안 기본 방침 ― 관리 방침

3. 정보 보안을 위한 조직 ― 정보 보안의 거버넌스

4. 자산 관리 ― 정보 자산의 목록 및 분류

5. 인적 자원의 보안 ― 직원의 고용/이동/해고에 따른 보안

6.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 컴퓨터 장비의 보호

7. 통신 및 운영 관리 ―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의 기술적 보안 관리

8. 접근 통제 ― 네트워크/시스템/애플리케이션/기능 및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제한

9. 정보 시스템의 획득, 개발 및 유지보수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통합

10. 정보 보안 사고 관리 ― 위반 예측 및 위반에 대한 적절한 대처

11. 사업 연속성 관리 ― 업무상 중요한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보호, 유지 및 복구

12. 준수 ― 정보 보안 정책/규격/법률/규정의 준수

4. 구현 예시

ISO/IEC 27002 표준은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다양한 통제 영역과 그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위 예시는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조직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통제를 선택하고 구현해야 한다.

4. 1. 물리적 및 환경적 보안

4. 2. 인적 자원 보안

모든 직원은 채용 전에 심사를 받아야 하며, 여기에는 여권 또는 유사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사용한 신원 확인과 최소 2개의 만족스러운 전문가 추천서가 포함된다.[1] 신뢰할 수 있는 직책을 맡는 직원의 경우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1]

모든 직원은 고용 과정에서 자신에게 제공되거나 생성된 개인 정보 및 기밀 정보에 대한 기밀 유지 또는 비공개 계약을 공식적으로 수락해야 한다.[2]

인사 부서는 직원이 채용, 전근, 사임, 장기 휴직으로 정직 또는 해고되거나, 고용이 종료될 때 행정, 재무 및 운영 부서에 알려야 한다.[3]

직원의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인사부의 통지를 받은 후, 행정 부서는 물리적 접근 권한을 업데이트해야 하며, IT 보안 관리는 이에 따라 논리적 접근 권한을 업데이트해야 한다.[4]

직원의 관리자는 직원이 퇴사일 또는 그 이전에 모든 접근 카드, 열쇠, IT 장비, 저장 매체 및 기타 귀중한 회사 자산을 반환하도록 해야 한다.[5]

4. 3. 접근 통제

5. 국내외 표준 현황

ISO/IEC 270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국의 표준은 다음과 같다.[4]

ISO/IEC 270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국 표준
국가표준 번호
영국BS ISO/IEC 27002:2005
호주, 뉴질랜드AS/NZS ISO/IEC 17799:2006
네덜란드NEN-ISO/IEC 17799:2002
독일DS484:2005
스웨덴SS 627799
일본JIS Q 27002:2006
우루과이UNIT/ISO 17799:2005
에스토니아EVS-ISO/IEC 17799:2003
타이완CNS27002
중국GB/T 22081-2008



ISO/IEC 규격의 각국어 번역에는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린다.

5. 1. 국제 표준

    ↓
ISO/IEC 27002JIS X 5080
   ↓
JIS Q 27002ISM 실천을 위한 규범



ISO/IEC 270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국제 표준은 다음과 같다.

ISO/IEC 2700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국제 표준
국가표준 번호
영국BS ISO/IEC 27002:2005
호주, 뉴질랜드AS/NZS ISO/IEC 17799:2006
네덜란드NEN-ISO/IEC 17799:2002
독일DS484:2005
스웨덴SS 627799
일본JIS Q 27002:2006
우루과이UNIT/ISO 17799:2005
에스토니아EVS-ISO/IEC 17799:2003
타이완CNS27002
중국GB/T 22081-2008



ISO/IEC 규격의 각국어 번역에는 수개월에서 수년이 소요된다.

5. 2. 국가별 표준

ISO/IEC 27002는 여러 국가에서 직접적으로 동등한 국가 표준을 가지고 있다. 번역 및 현지 출판은 일반적으로 주요 ISO/IEC 표준이 개정 및 발표된 후 몇 달의 지연을 초래하지만, 각 국가 표준 기관은 번역된 내용이 ISO/IEC 27002를 정확하고 완전하게 반영하도록 노력한다.[4]

국가별 ISO/IEC 27002 동등 표준
국가동등 표준
아르헨티나IRAM-ISO-IEC 27002:2008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AS/NZS ISO/IEC 27002:2006
브라질ISO/IEC NBR 17799/2007 – 27002
인도네시아SNI ISO/IEC 27002:2014
칠레NCH2777 ISO/IEC 17799/2000
중국GB/T 22081-2008
체코ČSN ISO/IEC 27002:2006
크로아티아HRN ISO/IEC 27002:2013
덴마크DS/ISO27002:2022 (DK)
에스토니아EVS-ISO/IEC 17799:2003 (2005년 버전 번역본)
프랑스NF ISO/CEI 27002:2014
독일DIN ISO/IEC 27002:2008
일본JIS Q 27002
리투아니아LST ISO/IEC 27002:2009 (ISO/IEC 27002:2005, ISO/IEC 17799:2005 채택)
멕시코NMX-I-27002-NYCE-2015
네덜란드NEN-ISO/IEC 27002:2013
페루NTP-ISO/IEC 17799:2007
폴란드PN-ISO/IEC 17799:2007 (ISO/IEC 17799:2005 기반)
러시아ГОСТ Р ИСО/МЭК 27002-2012 (ISO/IEC 27002:2005 기반)
슬로바키아STN ISO/IEC 27002:2006
남아프리카 공화국SANS 27002:2014/ISO/IEC 27002:2013[4]
스페인UNE 71501
스웨덴SS-ISO/IEC 27002:2014
터키TS ISO/IEC 27002
태국UNIT/ISO
우크라이나ДСТУ ISO/IEC 27002:2015
영국BS ISO/IEC 27002:2005
우루과이UNIT/ISO 17799:2005



영국 규격 BS 7799-1:1999(1999년은 발행 연도)가 초판 ISO/IEC 17799:2000이 되었고, 2005년에 개정되었다. 2007년에 ISO/IEC 27002:2005로 이름이 바뀌어 ISO/IEC 27000 시리즈의 일부가 되었다.

규격 대응 관계
영국 규격국제 규격일본 산업 규격비고
BS 7799-2ISO/IEC 27001JIS Q 27001ISMS 요구 사항
BS 7799-1ISO/IEC 17799
ISO/IEC 27002
JIS X 5080
JIS Q 27002
ISM 실천을 위한 규범



ISO/IEC 규격의 각국어 번역에는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린다.

6. 인증

ISO/IEC 27002는 모든 유형과 규모의 조직이 직면한 특정 정보 보안 위험에 따라 해석하고 적용하도록 설계된 자문 표준이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 보안 통제를 자유롭게 채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공식 인증 제도가 요구하는 비교적 간단한 준수 테스트에는 적합하지 않다.

ISO/IEC 27001:2013(정보기술 - 보안 기술 -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 - 요구 사항)은 널리 인정받는 인증 가능한 표준이다. ISO/IEC 27001은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MS)을 수립, 구현, 유지 관리 및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확고한 요구 사항을 명시하고 있으며, 부록 A에는 조직이 ISMS 내에서 적절하게 채택하도록 권장되는 일련의 정보 보안 통제가 있다. 부록 A의 통제는 ISO/IEC 27002에서 파생되었으며 이에 맞춰 조정되었다.[1]

7. 지속적인 발전

ISO/IEC 27001과 ISO/IEC 27002는 최신성과 적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ISO/IEC JTC1/SC27에 의해 몇 년마다 개정된다. 개정 시에는 ISO/IEC 27000, ISO/IEC 27004, ISO/IEC 27005 등 다른 발행된 보안 표준과 해당 분야의 최신 보안 관행을 참고하여 반영한다. 특히 ISO/IEC 27002는 ISO/IEC 27001을 준수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를 지원하는 정보 보안 통제와 관련하여 이미 사용 중인 조직이 많으므로, 모든 변경 사항은 신중하게 검토하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ISO27k timeline http://www.iso27001s[...] IsecT Ltd. 2016-03-09
[2] 웹사이트 An important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has been revised https://www.bsigroup[...] BSI Group 2022-12-13
[3] 서적 ISC CISSP Official Study Guide http://a.co/59T1pBP SYBEX. 2015-09-15
[4] 웹사이트 SANS 27002:2014 (Ed. 2.00) http://www.store.sab[...] 2015-05-25
[5] 웹인용 ISO27k timeline http://www.iso27001s[...] IsecT Ltd. 2016-03-09
[6] 웹인용 An important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has been revised https://www.bsigroup[...] BSI Group 2022-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