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I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BIG는 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에서 개발한 2진 이미지 압축 표준으로, 1993년 ISO/IEC 11544 및 ITU-T 권고 T.82로 표준화되었다. 팩스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더 새로운 JBIG2 표준과 구별하기 위해 JBIG1이라고도 불린다. JBIG는 팩스 Group 4 표준보다 압축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IBM의 Q 코더를 기반으로 하는 QM 코더를 사용한다. 과거에는 특허 문제로 인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널리 구현되지 못했으나, 2012년 이후 특허가 만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상 압축 - JPEG
JPEG은 정지 화상의 디지털 압축 및 코딩을 위한 국제 표준이자 이를 만든 위원회의 이름으로, 1992년 최초 표준 발표 이후 웹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이 되었다. - 화상 압축 - PNG
PNG는 GIF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무손실 압축 방식의 그래픽 파일 형식이며, 높은 색상 표현과 투명도를 지원하고, 8바이트 시그니처와 이미지 정보를 담은 청크들로 파일 구조가 구성된다. - IEC 표준 - ISO/IEC 646
ISO/IEC 646는 ASCII 기반의 7비트 문자 인코딩 표준으로, 국가별 변형이 존재했으나, 최종 개정판은 ASCII와 호환되도록 정의되었고, 현재는 ITU-T 권고 T.50 IRA가 현행 표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 IEC 표준 - POSIX
POSIX는 유닉스 기반의 이식 가능한 운영체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기 위한 IEEE 표준군으로, 프로세스 관리, 파일 시스템 접근, 스레드 처리 등 핵심 서비스들을 규정하며 운영체제 간 호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손실 압축 알고리즘 - JPEG
JPEG은 정지 화상의 디지털 압축 및 코딩을 위한 국제 표준이자 이를 만든 위원회의 이름으로, 1992년 최초 표준 발표 이후 웹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이 되었다. - 손실 압축 알고리즘 - VP9
VP9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으로, VP8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고 HEVC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WebM 형식으로 사용되고 주요 웹 브라우저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지원했으나 AV1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JBIG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2. 표준화 및 기술
JPEG를 제정한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서브 그룹인 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이 개발하여 1993년 3월 국제 표준ISO/IEC 11544 및 ITU-T 권고 T.82로 표준화되었다.[4] 팩스에서 널리 구현되었다. 더 새로운 2진 이미지 압축 표준인 JBIG2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JBIG1'''이라고도 불린다.
JBIG는 2진 이미지 압축, 특히 팩스용으로 설계되었지만, 다른 이미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JBIG는 팩스 Group 4 표준보다 압축 효율이 20%에서 50% 향상되지만, 상황에 따라 30배의 개선을 얻을 수 있다.
JBIG는 IBM이 개발한 Q 코더(Q-coder)라고 불리는 산술 부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미쓰비시 전기가 개발한 비교적 작은 개선을 더했기 때문에, QM 코더(QM-coder)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각 부호화 비트의 확률 추정값을 이전 비트의 값 및 이미지의 이전 행의 값을 기반으로 한다.
2. 1. 기술적 특징
JPEG를 제정한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서브 그룹인 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이 개발하여 1993년 3월 ISO/IEC 11544 및 ITU-T 권고 T.82로 표준화되었다.[4] 팩스에서 널리 구현되었다. 더 새로운 2진 이미지 압축 표준인 JBIG2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JBIG1'''이라고도 불린다.JBIG는 2진 이미지의 압축, 특히 팩스용으로 설계되었지만, 다른 이미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JBIG는 팩스 Group 4 표준보다 압축 효율이 20%에서 50% 향상되지만, 상황에 따라 30배의 개선을 얻을 수 있다.
JBIG는 IBM이 개발한 Q 코더(Q-coder)라고 불리는 산술 부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미쓰비시 전기가 개발한 비교적 작은 개선을 더했기 때문에, QM 코더(QM-coder)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각 부호화 비트의 확률 추정값을 이전 비트의 값 및 이미지의 이전 행의 값을 기반으로 한다. JBIG는 프로그레시브 전송도 지원한다. 프로그레시브 전송에서는 일반적으로 비트율 오버헤드가 약간 (약 5%) 발생한다.
2. 2. 프로그레시브 전송
JBIG는 프로그레시브 전송을 지원한다. 프로그레시브 전송에서는 일반적으로 비트율 오버헤드가 약간(약 5%) 발생한다.[4]3. 특허 문제와 현황
IBM, 미쓰비시 전기, AT&T 3사가 JBIG1 구현 관련 특허 라이선스 요구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이 코덱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널리 구현되는 것을 막았다.[2] 2012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 중 어느 것도 JBIG를 지원하지 않았다.[2]
3. 1. 특허 만료
IBM, 미쓰비시 전기, AT&T 3사가 JBIG1 구현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광범위하게 구현되는 것을 방해했다.[2][5] 2012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 중 어느 것도 JBIG를 지원하지 않았다.[2][5]2011년 2월 25일에 미쓰비시 전기의 캐나다 및 호주 특허가 만료되었고, 2012년 4월 4일에는 미국 특허가 만료되면서 JBIG1 관련 특허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2][3][5][6]
참조
[1]
서적
Digital Video Concepts, Methods, and Metrics
Apress
[2]
웹사이트
JBIG1 patent information
https://www.cl.cam.a[...]
[3]
웹사이트
archive.ph
http://www.patentlen[...]
2023-01-21
[4]
서적
Digital Video Concepts, Methods, and Metrics
Apress
[5]
웹사이트
JBIG1 patent information
http://www.cl.cam.ac[...]
[6]
웹사이트
US5404140
http://www.patentl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