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 나르바 트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K 나르바 트란스는 1979년 나르바의 노동자들에 의해 아브토모빌리스트로 창단된 에스토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1992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메이스트릴리가의 창립 멤버로 참가하여 2006년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2000-01, 2018-19, 2022-23 시즌 에스토니아 컵 우승, 2007, 2008년 에스토니아 슈퍼컵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을 통해 유럽 대항전에 데뷔했으며, UEFA컵, 유로파리그,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에도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 축구에 관한 - 메이스트릴리가
메이스트릴리가는 에스토니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FC 플로라 탈린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A. Le Coq 맥주 회사가 타이틀 스폰서를 맡고 있다. - 에스토니아 축구에 관한 - FC 플로라 탈린
FC 플로라 탈린은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메이스트릴리가 최다 우승 및 컵대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에스토니아 대표 명문 클럽이자 UEFA 클럽 대항전 조별 리그에 최초로 진출한 에스토니아 클럽이다. - 메이스트릴리가 구단 - FC 란타나 탈린
1990년대 에스토니아의 축구 클럽 FC 란타나 탈린은 메이스트릴리가 2회 우승과 에스토니아 슈퍼컵 우승을 달성했으나 재정난으로 1999년 해체되었다. - 메이스트릴리가 구단 - FC TVMK 탈린
FC TVMK 탈린은 1951년에 창단되어 2008년에 해체된 에스토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1990년과 1991년 에스토니아 SSR 축구 챔피언십에서 우승하고 2005년 메이스트릴리가에서 우승했으며, 유럽 대회에도 참가했다. - 1979년 설립된 축구단 - 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는 1979년 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 시작하여 대우 로얄즈를 거쳐 200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대우 로얄즈 시절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과 K리그1 4회 우승 등 굵직한 족적을 남겼으며 현재는 조성환 감독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1979년 설립된 축구단 - 움살랄 SC
움살랄 SC는 1979년 창단되어 2004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2006-07 시즌 카타르 스타스 리그로 승격하여 에미르 컵 우승과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둔 카타르의 축구 클럽이다.
JK 나르바 트란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Jalgpalliklubi Narva Trans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창단 | 1979년 |
경기장 | 나르바 크렌홀름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1,065명 |
회장 | 니콜라이 부르다코프 |
감독 | 미구엘 모레이라 |
리그 정보 | |
리그 | 메이스트릴리가 |
시즌 | 2024 |
순위 | 메이스트릴리가, 6위 (10개 팀 중) |
클럽 정보 | |
웹사이트 | JK Narva Trans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94–95 시즌 3위를 차지한 이후, 2000–01년 에스토니아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5 시즌 3위, 2006 시즌 준우승으로 리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2007년과 2008년에는 에스토니아 슈퍼컵에서 연속 우승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시즌 연속 리그 3위를 기록했다.[2] 2018-19 시즌 뇌메 칼유를 꺾고 두 번째 에스토니아 컵 우승을, 2022-23 시즌 FC 플로라를 꺾고 세 번째 에스토니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
2. 1. 창단 초기
1979년, 나르바의 모터 창고 13의 노동자들에 의해 아브토모빌리스트(Avtomobilist)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1984년, 에스토니아 SSR 선수권 대회로 승격되었지만, 시즌이 끝날 때 강등되었다. 1987년에 1부 리그로 복귀했지만, 시즌 마지막에 꼴찌를 기록하며 다시 강등되었다. 1989년, 아우토바스(Autobaas)로 이름을 바꾸고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1992년, 나르바 트란스(Narva Trans)로 팀명을 변경하고, 메이스트릴리가의 창립 멤버가 되어 초대 시즌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94-95 시즌에는 3위를 차지했다.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유럽 무대에 데뷔했다.[2]2. 2. 메이스트릴리가 시대
1992년, 나르바 트란스는 새로운 메이스트릴리가의 창립 멤버가 되어 초대 시즌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94-95 시즌에는 3위를 차지했으며,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유럽 무대에 데뷔했다.[2]2005 시즌 3위를 기록한 후, 2006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현재까지 리그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이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까지 4시즌 연속 3위를 기록했다.[2]
2. 3. 유럽 대항전
JK 나르바 트란스는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유럽 대항전에 데뷔하여, 네덜란드의 흐로닝언에게 1-4로 패배하는 등 1무 3패의 성적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2] 이후 UEFA컵,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 유럽 대항전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1996 | UEFA 인터토토컵 | 그룹 10 | 흐로닝언 | 1-4 | 5위 | |
바샤시 | 1-4 | |||||
릴세 | 0-3 | |||||
가지안테프스포르 | 0-0 |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요케리트 | 1–4 | 0–3 | 1–7 |
2000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체아룰・피아트라・네암츠 | 2–5 | 2–4 | 4–9 |
2001-02 | UEFA컵 | 예선 라운드 | IF 엘프스보리 | 3–0 | 0–5 | 3–5 |
2003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OFK 베오그라드 | 3–5 | 1–6 | 4–11 |
2004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FK 베트라 | 0–1 | 0–3 | 0–4 |
2005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스포르팅 로케렌 | 0–2 | 1–0 | 1–2 |
2006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칼마 FF | 1–6 | 0–2 | 1–8 |
2007-08 | UEFA컵 | 예선 1라운드 | 헬싱보리 IF | 0–3 | 0–6 | 0–9 |
2008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에크라나스 파네베지스 | 0–3 | 0–1 | 0–4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루달 벨레네 | 0–3 | 1–3 | 1–6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미코스켄 팔로47 | 0–2 | 0–5 | 0–7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라보트니키 | 1–4 | 0–3 | 1–7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인테르 바쿠 | 0–5 | 0–2 | 0–7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예플레 IF | 0–3 | 1–5 | 1–8 |
2018-19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젤예즈니차르 사라예보 | 0-2 | 1-3 | 1-5 |
2019-2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0-2 | 1-4 | 1-6 |
JK 나르바 트란스는 나르바 크렌홀름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겨울철 및 초봄에는 나르바 칼레프-파마 경기장을 사용한다.[1]
3. 경기장
3. 1. 나르바 크렌홀름 경기장
나르바 크렌홀름 경기장은 1979년 창단 이후 JK 나르바 트란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기장은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1,065석 규모이다.
3. 2. 나르바 칼레프-파마 경기장
나르바 트란스는 겨울과 초봄에 나르바 칼레프-파마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1] 2013년에 개조된 이 경기장 단지는 클럽의 훈련 기지이기도 하다.[1]
4. 엠블럼과 유니폼
엠블럼은 1997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축구 클럽의 기반이 된 운송 기업 '나르바 오토 AS'의 로고를 사용했다.[3] 엠블럼의 색상은 도시 깃발의 색상인 노란색과 파란색을 사용했다. 2018년에는 엠블럼이 현대화되어, 현재는 도시의 주요 상징인 나르바 헤르만 성과 나르바 오토 AS의 로고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현재 엠블럼은 클럽의 색상인 빨간색과 파란색을 사용한다.[3]
기간 | 유니폼 제조사 | 셔츠 스폰서 |
---|---|---|
–2013 | 나이키 | Sportland |
2014–2015 | Fama | |
2016– | Sportland | [4] |
4. 1. 엠블럼
1997년에 도입된 이전 엠블럼은 축구 클럽의 기초가 된 운송 기업인 나르바 오토 AS의 로고를 특징으로 했다.[3] 엠블럼의 색상은 도시 깃발의 색상인 노란색과 파란색을 사용했다.2018년에 클럽의 로고가 현대화되었다. 현재 나르바 트란스의 엠블럼 중심에는 도시의 주요 상징인 나르바 헤르만 성과 나르바 오토 AS의 로고가 있다. 엠블럼은 클럽의 색상인 빨간색과 파란색을 사용한다.[3]
4. 2. 유니폼
기간 | 유니폼 제조사 | 셔츠 스폰서 | 참고 |
---|---|---|---|
–2013 | 나이키 | Sportland | [4] |
2014–2015 | Fama | ||
2016– | Sportland |
5. 선수단
[5][6]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발레리 샨텐코프 | |
3 | DF | 데니스 시불 | |
4 | DF | 알렉산드르 이바뉴신 | |
5 | DF | 켈시 에구 | |
8 | MF | 레오나르도 롤론 | |
9 | FW | 세르고 쿠키아니제 | |
10 | MF | 피에르 란드리 카보레 | |
11 | FW | 타아니엘 우스타 | |
12 | DF | 에릭스 산토스 | |
13 | DF | 올레그 곤세비치 | |
16 | DF | 세르게이 콘드라트세프 | |
17 | DF | 아르티욤 슈키뇨프 | |
19 | MF | 엘리세 | |
21 | DF | 마크 막심킨 | |
22 | MF | 예고르 주라블레프 | |
23 | DF | 알렉산드르 예고로프 | |
25 | DF | 샬바 부르자나제 | |
29 | FW | 빅토르 쿠드리야쇼프 | |
35 | GK | 알렉산드르 크라이즈메르 | |
49 | MF | 자카리아 베글라리슈빌리 | |
66 | MF | 게르만 슐레인 | |
71 | MF | 카체르 콥착 | |
77 | MF | 데니스 폴리야코프 | |
88 | GK | 알렉세이 마트로소프 |
'''과거 주요 선수'''
- 예브게니 노비코프 (1996-2000)
- 안드레이 시도렌코프 (2001)
- 타르모 킹크 (2002)
- 아르투르 코텐코 (2017-)
6. 경영진
직책 | 이름 |
---|---|
감독 | 미겔 모레이라 |
수석 코치 | 히카르두 아폰수 |
골키퍼 코치 | 알레산드로 리베리 |
물리 치료사 | 블라디슬라프 베셀로프 |
운영진 | |
회장 | 니콜라이 부르다코프 |
최고 경영자(CEO) | 콘스탄틴 부르다코프 |
7.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Юрий Свирков|유리 스비르코프be | 2011 |
Miguel Moreira|미구엘 모레이라pt | 2024 ~ |
기간 | 이름 |
---|---|
1992–1995 | Nikolai Burdakov|니콜라이 부르다코프et |
1995–1996 | Juri Šalamov|유리 샬라모프et |
1997–1998 | Valeri Bondarenko|발레리 본다렌코et |
1998 | Sergei Zamorski|세르게이 잠오르스키et |
1999 | Juri Šalamov|유리 샬라모프et |
1999–2000 | Valeri Bondarenko|발레리 본다렌코et |
2001–2002 | Анатолий Белов|아나톨리 벨로프ru |
2002 | 알렉세이 야구딘 |
2002 | Геннадий Молодов|겐나디 몰로도프ru |
2003 | Sergei Zamogilnõi|세르게이 자모길노이et |
2004 | Tõnu Eapost|퇴누 에아포스트et |
2004 | 알렉세이 야구딘 |
2004–2008 | Valeri Bondarenko|발레리 본다렌코et |
2009 | Sergei Ratnikov|세르게이 라트니코프et |
2009–2010 | Valeri Bondarenko|발레리 본다렌코et |
2011 | Юрий Свирков|유리 스비르코프be |
2011–2012 | 알렉세이 야구딘 |
2012 |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риходько|세르게이 프리호드코ru |
2012–2013 | 알렉세이 야구딘 |
2013–2014 | Valeri Bondarenko|발레리 본다렌코et |
2014–2015 | 알렉세이 야구딘 |
2015 | Nikolai Toštšev|니콜라이 토슈체프et |
2015–2018 | 아디암 쿠자예프 |
2018 | Cenk Özcan|첸크 외즈잔tr |
2019 | Dmitrijs Kalašņikovs|드미트리스 칼라시니코브스lv |
2019 | Андрей Сёмин|안드레이 세민ru |
2020 | Cenk Özcan|첸크 외즈잔tr |
2020 | Oleg Kurotkin|올레그 쿠로트킨et |
2021 | Игорь Пывин|이고르 피빈ru |
2022 | 알렉세이 예레멘코 |
2023 | Sergei Terehhov|세르게이 테레호프et |
2023–2024 | 알렉세이 예레멘코 |
2024– | Miguel Moreira|미구엘 모레이라pt |
아디암 쿠자예프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첸크 외즈잔은 2018년과 2020년에 감독을 맡았다.[1] 안드레이 세민은 2019년에, Sergei Terehhov|세르게이 테레호프et는 2023년에 감독직을 수행했다.[1]
8. 성적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메이스트릴리가 | 2006 | 1995, 2005, 2008, 2010, 2011 | |
에스토니아 컵 | 2001, 2019, 2023 | 1994, 2007, 2011, 2012, 2020 | |
에스토니아 슈퍼컵 | 2007, 2008 | 2001, 2012, 2020, 2024 |
9. 시즌별 기록
JK 나르바 트란스는 1992년 메이스트릴리가 창립 멤버가 된 이후, 여러 시즌 동안 리그와 컵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00–01년 에스토니아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06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기록하며 최고의 성적을 냈다. 또한, 2007년과 2008년에는 에스토니아 슈퍼컵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을 통해 유럽 대항전에 처음으로 참가한 이후, 꾸준히 UEFA 주관 대회에 참가했지만, 대부분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유럽 대항전 기록 요약'''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1996 | UEFA 인터토토컵 | 조별 예선 | 흐로닝언 | 1–4 | 5위 | |
바사시 | 1–4 | |||||
릴세 | 0–3 | |||||
가지안테프스포르 | 0–0 |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요케리트 | 1–4 | 0–3 | 1–7 |
2000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체아룰・피아트라・네암츠 | 2–5 | 2–4 | 4–9 |
2001-02 | UEFA컵 | 예선 라운드 | IF 엘프스보리 | 3–0 | 0–5 | 3–5 |
2003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OFK 베오그라드 | 3–5 | 1–6 | 4–11 |
2004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FK 베트라 | 0–1 | 0–3 | 0–4 |
2005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스포르팅 로케렌 | 0–2 | 1–0 | 1–2 |
2006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칼마 FF | 1–6 | 0–2 | 1–8 |
2007-08 | UEFA컵 | 예선 1라운드 | 헬싱보리 IF | 0–3 | 0–6 | 0–9 |
2008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에크라나스 파네베지스 | 0–3 | 0–1 | 0–4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루달 벨레네 | 0–3 | 1–3 | 1–6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미코스켄 팔로47 | 0–2 | 0–5 | 0–7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라보트니키 | 1–4 | 0–3 | 1–7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인테르 바쿠 | 0–5 | 0–2 | 0–7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예플레 IF | 0–3 | 1–5 | 1–8 |
2018-19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젤예즈니차르 사라예보 | 0-2 | 1-3 | 1-5 |
2019-2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0-2 | 1-4 | 1-6 |
2023-24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차 예선 | 퓨니크 | 0–3 | 0–2 | 0–5 |
9. 1. 리그 및 컵 대회
시즌 | 디비전 | 최다 득점자 | 컵 | 슈퍼컵 | |||||||||
---|---|---|---|---|---|---|---|---|---|---|---|---|---|
1992 | 메이스트릴리가 | 7 | 13 | 4 | 4 | 5 | 23 | 37 | –14 | 12 | rowspan=2| | rowspan=10| | |
1992-93 | 6 | 22 | 11 | 2 | 9 | 51 | 34 | +17 | 24 | 니콜라이 토슈체프et (11) | |||
1993-94 | 4 | 22 | 12 | 6 | 4 | 50 | 16 | +34 | 30 | 니콜라이 토슈체프et (14) | 준우승 | ||
1994-95 | 3 | 24 | 11 | 6 | 7 | 32 | 24 | +8 | 39 | 니콜라이 토슈체프et (7) | 준결승 | ||
1995-96 | 5 | 24 | 8 | 6 | 10 | 33 | 32 | +1 | 30 | 보리스 네욜로프et (8) | 8강 | ||
1996-97 | 6 | 24 | 7 | 6 | 11 | 28 | 38 | −10 | 27 | 스타니슬라프 키토et (9) | 준결승 | ||
1997-98 | 4 | 24 | 9 | 4 | 11 | 27 | 45 | −18 | 31 | 드미트리 리파르토프ru (8) | 준결승 | ||
1998 | 4 | 14 | 6 | 5 | 3 | 28 | 20 | +8 | 23 | 드미트리 리파르토프ru (7) | |||
1999 | 4 | 28 | 11 | 7 | 10 | 40 | 28 | +12 | 40 | 막심 그루즈노프et (13) | 8강 | ||
2000 | 5 | 28 | 12 | 7 | 9 | 64 | 40 | +24 | 43 | 막심 그루즈노프et (22) | 3라운드 | ||
2001 | 4 | 28 | 16 | 3 | 9 | 79 | 35 | +44 | 51 | 막심 그루즈노프et (37) | 우승 | 준우승 | |
2002 | 4 | 28 | 14 | 5 | 9 | 54 | 49 | +5 | 47 | 막심 그루즈노프et (24) | 준결승 | rowspan=5| | |
2003 | 4 | 28 | 14 | 5 | 9 | 58 | 43 | +15 | 47 | 막심 그루즈노프et (16) | 준결승 | ||
2004 | 4 | 28 | 15 | 2 | 11 | 43 | 39 | +4 | 47 | 막심 그루즈노프et (9) | 준결승 | ||
2005 | 3 | 36 | 23 | 6 | 7 | 99 | 34 | +65 | 75 | 막심 그루즈노프et (26) | 준결승 | ||
2006 | 2 | 36 | 25 | 8 | 3 | 106 | 36 | +70 | 83 | 막심 그루즈노프et (31) | 준결승 | ||
2007 | 4 | 36 | 25 | 3 | 8 | 89 | 28 | +61 | 78 | 드미트리 리파르토프ru (30) | 준우승 | 우승 | |
2008 | 3 | 36 | 16 | 8 | 12 | 62 | 54 | +8 | 56 | 니콜라이 르사노프et (13) | 8강 | 우승 | |
2009 | 3 | 36 | 23 | 7 | 6 | 82 | 29 | +53 | 76 | 알렉산더 타라센코프et (13) | 준결승 | rowspan=3| | |
2010 | 3 | 36 | 23 | 7 | 6 | 67 | 31 | +36 | 76 | 마리우스 베지코르노바스lt (13) | 4라운드 | ||
2011 | 3 | 36 | 22 | 7 | 7 | 107 | 29 | +78 | 73 | 알렉산더스 체쿨라예브스lv (46) | 준우승 | ||
2012 | 4 | 36 | 16 | 7 | 13 | 52 | 44 | +8 | 55 | 블라디슬라프 이바노프ru (13) | 준우승 | 준우승 | |
2013 | 7 | 36 | 11 | 3 | 22 | 39 | 55 | −16 | 36 | 알버트 타르et (7) | 준결승 | rowspan=7| | |
2014 | 8 | 36 | 6 | 10 | 20 | 37 | 79 | −42 | 28 | 빅토르 플로트니코프et (9) | 3라운드 | ||
2015 | 6 | 36 | 14 | 7 | 15 | 50 | 46 | +4 | 49 | 비탈리스 질스lv (13) | 1라운드 | ||
2016 | 8 | 36 | 11 | 8 | 17 | 60 | 68 | −8 | 41 | 드미트리 프로신ru (14) | 3라운드 | ||
2017 | 5 | 36 | 13 | 6 | 17 | 46 | 63 | −17 | 45 | 드미트리 코브be (10) | 2라운드 | ||
2018 | 4 | 36 | 18 | 7 | 11 | 76 | 57 | +19 | 61 | 드미트리 바르코프ru (17) | 준결승 | ||
2019 | 6 | 36 | 13 | 9 | 14 | 57 | 49 | +8 | 48 | 에릭 맥우즈영어 (13) | 우승 | ||
2020 | 8 | 30 | 6 | 7 | 17 | 31 | 49 | −18 | 25 | 알렉산드르 자칼류카ru (8) | 준우승 | 준우승 | |
2021 | 6 | 32 | 9 | 6 | 17 | 36 | 61 | −25 | 33 | 알렉산드르 자칼류카ru (10) | 준결승 | rowspan="3" | | |
2022 | 7 | 36 | 10 | 8 | 18 | 43 | 58 | −15 | 38 | 데니스 데데츠코uk (12) | 준결승 | ||
2023 | 8 | 36 | 12 | 2 | 22 | 32 | 64 | −32 | 38 | 트리스탄 코스코르et (16) | 우승 |
나르바 트란스는 에스토니아의 축구 리그인 메이스트릴리가에서 활동하며, 리그와 컵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기록했다.
'''리그 기록'''
1992년부터 2023년까지 메이스트릴리가에 꾸준히 참가했다.
- 최고 성적은 2006년의 2위이다.
- 1994-95 시즌, 2005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에는 3위를 기록했다.
'''컵 대회 기록'''
- 에스토니아 컵에서는 2000-01 시즌, 2018-19 시즌, 2022-23 시즌에 우승했다.
- 에스토니아 슈퍼컵에서는 2007년과 2008년에 우승했다.
9. 2. 유럽 대항전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1996 | UEFA 인터토토컵 | 그룹 10 | 흐로닝언 | 1-4 | 5위 | |
바샤시 | 1-4 | |||||
릴세 | 0-3 | |||||
가지안테프스포르 | 0-0 |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요케리트 | 1–4 | 0–3 | 1–7 |
2000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체아룰・피아트라・네암츠 | 2–5 | 2–4 | 4–9 |
2001-02 | UEFA컵 | 예선 라운드 | IF 엘프스보리 | 3–0 | 0–5 | 3–5 |
2003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OFK 베오그라드 | 3–5 | 1–6 | 4–11 |
2004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FK 베트라 | 0–1 | 0–3 | 0–4 |
2005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스포르팅 로케렌 | 0–2 | 1–0 | 1–2 |
2006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칼마 FF | 1–6 | 0–2 | 1–8 |
2007-08 | UEFA컵 | 예선 1라운드 | 헬싱보리 IF | 0–3 | 0–6 | 0–9 |
2008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에크라나스 파네베지스 | 0–3 | 0–1 | 0–4 |
2009-1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루달 벨레네 | 0–3 | 1–3 | 1–6 |
2010-11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미코스켄 팔로47 | 0–2 | 0–5 | 0–7 |
2011-12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라보트니키 | 1–4 | 0–3 | 1–7 |
2012-13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인테르 바쿠 | 0–5 | 0–2 | 0–7 |
2013-14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예플레 IF | 0–3 | 1–5 | 1–8 |
2018-19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젤예즈니차르 사라예보 | 0-2 | 1-3 | 1-5 |
2019-20 | UEFA 유로파리그 | 예선 1라운드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0-2 | 1-4 | 1-6 |
참조
[1]
웹사이트
Narva Kreenholmi staadion
http://jalgpall.ee/e[...]
Estonian Football Association
2018-07-31
[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ctrans.e[...]
JK Narva Trans
[3]
웹사이트
Эмблема
https://www.fctrans.[...]
2023-11-23
[4]
웹사이트
JK Narva Trans Kit History
https://www.football[...]
2023-03-15
[5]
뉴스
Main squad of FC Narva Trans
http://www.fctrans.e[...]
JK Narva Trans
[6]
웹사이트
JK Narva Trans
http://jalgpall.ee/v[...]
Estonian Football Association
2018-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