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 아이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아이파크는 1979년 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대우 로얄즈, 부산 대우 로얄즈, 부산 아이콘스를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이다. 1984년, 1987년, 1991년, 1997년에 K리그에서 우승했으며, 1985-86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과 1986년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했다. 현재는 구덕종합운동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2024년에는 조성환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아이파크 - 구덕운동장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구덕운동장은 주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씨름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로, 과거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관중 압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 부산 아이파크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53,926석 규모의 좌석과 독특한 대형 지붕을 갖춘 부산의 주요 경기장으로, 대규모 행사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대우의 이전 자회사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의 이전 자회사 - OCN (텔레비전 채널)
    OCN은 1995년 7월 1일에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채널로, 스릴러와 서스펜스 드라마로 유명하며 CJ ENM 산하에서 OCN Movies, OCN Movies 2를 자매 채널로 운영한다.
  • 대한민국 FA컵 우승 구단 - FC 서울
    FC 서울은 1983년 창단하여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으로 시작,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K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다.
  • 대한민국 FA컵 우승 구단 - 성남 FC
    1988년 창단되어 K리그 3연패와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뤘으나 시민구단 전환 후 재정적 어려움과 구단 매각 논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 성남 FC이다.
부산 아이파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산 아이파크 로고
정식 명칭부산 아이파크 축구단
영문 명칭Busan IPark Football Club
이전 명칭새한 자동차 축구단 (1979~1980)
대우 축구단 (1980~1982)
대우 로얄즈 (1983~1995)
부산 대우 로얄즈 (1996~1999)
부산 아이콘스 (2000~2004)
별칭방패군단
마스코트똑띠, 해라
창단일1979년 11월 22일
연고지부산광역시
연맹한국프로축구연맹
경기장구덕운동장
수용 인원12,349명
소유주HDC그룹
구단주정몽규
대표이사김병석
감독조성환
리그K리그2
시즌2024
순위5위 (승격 준PO 탈락)
현재 시즌2024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클럽 색상
기본 색상빨강, 하양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빨강색, 양팔 빨강색
하의: 검정색
양말: 검정색
원정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수상 내역
K리그1 우승 횟수4회
K리그2 우승 횟수0회
FA컵 우승 횟수1회
리그컵 우승 횟수3회
슈퍼컵 우승 횟수0회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횟수1회 (전신)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횟수1회

2. 역사



부산 아이파크는 대우그룹 산하 새한자동차(대우자동차 전신)에서 1979년 11월 22일 창단한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모태이다. 1979년 10월 해체된 한국산업은행 축구단의 선수들을 주축으로 21명의 선수단을 꾸렸고, 이종환 감독이 초대 사령탑을 맡았으며 1980년 실업축구 대회에 참가하였다.[14] 1980년 10월 '''대우 축구단'''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고,[15] 1981년 제29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16]

1982년 국내축구단 최초로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약 43일간 해외 전지훈련을 실시하였다. 1983년 한국프로축구 리그 원년에 수퍼리그에 실업축구단 자격으로 참여하여[17] 우승 팀인 할렐루야 축구단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최다 관중(16경기, 34만 7895명)을 동원한 팀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대우그룹은 매 홈경기때마다 자동차, VTR, 냉장고, 세탁기 등을 경품으로 내놓는 파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선보였다. K리그 최초로 아르헨티나 출신 판초 곤잘레스 외국인 코치를 선임하고 클럽시스템을 도입, 운영하였다.

시즌 후 김우중 대우그룹 총수는 대우 축구단을 프로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18] 거제고등학교아주대학교 축구부를 대우 축구단의 산하 축구단으로 삼아 유소년 선수 수급 시스템을 구축했다.[19] 1983년 12월 3일 국내 프로축구단 제 3호로 프로화에 성공하여,[21] 1984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에서 8승 4무 2패 승점 29점으로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22]

1985-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1986년 K리그 시즌에 돌입했지만, 리그 1라운드 4위, 2라운드 3위에 그치며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대우 로얄즈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AFC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에서 대한민국 클럽 최초로 아시아 정상에 올랐다.[23] 1987년에는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최강 클럽으로 자리매김했고,[24] 같은 해 K리그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1988년 올림픽 대표팀 차출로 최하위를 기록한 후, 1989년 동독 출신 프랑크 엥겔을 감독 대행으로 선임하여 K리그 최초 외국인 감독 영입 기록을 세웠다.[25] 1989년에 국내 프로구단 최초로 연간회원제를 도입하였다. 1991년 헝가리 출신 비츠케이 베르탈란 감독 지휘 하에 K리그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26] 비츠케이 감독 시절 세운 K리그 21경기 연속 무패 기록은 최초의 기록이며, 1991년 K리그 최초로 프로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1996년 완전지역연고제 도입으로 구단 명칭을 부산 대우 로얄즈로 변경했다. 1997년 리그, 아디다스컵, 프로스펙스컵 우승으로 프로축구연맹 주관 대회 전관왕을 달성했고,[27] K리그 최초 4회 우승 업적도 달성했다. 부산 최초로 팬클럽을 창설했으며, K리그 역사상 최초로 전방위 베스트Xl를 배출했다. 또한 프로축구팀 사상 최다연승인 7연승을 최초로 달성하였으며 K리그 역사상 최초로 영구결번제도를 도입했으며 연맹이 은퇴식을 마련하였다. 축구게임 피파2000에 클래식팀으로 K리그 및 아시아 클럽 최초로 수록하였다. 1999년 사상 첫 리그 비우승팀으로써 시즌 MVP를 배출하였다.

1983년 시즌 대부분 기간 동안 1위를 차지했던 대우는 데뷔 시즌 2위를 기록했다. 마산 시리즈에서 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할렐루야 FC에 1점 차로 우승을 내주었다.[1]

두 번째 시즌에 구단은 프로로 전환하여 대우 로얄즈(Daewoo Royals)로 이름을 바꾸고, 1984년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 유공 코끼리를 합계 2-1로 꺾고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98 시즌은 안정환 선수의 등장을 알린 해였지만, 로얄즈는 중위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하며 1999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 결승전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합계 4-2로 패했다.[2]

1999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모기업인 대우그룹이 재정난에 처하면서 부산 대우 로얄즈는 매각 대상이 되었다.[28] 2000년 2월 10일 현대산업개발이 로얄즈 축구단을 인수하였는데,[29] 롯데, 제일제당 등이 인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30]

인수 후 구단 명칭을 부산 아이콘스로 변경하고 팀 컬러를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꾸었으며, 2000년 3월 7일 재창단식을 통해 공식 출범하였다.[31] 모기업 변경의 여파로 부산 아이콘스는 부진을 거듭하며 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32] 구덕운동장 보수 공사로 대구, 창원 등에서 홈 경기를 치르면서 관중 수도 급감하였다.[33] 2001년에는 국내 프로 구단 최초로 코칭스쿨을 개설하였다.

2004년 초, 부산 아이콘스는 서울특별시로의 연고지 이전을 선언했다.[34] 팬들의 거센 반발과 부정적인 여론에 직면한[35] 부산 아이콘스는 연고지 이전 철회를 시사했고, 안양 LG 치타스가 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로 연고 이전하면서 부산에 잔류하게 되었다.[36][37]

2005년 2월 통영컵부터 구단명을 현재의 부산 아이파크(Busan I'Park)로 변경했다.[38]

부산 아이파크는 1999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모기업 대우그룹이 재정난을 겪으면서 매각 대상이 되었고, 2000년 2월 10일 HDC현대산업개발에 인수되었다.[28][29] 인수 당시 롯데, CJ 등이 인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30]

인수 후 구단 명칭을 부산 아이콘스로 변경하고 팀 컬러를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꾸었으며, 2000년 3월 7일 재창단식을 통해 공식 출범했다.[31] 모기업 변경의 여파로 부산 아이콘스는 부진을 거듭하여 6위로 시즌을 마감했고,[32] 구덕운동장 보수 공사로 인해 대구, 창원 등에서 홈경기를 치르면서 관중 수가 급감했다.[33] 2001년에는 국내 프로 구단 최초로 코칭스쿨을 개설했다.

2004년 초, 부산 아이콘스는 서울특별시로의 연고지 이전을 선언했으나,[34] 팬들의 반발과 여론 악화로 철회했다.[35] 안양 LG 치타스가 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부산에 잔류하게 되었다.[36][37]

2005년 2월, 통영컵 대회부터 구단명을 현재의 부산 아이파크(Busan I'Park)로 변경했고,[38] 그해 전기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5 시즌 시작과 함께 구단주가 구단명을 부산 아이파크(현 부산 아이파크)로 변경한 이후, 부산은 2005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인천 유나이티드에 패했다.

2007년 7월, 앤디 에글리 감독 사퇴 후 박성화 감독이 취임했으나, 곧 올림픽 대표팀 감독을 맡게 되면서 사퇴했다.[39] 이에 서포터즈와 붉은악마가 성명서를 발표하며 항의했다.[40] 2007 시즌 종료 후 황선홍 감독이 선임되었고, 2008년 1월에는 안정환을 영입하는 등 과거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41] 황선홍 감독 부임 이후, 부산은 김창수, 정성훈, 양동현, 김근철과 같은 선수들을 영입하고, 한상운, 박희도, 박종우 등 유망주들에게 기회를 주며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2008 시즌과 2009 시즌에는 각각 12위를 기록했다. 2009 피스컵 코리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에는 FA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황선홍 감독은 부산 감독으로서 마지막 시즌인 2010년에 2010년 대한축구협회컵 결승전에 진출했고, 계약 만료 후 포항 스틸러스로 이적했다.

FC 서울안익수 수석코치가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1 시즌 승부조작 여파에도 불구하고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안익수 감독 체제에서 부산은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게 패했다. 2012년 엠블럼이 소폭 변경되었고, 아이파크의 영문 철자가 I'Park에서 IPark로 변경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 부산 소속 김창수, 박종우, 이범영이 발탁되어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한지호, 임상협 등 선수들이 화제가 되면서 여성 팬들이 증가했고, 올림픽에서의 활약은 여성 팬 비중을 더욱 늘리는 계기가 되었다. 2012 시즌 종료 후 안익수 감독이 성남으로 떠나고 윤성효 감독이 부임했다. 2013 시즌 상위 스플릿에 진출하며 중위권에 자리매김했으나, 2014 시즌에는 상위 스플릿 진출에 실패하고 8위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윤성효 감독 사임 후 최영준 감독이 선임되었으나, 수원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42] 이는 기업 구단 최초이자 리그 우승팀의 첫 강등이었다. 9년 연속 하위권에 머물던 부산 아이파크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

2016 시즌을 앞두고 최승인, 고경민, 스토야노비치, 이원영, 차영환, 김현성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으나, 리그 중후반까지 승격권과 거리가 멀었다.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서울 이랜드를 제치고 5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강원 FC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43] 최영준 감독과 변명기 사장이 사임하고, 최만희 사장과 조진호 감독이 취임했다.[43] 2017시즌 리그 전경기를 구덕종합운동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44]

2017년 3월 성남 FC와의 리그 개막전 승리를 시작으로, 이정협이 리그 개막 후 6경기 연속골을 기록하며 아드리아노의 기록을 경신했다. FA컵에서는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등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10월 8일 리그 1위 경남 FC에 패하며 리그 2위를 확정지었고, 이틀 뒤 조진호 감독이 심장마비로 별세했다.[45] 10월 25일 수원 삼성과의 FA컵 준결승에서 승리하며 K리그 챌린지 팀 최초로 FA컵 결승에 진출했다. 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아산 무궁화를 꺾고 상주 상무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FA컵 결승에서도 울산 현대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부산은 2017 시즌에서 K리그 챌린지 준우승을 차지했고, 경남 FC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부산은 또한 FA컵 결승에 진출하여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등 상위 리그 팀들을 꺾었지만, 결승에서 울산 현대에게 패했다.

2017년 12월, 최윤겸 감독이 선임되었고, 차영환이 상주 상무에 입대했다. 2018년 1월, 임상협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고, FC 서울에서 김치우를 영입했다. K리그2에서 3위를 기록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FC 서울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최만희 대표이사와 최윤겸 감독은 사임했고, 조덕제 감독과 이기형 수석코치, 노상래 코치가 부임했다. 2018 시즌에는 강원 FC에서 승격을 이끌었던 최윤겸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부산 아이파크는 K리그 2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FC 서울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18년 K리그2에서 고경민은 K리그1,2 역사상 최초로 3년 연속 헤트트릭을 기록했다.

2019년 K리그 최초로 호물로가 PK로 헤트트릭을 기록했고, 권혁규는 K리그 최초로 준프로 계약을 맺었다. K리그2 2위를 거쳐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경남 FC를 꺾고 구단 첫 승격을 달성했다. 부산은 2019 시즌에서 리그 최다 득점 팀으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부산 아이파크는 광주 FC에 이어 K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20년에는 파이널 B에서 인천 유나이티드와 성남 FC에 연패하며 강등되었다. 2020 시즌은 반대의 감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부산은 곧 강등권 싸움에 휘말렸고, 조덕제 감독은 부진한 성적 끝에 9월에 팀을 떠났습니다. 이기형이 시즌 남은 4경기를 감독대행으로 이끌었습니다. 부산은 시즌 마지막 두 경기에서 모두 패하며 최하위를 기록, K리그 2로 강등되었다.

2021년 K리그 최초로 공동 주장을 선임했다. 2021 시즌 시작과 함께 부산 구단은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이규성과 이동준이 최준, 박정인, 이상헌, 정훈성을 영입하면서 팀을 떠났습니다. 다른 주요 선수들인 한지호, 강민수, 로물로, 김문환, 권혁규 또한 팀을 떠났습니다. 안병준을 비롯해 안준수, 박민규, 발렌티노스 시엘리스, 도마고이 드로즈덱, 라이언 에드워즈가 영입되었다.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감독인 리카르도 페레스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리그 최악의 수비(56실점)를 기록하고 득점은 주로 두 선수(안병준과 박정인)에 의존하면서 부산은 리그 5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진규가 리그 최고의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고, 최준과 안병준이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있었다. 안병준은 득점왕과 MVP를 2년 연속 수상했다.

2022년에는 K리그2 최하위권인 10위에 그쳤다.

2023 시즌을 앞두고 박진섭 감독을 선임하며 리빌딩 의지를 드러냈다.

창단 45주년인 2024시즌 도중 박진섭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고, 조성환 감독이 새로운 사령탑으로 7월에 선임되었다.

부산 아이파크의 구단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79년 한국산업은행 축구부의 후신으로 창단된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시초이며, 이듬해인 1980년 대우가 스폰서가 되면서 대우 로얄즈(대우 로얄즈한국어)로 개명했다. 이는 당시 대우에서 판매하던 고급 승용차 "로얄"에서 따온 이름이다. 1983년 프로리그 시작과 함께 참가하였다.

1996년 부산 대우 로얄즈(부산 대우 로얄즈한국어)로 개명하였고, 2000년 현대그룹 계열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현대산업개발(HDC)이 스폰서가 되면서 부산 아이콘스(부산 아이콘스한국어)로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브랜드 이름을 딴 부산 아이파크(부산 아이파크한국어)로 팀 명칭이 바뀌었다. 2012년부터 영어 표기가 "I'PARK"에서 "IPARK"로 변경되었다.

구단명기간
새한자동차 축구단 (Saehan Motors FC)1979년–1980년
대우 축구단 (Daewoo FC)1980년–1982년
대우 로열스 (Daewoo Royals)1983년–1995년
부산 대우 로열스 (Pusan Daewoo Royals)1996년–2000년
부산 아이콘스 (Pusan i.cons)2000년–2002년
부산 아이콘스 (Busan I'Cons)2002년–2005년
부산 아이파크 (Busan I'Park)2005년–2011년
부산 아이파크 (Busan IPark)2012년–현재


2. 1. 실업축구단 시절과 대우 로얄즈 초창기 (1979–1985)

부산 아이파크는 대우그룹 산하 새한자동차(대우자동차 전신)에서 1979년 11월 22일 창단한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모태이다. 1979년 10월 해체된 한국산업은행 축구단의 선수들을 주축으로 21명의 선수단을 꾸렸고, 이종환 감독이 초대 사령탑을 맡았으며 1980년 실업축구 대회에 참가하였다.[14] 1980년 10월 '''대우 축구단'''으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고,[15] 1981년 제29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16]

1982년 국내축구단 최초로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약 43일간 해외 전지훈련을 실시하였다. 1983년 한국프로축구 리그 원년에 수퍼리그에 실업축구단 자격으로 참여하여[17] 우승 팀인 할렐루야 축구단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최다 관중(16경기, 34만 7895명)을 동원한 팀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대우그룹은 매 홈경기때마다 자동차, VTR, 냉장고, 세탁기 등을 경품으로 내놓는 파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선보였다. K리그 최초로 아르헨티나 출신 판초 곤잘레스 외국인 코치를 선임하고 클럽시스템을 도입, 운영하였다.

시즌 후 김우중 대우그룹 총수는 대우 축구단을 프로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18] 거제고등학교아주대학교 축구부를 대우 축구단의 산하 축구단으로 삼아 유소년 선수 수급 시스템을 구축했다.[19] 1983년 12월 3일 국내 프로축구단 제 3호로 프로화에 성공하여, [21] 1984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에서 8승 4무 2패 승점 29점으로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22]

1985-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1986년 K리그 시즌에 돌입했지만, 리그 1라운드 4위, 2라운드 3위에 그치며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 2. 대우 로얄즈의 전성기 (1986–1999)

대우 로얄즈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AFC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에서 대한민국 클럽 최초로 아시아 정상에 올랐다.[23] 1987년에는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최강 클럽으로 자리매김했고,[24] 같은 해 K리그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1988년 올림픽 대표팀 차출로 최하위를 기록한 후, 1989년 동독 출신 프랑크 엥겔을 감독 대행으로 선임하여 K리그 최초 외국인 감독 영입 기록을 세웠다.[25] 1989년에 국내 프로구단 최초로 연간회원제를 도입하였다. 1991년 헝가리 출신 비츠케이 베르탈란 감독 지휘 하에 K리그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26] 비츠케이 감독 시절 세운 K리그 21경기 연속 무패 기록은 최초의 기록이며, 1991년 K리그 최초로 프로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1996년 완전지역연고제 도입으로 구단 명칭을 부산 대우 로얄즈로 변경했다. 1997년 리그, 아디다스컵, 프로스펙스컵 우승으로 프로축구연맹 주관 대회 전관왕을 달성했고,[27] K리그 최초 4회 우승 업적도 달성했다. 부산 최초로 팬클럽을 창설했으며, K리그 역사상 최초로 전방위 베스트Xl를 배출했다. 또한 프로축구팀 사상 최다연승인 7연승을 최초로 달성하였으며 K리그 역사상 최초로 영구결번제도를 도입했으며 연맹이 은퇴식을 마련하였다. 축구게임 피파2000에 클래식팀으로 K리그 및 아시아 클럽 최초로 수록하였다. 1999년 사상 첫 리그 비우승팀으로써 시즌 MVP를 배출하였다.

1983년 시즌 대부분 기간 동안 1위를 차지했던 대우는 데뷔 시즌 2위를 기록했다. 마산 시리즈에서 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할렐루야 FC에 1점 차로 우승을 내주었다.[1]

두 번째 시즌에 구단은 프로로 전환하여 대우 로얄즈(Daewoo Royals)로 이름을 바꾸고, 1984년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 유공 코끼리를 합계 2-1로 꺾고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98 시즌은 안정환 선수의 등장을 알린 해였지만, 로얄즈는 중위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하며 1999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 결승전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합계 4-2로 패했다.[2]

2. 3. 부산 아이콘스 (2000–2005)

1999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모기업인 대우그룹이 재정난에 처하면서 부산 대우 로얄즈는 매각 대상이 되었다.[28] 2000년 2월 10일 현대산업개발이 로얄즈 축구단을 인수하였는데,[29] 롯데, 제일제당 등이 인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30]

인수 후 구단 명칭을 부산 아이콘스로 변경하고 팀 컬러를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꾸었으며, 2000년 3월 7일 재창단식을 통해 공식 출범하였다.[31] 모기업 변경의 여파로 부산 아이콘스는 부진을 거듭하며 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32] 구덕운동장 보수 공사로 대구, 창원 등에서 홈 경기를 치르면서 관중 수도 급감하였다.[33] 2001년에는 국내 프로 구단 최초로 코칭스쿨을 개설하였다.

2004년 초, 부산 아이콘스는 서울특별시로의 연고지 이전을 선언했다.[34] 팬들의 거센 반발과 부정적인 여론에 직면한[35] 부산 아이콘스는 연고지 이전 철회를 시사했고, 안양 LG 치타스가 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로 연고 이전하면서 부산에 잔류하게 되었다.[36][37]

2005년 2월 통영컵부터 구단명을 현재의 부산 아이파크(Busan I'Park)로 변경했다.[38]

2. 4. 부산 아이파크 (2005 - 현재)

부산 아이파크는 1999년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모기업 대우그룹이 재정난을 겪으면서 매각 대상이 되었고, 2000년 2월 10일 HDC현대산업개발에 인수되었다.[28][29] 인수 당시 롯데, CJ 등이 인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30]

인수 후 구단 명칭을 부산 아이콘스로 변경하고 팀 컬러를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꾸었으며, 2000년 3월 7일 재창단식을 통해 공식 출범했다.[31] 모기업 변경의 여파로 부산 아이콘스는 부진을 거듭하여 6위로 시즌을 마감했고,[32] 구덕운동장 보수 공사로 인해 대구, 창원 등에서 홈경기를 치르면서 관중 수가 급감했다.[33] 2001년에는 국내 프로 구단 최초로 코칭스쿨을 개설했다.

2004년 초, 부산 아이콘스는 서울특별시로의 연고지 이전을 선언했으나,[34] 팬들의 반발과 여론 악화로 철회했다.[35] 안양 LG 치타스가 FC 서울로 구단명을 변경하고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부산에 잔류하게 되었다.[36][37]

2005년 2월, 통영컵 대회부터 구단명을 현재의 부산 아이파크(Busan I'Park)로 변경했고,[38] 그해 전기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5 시즌 시작과 함께 구단주가 구단명을 부산 아이파크(현 부산 아이파크)로 변경한 이후, 부산은 2005 K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인천 유나이티드에 패했다.

2007년 7월, 앤디 에글리 감독 사퇴 후 박성화 감독이 취임했으나, 곧 올림픽 대표팀 감독을 맡게 되면서 사퇴했다.[39] 이에 서포터즈와 붉은악마가 성명서를 발표하며 항의했다.[40] 2007 시즌 종료 후 황선홍 감독이 선임되었고, 2008년 1월에는 안정환을 영입하는 등 과거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41] 황선홍 감독 부임 이후, 부산은 김창수, 정성훈, 양동현, 김근철과 같은 선수들을 영입하고, 한상운, 박희도, 박종우 등 유망주들에게 기회를 주며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2008 시즌과 2009 시즌에는 각각 12위를 기록했다. 2009 피스컵 코리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에는 FA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황선홍 감독은 부산 감독으로서 마지막 시즌인 2010년에 2010년 대한축구협회컵 결승전에 진출했고, 계약 만료 후 포항 스틸러스로 이적했다.

FC 서울안익수 수석코치가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1 시즌 승부조작 여파에도 불구하고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안익수 감독 체제에서 부산은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게 패했다. 2012년 엠블럼이 소폭 변경되었고, 아이파크의 영문 철자가 I'Park에서 IPark로 변경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 부산 소속 김창수, 박종우, 이범영이 발탁되어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한지호, 임상협 등 선수들이 화제가 되면서 여성 팬들이 증가했고, 올림픽에서의 활약은 여성 팬 비중을 더욱 늘리는 계기가 되었다. 2012 시즌 종료 후 안익수 감독이 성남으로 떠나고 윤성효 감독이 부임했다. 2013 시즌 상위 스플릿에 진출하며 중위권에 자리매김했으나, 2014 시즌에는 상위 스플릿 진출에 실패하고 8위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윤성효 감독 사임 후 최영준 감독이 선임되었으나, 수원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42] 이는 기업 구단 최초이자 리그 우승팀의 첫 강등이었다. 9년 연속 하위권에 머물던 부산 아이파크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

2016 시즌을 앞두고 최승인, 고경민, 스토야노비치, 이원영, 차영환, 김현성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으나, 리그 중후반까지 승격권과 거리가 멀었다.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서울 이랜드를 제치고 5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강원 FC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43] 최영준 감독과 변명기 사장이 사임하고, 최만희 사장과 조진호 감독이 취임했다.[43] 2017시즌 리그 전경기를 구덕종합운동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44]

2017년 3월 성남 FC와의 리그 개막전 승리를 시작으로, 이정협이 리그 개막 후 6경기 연속골을 기록하며 아드리아노의 기록을 경신했다. FA컵에서는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등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10월 8일 리그 1위 경남 FC에 패하며 리그 2위를 확정지었고, 이틀 뒤 조진호 감독이 심장마비로 별세했다.[45] 10월 25일 수원 삼성과의 FA컵 준결승에서 승리하며 K리그 챌린지 팀 최초로 FA컵 결승에 진출했다. 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아산 무궁화를 꺾고 상주 상무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FA컵 결승에서도 울산 현대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부산은 2017 시즌에서 K리그 챌린지 준우승을 차지했고, 경남 FC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부산은 또한 FA컵 결승에 진출하여 FC 서울, 전남 드래곤즈 등 상위 리그 팀들을 꺾었지만, 결승에서 울산 현대에게 패했다.

2017년 12월, 최윤겸 감독이 선임되었고, 차영환이 상주 상무에 입대했다. 2018년 1월, 임상협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고, FC 서울에서 김치우를 영입했다. K리그2에서 3위를 기록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FC 서울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최만희 대표이사와 최윤겸 감독은 사임했고, 조덕제 감독과 이기형 수석코치, 노상래 코치가 부임했다. 2018 시즌에는 강원 FC에서 승격을 이끌었던 최윤겸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부산 아이파크는 K리그 2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FC 서울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했다.

2018년 K리그2에서 고경민은 K리그1,2 역사상 최초로 3년 연속 헤트트릭을 기록했다.

2019년 K리그 최초로 호물로가 PK로 헤트트릭을 기록했고, 권혁규는 K리그 최초로 준프로 계약을 맺었다. K리그2 2위를 거쳐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경남 FC를 꺾고 구단 첫 승격을 달성했다. 부산은 2019 시즌에서 리그 최다 득점 팀으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부산 아이파크는 광주 FC에 이어 K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20년에는 파이널 B에서 인천 유나이티드와 성남 FC에 연패하며 강등되었다. 2020 시즌은 반대의 감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부산은 곧 강등권 싸움에 휘말렸고, 조덕제 감독은 부진한 성적 끝에 9월에 팀을 떠났습니다. 이기형이 시즌 남은 4경기를 감독대행으로 이끌었습니다. 부산은 시즌 마지막 두 경기에서 모두 패하며 최하위를 기록, K리그 2로 강등되었다.

2021년 K리그 최초로 공동 주장을 선임했다. 2021 시즌 시작과 함께 부산 구단은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이규성과 이동준이 최준, 박정인, 이상헌, 정훈성을 영입하면서 팀을 떠났습니다. 다른 주요 선수들인 한지호, 강민수, 로물로, 김문환, 권혁규 또한 팀을 떠났습니다. 안병준을 비롯해 안준수, 박민규, 발렌티노스 시엘리스, 도마고이 드로즈덱, 라이언 에드워즈가 영입되었다.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감독인 리카르도 페레스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리그 최악의 수비(56실점)를 기록하고 득점은 주로 두 선수(안병준과 박정인)에 의존하면서 부산은 리그 5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진규가 리그 최고의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고, 최준과 안병준이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있었다. 안병준은 득점왕과 MVP를 2년 연속 수상했다.

2022년에는 K리그2 최하위권인 10위에 그쳤다.

2023 시즌을 앞두고 박진섭 감독을 선임하며 리빌딩 의지를 드러냈다.

창단 45주년인 2024시즌 도중 박진섭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고, 조성환 감독이 새로운 사령탑으로 7월에 선임되었다.

2. 5. 구단 명칭 변천사

wikitext

부산 아이파크의 구단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79년 한국산업은행 축구부의 후신으로 창단된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시초이며, 이듬해인 1980년 대우가 스폰서가 되면서 대우 로얄즈(대우 로얄즈한국어)로 개명했다. 이는 당시 대우에서 판매하던 고급 승용차 "로얄"에서 따온 이름이다. 1983년 프로리그 시작과 함께 참가하였다.

1996년 부산 대우 로얄즈(부산 대우 로얄즈한국어)로 개명하였고, 2000년 현대그룹 계열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현대산업개발(HDC)이 스폰서가 되면서 부산 아이콘스(부산 아이콘스한국어)로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브랜드 이름을 딴 부산 아이파크(부산 아이파크한국어)로 팀 명칭이 바뀌었다. 2012년부터 영어 표기가 "I'PARK"에서 "IPARK"로 변경되었다.

구단명기간
새한자동차 축구단 (Saehan Motors FC)1979년–1980년
대우 축구단 (Daewoo FC)1980년–1982년
대우 로열스 (Daewoo Royals)1983년–1995년
부산 대우 로열스 (Pusan Daewoo Royals)1996년–2000년
부산 아이콘스 (Pusan i.cons)2000년–2002년
부산 아이콘스 (Busan I'Cons)2002년–2005년
부산 아이파크 (Busan I'Park)2005년–2011년
부산 아이파크 (Busan IPark)2012년–현재


3. 선수단

2024년 5월 9일 기준 부산 아이파크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구상민대한민국
2FW이동훈대한민국
5DF조위제대한민국
6MF이동수대한민국
7FW페신/Pessinpt브라질
8MF임민혁대한민국
14MF이승기대한민국
18DF이현규대한민국
20DF이한도
16px
대한민국
22DF강지훈대한민국
24MF천지현대한민국
30DF김희승대한민국
31GK이승규대한민국
39MF허승찬대한민국
45DF황준호대한민국
47MF손휘대한민국
50DF정성우대한민국
FW이현준대한민국
MF전승민대한민국
GK김유래대한민국
FW백가온대한민국
FW김현민대한민국
DF권한진대한민국
DF김상원대한민국
DF장호익대한민국
DF김진래대한민국
DF정호근대한민국
FW전성진대한민국
DF김동욱대한민국
DF홍재석 (울산에서 임대)대한민국
DF박창우대한민국
FW김민기대한민국
GK박대한대한민국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5월 9일 기준 부산 아이파크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

번호포지션이름
1GK구상민
2FW이동훈
5DF조위제
6MF이동수
7FW페신/Pessinpt
8MF임민혁
14MF이승기
18DF이현규
20DF이한도
22DF강지훈
24MF천지현
30DF김희승
31GK이승규
39MF허승찬
45DF황준호
47MF손휘
50DF정성우
FW이현준
MF전승민
GK김유래
FW백가온
FW김현민
DF권한진
DF김상원
DF장호익
DF김진래
DF정호근
FW전성진
DF김동욱
DF홍재석 ( 울산에서 임대)
DF박창우
FW김민기
GK박대한


3. 2. 임대 및 군 복무 중인 선수

포지션이름비고
DF홍욱현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중
MF최기윤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중
MF조민호전주시민축구단으로 임대
DF최예훈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중
FW김찬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중
DF최동렬부산교통공사로 임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4. 코칭 스태프

직위이름
감독조성환
수석코치오장은
코치배일환
플레잉코치권한진
골키퍼 코치양동원
피지컬 코치오지우



조성환이 감독을 맡고 있으며, 오장은이 수석 코치를, 배일환이 코치를 맡고 있다.[9] 권한진은 플레잉코치이며, 양동원은 골키퍼 코치를 맡고 있다. 피지컬 코치는 오지우이다.[9]

5. 경영진

정몽규가 구단주이며, 대표이사는 김병석이다. 전력강화실장은 송선호가 담당하고 있다. 경영기획실장은 송민철이다.

6. 우승 기록

6. 1. 국내 대회

K리그1에서 1984, 1987, 1991, 1997 시즌에 우승하여 총 4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3, 1990, 1999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K리그2에서는 2017, 2019, 2023 시즌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대한민국 내셔널리그에서는 1981년 춘계 대회에서 우승했다. 대한민국 FA컵에서는 2004년에 우승하였고, 2010년, 2017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리그컵에서는 1997년 아디다스컵, 1997년 프로스펙스컵, 1998년 필립모리스코리아컵에서 우승하여 총 3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6년, 1999년 추가, 2001년, 2009년, 2011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는 1989년에 우승하였고, 1990년에는 2군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8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대통령배에서는 1981년에 준우승을, 대한민국 슈퍼컵에서는 2005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6. 2. 국제 대회

부산 아이파크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기록이 있다. 1985-86 시즌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1986년에는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하였다. 또한 2012년에는 하와이안 아일랜드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했다.

6. 3. 친선 대회

2013년 구정컵에서 우승하였다. 2012년에는 하와이 국제축구대회에서 우승하였다. 2013년 창 촌부리 인비테이션에서 우승하였다. 2004년2005년에는 통영컵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2년 하와이안 아일랜드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였다. 1985-86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1986 아프로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7. 시즌 결과

부산 아이파크의 시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리그FA컵ACL기타
등급[46]경기승점순위
19831166732114+7192---
19842817654723+24591---
1985219752216+6253---
19862010282624+2224-우승AACC - 우승
198732161424120+21461---
19882485112830-2215---
19894014141244440423---
199030121173025+5352---
199130171854932+17521---
19923071492633-7285--LC - 6위
199330515102232-10406--LC - 3위
19943076173756-19276--LC - 3위
19952895143040-10325--LC - 3위
19963299144551-63668강-LC - 3위
1997181143249+153711R-LC(A) - 우승
LC(P) - 우승
1998186482722+52558강-LC(A) - 조별리그
LC(P) - 우승
199927104133736+1372[47]16강8강LC(A) - 예선
LC(D) - 준우승
200027921642420296준결승-LC(A) - 8강
LC(D) - 조별리그
200127101163833+54158강-LC - 준우승
20022768133645-92698강-LC - 조별리그
2003441310214171-3049932강--
20042461262119+2307우승-LC - 13위
20052477102831-3281032강준결승LC - 13위
SC - 준우승
20062697104042-234816강-LC - 10위
20072648142039-1920138강-LC - 조별리그
20082657143039-9221216강-LC - 6강
20092878133642-6291216강-LC - 준우승
20102889113637-1338준우승-LC - 8강
201130137104943+6466[48]8강-LC - 준우승
2012441314174051-1153732강--
2013381410144341+2526준결승--
2014381013153749-124388강--
201538511223055-252611↓32강--
2016240197145239+1364516강--
201736191165230+22682준우승--
201836141485335+1856316강--
201936181357247+25672↑3R--
2020127510122538-132512↓8강--
2021236129154656-104553R--
20224099223552-1836103R--
202336201065029+277023R--
202436--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조별리그를 1위로 통과하고 8강에서 알 사드를 합계 5-1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알 이티하드에 합계 0-7로 패했다.

style="caption-side:bottom; padding:0.5em 0; font-weight:bold;"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리그대한민국 FA컵챔피언십
리그경기득점실점승점순위
2005K리그24771028312810위1라운드 탈락4강 탈락


8. 역대 감독

새한자동차 축구단 창단 감독

1대
장운수1981/01/??1983/10/181981–1982 (실업축구)
1983
2대
조윤옥1983/10/181984/06/201984
3대
장운수1984/06/211986/12/061984–19861984년 K리그 우승, 1985-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4대
이차만1986/12/071989/12/??1987–19891987년 K리그 우승
대행
김희태1989/04/??1989/12/??1989이차만 감독 국가대표팀 코치 차출 기간 감독대행직 수행
5대
프랑크 엥겔/Frank Engelde1989/12/211990/11/??1990K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
6대
비치케이 베르털런/Bicskei Bertalanhu1990/11/171991/11/1519911991년 K리그 우승
7대
이차만1992/01/011992/09/251992
대행
조광래1992/09/251992/12/231992
8대
1992/12/241994/06/211993–1994정식 감독으로 승격
대행
정해원1994/06/211994/09/071994
9대
김희태1994/09/081995/08/031994–1995
대행
신우성1995/08/041995/12/311995
10대
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Dragoslav Šekularacsr1996/01/041996/07/141996
대행
김태수1996/07/151996/12/251996
11대
이차만1996/12/261999/06/091997–19991997년 K리그 우승, 대우 시절 마지막 정식 감독
대행
신윤기1999/06/101999/09/081999급성 백혈병으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1999/09/12)
대행
장외룡1999/09/141999/12/171999대우 시절 마지막 지도자
12대
김호곤2000/02/232002/11/052000–2002아이콘스-아이파크 초대 사령탑
대행
박경훈2002/11/052002/11/202002
13대
이언 포터필드/Ian Porterfield영어2002/11/212006/04/032003–2006아이콘스-아이파크 첫 외국인 감독, 2004년 대한축구협회 FA컵 우승
대행
김판곤2006/04/032006/08/222006
14대
앙드레 에글리/André Eglide2006/07/252007/06/302006–2007
대행
김판곤2007/06/302007/07/172007
15대
박성화2007/07/182007/08/032007대한축구협회컵에서 단 한 경기만 감독
대행
김판곤2007/08/032007/12/032007
16대
황선홍2007/12/042010/11/052008–2010
17대
안익수2010/12/152012/12/122011–2012
18대
윤성효2012/12/182015/07/132013–2015창단 첫 강등 성적
대행
데니스 이와무라/Denis Iwamurapt2015/07/132015/10/072015
19대
최영준2015/10/072016/11/042015–2016창단 첫 강등 감독
20대
조진호2016/12/052017/10/102017급성 심장 마비로 별세(2017/10/10)
대행
이승엽2017/10/102017/12/032017
21대
최윤겸2017/12/112018/12/122018
22대
조덕제2018/12/202020/09/292019–2020창단 첫 K리그1 승격, 두번째 강등 성적
대행
이기형2020/09/292020/11/012020
23대
히카르두 페레스/Ricardo Perespt2020/11/252022/05/312021–2022역대 최악 성적
24대
박진섭2022/06/032024/07/082022–2024
대행
유경렬2024/07/082024/07/142024
25대
조성환2024/07/142024-


9. 클럽 문화

전신 대우 로얄즈의 서포터즈인 로얄패밀리를 이어받은 팬클럽이다.

열정적인 응원! 12번째 선수!

부산을 응원하는 여러분들이 모두 서포터즈입니다.

더 나아가서 부산이 경기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함께하며 경기장에서 직접 우리 목소리를 전하고, 부산의 승리를 우리들의 목소리로 이끌어 나가는것을 목표로 한다

Go on Together

부산 아이파크 공식 서포터즈 : P.O.P (Pride of Pusan)

뿐만 아니라 응원단과 치어리딩 문화로 즐겁게 응원할 수 있다.

9. 1. 엠블럼

부산 아이파크의 엠블럼은 유럽 가문의 문장을 활용하여 명문 구단 이미지를 표현한다. 기존 엠블럼을 단순화하고 유럽 스타일의 세련된 느낌을 살려 디자인되었다. 외곽의 회색 테두리는 국제 무역항으로 뻗어나는 부산과 세계적 명문 구단으로 성장하는 아이파크를 상징하는 글로벌 시장을 의미한다.

엠블럼의 색상은 감각, 열정, 힘, 에너지를 나타내는 빨간색과 이성적인 회색을 사용하여 구단의 힘과 에너지를 표현하고 도전 (INNOVATION)을 추구하며 이지적인 느낌을 나타낸다.

부산 아이파크의 엠블럼은 워드마크 'I'를 모티브로, 빠른 속도와 정확성을 바탕으로 자율 축구와 밸런스 축구를 지향한다. 로고타입은 심볼마크, 엠블럼과 함께 부산 아이파크 축구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상징물이자 부산 아이파크 T.I.P (Team Identity Progrmam)의 핵심적인 기본 요소이다.

9. 2. 마스코트

처음에는 우승이와 연승이라는 올드 잉글리쉬 쉽독이 구단을 대표하는 마스코트였으나 실종사건을 겪고 나이와 건강상의 문제로 은퇴했다.

현재는 똑디(2016~), 해라(2021~)가 마스코트로 활동하고 있다.

9. 3. 유니폼

부산 아이파크의 원년 컬러는 빨간색이었으며, 파란 유니폼은 프로화된 1984년부터 도입되었다.[7] 1983년 수퍼리그 당시에는 붉은 유니폼과 하얀색 상의에 검은색 하의의 유니폼을 착용했으며, 1984년에는 붉은색 하의도 사용되었다.[7]

부산 아이파크는 다음과 같은 회사들의 유니폼을 착용했다.

9. 4. 서포터즈

부산 아이파크의 서포터즈는 전신인 대우 로얄즈의 서포터즈 '로얄패밀리'를 이어받은 팬클럽이다. 열정적인 응원으로 12번째 선수 역할을 하며, 부산이 경기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함께하며 선수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승리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산 아이파크의 공식 서포터즈는 P.O.P(Pride of Pusan)이다. 이들은 응원단과 치어리딩 문화를 통해 더욱 즐겁게 응원할 수 있도록 돕는다.

9. 5. 경기장

경기장이름소유주개장년도사용기간
사용시작사용종료
|100px]]
구덕종합운동장[https://stadium.busan.go.kr/00_main/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1928년1987년현재[49]
|100px]]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https://web.archive.org/web/20081101190855/http://www.stadium.busan.kr/ 부산광역시 체육시설 관리사업소]2001년2002년현재



부산 아이파크는 1987년부터 구덕종합운동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49] 2002년부터는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49]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관중석과 피치 사이의 간격이 넓어 경기 관람이 어렵고, 경기장이 커서 관중이 적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 시즌부터 동쪽과 북쪽 스탠드 방향 육상 트랙 위에 가변좌석을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다.[51]

2015년부터 다시 구덕종합운동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17 시즌부터는 부산 아이파크의 모든 홈 경기를 단독으로 개최하였다. 2022년에는 구덕종합운동장 개보수로 인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임시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2023년 5월 말경 구덕종합운동장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어 다시 홈 경기를 개최하게 되었다.

2024년에는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의 트랙 공사 및 전국체육대회 준비를 위한 개보수로 인해 6월 29일 성남전부터 구덕종합운동장에서 남은 시즌 홈 경기들을 치르게 되었다.[50] 구덕종합운동장은 12,349석 규모이며 최대 30,0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본부석에만 지붕이 있으며, 내셔널리그 부산교통공사 축구단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9. 6. 클럽하우스

부산 강서구 대저1동에 클럽하우스가 위치해 있으며, 2003년 2월 27일에 개관했다. 생활관과 2면의 천연잔디구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관 내에는 웨이트실, 락커룸, 샤워실, 미팅룸, 휴게실, 치료실, 식당, 연습구장, 풋살경기장, 우승트로피 진열장, 체력단련실, 숙소, 의무실, 회의실 등이 갖춰져 있어 훈련 및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1층 로비는 팬들을 위한 팬존으로 구성하여 선수와 팬이 하나가 될 수 있게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1984 https://www.rsssf.or[...] 2023-07-01
[2] 웹사이트 South Korea 1999 https://www.rsssf.or[...] 2023-07-01
[3] 웹사이트 K-League all OK but not special https://www.koreatim[...] 2024-10-20
[4] 웹사이트 K LEAGUE / K리그 http://www.kleague.c[...] 2018-12-10
[5] 웹사이트 2020 Season Review: Busan IPark http://www.kleagueun[...] 2020-12-08
[6] 웹사이트 2021 Busan IPark Season Preview http://www.kleagueun[...] 2021-02-11
[7] 웹사이트 2021 Season Review : Busan IPark http://www.kleagueun[...] 2021-12-05
[8] 웹사이트 선수단 https://www.busanipa[...] Busan IPark 2024-05-09
[9] 웹사이트 코칭스태프 https://www.busanipa[...] Busan IPark 2024-05-09
[10] 웹사이트 Kit Thread: What all 25 K League teams will be wearing in 2024 http://www.kleagueun[...] 2024-06-17
[11] 문서 4th in league, 2nd in play-offs
[12] 문서 5th in league, 6th in play-offs
[13] 뉴스 부산, 포항 누르고 극적 상위 스플릿 합류…성남도 승리 https://web.archive.[...] 베스트일레븐 2013-09-01
[14] 뉴스 새한자동차 축구팀 창단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9-11-22
[15] 뉴스 가을철實業蹴球(실업축구) 大宇(대우),商銀(상은)제쳐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0-10-27
[16] 뉴스 맏형부터 막내까지 축구왕국 꿈꾸는 대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2-02-03
[17] 뉴스 축구중흥 사활건「새출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3-05-03
[18] 뉴스 대우그룹회장 김우중씨 "수담은 운을 초월한 두뇌스포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9-30
[19] 뉴스 대우 프로창단감독에 전대표감독 조윤옥씨 총감독엔 장운수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10-19
[20] 뉴스 프로축구창단 유보 대우, 선수확보안돼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11-28
[21] 뉴스 프로축구 대우 본격적 클럽시스템 도입 내년 28억들여 프로,아마,중,고,대학팀 운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12-03
[22] 뉴스 대우 "왕관" 빛나다 대망의 프로축구 정상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1-12
[23] 뉴스 5행 스포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6-11-06
[24] 뉴스 대우,아프리카 최강 모로코 완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01-17
[25] 뉴스 동독 엥겔 감독대행 영입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88-12-22
[26] 뉴스 헝가리人 비츠케이 대우축구감독 내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0-11-06
[27] 뉴스 대우 올 전관왕 축하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0-30
[28] 뉴스 프로구단에도 매각, 빅딜 바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12-23
[29] 뉴스 대우 로얄즈 축구단 현대산업개발에서 인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2-10
[30] 뉴스 현대, 대우축구단 인수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0-02-10
[31] 뉴스 부산 아이콘스 프로축구단 창단식 개최 https://web.archive.[...]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브랜드 홈페이지 2000-03-07
[32] 뉴스 7연패 동네북 부산 "답답해요"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0-05-22
[33] 뉴스 부산 '명가재건' 때가 왔다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1-05-09
[34] 뉴스 부산 아이콘스도 서울로 연고지 이전 신청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4-02-11
[35] 뉴스 프로축구 부산,서울 연고이전 선언…팬들 강력 반발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02-11
[36] 뉴스 부산, 연고지 이전 철회 시사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4-02-11
[37] 뉴스 부산, 연고지 잔류…LG, 서울 이전 https://news.naver.c[...] YTN 2004-03-10
[38] 뉴스 부산, 팀명 '아이콘스'에서 '아이파크'로 변경 https://news.naver.c[...] 조이뉴스24 2005-02-21
[39] 뉴스 부산 서포터, "어처구니없는 사태에 분노" 성명서 https://web.archive.[...] OSEN 2007-08-04
[40] 웹사이트 금번 올림픽대표 감독선임에 대한 붉은악마 성명서, https://web.archive.[...] 붉은악마 2007-08-18
[41] 뉴스 부산, 제2의 '김호+고종수 효과' 노린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8-01-22
[42] 뉴스 '34명 중 20명 OUT' 부산의 쇄신 목표는? http://footballist.c[...] 풋볼리스트 2015-12-17
[43] 뉴스 프로축구 부산 아이파크 새 사령탑에 조진호 감독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11-25
[44] 웹사이트 부산 아이파크, 2017시즌 홈 전경기 '구덕운동장'에서 http://www.sportswor[...]
[45] 뉴스 [속보]조진호 부산 감독, 심장마비로 사망 http://sports.naver.[...] 2017-10-10
[46] 문서 소속리그 등급
[47] 문서 정규리그 4위, 플레이오프 2위
[48] 문서 정규리그 5위, 플레이오프 6위
[49] 문서 2002시즌을 끝으로 사용을 종료했으나 2015시즌부터 다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50] 뉴스 부산아이파크, 일정 앞당겨 '구덕운동장' 다시 간다…그런데 왜 발걸음이 무겁지?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51] 뉴스 부산AG 주경기장 축구 전용구장처럼… https://web.archive.[...] 부산일보 2008-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