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살랄 S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움살랄 SC는 1979년 알 타다문 클럽으로 창단된 카타르의 축구 클럽이다. 1996년 재창단 이후 카타르 2부 리그에서 세 차례 우승했으며, 200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6-07 시즌 카타르 스타스 리그로 승격하여 2시즌 연속 3위를 기록했고, 2008년 에미르 컵 우승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 진출했다. 팀의 별명인 "바르잔의 매"는 움 살랄 모하메드 요새의 바르잔 타워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움살랄 SC -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은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및 핸드볼 경기 개최지이며, 2024년 AFC U-23 아시안컵 대체 경기장으로 선정되었으나,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유치 과정에서 제안된 경기장 확장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다. - 카타르 스타스 리그 구단 - 카타르 SC
카타르 SC는 1972년 창단되어 알 에스테크랄이라는 이름으로 카타르 스타스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 재기에 성공했으나 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한 축구 클럽이다. - 카타르 스타스 리그 구단 - 알라이얀 SC
알라이얀 SC는 1967년 창단된 카타르의 축구 클럽으로, 카타르 스타스 리그 8회 우승 및 카타르 국왕컵 6회 우승 등 국내 대회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79년 설립된 축구단 - 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는 1979년 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 시작하여 대우 로얄즈를 거쳐 200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대우 로얄즈 시절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과 K리그1 4회 우승 등 굵직한 족적을 남겼으며 현재는 조성환 감독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1979년 설립된 축구단 - 알나프트 SC
알나프트 SC는 1979년 이라크 석유부에서 창단되어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으며 1998년 움 알-마아리크 챔피언십에서 우승, 2016-17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기록한 이라크의 스포츠 클럽이다.
움살랄 S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움살랄 스포츠 클럽 نادي أم صلال الرياضي |
별칭 | 바르잔의 매 |
창단 | 1979년 |
경기장 | 수하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수용 인원 | 12,000명 |
회장 |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
감독 | 파블로 마친 |
리그 | 카타르 스타스 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카타르 스타스 리그, 12팀 중 7위 |
웹사이트 | 움살랄 SC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정보 (일본어) | |
원어 표기 | نادي أم صلال الرياضي |
애칭 | 해당사항 없음 |
연고지 | 움 살랄 |
스타디움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
대표 | 파이살 빈 아흐마드 아르=사니 |
감독 (일본어) | 라울 카네다 |
클럽 정보 (한국어) | |
풀 네임 | 움살랄 스포츠 클럽 نادي أم صلال الرياضي |
별칭 (한국어) | 바르잔의 매 |
홈구장 |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
수용인원 | 21,175 |
회장 (한국어) | 압둘라지즈 빈 압둘라흐만 알타니 |
유니폼 | |
홈 | pattern_la1: _jakoanimal232nob pattern_b1: _jakoanimal232nob pattern_ra1: _jakoanimal232nob leftarm1: FF8D00 body1: FF8D00 rightarm1: FF8D00 shorts1: FF8D00 socks1: FF8D00 |
원정 | pattern_la2: _pumaglory22w pattern_b2: _pumaultimate23w pattern_ra2: _pumaglory22w pattern_sh2: _pumaliga2122w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써드 | pattern_la3: _pumaglory22b pattern_b3: _pumaultimate23b pattern_ra3: _pumaglory22b pattern_sh3: _pumaliga2122b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
홈 (한국어) | pattern_la1: _jakochamp2mo pattern_b1: _jakochamp2mo pattern_ra1: _jakochamp2mo pattern_sh1: _jakostrike1920mo pattern_so1: _jakolazio19mo leftarm1: F1771D body1: 810000 rightarm1: F1771D shorts1: 810000 socks1: 810000 |
원정 (한국어) | pattern_la2: _rubin1920t pattern_b2: _rubin1920t pattern_ra2: _rubin1920t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써드 (한국어) | pattern_la3: _jakoprestige1920b pattern_b3: _jakoprestige1920b pattern_ra3: _jakoprestige1920b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
2. 역사
움살랄 SC는 1979년 "알 타다문 클럽"(Al-Tadamun Club)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카타르 2부 리그에 참가했다.[1] 다른 두 클럽이 해체된 후, 알 타다문도 해체되었다. 1996년 셰이크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만 알 타니가 클럽을 이끌면서 재창단되었고,[2] 재창단 후 두 번째 시즌에 카타르 2부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2000년과 2006년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카타르 올림픽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알 타다문 클럽"은 "움살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06-07 시즌 카타르 스타스 리그로 승격된 후, 두 시즌 연속 리그 3위를 기록했다. 2008년에는 에미르 컵 결승에서 알 가라파를 승부차기로 꺾고 2009년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2009년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이는 당시 카타르 클럽이 기록한 최고 성적이었다.
팀의 별명인 "바르잔의 매"는 움 살랄 모하메드 요새의 바르잔 타워에서 유래되었다.[3] 이 탑은 라마단 기간에 정확한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79년 ~ 2004년)
움살랄 SC는 1979년 "알 타다문 클럽"(Al-Tadamun Club)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카타르 2부 리그에 참가했다.[1] 2부 리그에서 다른 두 클럽이 해체된 후, 알 타다문도 해체되었다. 1996년에 셰이크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만 알 타니가 클럽을 이끌면서 재창단되었고,[2] 재창단 후 두 번째 시즌에 카타르 2부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2000년과 2006년에 두 번 더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2004년, 카타르 올림픽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클럽의 이름 "알 타다문 클럽"은 "움살랄"로 변경되었다.
2. 2. 움 살랄 SC로의 변경과 성장 (2004년 ~ 현재)
2004년, 카타르 올림픽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클럽의 이름이 "알 타다문 클럽"에서 "움살랄"로 변경되었다.[1] 2006-07 시즌에 카타르 스타스 리그로 승격된 후, 2시즌 연속 리그 3위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2008년에는 에미르 컵 결승에서 알 가라파를 승부차기 끝에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2009년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2]2009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움살랄 SC는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는데, 이는 당시 카타르 클럽이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기록한 최고 성적이었다. 비록 준결승에서 포항 스틸러스에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움살랄 SC의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활약은 카타르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팀의 별명인 "바르잔의 매"는 움 살랄 모하메드 요새에 있는 바르잔 타워에서 유래되었다.[3] 이 탑은 라마단 기간 동안 정확한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2. 2. 1. 주요 대회 성적
대회 | 우승 | 준우승 |
---|---|---|
카타르 국왕컵 | 2008 | 2010 |
셰이크 자심컵 | 2009 | 2011 |
카타르 스타스컵 | 2024 | 2010, 2023 |
카타르 2부 리그 | 1998, 2000, 2006 |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챔피언스 리그 | 11 | 4 | 3 | 4 | 11 | 20 |
합계 | 11 | 4 | 3 | 4 | 11 | 20 |
- '''Q''' = 예선
- '''GS''' = 조별 리그
- '''R16''' = 16강
- '''QF''' = 8강
- '''SF''' = 준결승
'''AFC 챔피언스 리그'''
- 아미르컵:1회
- * 2008
- 셰이크 자심컵:1회
- * 2009
3. 클럽 문화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클럽 문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상징

3. 2. 엠블럼과 유니폼
클럽 엠블럼은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사용된 것을 시작으로, 2004년부터 2007년, 2007년부터 2011년, 그리고 2011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엠블럼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기간 | 유니폼 제조사 | 유니폼 스폰서 |
---|---|---|
2006–11 | 나이키 | 라스가스 |
2012-14 | 없음 | 없음 |
2014–15 | MSC–Q | 없음 |
2015–16 | 푸마 | 없음 |
2016–17 | 아디다스 | 없음 |
2021-23 | 야코 | 없음 |
2023-24 | 푸마 | 없음 |
2024-현재 | 야코 | 없음 |
4. 경기장
34500m2 규모의 움 살랄 스타디움은 1996년 움 살랄 알리에 건설되었으며, 축구 경기장 2개, 라커룸, 행정 사무실을 갖추고 있다.[4] 그러나 수용 인원 및 시설 부족으로 인해, 클럽은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
5. 선수단
움살랄 SC의 선수단은 2023-24 시즌 기준 카타르 스타스 리그에서 활동하는 현재 선수 명단, 주요 선수, 그리고 역대 선수들로 구성된다.
주요 선수로는 자와드 아켈, 이브라히마 나디아, 바바 말릭, 이스마일 무사, 데얍 알아나비, 제두, 파비우 세자르, 무스타파 아덴, 사우드 가넴 (이상 카타르), 야니크 사그보 (코트디부아르), 모하메드 후사인 (바레인), 마그노 아우베스, 다히 알 나에미 (브라질)가 있다.
역대 선수로는 파비우 세자르, 무하마드 알 사이드 (이상 카타르), 사브리 라무시 (프랑스), 무사 은디아예 (세네갈), 알라 후바일 (바레인), 마그노 아우베스, 니바우두, 다비 (이상 브라질), 가브리 (스페인), 마리오 멜키오트 (네덜란드), 카보레 (브라질), 무라드 메그니 (알제리), 엘 카르쿠리 (모로코),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있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DF | 오마르 야흐야 | ||
DF | 사예드 이사 | ||
MF | 압델라흐만 라아파트 | ||
MF | 빅토르 레칼 | ||
FW | 켄지 고레 | ||
MF | 아델 알-술라이마네 | ||
FW | 안토니오 만체 | ||
MF | 오스만 알-야흐리 | ||
MF | 할리드 압둘라우프 | ||
GK | 루아이 아슈르 | ||
MF | 우사마 탄네 | ||
DF | 마루안 루아드니 | ||
MF | 사예드 아흐메드 | ||
MF | 할레드 왈리드 | ||
FW | 압달라 할레드 | ||
DF | 나임 라이두니 | ||
DF | 알리 아피프 | ||
DF | 할리파 알-말키 | ||
DF | 에디디옹 에시엔 | ||
GK | 랜딩 바지 | ||
GK | 제하드 후디브 | ||
DF | 아흐메드 압델나비 | ||
MF | 알 파하드 하이다라 | ||
GK | 아흐마드 이스마엘 | ||
FW | 메샬 알-샴메리 | ||
DF | 압둘라흐만 알-라시디 | ||
FW | 알리 알-무한나디 | ||
MF | 아흐메드 알 사아디 | ||
MF | 압둘아지즈 알-바크리 |
5. 2. 주요 선수
[5][6]리그 경기만 계산하며, 팀에서 최소 50경기 이상 출전해야 이 목록에 포함된다.
이름 | 국적 | 포지션 | 데뷔 | 출전 | 골 |
---|---|---|---|---|---|
자와드 아켈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6 | ||
이브라히마 나디아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3 | ||
바바 말릭 | قطر|카타르ar | 골키퍼 | 2013 | ||
야니크 사그보 |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 스트라이커 | 2015 | ||
이스마일 무사 | قطر|카타르ar | 수비수 | 2011 | ||
데얍 알아나비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14 | ||
제두 | قطر|카타르ar | 스트라이커 | 2007 | ||
파비우 세자르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6 | ||
무스타파 아덴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6 | ||
사우드 가넴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6 | ||
모하메드 후사인 | البحرين|바레인ar | 수비수 | 2009 | ||
마그노 아우베스 | Brasil|브라질pt | 스트라이커 | 2008 | ||
다히 알 나에미 | قطر|카타르ar | 미드필더 | 2007 |
주요 선수 |
---|
5. 3. 역대 선수
이름 | 국적 | 포지션 | 재임 기간 |
---|---|---|---|
파비우 세자르 | قطر|카타르ar | 2006-2010, 2013-2016 | |
사브리 람우시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2007-2009 | |
무사 은디아예 | Sénégal|세네갈sn | 2008 | |
알라 후바일 | البحرين|바레인ar | 2008-2009 | |
마그노 아우베스 | Brasil|브라질pt | 2008-2010, 2012 | |
니바우두 | Brasil|브라질pt | 2008-2009 | |
다비 | Brasil|브라질pt | 2009-2011 | |
가브리 | España|스페인es | 2010-2011 | |
마리오 멜키오트 | Nederland|네덜란드nl | 2010-2011 | |
카보레 | Brasil|브라질pt | 2011-2014 | |
무하마드 알 사이드 | قطر|카타르ar | -2012 | |
무라드 메그니 | الجزائر|알제리ar | 2011-2012 | |
엘 카르쿠리 | المغرب|모로코ar | 2011-2012 | |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2012-2014 |
6. 역대 감독
7.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아미르 컵 | 1 | 0 | 2008 | |
셰이크 자셈 컵 | 1 | 1 | 2009 | 2011 |
카타르 국왕컵 | 1 | 1 | 2008 | 2010 |
카타르 스타스컵 | 1 | 2 | 2024 | 2010, 2023 |
카타르 2부 리그 | 3 | 0 | 1998, 2000, 2006 |
7. 1.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아미르 컵 | 1 | 2008 |
셰이크 자셈 컵 | 1 | 2009 |
카타르 국왕컵 | 1 | 2008 |
카타르 스타스컵 | 1 | 2024 |
카타르 2부 리그 | 3 | 1998, 2000, 2006 |
수정 사항:결과물은 이미 지시사항을 잘 준수하고 있습니다. 변경할 내용이 없습니다.
8. 클럽 운영진
9. 코칭 스태프
파이살 파헤드
이마드 다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