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리그 디비전 2 200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2리그 디비전 2 2007 시즌은 2006 시즌 J1리그에서 강등된 아비스파 후쿠오카, 세레소 오사카, 교토 상가 FC를 포함한 13개 팀이 참가하여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가 우승하여 J1으로 승격되었고, 도쿄 베르디 1969가 2위로 자동 승격, 교토 상가 FC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헐크가 37골로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베갈타 센다이가 가장 많은 관중을 동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 축구 리그 - 중국 슈퍼리그 2007
    중국 슈퍼리그 2007은 중국 프로축구 리그의 4번째 시즌으로, 허난 젠예와 저장 뤼청이 승격하여 참가했고 창춘 야타이가 우승했으며, 시즌 중 상하이 선화와 상하이 롄청의 합병, 리진위의 득점왕, 두전위의 올해의 선수상 수상 등이 있었다.
  • 2007 축구 리그 - 2007년 K리그
    2007년 K리그는 14개 팀이 참가하여 정규 리그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를 거쳐 포항 스틸러스가 우승을 차지했고,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가 최우수선수와 도움왕을, 까보레가 득점왕을 수상했다.
  • J2리그 시즌 - J리그 디비전 2 2006
    J리그 디비전 2 2006은 가시와 레이솔, 도쿄 베르디, 빗셀 고베 등 13개 클럽이 참가하여 쿼드러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 J2리그의 2006년 시즌으로, 요코하마 FC 우승, 가시와 레이솔 2위, 빗셀 고베가 J1리그로 승격했으며, 요코하마 FC의 돌풍과 J1리그 강등팀들의 경쟁, 에히메 FC의 선전이 특징이다.
  • J2리그 시즌 - J리그 디비전 2 2011
    J리그 디비전 2 2011은 FC 도쿄의 우승과 J1리그 승격, 사간 도스와 콘사돌레 삿포로의 승격, 그리고 20개 팀의 참가로 구성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 J2리그의 2011년 시즌이다.
J리그 디비전 2 2007
시즌 정보
대회J리그 디비전 2
시즌2007
우승팀콘사돌레 삿포로
우승 횟수2회 (J2리그 우승 기준)
5회 (D2리그 우승 기준)
승격팀콘사돌레 삿포로
도쿄 베르디 1969
교토 상가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교토 상가
총 경기 수312
총 득점782
리그 득점왕후키 (37골)
최다 득점 선수 (일본어판)후키 (39골)
경기 통계
최고 관중32,599명 (50라운드, 콘사돌레 vs. 상가)
최저 관중958명 (11라운드, 홀리호크 vs. 벨마레)
평균 관중6,521명
최대 점수차 승리도쿄 V 5-0 구사쓰 (1라운드, 3월 4일)
도스 0-5 후쿠오카 (1라운드, 3월 4일)
도스 0-5 쇼난 (10라운드, 4월 22일)
최다 득점 경기센다이 5-2 도스 (9라운드, 4월 14일)
삿포로 4-3 도쿄 V (10라운드, 4월 22일)
C 오사카 4-3 센다이 (31라운드, 7월 29일)
교토 4-3 후쿠오카 (36라운드, 8월 26일)
시즌 흐름
이전 시즌2006
다음 시즌2008

2. 리그 개요

2007년 J리그 디비전 2는 3월 3일부터 12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J1리그와는 달리, 아시안컵 대회 기간 중에도 중단 없이 리그가 개최되었다.

전 시즌 J1에서 강등된 교토 상가 FC, 세레소 오사카, 아비스파 후쿠오카를 포함하여 총 13개 팀이 참가했다. 특히, 이번 시즌부터 '''교토 퍼플 상가'''가 '''교토 상가 FC'''로 클럽명을 변경했다. 2004년 시즌 이후 3시즌 만에 JFL에서 승격하는 클럽이 없었고, J1에서 강등된 3개 클럽 모두 이전에 J2 소속 경력이 있었기 때문에, J2 사상 2번째로 첫 참가 클럽이 없는 시즌이 되었다.

2007 시즌 J2 참가팀
팀명감독소재지 (도도부현)홈 경기장전년도 성적
콘사돌레 삿포로미우라 토시야|미우라 도시야일본어홋카이도삿포로 돔
삿포로 아츠베츠 공원 경기장
6위
베갈타 센다이모치즈키 타츠야|모치즈키 다쓰야일본어미야기현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5위
몬테디오 야마가타히구치 야스히로|히구치 야스히로일본어야마가타현ND 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8위
미토 홀리호크마에다 히데키|마에다 히데키일본어이바라키현카사마츠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10위
더스파 구사츠우에키 시게하루|우에키 시게하루일본어군마현군마현립 시키시마 공원 현영 육상 경기장12위
도쿄 베르디 1969라모스 루이|라모스 루이mul도쿄도아지노모토 스타디움7위
쇼난 벨마레스게노 마사아키|스게노 마사아키일본어가나가와현히라츠카 경기장11위
교토 상가 FC미노베 나오히코|미노베 나오히코일본어교토부교토 시립 서쿄고쿠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겸 경기장J1 18위
세레소 오사카츠나미 토시후미|쓰나미 도시후미일본어오사카부나가이 육상 경기장J1 17위
도쿠시마 보르티스이마이 마사타카|이마이 마사타카일본어도쿠시마현나루토·오츠카 스포츠 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13위
에히메 FC모치즈키 카즈히토|모치즈키 가즈히토일본어에히메현에히메현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9위
아비스파 후쿠오카피에르 리트바르스키|피에르 리트바르스키de후쿠오카현히가시헤이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경기장J1 16위
사간 도스키시노 야스유키|기시노 야스유키일본어사가현도스 스타디움4위




2. 1. 경기 방식

2007년 시즌부터 J리그 디비전 2는 13개 구단이 4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구단은 총 48경기를 치렀으며,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었다. 구단 순위는 승점으로 결정되었으며, 동점 시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

  • 득실차
  • 득점
  • 승자승 결과


필요한 경우 추첨을 통해 순위를 결정했다. 그러나 1위 두 구단이 동점일 경우, 두 구단 모두 우승팀으로 선언되었다. 상위 2개 구단은 J1리그로 승격되었고, 3위 구단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 2. 리그 순위 결정 방식

13개 구단이 4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며, 각 구단은 총 48경기를 치르게 된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 구단 순위는 승점으로 결정되며, 동점 시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한다.[1]

필요한 경우 추첨을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그러나 1위 두 구단이 동점일 경우, 두 구단 모두 우승팀으로 선언된다. 상위 2개 구단은 J1으로 승격되며, 3위 구단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1]

3. 참가 팀

(도도부현)홈 경기장콘사도레 삿포로柳下 正明|야나기시타 마사아키일본어홋카이도삿포로 돔, 삿포로 아쓰베쓰 공원 경기장베갈타 센다이望月 達也|모치즈키 다쓰야일본어미야기현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몬테디오 야마가타樋口 靖洋|히구치 야스히로일본어야마가타현ND 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미토 홀리호크前田 秀樹|마에다 히데키일본어이바라키현가사마쓰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더스파 구사츠植木 繁晴|우에키 시게하루일본어군마현군마 현립 시키시마 공원 현영 육상 경기장도쿄 베르디 1969ラモス 瑠偉|라모스 루이일본어도쿄도아지노모토 스타디움쇼난 벨마레菅野 将晃|스게노 마사아키일본어가나가와현히라쓰카 경기장교토 상가 FC美濃部 直彦|미노베 나오히코일본어교토부교토 시립 니시쿄고쿠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 겸 구기장세레소 오사카都並 敏史|쓰나미 사토시일본어오사카부나가이 육상 경기장도쿠시마 보르티스今井 雅隆|이마이 마사타카일본어도쿠시마현나루토 오쓰카 스포츠 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에히메 FC望月 一仁|모치즈키 가즈히토일본어에히메현에히메 현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아비스파 후쿠오카Pierre Littbarski|피에르 리트바르스키de후쿠오카현레벨파이브 스타디움사간 도스岸野 靖之|기시노 야스유키일본어사가현도스 스타디움




3. 1. 팀별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콘사돌레 삿포로482710116645+2191
2도쿄 베르디 1969482611119057+3389
3교토 퍼플 상가482414108059+2186
4베갈타 센다이482411137254+1883
5세레소 오사카48248167255+1780
6쇼난 벨마레48238177255+1777
7아비스파 후쿠오카48227197761+1673
8사간 도스48219186366-372
9몬테디오 야마가타481513204656-1058
10에히메 FC48129273966-2745
11더스파 구사쓰48721204271-2942
12미토 홀리호크48810303270-3834
13도쿠시마 보르티스48615273167-3633


3. 2. 경기 결과

0–12–2
0–11–2
0–11–0
2–03–0
3–21–1
3–01–2
1–32–4
1–12–0
2–11–2
0–12–1
2–12–1
2–0쇼난0–2
1–22–1
1–01–2
3–00–0
1–12–0
2–10–4
1–14–1
3–12–4
2–23–2
2–11–2
0–13–0
1–12–1
2–0세레소2–0
4–01–4
2–20–1
1–00–2
4–20–0
2–01–0
3–03–0
2–13–2
2–11–0
2–10–2
4–30–2
2–21–1
3–1콘사돌레0–0
2–10–0
1–21–0
3–01–0
1–13–0
2–11–1
3–01–0
1–12–0
2–22–2
2–11–0
0–14–3
2–21–1
1–0에히메0–0
3–30–4
2–10–2
0–22–1
0–10–0
0–00–1
3–10–2
1–23–0
0–10–1
1–30–1
1–11–1
1–0미토1–4
1–10–2
0–21–3
1–00–2
2–13–0
1–00–1
0–10–1
0–20–2
1–21–3
0–01–3
0–10–1
1–21–1
1–0몬테디오1–2
1–21–0
0–12–1
0–10–1
0–13–1
1–01–2
1–02–1
1–31–1
1–21–1
2–03–3
1–11–1
0–20–0
2–0사간0–5
3–10–5
2–11–0
0–20–1
1–00–1
0–15–1
0–02–1
0–02–0
3–02–0
1–11–0
0–32–1
3–11–0
2–1교토 상가2–1
4–30–0
2–11–1
2–22–0
2–32–1
3–12–1
2–13–0
2–11–1
1–01–1
1–15–1
1–01–4
1–21–1
1–1더스파 구사츠0–3
1–52–0
0–10–2
2–22–1
0–30–2
1–01–0
0–00–2
1–11–1
2–20–1
1–11–3
1–10–0
2–20–0
0–0베갈타1–0
1–02–1
2–31–0
2–11–1
0–23–0
0–12–0
1–12–0
1–15–2
1–00–1
1–01–1
1–12–2
1–41–2
2–0도쿄 베르디 19694–2
2–01–0
3–02–0
4–00–1
5–10–1
2–11–5
2–01–0
1–13–1
3–21–3
1–15–0
3–12–1
1–10–3
1–0도쿠시마0–1
0–30–2
2–00–4
0–20–3
3–02–1
1–10–0
0–10–1
0–11–1
2–20–4
0–20–0
2–22–2
1–20–1
0–3



2007년 12월 1일 기준

4. 주요 이슈

2007년 J2리그는 여러가지 이슈들로 주목을 받았다. 시즌 초반에는 도쿄 베르디세레소 오사카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도쿄 베르디는 전 일본 대표 선수들과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7연패를 기록했고, 세레소 오사카는 감독이 조기에 경질되기도 했다. 그러나 도쿄 베르디는 시즌 막판 저력을 발휘하며 2위로 J1리그 자동 승격권을 획득했다.

삿포로는 시즌 초반부터 견고한 수비와 빠른 공격을 바탕으로 7연승을 기록하며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1] 한편, 세레소 오사카는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로 인해 홈 구장을 나가이 스타디움에서 나가이 제2 경기장으로 임시 이전해야 했다.

4. 1. 승격 경쟁

시즌 초반에는 전 일본 대표나 거물 외국인을 영입하며 대대적인 보강을 단행한 도쿄 베르디가 주목을 받았지만, 7연패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다. 세레소 오사카도 초반 부진으로 감독이 조기 경질되는 등 하위권에 머물렀다. 반면, 삿포로는 견고한 수비와 속공을 바탕으로 7연승을 기록하며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1]

8월 말, 삿포로의 수비가 갑자기 무너지며 주춤한 사이, 베갈타 센다이, 교토 등과 초반 부진을 딛고 일어선 도쿄 베르디와 세레소 오사카가 승격 경쟁에 합류하며 혼전 양상을 보였다.[1]

시즌 막판, 승격 경쟁은 더욱 치열해져 최종전을 남겨둔 시점에서 1위 도쿄 베르디, 2위 삿포로, 3위 교토에게까지 승격 가능성이 열려 있었다. 특히 도쿄 베르디는 득실차에서 크게 앞서 사실상 승격이 결정된 상황이었다.[1]

최종전에서 도쿄 베르디는 세레소 오사카와 무승부를 기록했고, 삿포로는 미토 홀리호크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J1 승격을 확정지었다. 도쿄 베르디는 비록 2위로 떨어졌지만, 시즌 초반 7연패의 부진을 딛고 자동 승격권을 획득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3위 교토는 J1・J2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순위결과
1콘사도레 삿포로J1 자동 승격
2도쿄 베르디 1969J1 자동 승격
3교토 상가J1·J2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 2. 강등 (JFL)

2007년 시즌부터 J리그 디비전 2의 참가 팀 수가 13개에서 12개로 줄었다. 더스파구사츠 군마는 JFL로 강등되었고, 요코하마 FCJ1리그로 승격되었다.[1]

4. 3. 기타 이슈

도쿄 베르디는 시즌 초반 7연패를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세레소 오사카 또한 시즌 초반 부진으로 토나미 사토시 감독이 5월에 조기 경질되는 등 하위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도쿄 베르디는 시즌 막판 맹추격을 통해 2위로 자동 승격권을 확보했다.

한편, 세레소 오사카는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로 인해 8월까지 (6월 일부 제외) 홈 구장을 나가이 스타디움에서 나가이 제2 경기장으로 임시 이전했다.

5. 기록

J리그 디비전 2 2007 시즌은 13개 구단이 참가하여 각 팀당 48경기씩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부여했다. 승점이 같을 경우 득실차, 득점, 승자승 결과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1위 두 팀이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두 팀 모두 우승팀으로 처리했다. 상위 2개 구단은 J1으로 승격되었고, 3위 구단은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득점 순위와 관중 수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5. 1. 득점 순위

순위선수클럽득점
1Hulk|헐크pt도쿄 베르디37
2알렉스아비스파 후쿠오카26
3후지타 요시히토사간 도스24
파울리뉴교토 상가 FC24
5후루하시 타츠야세레소 오사카18
6다비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17
7링컨아비스파 후쿠오카16
8앙드레교토 상가 FC15
9반다이 히로키베갈타 센다이14
로페스베갈타 센다이14
[1]


5. 2. 관중 수

순위총 관중최다 관중최소 관중평균 관중
1베갈타 센다이352,43219,03311,30114,685
2콘사돌레 삿포로290,67632,5992,16112,112
3아비스파 후쿠오카228,70217,3612,7249,529
4도쿄 베르디 1969175,85016,3422,4817,327
5교토 상가159,10517,1632,5076,629
6세레소 오사카159,04420,1702,7116,627
7사간 도스146,73116,6612,8606,114
8쇼난 벨마레112,2547,9683,0924,677
9몬테디오 야마가타101,8369,1901,9444,243
10더스파 구사츠91,4016,8172,0613,808
11에히메 FC79,6196,3811,9333,317
12도쿠시마 보르티스78,9366,5661,8023,289
13미토 홀리호크57,9576,5439582,415
총계2,034,54332,5999586,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