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포스트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포스트시즌은 KBO 리그의 정규 시즌 이후,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해 열리는 토너먼트 방식의 대회이다. 역대 포스트시즌 성적, 통산 출전 기록, 최다 이닝 경기 등의 기록을 포함하며, MBC TV, SBS TV, KBS 1TV, KBS 2TV 등 다양한 방송사를 통해 중계되었다.
KBO 포스트시즌은 1982년 한국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우승팀이 한국시리즈에서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85년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으로 인해 한국시리즈가 열리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
2. 대회 역사
이에 따라 1986년부터 단일리그제를 채택하면서 포스트시즌 제도가 변경되었다. 상위 3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 진출팀을 가리는 방식이었다. 1989년부터는 4개 팀으로 확대되었고, 2001년부터는 준플레이오프가 3전 2선승제에서 5전 3선승제로 변경되었다.
2015년부터는 정규시즌 4위 팀과 5위 팀 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도입되어 포스트시즌 진출팀이 5개 팀으로 늘어났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주고 2경기 중 1승 1무 또는 2승을 거두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역대 포스트시즌 최다 이닝 경기는 총 7경기로, 1982년 10월 5일 삼성 라이온즈와 OB 베어스의 경기, 1983년 10월 19일 해태 타이거즈와 MBC 청룡의 경기, 2006년 10월 11일 한화 이글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서 15회까지 진행되었다.
2. 1. 역대 포스트시즌 성적
2. 2. 통산 포스트시즌 출전 기록
순위 | 팀 | 출전 횟수 |
---|---|---|
1 | 삼성 라이온즈 | 30 |
2 | 두산 베어스 | 26 |
3 | KIA 타이거즈 | 23 |
4 | LG 트윈스 | 18 |
5 | SSG 랜더스 | 14 |
6 | 한화 이글스 | 13 |
7 | 롯데 자이언츠 | 12 |
8 | 현대 유니콘스 | 10 |
9 | 키움 히어로즈 | 9 |
10 | NC 다이노스 | 7 |
11 | KT 위즈 | 5 |
12 | 쌍방울 레이더스 | 2 |
2. 3. 포스트시즌 최다 이닝 경기
일자 | 맞대결 팀 | 장소 | 이닝 |
---|---|---|---|
1982년 10월 5일 | 삼성 라이온즈 VS OB 베어스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 15회 |
1983년 10월 19일 | 해태 타이거즈 VS MBC 청룡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5회 |
2006년 10월 11일 | 한화 이글스 VS 삼성 라이온즈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5회 |
2013년 10월 11일 | 넥센 히어로즈 VS 두산 베어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4회 |
2013년 10월 14일 | 넥센 히어로즈 VS 두산 베어스 | 목동야구장 | 13회 |
2018년 11월 12일 | SK 와이번스 VS 두산 베어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3회 |
2020년 11월 2일 | 키움 히어로즈 VS LG 트윈스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13회 |
(생중계)
3. 역대 중계 방송사
비고 1986년 ~ 1995년
1997년, 2000년
2003년 ~ 2005년KBS 1TV [1][2] 1988년 ~ 1989년
1993년 / 1995년 ~ 현재KBS 2TV [3] 1982년 ~ 2000년
2005년 ~ 현재MBC TV [4] 1992년 ~ 현재 SBS TV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