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 라이온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대구와 경상북도를 연고지로 창단된 프로 야구단이다. 1985년 전후기 통합 우승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초반에 걸쳐 총 8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다. 현재는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이만수, 양준혁, 이승엽 등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일기획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제일기획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삼성 썬더스는 1978년 창단하여 2001년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한 한국프로농구 소속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2회 우승했으며 잠실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LG 트윈스
    LG 트윈스는 1982년 MBC 청룡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 인수된 후 KBO 리그에서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었으며, 잠실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삼성스포츠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삼성 라이온즈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삼성 라이온즈
영어 이름Samsung Lions
설립 연도1982년
연고지대구광역시
홈구장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2016년~현재)
포항야구장 (2012년~현재)
이전 홈구장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1982년~2015년)
구단주유정근
대표이사원기찬, 정홍구
스폰서제일기획
감독박진만
단장이종열
웹사이트삼성 라이온즈 공식 웹사이트
로고 및 상징
삼성 라이온즈 로고
삼성 라이온즈 로고
삼성 라이온즈 모자 로고
삼성 라이온즈 모자 로고
팀 명칭 변천사
팀 명칭삼성 라이온즈 (1982년 ~ 현재)
영구 결번
영구 결번 선수10
22
36
리그 및 시즌 정보
소속 리그KBO 리그
2군 리그KBO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리그 우승 횟수9
리그 우승 연도1982후기, 1984전기, 1985통합, 1986전기, 1987통합, 1999매직, 2001,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2015
한국시리즈 우승 횟수8
한국시리즈 우승 연도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한국시리즈 출장 횟수18
한국시리즈 출장 연도1982, 1984, 1986, 1987, 1990, 1993, 2001, 2002, 2004, 2005, 200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24
플레이오프 횟수14
플레이오프 출장 연도1986, 1988, 1990, 1991, 1993, 1997, 1998, 1999, 2000, 2004, 2008, 2010, 2021, 2024
준플레이오프 횟수9
준플레이오프 출장 연도1989, 1990, 1991, 1992, 1997, 2000, 2003, 2007, 2008
아시아 시리즈 정보
아시아 시리즈 우승 횟수1
아시아 시리즈 우승 연도2011
아시아 시리즈 출전 횟수5
아시아 시리즈 출전 연도2005, 2006, 2011, 2012, 2013
기타
마스코트블레오 패밀리 (블레오, 핑크레오, 레니, 라온)
모자 모양_SamsungLions
왼팔 모양_SamsungLions
몸통 모양_SamsungLions
오른팔 모양_SamsungLions
바지 모양_pinstripesonwhite
모자 색상193189
왼팔 색상dee1e8
몸통 색상dee1e8
오른팔 색상dee1e8
바지 색상dee1e8
양말 색상193189
원정 모자 모양_SamsungLions
원정 왼팔 모양_SamsungLions_away
원정 몸통 모양_SamsungLions_away
원정 오른팔 모양_SamsungLions_away
원정 바지 모양_pinstripesonwhite
원정 모자 색상193189
원정 왼팔 색상193189
원정 몸통 색상193189
원정 오른팔 색상193189
원정 바지 색상dee1e8
원정 양말 색상193189

2. 역사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2월 3일 대구·경상북도를 연고지로 창단되었으며, 초대 사장 겸 단장은 이수빈, 감독은 서영무, 구단주는 이건희였다.[2] 1995년부터 구단주 대행 체제로 운영되다가 2002년 현명관 구단주가 정식 취임하였고,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이수빈 초대 사장이 구단주를 맡았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임대기가 대표이사 겸 구단주를 맡았고, 2020년부터는 원기찬 전 삼성카드 대표이사가 대표이사 겸 구단주를 맡고 있다.

1985년 전·후기 통합 우승 이후 한국시리즈에서는 2002년에 처음으로 우승했다. 2004년 시즌 종료 후 김응용 감독을 구단 사장으로, 선동열 수석 코치를 감독으로 승진 발령했다.[10] 이후 2005년, 2006년에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시즌이 끝난 후 24년 동안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와 코치였던 류중일 감독이 부임하여 2011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V5를 달성했고,[11]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꺾고 대한민국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였다.[12] 2012년이승엽이 복귀하여 V6, V7, V8을 달성하며 통합 4연패를 이루었다. 2015년에는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지만, 원정도박 혐의로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이 엔트리에서 제외되었고, 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에게 내주며 통합 5연패가 좌절되었다.

2016년 팀 최초로 9위를 기록한 후 류중일 감독이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김한수가 새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7년에 2년 연속 9위라는 성적을 냈지만, 2018년에는 6위를 기록했다. 2019년 시즌 후, 김한수는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허삼영이 새로운 감독으로 신임되었다.

2020년에도 8위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두산에 2연패로 탈락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역대 최다 정규 시즌 우승, 팀 2500승 달성,[13] 통산 승률 1위(0.549), 시즌 최고 승률(85년 0.706) 등이 있으며, 프로 야구 구단 중 유일하게 정규 시즌 10등을 기록한 적이 없다. 창단 이래 최하위 성적은 2016년2017년 정규시즌에서 기록한 9위다.

본거지는 삼성전자 창립자 이병철의 출신지이자 삼성그룹의 발상지인 대구광역시이며, 구장은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했으나, 2016년부터 신구장인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를 사용하고 있다. 경상북도 포항시포항야구장을 준본거지로 사용하며, 2군 본거지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경산볼파크이다.

한국 프로야구 초창기부터 삼성그룹의 지원을 바탕으로 강호로 군림해 왔다. 2019년 시즌 종료 현재, 누적 승리, 포스트시즌 및 한국시리즈 출전 횟수에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구단 및 과거 한국야구위원회에 소속되었던 모든 구단에 대해 누적 상대 전적에서 앞서 있다. 1997년부터 2008년까지 1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장 기록이다.

2. 1. 창단 초기 (1982년 ~ 1990년)

1982년 2월 3일, 삼성 라이온즈는 대구·경상북도를 연고지로 하여 창단되었다.[2] 초대 사장 겸 단장은 이수빈, 감독은 서영무, 구단주는 이건희였다.

1982년 한국 시리즈에서 OB 베어스에 1승 1무 4패로 준우승을 차지했다.[2] 1984년 한국 시리즈에서는 롯데 자이언츠에 3승 4패로 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1985년에는 전·후기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KBO 리그 역사상 최고 승률인 0.706을 기록했다.[2] 이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초의 통합 우승이었다. 당시 김시진과 김일융은 각각 25승을 기록하며 팀을 이끌었다.

1986년1987년에는 해태 타이거즈에 패하며 각각 1승 4패,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1988년 11월 22일에는 김시진, 허규옥, 오대석, 전용권롯데 자이언츠최동원, 오명록, 김성현을 맞바꾸는 대형 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1990년에는 LG 트윈스에 4패를 당하며 준우승하였다.

2. 2. 1990년대

삼성 라이온즈는 1990년대에 여러 차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다.

1990년대 삼성 라이온즈의 주요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6월 3일: 팀 통산 500승 달성 (역대 첫 번째)[13]
  • 1991년 7월 8일: 팀 통산 5,000득점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2년 4월 19일: 팀 통산 1만 안타 달성
  • 1993년 9월 9일: 홈 구장 시즌 관중 50만 명 최초 돌파
  • 1994년 8월 7일: 팀 통산 800승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5년 9월 20일: 홈 구장 최다 관중 동원 (623,970명)
  • 1996년 7월 20일: 팀 통산 15,000안타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8년 4월 22일: 팀 통산 1,000승 달성 (역대 두 번째)


1990년대 삼성은 꾸준히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지만, 해태 타이거즈LG 트윈스 등 강팀들의 벽을 넘지 못하고 한국시리즈 우승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이승엽이라는 걸출한 스타를 배출하며 2000년대 왕조 구축의 발판을 마련한 시기였다.

2. 3. 2000년대

2000년 4월 20일, 삼성 라이온즈는 팀 통산 2,000홈런을 달성(역대 첫 번째)하였다.[13] 10월 17일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4패를 기록했다. 10월 30일에는 김응용 감독이 제11대 감독으로 취임했다.

2001년에는 단일 리그가 재시작되었고, 10월 3일 정규 시즌에서 81승 5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0월 28일 한국 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에 2승 4패로 패하며 준우승(최종 순위 2위)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82승 4무 47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11월 10일 한국 시리즈에서 LG 트윈스를 4승 2패로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03년에는 6월 22일 이승엽이 세계 최연소(26세 10개월 4일)로 300홈런을 달성했고, 10월 2일에는 아시아 단일 시즌 홈런 신기록(56호)을 세웠다. 정규 시즌에서는 76승 4무 53패로 3위를 기록했고, 10월 5일 준플레이오프에서 2패를 기록하며 최종 순위 4위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73승 8무 52패로 2위를 기록했고, 10월 17일 한국 시리즈에 진출했으나 현대 유니콘스에 2승 3무 4패로 패하며 준우승(최종 순위 2위)을 차지했다. 11월 9일 김응용 감독이 사장으로 승진하고 선동열이 제12대 감독으로 취임했다.

2005년 6월 2일에는 김현욱의 은퇴식이 있었고, 6월 25일에는 양준혁이 통산 최다 안타 신기록(종전 장종훈 1,771개)을 달성했다.[15] 9월 22일 정규 시즌에서 74승 4무 48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10월 19일 한국 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4승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 2월 1일, 2006년도 캐치프레이즈 ''팬과 함께 만드는 라이온즈의 신화! 2006 V4!''를 발표했다. 3월 29일에는 강동우 - 김창희, 강봉규 (두산) 트레이드가 있었다. 5월 16일 양준혁이 통산 최다 타점 신기록(종전 장종훈 1,145개)을 달성했다.[16] 7월 12일에는 조현근(두산) - 김덕윤(삼성) 트레이드가 있었다. 9월 29일 정규 시즌에서 73승 3무 50패로 우승했고, 10월 1일 오승환이 아시아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신기록(종전 이와세 히토키 46개)을 달성했다.[17] 10월 29일 한국 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를 4승 1무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1월 21일에는 강영식 - 신명철 (롯데) 트레이드가 있었다.

2007년 1월 11일, 2007년도 캐치프레이즈 ''환희와 감동! 신화는 계속된다! 2007 V5!''를 발표했다. 4월 5일 해외진출선수 특별지명회의를 통해 채태인을 영입했다. 6월 9일 양준혁이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8월 14일 서머 리그에서 우승(14승 6패)했다. 9월 18일 오승환이 최소 경기(180경기), 최소 시즌(3년) 100세이브를 기록했다. 10월 1일 11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고, 10월 6일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했다. 10월 12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승 2패로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했다.

2008년 1월 7일 구단 엠블렘 및 유니폼을 교체했고, 1월 8일 구단 캐치프레이즈 ''WITH FANS, WITH PASSION, GO V5!''를 확정했다. 1월 14일에는 유용목 - 손지환(KIA) 트레이드가 있었다. 6월 1일 2009년 1차 지명에서 김상수를 결정했다. 9월 28일 1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고, 10월 5일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했다. 10월 16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2승 4패로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했다.

2009년 7월 16일 지승민 - 채상병(두산) 트레이드가 있었다. 9월 27일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13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9월 29일 선동열 감독이 재계약을 체결했고, 11월 24일 오치아이 투수 코치를 영입했다.

2. 4. 2010년대

류중일 감독 부임 첫 해인 2011년, 삼성 라이온즈는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며 V5를 달성했다.[11]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꺾고 대한민국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12] 국내 최초로 정규 시즌, 한국시리즈, 아시아 시리즈를 모두 석권했다.

2012년에는 이승엽이 복귀, 정규 시즌 1위에 이어 한국시리즈에서 SK를 꺾고 V6를 달성했다. 2013년에는 두산을 상대로 1승 3패에서 3연승을 거두며 V7을 달성, 통합 3연패를 이루었다. 2014년에도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 한국시리즈에서 넥센을 꺾으며 V8을 달성, 사상 첫 통합 4연패를 달성했다.

2015년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으나,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의 원정도박 혐의로 두산에게 한국시리즈 우승을 내주며 통합 5연패에 실패했다.

2016년 팀 최초로 9위를 기록, 류중일 감독이 물러나고 김한수 감독이 부임했다. 2017년에도 2년 연속 9위를 기록했지만, 2018년에는 6위로 가을야구 경쟁을 펼쳤다. 2019년 김한수 감독이 물러나고 허삼영 감독이 부임했다.


2. 5. 2020년대

2019년 시즌 후, 김한수 감독은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전력분석 팀장이었던 허삼영이 새로운 감독으로 신임되었다.[11]

2020년에는 8위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2연패로 탈락했다.[11] 2022년에는 팀 역사상 최다인 13연패를 기록하며 7월에 허삼영 감독이 사임했고, 박진만 감독 대행이 지휘하며 7위를 기록했다. 박진만은 시즌 종료 후 정식으로 감독이 되었다.[11] 2023년에는 8위를 기록했다.[11] 2024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3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 준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꺾고 9년만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KIA 타이거즈에 1승 4패로 패했다.

3. 역대 주요 기록

다음은 삼성 라이온즈의 역대 주요 기록이다.


  • KBO 리그 최초 팀 통산 2000승 (2011년)[13]
  • KBO 리그 최초 팀 통산 2500승[13]
  • KBO 리그 최초 3년 연속 통합 우승 (2011년 ~ 2013년)
  • KBO 리그 최초 4년 연속 통합 우승 (2011년 ~ 2014년)
  • KBO 리그 최초 5년 연속 정규 시즌 우승 (2011년 ~ 2015년)
  • KBO 리그 팀 최다 정규 시즌 우승 (9회)[48]
  • KBO 리그 팀 최다 한국시리즈 우승 (8회)
  • 아시아 시리즈 우승 (2011년, 한국 팀 최초)[12]
  • 시즌 최고 승률 (1985년, 0.706)[2]


연도순위경기수승률타율안타홈런도루득점실점평균자책점기타
1982전기 2위
후기 1위
80540260.6750.266705571474342572.70한국시리즈 준우승
1983전기 5위
후기 2위
100464500.4790.26388990694484183.42
1984전기 1위
후기 5위
100550450.5500.27088978744353793.35한국시리즈 준우승
1985전기 1위
후기 1위
110771320.7060.2761005971165523792.98전·후기 통합 우승(V1), 구단 역대 최고 승률
1986전기 1위
후기 4위
108701370.6540.276997741104753692.95한국시리즈 준우승
1987전기 1위
후기 1위
108640440.5930.30011201051015834273.58한국시리즈 준우승
1988전기 5위
후기 2위
108562500.5280.2781028851105164924.18
19894위120575580.4960.2721094961595805884.42단일 리그 시작
19904위120662520.5580.26310401311085975584.13한국시리즈 준우승
19913위126701550.5600.27211381081266395794.23
19924위126672570.5400.26511281241276336364.55
19932위126735480.5990.27111541331026154332.95한국시리즈 준우승
19945위126602640.4840.26010811061205414993.47
19955위126606600.5000.2501047941005585553.90
19966위126545670.4480.2491029881355105814.23
19974위126667530.5520.27711941651377226054.2312년 연속 PS 진출 시작
19983위126662580.5320.26811431431176205844.32
1999매직 1위132732570.5620.27312442071407487485.16양대 리그 시작
2000드림 3위133695590.5390.2691223177807446704.64
20012위133810520.6090.2771262162737396444.39단일 리그 재시작, 한국시리즈 준우승
20021위133824470.6360.2841321191477775813.92한국시리즈 우승(V2), 통합 우승
20034위133764530.5890.2841295213567696134.37
20042위133738520.5840.2691215132506415643.76한국시리즈 준우승
20051위126744480.6070.2681134111976145283.83한국시리즈 우승(V3), 통합 우승
20061위126733500.5930.2551043731215384713.33한국시리즈 우승(V4), 통합 2연패
20074위126624600.5080.2541062861014975093.71
20083위126650610.5160.258107892595575964.4012년 연속 PS 진출 달성
20095위133640690.4810.27512241461256857004.9813년 연속 PS 진출 실패
20102위133792520.5940.27212071181586815753.94한국시리즈 준우승
20111위133794500.6120.2591150951586255133.35한국시리즈 우승(V5), 통합 우승
20121위133802510.6110.2721205891256284733.39한국시리즈 우승(V6), 통합 2연패
20131위128752510.5950.2831235113956695453.98한국시리즈 우승(V7), 통합 3연패
20141위128783470.6240.30113451611618126214.52한국시리즈 우승(V8), 통합 4연패
20152위144880560.6110.30215151761578977164.69정규시즌 5연패, 한국시리즈 준우승
20169위144651780.4550.29314921421048528695.64
20179위144555840.3960.2791419145987579115.88구단 역대 최저 승률
20186위144684720.4860.28814711461167768025.19
20198위144601830.4200.25612451221076227314.64
20208위144645750.4600.26813171291326997454.78
20212위144769590.5630.26712921331167126584.30KT 위즈와 공동 1위였으나 1위 결정전에 패배
20227위144662740.465.270
20238위144611820.427
20242위144782640.549한국시리즈 준우승
합계43시즌5491292512224440.545정규시즌 9회 우승[48] / 한국시리즈 8회 우승


4. 선수단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포지션등번호선수명비고
투수1이재익
투수4육성엽
투수15이상민
투수17김대우
투수18원태인
투수19양현
투수20이승현
투수21오승환
투수27김태훈
투수28김윤수
투수29백정현
투수35이승민
투수37최하늘
투수40최지광
투수43데니 레이예스
투수44김대호
투수45임창민
투수51최충연
투수54최성훈
투수55이호성
투수57이승현
투수61황동재
투수62김재윤
투수64송은범
투수65홍원표
투수66박준영
투수67정민성
투수102류병선육성 선수
투수109박시원육성 선수
투수110신경민육성 선수
투수122김성경육성 선수
투수123김동현육성 선수
투수미정이재희병역 복귀
투수미정박주혁병역 복귀
투수미정최원태LG에서 FA 이적
투수미정아리엘 후라도키움에서 이적
투수미정배찬승2025년 신인 드래프트 1순위
투수미정권현우2025년 신인 드래프트 5순위
투수미정홍준영2025년 신인 드래프트 7순위
투수미정전규범2025년 신인 드래프트 8순위
투수미정우승완2025년 신인 드래프트 9순위
투수미정진희성2025년 신인 드래프트 11순위
투수미정김백산신입단
육성 선수
투수미정김유현신입단
육성 선수
투수미정최예한신입단
육성 선수
투수양창섭군 보류 선수
투수김시온군 보류 선수
투수허윤동군 보류 선수
투수신윤호군 보류 선수
투수신정환군 보류 선수
투수서현원군 보류 선수
투수김서준군 보류 선수
투수홍무원군 보류 선수
투수박권후군 보류 선수
투수홍승원군 보류 선수
육성 선수
포수2김재성
포수12김민수
포수23이병헌
포수42김도환
포수47강민호
포수106차동령육성 선수
포수111박진우육성 선수


4. 1. 현재 선수단

2024년 5월 31일 현재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

;코치

;퓨처스 감독

;퓨처스 코치

;3군 (육성군/잔류군) 코치

;재활군 코치

;투수

등번호선수명비고
1이재익
4육선엽
15이상민
17김대우
18원태인
19양현
20이승현
21오승환
27김태훈
28서현원
29백정현
35이승민
37최하늘
40최지광
43레예스
45임창민
46홍무원
51최충연
53김서준
54최성훈
55이호성
57이승현
61황동재
62김재윤
64송은범
65홍원표
66박준용
67정민성
108홍승원육성 선수
109박시원육성 선수
120김대호육성 선수
122김성경육성 선수
123김동현육성 선수
최원태LG에서 FA 이적
후라도키움에서 이적



;포수

등번호선수명비고
2김재성
12김민수
23이병헌
42김도환
47강민호
111박진우육성 선수
124김재현육성 선수



;내야수

등번호선수명비고
0디아즈
6강한울
7이재현
9공민규
14안주형
16류지혁
30김영웅
34전병우
50이창용
58김지찬
59박병호
60김호진
63양우현
103오현석육성 선수
114앙도근육성 선수
116박장민육성 선수
118이현준육성 선수



;외야수

등번호선수명비고
5구자욱(주장)
8김재혁
13이성규
25김태훈
31윤정빈
32김헌곤
39김성윤
41김현준
50류승민
104주한울육성 선수
홍현빈육성 선수



;군입대 선수



;2024년 신인지명 선수

  • 4 육선엽(1라운드 지명)
  • -- 박준용(2라운드 지명)
  • -- 정민성(4라운드 지명)
  • -- 김성경(5라운드 지명)
  • 60 김호진(6라운드 지명)
  • -- 신경민(7라운드 지명)
  • -- 이현준(8라운드 지명)
  • -- 이재호(9라운드 지명)
  • -- 김재형(10라운드 지명)
  • -- 유병선(11라운드 지명)

4. 2. 역대 주요 선수


  • 이만수: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 멤버로 활약했다.
  • 김시진, 장효조, 양준혁, 배영수: (요약에 언급되었으나,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 없음)
  • 이승엽: 2012년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하여 영구 결번이었던 등번호 36번을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 MVP로 선정되었다.
  • 박한이: 2013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 오승환: 2005년, 2011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4. 3. 영구 결번

양준혁
RF, DH

이만수
C

이승엽
IF



삼성 라이온즈 구단이 처음으로 영구 결번으로 지정한 번호는 22번으로, 이만수를 기리는 의미였다. 이만수는 라이온즈에서 5회의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1983년에는 KBO 리그 MVP를, 1984년에는 타격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6] 두 번째 영구 결번은 10번으로, 양준혁을 기리는 의미였다.[6] 양준혁은 4번의 타격왕에 올랐으며, 한때 6개의 통산 타격 기록을 보유했었다.[6] 세 번째 영구 결번인 36번은 이승엽을 기리기 위해 지정되었다.[7] 이승엽은 KBO 리그 통산 최다 홈런 기록(467개) 보유자이다.

5. 응원단

6. 수상

삼성 라이온즈는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다섯 명(총 9회) 배출했다.

연도선수
1983이만수
1987장효조
1993김성래
1997, 1999, 2001, 2002, 2003이승엽
2004배영수


6. 1. KBO MVP

삼성 라이온즈는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다섯 명(총 9회) 배출했다.

연도선수포지션
1983이만수포수
1987장효조외야수
1993김성래내야수
1997이승엽내야수
1999이승엽내야수
2001이승엽내야수
2002이승엽내야수
2003이승엽내야수
2004배영수투수


6. 2. 기타 수상

삼성 라이온즈는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다섯 명(총 9회) 배출했다.

연도선수포지션
1983이만수포수
1987장효조외야수
1993김성래내야수
1997이승엽내야수
1999이승엽내야수
2001이승엽내야수
2002이승엽내야수
2003이승엽내야수
2004배영수투수


7. 연고지 및 구장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2월 3일 대구·경상북도를 연고지로 창단되었다.[10] 삼성전자 창립자 이병철의 출신지이자 삼성그룹의 발상지인 대구광역시를 본거지로 하며,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1982년부터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으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2016년부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5] 구단 사무실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내에 설치되어 있다.

2012년 7월 완공된 경상북도 포항시포항야구장을 제2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2년 8월 14일부터 16일까지 포항야구장에서 첫 1군 공식 경기가 열렸으며, 2013년 이후에도 1군과 2군 경기가 가끔씩 개최되고 있다. 2군 홈 구장은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에 있는 경산볼파크이다.

8. 스폰서

삼성 라이온즈는 삼성그룹 계열사이기 때문에 다른 삼성 계열사와 관련된 스폰서가 많다. 2021년을 기준으로 적용된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스폰서내용
언더아머유니폼, 춘·추점퍼 및 동계점퍼, 후드 플리스셔츠, 플리스셔츠, 윈드셔츠, 하계셔츠
삼성생명유니폼 상의 좌측
삼성화재유니폼 상의 우측
삼성SDS, 삼성물산포수 프로텍터 중앙
대구대학교유니폼 상위 우측 위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amsungli[...] Samsung Lions official website 2012-03-23
[2] 서적 The Sports Business in The Pacific Rim: Economics and Polic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0-31
[3] 뉴스 Samsung wins 3rd straight title in Game 7 http://www.koreaobse[...] The Korea Observer 2013-11-02
[4] 뉴스 Lion King! Samsung wins 4th straight KBO title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4-11-21
[5] 뉴스 http://news.sbs.co.k[...] news.sbs.co.kr 2016-03-22
[6] 웹사이트 http://www.samsungli[...] Samsung Lions 2016-11-13
[7] 뉴스 Legendary slugger homers twice in final game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7-10-03
[8] 간행물 【三重県】徳本兄選手(木本高校野球部出身)韓国プロ入り夢は日本に戻り、弟と対決 中日新聞社 1992-11-07
[9] 기타
[10] 뉴스 ‘코끼리’는 사장님 ‘태양’은 감독님 http://www.hani.co.k[...] 2004-11-10
[11] 웹인용 삼성 4승 1패로 SK 꺾고 한국시리즈 5년만에 우승 http://news.hankooki[...] 2011-11-30
[12] 뉴스 삼성 亞무대 제패…국내 구단 첫 쾌거 http://osen.mt.co.kr[...] 2011-11-29
[13] 뉴스 삼성, LG 제물로 역대 최초 2000승 달성 http://sports.chosun[...] 2011-09-11
[14] 뉴스인용 -프로야구종합-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7-24
[15] 뉴스 삼성 양준혁, 개인통산 최다안타 신기록 https://news.naver.c[...] 2005-06-25
[16] 뉴스 양준혁, 프로야구 최다타점 신기록 수립 https://news.naver.c[...] 2006-05-16
[17] 뉴스 오승환, 아시아 최다 세이브 신기록 달성 http://www.ohmynews.[...] 2006-10-01
[18] 뉴스 1.5군의 힘… 삼성 12연승 이끌어 http://www.segye.com[...] 2010-07-08
[19] 뉴스 박한이, 역대 4번째 10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 http://osen.mt.co.kr[...] 2010-08-21
[20] 뉴스 프로야구 삼성, '5회 리드시' 53연승 마감 http://www1.mydaily.[...] 2010-09-04
[21] 뉴스 '22안타 맹타' 삼성, 한화에 19-5 대승 http://xportsnews.ha[...] 2011-06-23
[22] 뉴스 '마침내 선두' 삼성, 앞으로 더 강해진다 http://www.joynews24[...] 2011-06-28
[23] 뉴스 김상수 연장 '결승타' 삼성, LG 꺾고 808일만의 선두 http://www.joynews24[...] 2011-06-28
[24] 뉴스 삼성 오승환, 역대 최소경기 30세이브 달성 https://www.nocutnew[...] 2011-08-02
[25] 뉴스인용 삼성 오승환, 최연소·최소경기 200세이브 달성 https://news.joins.c[...] 일간스포츠 2020-08-30
[26] 뉴스 오승환, 최연소 및 최소경기 200세이브 달성 https://news.chosun.[...] 2011-08-12
[27] 뉴스인용 ‘배영수 4승’ 삼성, 롯데 꺾고 2연승 https://sports.news.[...] MK스포츠 2020-07-24
[28] 뉴스인용 나바로, 국내 첫 안타 홈런으로 장식 http://osen.mt.co.kr[...] OSEN 2014-05-04
[29] 뉴스인용 '한일 300S' 임창용, "기록 달성보다 팀 승리가 더 기뻐" http://osen.mt.co.kr[...] OSEN 2014-05-04
[30] 뉴스인용 삼성, 최형우 홈런으로 최초 3800홈런 돌파 http://sports.mk.co.[...] MK스포츠 2014-05-08
[31] 뉴스인용 '기록 중단' 류중일 감독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4-06-17
[32] 뉴스인용 삼성, 팀 최초 ‘2200승’ 달성…한화전 위닝 자축 http://sports.mk.co.[...] MK스포츠 2014-06-17
[33] 뉴스인용 삼성 최형우-박석민, 현역 최다 연속 타자 홈런 기록 갱신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14-06-17
[34] 뉴스인용 이승엽, 4천74일 만에 3연타석 아치…삼성 3연승(종합)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4-06-17
[35] 뉴스인용 나바로, "5연타석 홈런 할 수 있었는데…" http://sports.news.n[...] OSEN 2014-06-22
[36] 뉴스 ‘120승’ 배영수, 그가 걸어가는 길이 역사다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4-06-25
[37] 뉴스 박한이 기록 대행진, 2400루타+100홈런 고지 http://osen.mt.co.kr[...] OSEN 2014-08-05
[38] 뉴스 이승엽, 역대 2번째 3200루타 달성 http://osen.mt.co.kr[...] OSEN 2014-08-08
[39] 뉴스 이승엽 25호포, 삼성 역대 첫 팀 통산 3900홈런 달성 http://osen.mt.co.kr[...] OSEN 2014-08-11
[40] 뉴스 이승엽, 통산 2번째 3300루타 달성 http://sports.mk.co.[...] MK스포츠 2015-04-03
[41] 뉴스 ‘통산 100승’ 명불허전 장원삼 http://sports.donga.[...] 스포츠동아 2015-04-08
[42] 뉴스 삼성, 통산 최초 3만7000안타 금자탑 http://sports.mk.co.[...] MK스포츠 2015-04-09
[43] 뉴스 삼성 박한이, 11일 KIA전서 역대 24번째 2500루타 달성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5-04-11
[44] 뉴스 '장원삼 2승' 삼성, KT 꺾고 3연승 '선두 수성' https://sports.news.[...] 마이데일리 2015-04-18
[45] 뉴스 ‘전원 안타·득점’ 삼성, 프로야구 역대 두 번째 최다 득점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5-05-20
[46] 뉴스 '천적 니퍼트 격침' 삼성, 두산 연이틀 제압…선두복귀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5-05-21
[47] 뉴스 윤성환, KIA전 6이닝 6K 2자책 QS.. '토종 에이스'의 힘 https://sports.news.[...] 스타뉴스 2017-04-02
[4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