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대구와 경상북도를 연고지로 창단된 프로 야구단이다. 1985년 전후기 통합 우승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초반에 걸쳐 총 8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다. 현재는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이만수, 양준혁, 이승엽 등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일기획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제일기획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삼성 썬더스는 1978년 창단하여 2001년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한 한국프로농구 소속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2회 우승했으며 잠실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LG 트윈스
LG 트윈스는 1982년 MBC 청룡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 인수된 후 KBO 리그에서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었으며, 잠실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삼성스포츠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삼성 라이온즈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삼성 라이온즈 |
영어 이름 | Samsung Lions |
설립 연도 | 1982년 |
연고지 | 대구광역시 |
홈구장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2016년~현재) 포항야구장 (2012년~현재) |
이전 홈구장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1982년~2015년) |
구단주 | 유정근 |
대표이사 | 원기찬, 정홍구 |
스폰서 | 제일기획 |
감독 | 박진만 |
단장 | 이종열 |
웹사이트 | 삼성 라이온즈 공식 웹사이트 |
로고 및 상징 | |
![]() | |
![]() | |
팀 명칭 변천사 | |
팀 명칭 | 삼성 라이온즈 (1982년 ~ 현재) |
영구 결번 | |
영구 결번 선수 | 10 22 36 |
리그 및 시즌 정보 | |
소속 리그 | KBO 리그 |
2군 리그 | KBO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
리그 우승 횟수 | 9 |
리그 우승 연도 | 1982후기, 1984전기, 1985통합, 1986전기, 1987통합, 1999매직, 2001,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2015 |
한국시리즈 우승 횟수 | 8 |
한국시리즈 우승 연도 | 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
한국시리즈 출장 횟수 | 18 |
한국시리즈 출장 연도 | 1982, 1984, 1986, 1987, 1990, 1993, 2001, 2002, 2004, 2005, 2006,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24 |
플레이오프 횟수 | 14 |
플레이오프 출장 연도 | 1986, 1988, 1990, 1991, 1993, 1997, 1998, 1999, 2000, 2004, 2008, 2010, 2021, 2024 |
준플레이오프 횟수 | 9 |
준플레이오프 출장 연도 | 1989, 1990, 1991, 1992, 1997, 2000, 2003, 2007, 2008 |
아시아 시리즈 정보 | |
아시아 시리즈 우승 횟수 | 1 |
아시아 시리즈 우승 연도 | 2011 |
아시아 시리즈 출전 횟수 | 5 |
아시아 시리즈 출전 연도 | 2005, 2006, 2011, 2012, 2013 |
기타 | |
마스코트 | 블레오 패밀리 (블레오, 핑크레오, 레니, 라온) |
모자 모양 | _SamsungLions |
왼팔 모양 | _SamsungLions |
몸통 모양 | _SamsungLions |
오른팔 모양 | _SamsungLions |
바지 모양 | _pinstripesonwhite |
모자 색상 | 193189 |
왼팔 색상 | dee1e8 |
몸통 색상 | dee1e8 |
오른팔 색상 | dee1e8 |
바지 색상 | dee1e8 |
양말 색상 | 193189 |
원정 모자 모양 | _SamsungLions |
원정 왼팔 모양 | _SamsungLions_away |
원정 몸통 모양 | _SamsungLions_away |
원정 오른팔 모양 | _SamsungLions_away |
원정 바지 모양 | _pinstripesonwhite |
원정 모자 색상 | 193189 |
원정 왼팔 색상 | 193189 |
원정 몸통 색상 | 193189 |
원정 오른팔 색상 | 193189 |
원정 바지 색상 | dee1e8 |
원정 양말 색상 | 193189 |
2. 역사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2월 3일 대구·경상북도를 연고지로 창단되었으며, 초대 사장 겸 단장은 이수빈, 감독은 서영무, 구단주는 이건희였다.[2] 1995년부터 구단주 대행 체제로 운영되다가 2002년 현명관 구단주가 정식 취임하였고,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이수빈 초대 사장이 구단주를 맡았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임대기가 대표이사 겸 구단주를 맡았고, 2020년부터는 원기찬 전 삼성카드 대표이사가 대표이사 겸 구단주를 맡고 있다.
1985년 전·후기 통합 우승 이후 한국시리즈에서는 2002년에 처음으로 우승했다. 2004년 시즌 종료 후 김응용 감독을 구단 사장으로, 선동열 수석 코치를 감독으로 승진 발령했다.[10] 이후 2005년, 2006년에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시즌이 끝난 후 24년 동안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와 코치였던 류중일 감독이 부임하여 2011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V5를 달성했고,[11]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꺾고 대한민국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였다.[12] 2012년에 이승엽이 복귀하여 V6, V7, V8을 달성하며 통합 4연패를 이루었다. 2015년에는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지만, 원정도박 혐의로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이 엔트리에서 제외되었고, 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에게 내주며 통합 5연패가 좌절되었다.
2016년 팀 최초로 9위를 기록한 후 류중일 감독이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김한수가 새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7년에 2년 연속 9위라는 성적을 냈지만, 2018년에는 6위를 기록했다. 2019년 시즌 후, 김한수는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허삼영이 새로운 감독으로 신임되었다.
2020년에도 8위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두산에 2연패로 탈락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역대 최다 정규 시즌 우승, 팀 2500승 달성,[13] 통산 승률 1위(0.549), 시즌 최고 승률(85년 0.706) 등이 있으며, 프로 야구 구단 중 유일하게 정규 시즌 10등을 기록한 적이 없다. 창단 이래 최하위 성적은 2016년과 2017년 정규시즌에서 기록한 9위다.
본거지는 삼성전자 창립자 이병철의 출신지이자 삼성그룹의 발상지인 대구광역시이며, 구장은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했으나, 2016년부터 신구장인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를 사용하고 있다. 경상북도 포항시의 포항야구장을 준본거지로 사용하며, 2군 본거지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경산볼파크이다.
한국 프로야구 초창기부터 삼성그룹의 지원을 바탕으로 강호로 군림해 왔다. 2019년 시즌 종료 현재, 누적 승리, 포스트시즌 및 한국시리즈 출전 횟수에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구단 및 과거 한국야구위원회에 소속되었던 모든 구단에 대해 누적 상대 전적에서 앞서 있다. 1997년부터 2008년까지 1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장 기록이다.
2. 1. 창단 초기 (1982년 ~ 1990년)
1982년 2월 3일, 삼성 라이온즈는 대구·경상북도를 연고지로 하여 창단되었다.[2] 초대 사장 겸 단장은 이수빈, 감독은 서영무, 구단주는 이건희였다.1982년 한국 시리즈에서 OB 베어스에 1승 1무 4패로 준우승을 차지했다.[2] 1984년 한국 시리즈에서는 롯데 자이언츠에 3승 4패로 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1985년에는 전·후기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KBO 리그 역사상 최고 승률인 0.706을 기록했다.[2] 이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초의 통합 우승이었다. 당시 김시진과 김일융은 각각 25승을 기록하며 팀을 이끌었다.
1986년과 1987년에는 해태 타이거즈에 패하며 각각 1승 4패,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1988년 11월 22일에는 김시진, 허규옥, 오대석, 전용권과 롯데 자이언츠의 최동원, 오명록, 김성현을 맞바꾸는 대형 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1990년에는 LG 트윈스에 4패를 당하며 준우승하였다.
2. 2. 1990년대
삼성 라이온즈는 1990년대에 여러 차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다.- 1990년: 김성근 감독 부임 첫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LG 트윈스에 4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10]
- 1991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빙그레 이글스에 1승 3패로 패했다.
- 1992년: 준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 2패로 탈락했다.
- 1993년: 우용득 감독 체제에서 정규 시즌 2위를 기록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해태 타이거즈에 2승 1무 4패로 다시 한번 준우승에 그쳤다. 이 해 양준혁이 신인상을 수상했다.
- 1994년: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 1995년: 이동수가 신인상을 수상했으나, 팀은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 1996년: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 1997년: 서정환 감독 부임 첫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LG 트윈스에 2승 3패로 패했다. 이승엽이 정규시즌 MVP를 수상했다.
- 1998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LG 트윈스에 1승 3패로 패했다.
- 1999년: 양대 리그(드림 리그, 매직 리그) 도입 후 매직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롯데 자이언츠에 3승 4패로 석패했다. 이승엽이 다시 한번 정규시즌 MVP를 수상했다.
1990년대 삼성 라이온즈의 주요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6월 3일: 팀 통산 500승 달성 (역대 첫 번째)[13]
- 1991년 7월 8일: 팀 통산 5,000득점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2년 4월 19일: 팀 통산 1만 안타 달성
- 1993년 9월 9일: 홈 구장 시즌 관중 50만 명 최초 돌파
- 1994년 8월 7일: 팀 통산 800승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5년 9월 20일: 홈 구장 최다 관중 동원 (623,970명)
- 1996년 7월 20일: 팀 통산 15,000안타 달성 (역대 첫 번째)
- 1998년 4월 22일: 팀 통산 1,000승 달성 (역대 두 번째)
1990년대 삼성은 꾸준히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지만, 해태 타이거즈와 LG 트윈스 등 강팀들의 벽을 넘지 못하고 한국시리즈 우승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이승엽이라는 걸출한 스타를 배출하며 2000년대 왕조 구축의 발판을 마련한 시기였다.
2. 3. 2000년대
2000년 4월 20일, 삼성 라이온즈는 팀 통산 2,000홈런을 달성(역대 첫 번째)하였다.[13] 10월 17일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4패를 기록했다. 10월 30일에는 김응용 감독이 제11대 감독으로 취임했다.2001년에는 단일 리그가 재시작되었고, 10월 3일 정규 시즌에서 81승 5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0월 28일 한국 시리즈에서는 두산 베어스에 2승 4패로 패하며 준우승(최종 순위 2위)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82승 4무 47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11월 10일 한국 시리즈에서 LG 트윈스를 4승 2패로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03년에는 6월 22일 이승엽이 세계 최연소(26세 10개월 4일)로 300홈런을 달성했고, 10월 2일에는 아시아 단일 시즌 홈런 신기록(56호)을 세웠다. 정규 시즌에서는 76승 4무 53패로 3위를 기록했고, 10월 5일 준플레이오프에서 2패를 기록하며 최종 순위 4위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정규 시즌에서 73승 8무 52패로 2위를 기록했고, 10월 17일 한국 시리즈에 진출했으나 현대 유니콘스에 2승 3무 4패로 패하며 준우승(최종 순위 2위)을 차지했다. 11월 9일 김응용 감독이 사장으로 승진하고 선동열이 제12대 감독으로 취임했다.
2005년 6월 2일에는 김현욱의 은퇴식이 있었고, 6월 25일에는 양준혁이 통산 최다 안타 신기록(종전 장종훈 1,771개)을 달성했다.[15] 9월 22일 정규 시즌에서 74승 4무 48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10월 19일 한국 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4승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 2월 1일, 2006년도 캐치프레이즈 ''팬과 함께 만드는 라이온즈의 신화! 2006 V4!''를 발표했다. 3월 29일에는 강동우 - 김창희, 강봉규 (두산) 트레이드가 있었다. 5월 16일 양준혁이 통산 최다 타점 신기록(종전 장종훈 1,145개)을 달성했다.[16] 7월 12일에는 조현근(두산) - 김덕윤(삼성) 트레이드가 있었다. 9월 29일 정규 시즌에서 73승 3무 50패로 우승했고, 10월 1일 오승환이 아시아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신기록(종전 이와세 히토키 46개)을 달성했다.[17] 10월 29일 한국 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를 4승 1무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1월 21일에는 강영식 - 신명철 (롯데) 트레이드가 있었다.
2007년 1월 11일, 2007년도 캐치프레이즈 ''환희와 감동! 신화는 계속된다! 2007 V5!''를 발표했다. 4월 5일 해외진출선수 특별지명회의를 통해 채태인을 영입했다. 6월 9일 양준혁이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8월 14일 서머 리그에서 우승(14승 6패)했다. 9월 18일 오승환이 최소 경기(180경기), 최소 시즌(3년) 100세이브를 기록했다. 10월 1일 11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고, 10월 6일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했다. 10월 12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승 2패로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했다.
2008년 1월 7일 구단 엠블렘 및 유니폼을 교체했고, 1월 8일 구단 캐치프레이즈 ''WITH FANS, WITH PASSION, GO V5!''를 확정했다. 1월 14일에는 유용목 - 손지환(KIA) 트레이드가 있었다. 6월 1일 2009년 1차 지명에서 김상수를 결정했다. 9월 28일 1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고, 10월 5일 정규 시즌 4위를 기록했다. 10월 16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2승 4패로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했다.
2009년 7월 16일 지승민 - 채상병(두산) 트레이드가 있었다. 9월 27일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하며 13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9월 29일 선동열 감독이 재계약을 체결했고, 11월 24일 오치아이 투수 코치를 영입했다.
2. 4. 2010년대
류중일 감독 부임 첫 해인 2011년, 삼성 라이온즈는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며 V5를 달성했다.[11]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꺾고 대한민국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12] 국내 최초로 정규 시즌, 한국시리즈, 아시아 시리즈를 모두 석권했다.2012년에는 이승엽이 복귀, 정규 시즌 1위에 이어 한국시리즈에서 SK를 꺾고 V6를 달성했다. 2013년에는 두산을 상대로 1승 3패에서 3연승을 거두며 V7을 달성, 통합 3연패를 이루었다. 2014년에도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 한국시리즈에서 넥센을 꺾으며 V8을 달성, 사상 첫 통합 4연패를 달성했다.
2015년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으나,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의 원정도박 혐의로 두산에게 한국시리즈 우승을 내주며 통합 5연패에 실패했다.
2016년 팀 최초로 9위를 기록, 류중일 감독이 물러나고 김한수 감독이 부임했다. 2017년에도 2년 연속 9위를 기록했지만, 2018년에는 6위로 가을야구 경쟁을 펼쳤다. 2019년 김한수 감독이 물러나고 허삼영 감독이 부임했다.
2. 5. 2020년대
2019년 시즌 후, 김한수 감독은 계약 기간 만료로 물러나고 전력분석 팀장이었던 허삼영이 새로운 감독으로 신임되었다.[11]2020년에는 8위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 2연패로 탈락했다.[11] 2022년에는 팀 역사상 최다인 13연패를 기록하며 7월에 허삼영 감독이 사임했고, 박진만 감독 대행이 지휘하며 7위를 기록했다. 박진만은 시즌 종료 후 정식으로 감독이 되었다.[11] 2023년에는 8위를 기록했다.[11] 2024년에는 정규시즌 2위로 3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 준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꺾고 9년만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KIA 타이거즈에 1승 4패로 패했다.
3. 역대 주요 기록
다음은 삼성 라이온즈의 역대 주요 기록이다.
- KBO 리그 최초 팀 통산 2000승 (2011년)[13]
- KBO 리그 최초 팀 통산 2500승[13]
- KBO 리그 최초 3년 연속 통합 우승 (2011년 ~ 2013년)
- KBO 리그 최초 4년 연속 통합 우승 (2011년 ~ 2014년)
- KBO 리그 최초 5년 연속 정규 시즌 우승 (2011년 ~ 2015년)
- KBO 리그 팀 최다 정규 시즌 우승 (9회)[48]
- KBO 리그 팀 최다 한국시리즈 우승 (8회)
- 아시아 시리즈 우승 (2011년, 한국 팀 최초)[12]
- 시즌 최고 승률 (1985년, 0.706)[2]
연도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타율 | 안타 | 홈런 | 도루 | 득점 | 실점 | 평균자책점 | 기타 |
---|---|---|---|---|---|---|---|---|---|---|---|---|---|---|
1982 | 전기 2위 후기 1위 | 80 | 54 | 0 | 26 | 0.675 | 0.266 | 705 | 57 | 147 | 434 | 257 | 2.70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83 | 전기 5위 후기 2위 | 100 | 46 | 4 | 50 | 0.479 | 0.263 | 889 | 90 | 69 | 448 | 418 | 3.42 | |
1984 | 전기 1위 후기 5위 | 100 | 55 | 0 | 45 | 0.550 | 0.270 | 889 | 78 | 74 | 435 | 379 | 3.35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85 | 전기 1위 후기 1위 | 110 | 77 | 1 | 32 | 0.706 | 0.276 | 1005 | 97 | 116 | 552 | 379 | 2.98 | 전·후기 통합 우승(V1), 구단 역대 최고 승률 |
1986 | 전기 1위 후기 4위 | 108 | 70 | 1 | 37 | 0.654 | 0.276 | 997 | 74 | 110 | 475 | 369 | 2.95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87 | 전기 1위 후기 1위 | 108 | 64 | 0 | 44 | 0.593 | 0.300 | 1120 | 105 | 101 | 583 | 427 | 3.58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88 | 전기 5위 후기 2위 | 108 | 56 | 2 | 50 | 0.528 | 0.278 | 1028 | 85 | 110 | 516 | 492 | 4.18 | |
1989 | 4위 | 120 | 57 | 5 | 58 | 0.496 | 0.272 | 1094 | 96 | 159 | 580 | 588 | 4.42 | 단일 리그 시작 |
1990 | 4위 | 120 | 66 | 2 | 52 | 0.558 | 0.263 | 1040 | 131 | 108 | 597 | 558 | 4.13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91 | 3위 | 126 | 70 | 1 | 55 | 0.560 | 0.272 | 1138 | 108 | 126 | 639 | 579 | 4.23 | |
1992 | 4위 | 126 | 67 | 2 | 57 | 0.540 | 0.265 | 1128 | 124 | 127 | 633 | 636 | 4.55 | |
1993 | 2위 | 126 | 73 | 5 | 48 | 0.599 | 0.271 | 1154 | 133 | 102 | 615 | 433 | 2.95 | 한국시리즈 준우승 |
1994 | 5위 | 126 | 60 | 2 | 64 | 0.484 | 0.260 | 1081 | 106 | 120 | 541 | 499 | 3.47 | |
1995 | 5위 | 126 | 60 | 6 | 60 | 0.500 | 0.250 | 1047 | 94 | 100 | 558 | 555 | 3.90 | |
1996 | 6위 | 126 | 54 | 5 | 67 | 0.448 | 0.249 | 1029 | 88 | 135 | 510 | 581 | 4.23 | |
1997 | 4위 | 126 | 66 | 7 | 53 | 0.552 | 0.277 | 1194 | 165 | 137 | 722 | 605 | 4.23 | 12년 연속 PS 진출 시작 |
1998 | 3위 | 126 | 66 | 2 | 58 | 0.532 | 0.268 | 1143 | 143 | 117 | 620 | 584 | 4.32 | |
1999 | 매직 1위 | 132 | 73 | 2 | 57 | 0.562 | 0.273 | 1244 | 207 | 140 | 748 | 748 | 5.16 | 양대 리그 시작 |
2000 | 드림 3위 | 133 | 69 | 5 | 59 | 0.539 | 0.269 | 1223 | 177 | 80 | 744 | 670 | 4.64 | |
2001 | 2위 | 133 | 81 | 0 | 52 | 0.609 | 0.277 | 1262 | 162 | 73 | 739 | 644 | 4.39 | 단일 리그 재시작, 한국시리즈 준우승 |
2002 | 1위 | 133 | 82 | 4 | 47 | 0.636 | 0.284 | 1321 | 191 | 47 | 777 | 581 | 3.92 | 한국시리즈 우승(V2), 통합 우승 |
2003 | 4위 | 133 | 76 | 4 | 53 | 0.589 | 0.284 | 1295 | 213 | 56 | 769 | 613 | 4.37 | |
2004 | 2위 | 133 | 73 | 8 | 52 | 0.584 | 0.269 | 1215 | 132 | 50 | 641 | 564 | 3.76 | 한국시리즈 준우승 |
2005 | 1위 | 126 | 74 | 4 | 48 | 0.607 | 0.268 | 1134 | 111 | 97 | 614 | 528 | 3.83 | 한국시리즈 우승(V3), 통합 우승 |
2006 | 1위 | 126 | 73 | 3 | 50 | 0.593 | 0.255 | 1043 | 73 | 121 | 538 | 471 | 3.33 | 한국시리즈 우승(V4), 통합 2연패 |
2007 | 4위 | 126 | 62 | 4 | 60 | 0.508 | 0.254 | 1062 | 86 | 101 | 497 | 509 | 3.71 | |
2008 | 3위 | 126 | 65 | 0 | 61 | 0.516 | 0.258 | 1078 | 92 | 59 | 557 | 596 | 4.40 | 12년 연속 PS 진출 달성 |
2009 | 5위 | 133 | 64 | 0 | 69 | 0.481 | 0.275 | 1224 | 146 | 125 | 685 | 700 | 4.98 | 13년 연속 PS 진출 실패 |
2010 | 2위 | 133 | 79 | 2 | 52 | 0.594 | 0.272 | 1207 | 118 | 158 | 681 | 575 | 3.94 | 한국시리즈 준우승 |
2011 | 1위 | 133 | 79 | 4 | 50 | 0.612 | 0.259 | 1150 | 95 | 158 | 625 | 513 | 3.35 | 한국시리즈 우승(V5), 통합 우승 |
2012 | 1위 | 133 | 80 | 2 | 51 | 0.611 | 0.272 | 1205 | 89 | 125 | 628 | 473 | 3.39 | 한국시리즈 우승(V6), 통합 2연패 |
2013 | 1위 | 128 | 75 | 2 | 51 | 0.595 | 0.283 | 1235 | 113 | 95 | 669 | 545 | 3.98 | 한국시리즈 우승(V7), 통합 3연패 |
2014 | 1위 | 128 | 78 | 3 | 47 | 0.624 | 0.301 | 1345 | 161 | 161 | 812 | 621 | 4.52 | 한국시리즈 우승(V8), 통합 4연패 |
2015 | 2위 | 144 | 88 | 0 | 56 | 0.611 | 0.302 | 1515 | 176 | 157 | 897 | 716 | 4.69 | 정규시즌 5연패, 한국시리즈 준우승 |
2016 | 9위 | 144 | 65 | 1 | 78 | 0.455 | 0.293 | 1492 | 142 | 104 | 852 | 869 | 5.64 | |
2017 | 9위 | 144 | 55 | 5 | 84 | 0.396 | 0.279 | 1419 | 145 | 98 | 757 | 911 | 5.88 | 구단 역대 최저 승률 |
2018 | 6위 | 144 | 68 | 4 | 72 | 0.486 | 0.288 | 1471 | 146 | 116 | 776 | 802 | 5.19 | |
2019 | 8위 | 144 | 60 | 1 | 83 | 0.420 | 0.256 | 1245 | 122 | 107 | 622 | 731 | 4.64 | |
2020 | 8위 | 144 | 64 | 5 | 75 | 0.460 | 0.268 | 1317 | 129 | 132 | 699 | 745 | 4.78 | |
2021 | 2위 | 144 | 76 | 9 | 59 | 0.563 | 0.267 | 1292 | 133 | 116 | 712 | 658 | 4.30 | KT 위즈와 공동 1위였으나 1위 결정전에 패배 |
2022 | 7위 | 144 | 66 | 2 | 74 | 0.465 | .270 | |||||||
2023 | 8위 | 144 | 61 | 1 | 82 | 0.427 | ||||||||
2024 | 2위 | 144 | 78 | 2 | 64 | 0.549 | 한국시리즈 준우승 | |||||||
합계 | 43시즌 | 5491 | 2925 | 122 | 2444 | 0.545 | 정규시즌 9회 우승[48] / 한국시리즈 8회 우승 |
4. 선수단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포지션 | 등번호 | 선수명 | 투 | 타 | 비고 |
---|---|---|---|---|---|
투수 | 1 | 이재익 | 좌 | 좌 | |
투수 | 4 | 육성엽 | 우 | 우 | |
투수 | 15 | 이상민 | 좌 | 좌 | |
투수 | 17 | 김대우 | 우 | 우 | |
투수 | 18 | 원태인 | 우 | 좌 | |
투수 | 19 | 양현 | 우 | 우 | |
투수 | 20 | 이승현 | 우 | 우 | |
투수 | 21 | 오승환 | 우 | 우 | |
투수 | 27 | 김태훈 | 우 | 우 | |
투수 | 28 | 김윤수 | 우 | 우 | |
투수 | 29 | 백정현 | 좌 | 좌 | |
투수 | 35 | 이승민 | 좌 | 좌 | |
투수 | 37 | 최하늘 | 우 | 우 | |
투수 | 40 | 최지광 | 우 | 우 | |
투수 | 43 | 데니 레이예스 | 우 | 우 | |
투수 | 44 | 김대호 | 우 | 우 | |
투수 | 45 | 임창민 | 우 | 우 | |
투수 | 51 | 최충연 | 우 | 우 | |
투수 | 54 | 최성훈 | 좌 | 좌 | |
투수 | 55 | 이호성 | 우 | 우 | |
투수 | 57 | 이승현 | 좌 | 좌 | |
투수 | 61 | 황동재 | 우 | 우 | |
투수 | 62 | 김재윤 | 우 | 우 | |
투수 | 64 | 송은범 | 우 | 우 | |
투수 | 65 | 홍원표 | 우 | 우 | |
투수 | 66 | 박준영 | 우 | 우 | |
투수 | 67 | 정민성 | 우 | 우 | |
투수 | 102 | 류병선 | 우 | 우 | 육성 선수 |
투수 | 109 | 박시원 | 우 | 우 | 육성 선수 |
투수 | 110 | 신경민 | 우 | 우 | 육성 선수 |
투수 | 122 | 김성경 | 우 | 우 | 육성 선수 |
투수 | 123 | 김동현 | 우 | 우 | 육성 선수 |
투수 | 미정 | 이재희 | 우 | 좌 | 병역 복귀 |
투수 | 미정 | 박주혁 | 우 | 우 | 병역 복귀 |
투수 | 미정 | 최원태 | 우 | 우 | LG에서 FA 이적 |
투수 | 미정 | 아리엘 후라도 | 우 | 우 | 키움에서 이적 |
투수 | 미정 | 배찬승 | 좌 | 좌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1순위 |
투수 | 미정 | 권현우 | 우 | 우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5순위 |
투수 | 미정 | 홍준영 | 우 | 우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7순위 |
투수 | 미정 | 전규범 | 우 | 우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8순위 |
투수 | 미정 | 우승완 | 우 | 우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9순위 |
투수 | 미정 | 진희성 | 우 | 우 | 2025년 신인 드래프트 11순위 |
투수 | 미정 | 김백산 | 우 | 우 | 신입단 육성 선수 |
투수 | 미정 | 김유현 | 우 | 우 | 신입단 육성 선수 |
투수 | 미정 | 최예한 | 우 | 우 | 신입단 육성 선수 |
투수 | 양창섭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김시온 | 좌 | 좌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허윤동 | 좌 | 좌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신윤호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신정환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서현원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김서준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홍무원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박권후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 |
투수 | 홍승원 | 우 | 우 | 군 보류 선수 육성 선수 | |
포수 | 2 | 김재성 | 우 | 좌 | |
포수 | 12 | 김민수 | 우 | 우 | |
포수 | 23 | 이병헌 | 우 | 우 | |
포수 | 42 | 김도환 | 우 | 우 | |
포수 | 47 | 강민호 | 우 | 우 | |
포수 | 106 | 차동령 | 우 | 우 | 육성 선수 |
포수 | 111 | 박진우 | 우 | 우 | 육성 선수 |
4. 1. 현재 선수단
2024년 5월 31일 현재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감독
;코치
- 정대현 (수석/투수)
- 강영식 (불펜)
- 이진영 (타격)
- 배영섭 (타격보조)
- 채상병 (배터리)
- 강명구 (작전)
- 손주인 (수비)
- 박찬도 (외야/주루)
- 정연창 (총괄 트레이닝)
- 윤석훈 (컨디셔닝)
- 황승현 (컨디셔닝)
- 김용해 (컨디셔닝)
- 염상철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퓨처스 코치
;3군 (육성군/잔류군) 코치
;재활군 코치
;투수
등번호 | 선수명 | 투 | 타 | 비고 |
---|---|---|---|---|
1 | 이재익 | 좌 | 좌 | |
4 | 육선엽 | 우 | 우 | |
15 | 이상민 | 좌 | 좌 | |
17 | 김대우 | 우 | 우 | |
18 | 원태인 | 우 | 좌 | |
19 | 양현 | 우 | 우 | |
20 | 이승현 | 우 | 우 | |
21 | 오승환 | 우 | 우 | |
27 | 김태훈 | 우 | 우 | |
28 | 서현원 | 우 | 우 | |
29 | 백정현 | 좌 | 좌 | |
35 | 이승민 | 좌 | 좌 | |
37 | 최하늘 | 우 | 우 | |
40 | 최지광 | 우 | 우 | |
43 | 레예스 | 우 | 우 | |
45 | 임창민 | 우 | 우 | |
46 | 홍무원 | 우 | 우 | |
51 | 최충연 | 우 | 우 | |
53 | 김서준 | 우 | 우 | |
54 | 최성훈 | 좌 | 좌 | |
55 | 이호성 | 우 | 우 | |
57 | 이승현 | 좌 | 좌 | |
61 | 황동재 | 우 | 우 | |
62 | 김재윤 | 우 | 우 | |
64 | 송은범 | 우 | 우 | |
65 | 홍원표 | 우 | 우 | |
66 | 박준용 | 우 | 우 | |
67 | 정민성 | 우 | 우 | |
108 | 홍승원 | 우 | 우 | 육성 선수 |
109 | 박시원 | 우 | 우 | 육성 선수 |
120 | 김대호 | 우 | 우 | 육성 선수 |
122 | 김성경 | 우 | 우 | 육성 선수 |
123 | 김동현 | 우 | 우 | 육성 선수 |
최원태 | 우 | 우 | LG에서 FA 이적 | |
후라도 | 우 | 우 | 키움에서 이적 |
;포수
;내야수
등번호 | 선수명 | 투 | 타 | 비고 |
---|---|---|---|---|
0 | 디아즈 | 좌 | 좌 | |
6 | 강한울 | 우 | 좌 | |
7 | 이재현 | 우 | 우 | |
9 | 공민규 | 우 | 좌 | |
14 | 안주형 | 우 | 좌 | |
16 | 류지혁 | 우 | 좌 | |
30 | 김영웅 | 우 | 좌 | |
34 | 전병우 | 우 | 우 | |
50 | 이창용 | 우 | 우 | |
58 | 김지찬 | 우 | 좌 | |
59 | 박병호 | 우 | 우 | |
60 | 김호진 | 우 | 우 | |
63 | 양우현 | 우 | 좌 | |
103 | 오현석 | 우 | 좌 | 육성 선수 |
114 | 앙도근 | 우 | 우 | 육성 선수 |
116 | 박장민 | 우 | 우 | 육성 선수 |
118 | 이현준 | 우 | 우 | 육성 선수 |
;외야수
;군입대 선수
;2024년 신인지명 선수
- 4 육선엽(1라운드 지명)
- -- 박준용(2라운드 지명)
- -- 정민성(4라운드 지명)
- -- 김성경(5라운드 지명)
- 60 김호진(6라운드 지명)
- -- 신경민(7라운드 지명)
- -- 이현준(8라운드 지명)
- -- 이재호(9라운드 지명)
- -- 김재형(10라운드 지명)
- -- 유병선(11라운드 지명)
4. 2. 역대 주요 선수
- 이만수: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 멤버로 활약했다.
- 김시진, 장효조, 양준혁, 배영수: (요약에 언급되었으나,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 없음)
- 이승엽: 2012년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하여 영구 결번이었던 등번호 36번을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 MVP로 선정되었다.
- 박한이: 2013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 오승환: 2005년, 2011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4. 3. 영구 결번
양준혁RF, DH
이만수
C

이승엽
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