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G 모바일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 모바일 월드컵은 LG전자가 주최한 문자 메시지 입력 속도와 정확성을 겨루는 대회이다. 2인 1조로 팀을 구성하여 QWERTY 자판과 숫자 자판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미션을 통해 경쟁했다. 2010년 국가 대항전 형식으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기간 중 기네스 세계 기록이 경신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의 행사 - 뉴욕의 빌리지 핼러윈 퍼레이드
    뉴욕의 빌리지 핼러윈 퍼레이드는 1973년 소규모 인형 퍼레이드로 시작되어 수십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성장했으며, 9/11 테러와 허리케인 샌디에도 불구하고 뉴욕시의 회복력을 상징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다.
  • 뉴욕의 행사 - 뉴욕 패션 위크
    뉴욕 패션 위크는 1943년 프레스 위크로 시작되어 CFDA 주도하에 7th 온 식스로 통합 개최되며 세계 4대 패션 위크로 자리매김한 미국의 패션쇼 행사로, 실용적인 의류 중심의 여성 모델 쇼를 특징으로 하며 상표권 관련 논란이 있다.
  • 대회 - 포뮬러 SAE
    포뮬러 SAE는 대학생들이 직접 설계 및 제작한 포뮬러 스타일 경주차로 성능을 겨루는 국제 대회이며, 차량 설계부터 주행 성능 평가까지 자동차 개발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정적 및 동적 이벤트와 엄격한 규칙으로 구성된다.
  • 대회 - 갓 탤런트
    사이먼 코웰이 기획한 갓 탤런트는 다양한 연령과 배경의 사람들이 여러 재능을 겨루는 대규모 텔레비전 경연 대회로, 2006년 《아메리카 갓 탤런트》를 시작으로 전 세계에 현지화되어 방영되며 스핀오프와 글로벌 버전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2010년 1월 - 2010년 1월 4일 한국 중부 폭설
    2010년 1월 4일 한국 중부 폭설은 수도권과 강원도에 기록적인 폭설을 내려 교통 혼잡, 시설물 및 농작물 피해를 야기하고 제설 방식, 사후 처리, 기상청 예보 실패 등 논란을 일으킨 현상이다.
  • 2010년 1월 - 제67회 골든 글로브상
    2010년 1월 17일에 열린 제67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작품과 배우들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문에서는 《아바타》와 《행오버》가, 텔레비전 부문에서는 《매드 맨》과 《글리》가 각각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마틴 스코세이지는 세실 B. 데밀 상을 받았다.
LG 모바일 월드컵
대회 정보
대회 명칭LG 모바일 월드컵
개최 연도2010년
종목문자 메시지 전송
우승자페드로 마티아스
우승 상금50,000 파운드
장소런던
국가영국

2. 대회 방식

LG 모바일 월드컵은 2인 1조로 팀을 구성하여 진행된다. 한 명은 QWERTY 자판을, 다른 한 명은 숫자 자판을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입력한다.[4] 참가자들은 "벽 깨기", "몬스터 터뜨리기", "움직이는 기둥", "달리기 릴레이", "레이싱 리플레이" 등의 미션을 통해 문자 메시지 입력 속도와 정확성을 겨룬다. 모든 텍스트 메시지는 참가자들의 모국어로 작성되었지만, 공정성을 위해 동일한 수의 문자를 사용하였다.[1] 참가자들은 LG enV3, LG BL20, LG GW520 등 LG전자 휴대폰을 사용해야 했다.[3]

3. 역대 대회 결과

하목민과 배영호


2010년 대회에서 16세의 하목민과 17세의 배영호가 우승했다.[4] 하목민은 전국 챔피언으로 초당 평균 7.25자를 입력할 수 있었다. 하목민은 쇼핑몰 키오스크에서 무료 영화 티켓을 받을 기회를 보고 대회에 참가했으며, 고등학교 중퇴자인 배영호는 새 차를 살 돈을 마련하기 위해 참가했다. 2위는 미국 출신 케이트 무어와 모건 딘다였고,[6] 3위는 아르헨티나 팀(아구스티나 몬테냐와 후안 이그나시오 아우프랑)이었다.

1위 팀에게는 10만달러, 2위 팀에게는 2만달러, 3위 팀에게는 1만달러의 상금이 주어졌다.[8]

3. 1. 2010년

2010년 대회는 국가 대항전 형식으로 처음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미국,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캐나다, 인도네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포르투갈,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등 13개국이 참가했다.[5]

이전에도 LG는 미국과 대한민국에서 각각 대회를 개최한 적이 있었다.[4] 미국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대회를 개최했고, 대한민국에서도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대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2010년에는 국가끼리 경쟁하는 첫 대회였다.[1]

팀은 2명으로 구성되어, 한 명은 QWERTY 자판을 입력하고 다른 한 명은 숫자 자판을 입력하는 방식이었다.[11] 600만 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예선전을 치렀다.

대한민국의 배영호(당시 17세)와 하목민(당시 16세)이 우승을 차지했다.[4] 하목민은 전국 챔피언이었으며 초당 평균 7.25자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었다. 배영호는 고등학교 중퇴자로, 새 차를 살 돈을 얻기 위해 대회에 참가했다. 2위는 미국의 케이트 무어와 모건 딘다였다.[6] 3위는 아르헨티나의 아구스티나 몬테냐와 후안 이그나시오 아우프랑이었다.

우승 상금은 팀당 10만달러, 2위는 2만달러, 3위는 1만달러였다.[8]

3. 2. 2011년

파나마의 크리스티나 살레스(당시 20세)와 제니퍼 살레스(당시 15세) 자매가 우승하였다.

4. 기록

대회 기간 중 가장 빠른 문자 메시지 전송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경신하는 부대 행사가 열렸다. 포르투갈의 페드로 마티아스가 264자 텍스트 메시지를 1분 59초 만에 입력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3][7] 숫자 키패드 분당 최다 키 입력 기록은 인도네시아가 306타, QWERTY 키보드 분당 최다 키 입력 기록은 대한민국이 357타로 각각 세웠다.[8]

참조

[1] 뉴스 Texting Pays Off at LG Mobile World Cup http://www.myfoxdetr[...] Fox News 2010-01-13
[2] 뉴스 World Cup texting championship opens. LOL. http://content.usato[...] USA Today 2010-01-14
[3] 뉴스 Pedro Matias sets new texting record at LG Mobile World Cup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0-01-15
[4] 뉴스 Rule of Thumbs: Koreans Reign in Texting Worl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1-27
[5] 뉴스 LG Mobile World Cup names the fastest texters in the world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0-01-15
[6] 뉴스 Winners Crowned in Texting World Cup Competition http://www.foxnews.c[...] Fox News 2010-01-14
[7] 뉴스 Team Korea wins the LG Mobile World Cup, global texting competition http://www.intomobil[...] Intomobile News 2010-01-19
[8] 웹사이트 Mobile Worldcup Final Result http://www.lgmobilew[...] 2010-01-15
[9] 뉴스 World Cup texting championship opens. LOL. http://content.usato[...] USA Today 2010-02-08
[10] 뉴스 Pedro Matias sets new texting record at LG Mobile World Cup http://www.engadget.[...] Engadget 2010-02-09
[11] 뉴스 Rule of Thumbs: Koreans Reign in Texting World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0-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