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TE-M은 3GPP에서 정의한 협대역 셀룰러 표준 중 하나이다. LTE-M은 LTE Cat M1, LTE Cat M2를 포함하며, NB-IoT, EC-GSM-IoT와 비교된다. 2019년 3월 기준으로 35개국 60개 사업자가 LTE-M 네트워크에 투자했으며, 2022년 2월에는 60개의 상업용 LTE-M 네트워크가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TE (전기통신) -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MBMS)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며, 3GPP 표준에 의해 기술 규격이 정의되고 5G 네트워크에서도 기술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 LTE (전기통신) - VoLTE
VoLTE는 LTE망을 이용해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기술로, 상용 서비스 시작 후 국제 로밍 및 상호 운용성이 확대되었으며, 높은 음성 품질과 통화 중 데이터 통신 가능 등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 및 장치 호환성, 긴급 통화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사물인터넷 -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스피커는 음성 명령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로, 여러 기업이 경쟁하며 액정 모니터 탑재 제품도 출시되고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 보안 취약점, 디지털 격차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 사물인터넷 -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는 신체에 착용하는 전자 장치 및 기술로, 시계에서 시작하여 스마트워치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모바일 기술 - 중계기
중계기는 전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성하여 통신 거리를 연장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 모바일 기술 -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MBMS)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며, 3GPP 표준에 의해 기술 규격이 정의되고 5G 네트워크에서도 기술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LTE-M | |
---|---|
LTE-M 정보 | |
종류 | 셀룰러 장치 기술 |
다른 이름 | LTE Cat-M1 Cat-M1 eMTC (향상된 기계 유형 통신) |
관련 기술 | LTE NB-IoT EC-GSM-IoT |
설명 | 저전력 광역 (LPWA) 기술 표준으로, 사물 인터넷 (IoT) 장치 및 기계 간 통신 (M2M)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
특징 | 낮은 장치 복잡성 넓은 커버리지 긴 배터리 수명 |
표준화 기관 | 3GPP |
주요 목표 | 전력 소비 감소 커버리지 확장 비용 효율적인 장치 |
장점 | 기존 LTE 네트워크와의 호환성 음성 통신 지원 더 높은 데이터 속도 (NB-IoT 대비) |
단점 | NB-IoT에 비해 전력 소비가 높고, 커버리지가 좁을 수 있음. |
활용 분야 | 웨어러블 기기 추적 장치 스마트 미터 산업용 센서 |
대역폭 | 1.4 MHz |
데이터 속도 | 다운링크/업링크 모두 375 kbps |
지연 시간 | 10-15 ms |
이동성 | 지원 |
음성 통신 | VoLTE 지원 |
보안 | LTE 수준의 보안 |
장치 복잡성 | LTE Cat 1 대비 감소 |
전력 소비 | NB-IoT보다 높지만 기존 LTE보다 낮음 |
커버리지 | GSM보다 향상됨 |
글로벌 지원 | 광범위한 네트워크 사업자 지원 |
Cat-M2 | 향상된 Cat-M1. 더 낮은 대기 시간, 더 높은 대역폭 및 더 많은 장치를 지원 |
2. 3GPP 협대역 셀룰러 표준
3GPP는 저전력 광대역 (LPWA) 사물 인터넷 (IoT)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단체이다.[9][10] 3GPP는 LTE-M 기술과 함께 NB-IoT 등의 표준을 개발해 왔으며, 각 기술은 3GPP 릴리스 버전에 따라 발전해 왔다.
2. 1. 기술 규격 비교
아래 표는 3GPP LPWA IoT 기술들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9][10]3GPP LPWA IoT | LTE Cat 1 | LTE Cat 1 bis | LTE-M | NB-IoT | EC-GSM-IoT | ||||
---|---|---|---|---|---|---|---|---|---|
LC-LTE/MTCe | eMTC | ||||||||
LTE Cat 0 | LTE Cat M1 | LTE Cat M2 | non-BL | LTE Cat NB1 | LTE Cat NB2 | ||||
3GPP 릴리스 | 릴리스 8 | 릴리스 13 | 릴리스 12 | 릴리스 13 | 릴리스 14 | 릴리스 14 | 릴리스 13 | 릴리스 14 | 릴리스 13 |
다운링크 최대 속도 | 10Mbit/s | 10Mbit/s | 1Mbit/s | 1Mbit/s | ~4Mbit/s | ~4Mbit/s | 26kbit/s | 127kbit/s | 474kbit/s (EDGE) |
업링크 최대 속도 | 5Mbit/s | 5Mbit/s | 1Mbit/s | 1Mbit/s | ~7Mbit/s | ~7Mbit/s | 66kbit/s (다중 톤) | 159kbit/s | 474kbit/s (EDGE) |
지연 시간 | 50–100 ms | 배포되지 않음 | 10–15 ms | 1.6–10 s | 700 ms – 2 s | ||||
안테나 수 | 2 | 1 | 1 | 1 | 1 | 1 | 1 | 1 | 1–2 |
듀플렉스 모드 | 전이중 | 전이중 또는 반이중 | 전이중 또는 반이중 | 전이중 또는 반이중 | 전이중 또는 반이중 | 반이중 | 반이중 | 반이중 | |
장치 수신 대역폭 | 1.4–20 MHz | 1.4–20 MHz | 1.4 MHz | 5 MHz | 5 MHz | 180 kHz | 180 kHz | 200 kHz | |
수신기 체인 | 2 (MIMO) | 1 (SISO) | 1 (SISO) | 1 (SISO) | 1 (SISO) | 1 (SISO) | 1 (SISO) | 1–2 | |
장치 전송 전력 | 23dBm | 23dBm | 23dBm | 20dBm / 23dBm | 20dBm / 23dBm | 20dBm / 23dBm | 20dBm / 23dBm | 14dBm / 20dBm / 23dBm | 23dBm / 33dBm |
글로벌 모바일 공급업체 협회(GSA)는 2019년 3월 기준으로 35개국 60개 사업자가 LTE-M 네트워크에 투자했고, 그중 24개국 34개 사업자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출시했다고 확인했다.[8] GSMA는 2022년 2월 기준으로 60개의 상업용 LTE-M 네트워크가 출시되었다고 밝혔다.[11]
3. 배포 현황
3. 1. 글로벌 배포 현황
2019년 3월, 글로벌 모바일 공급업체 협회(GSA)는 35개국 60개 사업자가 LTE-M 네트워크에 투자했으며, 그중 24개국 34개 사업자가 네트워크를 구축 또는 출시했다고 밝혔다.[8] 2022년 2월, GSMA는 60개의 상업용 LTE-M 네트워크가 출시되었다고 발표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LTE-M – the new GSM
https://www.rohde-sc[...]
[2]
웹사이트
eMTC (LTE Cat-M1)
https://halberdbasti[...]
[3]
웹사이트
Standards for the IoT
http://www.3gpp.org/[...]
[4]
웹사이트
What is LTE Cat-M2?
https://www.everythi[...]
2023-03-12
[5]
웹사이트
Extended Coverage - GSM - Internet of Things (EC-GSM-IoT)
http://www.gsma.com/[...]
GSMA
2016-05-11
[6]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NB-IOT and LTE-M
https://accent-syste[...]
2018-05-03
[7]
서적
2016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8]
웹사이트
Global Narrowband IoT – LTE-M networks
https://gsacom.com/p[...]
2019-03
[9]
뉴스
Preliminary specification
3GPP
[10]
웹사이트
3GGP TS45.001: GSM/EDGE Physical layer on the radio path
http://www.3gpp.org/[...]
3GPP TSG RAN WG6
2017-03-20
[11]
웹사이트
Mobile IoT Network Launches
https://www.gsma.com[...]
2023-03-19
[12]
웹인용
LTE-M – the new GSM
https://www.rohde-sc[...]
[13]
웹인용
eMTC (LTE Cat-M1)
https://halberdbasti[...]
[14]
웹인용
Standards for the IoT
http://www.3gpp.org/[...]
[15]
웹인용
Extended Coverage - GSM - Internet of Things (EC-GSM-IoT)
http://www.gsma.com/[...]
GSMA
2016-05-11
[16]
웹인용
Differences between NB-IOT and LTE-M
https://accent-syste[...]
2018-05-03
[17]
서적
2016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18]
웹인용
Global Narrowband IoT – LTE-M networks
https://gsacom.com/p[...]
2019-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SK텔레콤·시스코 IoT 협력, ‘로라(LoRa)’로 확장될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SK텔레콤, ‘LTE-A 프로’ 6월 1일 상용화…최대 500Mbps 속도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