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T 9779 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TT 9779 b는 LTT 9779를 모항성으로 둔 초고온해왕성으로, 해왕성 사막에서 발견된 희귀한 행성이다. 2020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19시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지고 표면 온도가 1700°C 이상으로 매우 높다. 높은 알베도(0.8)를 가지며, 금속이 풍부한 대기와 규산염 구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2022년 국제천문연맹의 NameExoWorlds 공모전을 통해 Cuancoá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M51-ULS-1B
M51-ULS-1b는 우리 은하 밖의 다른 은하에서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과 거대 항성으로 이루어진 쌍성 M51-ULS-1을 공전하며 X선 통과 현상을 통해 발견되어 외계 행성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증거로 평가받는다. - 202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TOI-849 B
초고온 외계 행성 TOI-849 b는 짧은 공전 주기와 높은 표면 온도, 지구 질량의 약 39배에 달하는 질량, 그리고 높은 밀도를 지녀 가스 행성의 핵으로 추정되며 행성 형성 이론에 이례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 뜨거운 해왕성 - HD 69830 b
- 뜨거운 해왕성 - 글리제 581 b
글리제 581 b는 2005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공전하며,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16배이고 5.4일 만에 항성을 공전하는 특징을 가진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LTT 9779 b | |
---|---|
기본 정보 | |
명칭 | LTT 9779 b / 쿠앙코아 |
다른 이름 | 쿠앙코아 |
외계 행성 | LTT 9779 b |
발견 | 2020년 |
발견 방법 | 천이 |
모항성 | LTT 9779 |
궤도 특성 | |
궤도 긴반지름 | 0.01679 AU |
궤도 이심률 | 0.01 미만 |
궤도 경사 | 76.39 ± 0.43° |
물리적 특성 | |
질량 | 29.32 M🜨 |
반지름 | 4.72 ± 0.23 R🜨 |
알베도 | 0.8 |
표면 온도 (항성면) | 2,305 K (2,032 °C; 3,689 °F) |
특징 | |
설명 | 넵투니안 사막에 위치한 외계 행성 |
2. 특징
LTT 9779 b는 2020년에 천문학계에서 최초로 발견한 초고온해왕성이다. 원래는 토성이나 목성과 같은 큰 가스 행성이었지만, 모항성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현재의 크기로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 물리적 특징
LTT 9779 b는 모항성인 LTT 9779와 매우 가까워 온도가 매우 높은 초고온해왕성에 속하는 '''해왕성형 행성'''이다. 모항성과 매우 가까워 1년이 19시간밖에 되지 않으며, 표면 온도가 1700°C 이상으로 매우 뜨겁다. 이 때문에 LTT 9779 b는 수증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조석 고정되어 있다. 이 행성은 반사율이 매우 높아 알베도가 0.8에 달하는데,[3]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LTT 9779 b는 하루도 안 되는 시간에 LTT 9779 주위를 공전하며, 낮 부분의 온도는 섭씨 2,000도 이상으로 올라간다.[4] 이 행성의 전 지구적 기후 모델은 금속이 매우 풍부한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규산염 구름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1]2. 2. 대기
LTT 9779 b는 모항성인 LTT 9779와 너무 가까워 온도가 매우 높은 초고온해왕성에 속하는 '''해왕성형 행성'''이다. 모항성과 매우 가까워 1년이 고작 19시간밖에 되지 않으며 표면 온도가 1700°C 이상으로 매우 뜨거운 행성이다. 이로 인해 LTT 9779 b는 수증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조석 고정되어 있다. 이 행성의 전 지구적 기후 모델은 매우 금속이 풍부한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구름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1]2. 3. 희귀성
LTT 9779 b는 해왕성 사막에 위치한 매우 희귀한 종류의 행성으로, 이와 유사한 행성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2] 태양과 유사한 별 200개 중 단 1개만이 하루 미만의 공전 주기를 가진 행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2] 대부분은 뜨거운 목성이나 암석 행성이며, 초고온 해왕성형 행성은 드물다.[2] 이러한 희귀성 때문에 LTT 9779 b는 허블 우주 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포함한 많은 우주 망원경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3. 명칭
국제천문연맹이 2022년 NameExoWorlds 공모전의 일환으로 LTT 9779 b를 공식적으로 쿠안코아(Cuancoá)로 명명하였다.[5] 쿠안코아는 우와어로 샛별을 의미한다. 쿠안코아의 별은 같은 언어로 "별", "씨앗", "눈"을 의미하는 우바(Uúba)로 명명되었다.
4. 연구
LTT 9779 b는 해왕성 사막에서 발견된 몇 안 되는 행성 중 하나이다.[2] 이 행성은 알베도가 0.8로,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가장 높은 반사율을 보인다.[3] LTT 9779 b는 하루도 안 되는 시간에 LTT 9779 주위를 공전하며, 낮 부분의 온도는 2000°C 이상이다.[4] 이 행성의 전 지구적 기후 모델은 금속이 매우 풍부한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규산염 구름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1]
LTT 9779 b는 해왕성 사막에 위치하여 매우 희귀한 종류의 행성으로, 이와 유사한 행성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태양과 유사한 별 200개 중 단 1개만이 하루 미만의 공전 주기를 가진 행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2] 대부분은 뜨거운 목성이나 암석 행성이고, 초고온 해왕성형 행성은 드물다.[2] 이러한 이유로 LTT 9779 b는 허블 우주 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포함한 많은 우주 망원경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extremely high albedo of LTT 9779 b revealed by CHEOPS - An ultrahot Neptune with a highly metallic atmosphere
https://www.aanda.or[...]
2023-07-01
[2]
논문
An Ultra-Hot Neptune in the Neptune desert
2020-09-14
[3]
웹사이트
Cheops shows scorching exoplanet acts like a mirror
https://www.esa.int/[...]
2023-10-21
[4]
논문
Phase Curves of Hot Neptune LTT 9779b Suggest a High-Metallicity Atmosphere
2020-10-26
[5]
웹사이트
2022 Approved Names
https://www.nameexow[...]
2023-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