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51-ULS-1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51-ULS-1b는 지구로부터 2300만 광년 떨어진, M51-ULS-1 쌍성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2020년 밝은 X선원(XRS)에 의한 통과 현상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목성의 약 0.7배 크기로 토성보다 약간 작을 가능성이 있다. 주성인 M51-ULS-1은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과 거대한 항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며, M51-ULS-1b는 주성으로부터 약 0.4 천문 단위 떨어진 위치를 공전한다. X선 통과 현상 관측을 통해 은하 외 행성 및 XRS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발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LTT 9779 b
    LTT 9779 b는 LTT 9779를 공전하는 초고온해왕성으로, 19시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지며 표면 온도가 1700°C 이상이고 높은 알베도와 금속 대기 및 규산염 구름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희귀 행성이다.
  • 202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TOI-849 B
    초고온 외계 행성 TOI-849 b는 짧은 공전 주기와 높은 표면 온도, 지구 질량의 약 39배에 달하는 질량, 그리고 높은 밀도를 지녀 가스 행성의 핵으로 추정되며 행성 형성 이론에 이례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토성
    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거대 가스 행성이며, 아름다운 고리, 많은 위성, 물보다 낮은 밀도, 빠른 자전으로 인한 편구체 형태, 북극의 육각형 구름, 그리고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로 특징지어진다.
M51-ULS-1B
기본 정보
화성(별자리)사냥개자리
분류태양계외행성
은하계외행성
궤도의 종류주회 궤도
발견
발견 연도2020년
발견 장소트랜짓법
현황현 시점에서는 후보
궤도 정보
궤도의 종류주회 궤도
궤도 긴반지름0.4 ± 0.3 au
공전 주기알 수 없음 (데이터 부족)
모항성M51-ULS-1
위성 수0
위치 정보
물리적 특징
반지름0.7 ± 0.4 RJ

2. 특징

지구로부터 약 23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행성 후보이다.[5] 목성과 같은 가스 행성으로 추정되며, 우리 은하 외부의 다른 은하에 있는 항성도 행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여겨진다.[5][2] 2020년 밝은 X선원(XRS)인 주성 M51-ULS-1 앞을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통과 현상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5][2][3] 주성 M51-ULS-1은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과 거대한 항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5][2] 이 발견은 X선 통과 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은하 외 행성 탐색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2. 1. 물리적 특성

M51-ULS-1b는 우리 은하 외부 은하항성계에서도 행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견이다[2]. 이 행성 후보는 밝은 X선원(XRS)인 주성 M51-ULS-1 앞을 지나가면서 X선 밝기가 감소하는 통과 현상을 이용하여 2020년에 발견되었다[2][3].

주성인 M51-ULS-1은 쌍성계로, 구성원 중 하나는 항성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남은 잔해인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이며, 다른 하나는 질량이 매우 큰 거대 항성이다[2]. M51-ULS-1b의 발견은 X선 통과 현상 관측을 통해 우리 은하뿐만 아니라 외부 은하에 있는 X선원 주위의 행성들을 추가로 발견할 수 있는 새로운 탐색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1. 1. 크기 및 질량

M51-ULS-1b는 목성의 약 0.7배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3]. 이는 토성보다 약간 작을 가능성이 있다[2].

2. 1. 2. 공전 궤도

M51-ULS-1b는 주성으로부터 약 0.4천문 단위 떨어진 위치를 공전하고 있다[3].

2. 2. 발견 방법

M51-ULS-1b는 밝은 X선원(XRS)에서 발생하는 통과 현상(transit)을 관측하는 방법을 통해 2020년에 발견되었다.[5][2][3] 이 행성의 주성인 M51-ULS-1은 쌍성계로, 구성원 중 하나는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과 같은 항성의 잔해이며, 다른 하나는 거대한 항성이다.[5][2]

이 발견은 우리 은하 외부의 다른 은하에도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5][2] 또한, X선 통과 현상을 이용하는 이 관측 기법은 앞으로 더 많은 은하 외 행성이나, 우리 은하 내부에 있는 X선원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들을 찾아내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3. 주성계

M51-ULS-1은 지구로부터 약 23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쌍성계이다.[5] 이 계는 밝은 X선원(XRS)으로 알려져 있다.[2][3] M51-ULS-1b는 이 주성계에서 발견된 외계 행성 후보이다.

3. 1. 구성

M51-ULS-1b의 주성인 M51-ULS-1은 쌍성이다.[5][2] 이 쌍성계는 항성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남는 천체인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 하나와, 다른 하나는 거대한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다.[5][2]

M51-ULS-1b 자체는 목성의 약 0.7배 크기를 가지며[3], 이는 토성보다 약간 작은 크기일 수 있다.[2] 이 행성 후보는 주성으로부터 약 0.4천문 단위 떨어진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3]

3. 2. X선 관측의 중요성

M51-ULS-1b는 밝은 X선원(XRS)의 앞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통과 현상을 이용하여 2020년에 발견되었다.[2][3] 이러한 X선 통과 현상을 관측하는 방법은 앞으로 더 많은 외계 행성, 특히 우리 은하 외부의 은하에 있는 행성이나 은하 내 XRS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51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20-09-27
[2] 웹사이트 M51-ULS-1b: The First Candidate for a Planet in an External Galaxy https://arxiv.org/ab[...] arXiv 2020-09-27
[3] 웹사이트 Planet M51-ULS-1 b http://exoplanet.eu/[...] 太陽系外惑星エンサイクロペディア 2020-09-27
[4] 웹인용 M51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20-09-27
[5] 웹인용 M51-ULS-1b: The First Candidate for a Planet in an External Galaxy https://arxiv.org/ab[...] arXiv 2020-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