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NAR-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UNAR-A는 일본이 계획했던 달 탐사 프로젝트로, 달 표면에 페네트레이터를 투하하여 달 내부 구조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페네트레이터에는 지진계와 열류계가 탑재되어 달 내부의 지진 활동, 열 흐름 등을 측정하고, 궤도선은 달 표면 촬영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LUNAR-A는 달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새로운 궤도 진입 기술과 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1년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기술적 문제와 비용 문제로 인해 발사가 계속 연기되다가 2007년에 계획이 중단되었다. LUNAR-A를 위해 개발된 기술은 다른 우주 탐사 계획에 활용되었으며, 페네트레이터 기술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지진계 설치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소된 우주 탐사선 - 유로파 궤도선
유로파 궤도선은 NASA에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계획했던 유로파 탐사 임무로,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유로파의 얼음 껍질 두께 측정, 표면 지형 및 자기장 분석 등을 목표로 했으나 취소되었으며, 후속 유로파 탐사 계획에 영향을 주었다. - 취소된 우주 탐사선 - ILN
ILN(국제 달 네트워크)은 달의 내부 구조와 활동 연구를 목표로 2008년에 구상된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였으나, NASA의 착륙 스테이션 제공 계획 연기 및 변경으로 현재는 개발되지 않았다. - 일본의 우주 탐사선 - 제20호 과학위성 하야부사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제20호 과학위성 하야부사(MUSES-C)는 소행성 이토카와 탐사 및 샘플 채취를 목표로 2003년 발사되어 이온 엔진, 자율 항법 등 신기술을 실증하고 수많은 난관을 극복한 끝에 2010년 세계 최초로 소행성 표면 물질을 담은 캡슐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 일본의 우주 탐사선 - SLIM
SLIM은 일본 JAXA에서 개발한 소형 달 착륙선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했으며, 특히 정밀한 착륙 기술 시연을 목표로 개발되어 달 표면 탐사에 기여했다. - 달 탐사선 - 아폴로 13호
아폴로 13호는 달 착륙을 목표로 발사되었으나, 산소 탱크 폭발 사고로 달 착륙이 취소되었지만, 승무원들은 달 착륙선을 이용하여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여 "성공적인 실패"라는 별칭을 얻은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세 번째 유인 우주 탐사 임무이다. - 달 탐사선 - 아폴로 15호
아폴로 15호는 1971년 발사된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9번째 유인 미션으로, 달 탐사차를 처음 사용하여 해들리 계곡과 아펜니노 산맥 일대를 탐사하고 월석을 채취하는 등 과학적 탐사에 중점을 둔 J-미션이었으나, 승무원들의 우표 소지 논란이 있었다.
| LUNAR-A | |
|---|---|
| LUNAR-A 계획 | |
| 개요 | |
| 임무 유형 | 달 궤도선 및 충돌기 |
| 관리 기관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 웹사이트 | LUNAR-A 페이지 |
| 무게 | 520 kg |
| 페네토레타 무게 | 13.5 kg |
| 발사일 | 발사 취소됨 |
| 발사체 | M-5 |
| 궤도 정보 | |
| 목표 천체 | 달 |
| 근지점 | 200 km |
| 원지점 | 300 km |
| 경사각 | 30° |
2. 개발 배경
LUNAR-A 계획 이전 일본의 달 탐사는 히텐・하고로모를 통해 이루어졌으나, 이들의 주된 목적은 스윙바이 등의 궤도 제어 기술 습득이었고, 달 탐사는 간단한 우주 먼지 관측 및 사진 촬영 정도로 제한적이었다.[3]
LUNAR-A는 일본 최초로 본격적인 달 탐사를 진행할 탐사선으로, 지진계와 열류계를 탑재한 두 개의 "페네토레타"를 달 표면에 꽂아 탐사할 예정이었다.[20][21][19][22] 페네토레타는 달 앞면과 뒷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월진을 관측하고, 열 흐름을 관측하여 달 내부 구조를 파악하려 했다.[23]
LUNAR-A는 달 표면에 "페네트레이터"라고 불리는 창 모양의 관측 장치를 투하하여 지하 약 2미터 전후의 깊이까지 잠입시키는 방식을 채택했다. 페네트레이터에는 지진계와 열류계가 탑재되어, 투하된 2개의 페네트레이터를 통해 달의 내부 구조를 조사할 예정이었다. 모선은 달 궤도를 돌면서 페네트레이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탑재된 카메라 (LIC)를 통해 달 표면을 촬영하여, 약 1년에 걸쳐 달의 내부와 외부를 관측할 계획이었다.[20][21][19][22]
지금까지의 달 탐사에서는 주로 달 표면의 지형이나 암석 등 지질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LUNAR-A는 페네트레이터를 이용하여 관측기를 달에 꽂아 달의 내부를 직접 탐사함으로써, 그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한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미국의 아폴로 계획이나 소련의 루나 계획(초기 제외)은 탐사선을 달에 연착륙시키는 방식을 사용했지만, LUNAR-A는 달 표면에 관측 장치를 직접 낙하시키기 때문에, 감속을 위한 로켓이나 제어 장치도 소형으로 가능하여 탐사선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었다.[3]
LUNAR-A를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비행 기동은, 공학 실험 위성 히텐에서 개발된 것을 채용할 예정이었다. 이는 지구 궤도의 원지점 고도를 150만km 부근까지 올림으로써, 지구로부터의 중력 영향을 최소화한 원지점 부근에서 태양에 의한 섭동을 이용하여 근지점 고도를 높여 달 공전 궤도에 가까운 궤도에 탐사선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3. 임무 목적
LUNAR-A 계획은 히텐・하고로모가 스윙 바이 등 궤도 제어 기술 습득에 중점을 둔 것과 달리, 본격적인 달 탐사를 목표로 했다. LUNAR-A는 페네트레이터를 달 표면 지하 약 2미터 깊이까지 꽂아 달 내부 구조를 조사하고, 모선은 달 궤도를 돌면서 페네트레이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며 카메라(LIC)로 달 표면을 촬영할 계획이었다.
이전 달 탐사는 주로 달 표면 지형이나 암석 등 지질 조사에 집중했지만, LUNAR-A는 페네트레이터를 통해 달 내부를 직접 탐사하여 달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이터를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미국의 아폴로 계획이나 소련의 루나 계획이 탐사선을 달에 연착륙시킨 것과 달리, LUNAR-A는 관측 장치를 달 표면에 직접 낙하시켜 탐사선을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3. 1. 과학적 목적
LUNAR-A의 세부 과학적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18]
4. 구조
LUNAR-A는 직경 2.2m, 높이 1.7m의 원통형으로, 4개의 태양 전지판을 장착하고 스핀 안정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달 궤도에 진입하여 달의 반대편에 2개의 관통자(페네트레이터)를 고도 40km에서 배치할 예정이었다. 관통자는 고도 25km에서 소형 로켓으로 감속한 후 달 표면으로 자유 낙하하며, 초당 330m의 충돌 속도를 견뎌 레골리스를 깊숙이 관통하도록 설계되었다.[3]
관통자 배치 후, LUNAR-A 우주선은 달 표면 상공 200km 궤도로 이동하여 해상도 30m의 단색 이미징 카메라로 달 표면을 촬영할 예정이었다.[4]
LUNAR-A는 달 표면에 창 모양의 관측 장치 "페네트레이터"를 투하하여 지하 약 2m 깊이까지 잠입시키는 방식을 사용했다. 페네트레이터에는 지진계와 열류계가 탑재되어 달의 내부 구조를 조사하고, 모선(궤도선)은 달 궤도를 돌면서 페네트레이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LIC)로 달 표면을 촬영할 계획이었다.
미국의 아폴로 계획이나 소련의 루나 계획(초기 제외)과 달리, LUNAR-A는 달 표면에 관측 장치를 직접 낙하시켜 탐사선을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LUNAR-A의 달 궤도 진입 비행 기동은 히텐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지구 궤도의 원지점 고도를 150만km 부근까지 올려 지구 중력 영향을 최소화하고, 원지점 부근에서 태양의 섭동을 이용하여 근지점 고도를 높여 달 궤도에 탐사선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4. 1. 궤도선
궤도선은 지름 120cm, 높이 111cm의 원기둥 모양(본체 밑으로 돌출된 엔진 제외)일 예정이었다. 궤도 조정 시스템, S 대역 안테나, UHF 대역 안테나는 원기둥 끝에 장착되었고, 반작용 제어 시스템과 다른 S 대역 안테나는 반대편 끝에 장착되었으며, 세 개의 태양 전지판은 원기둥과 수직을 이루도록 펼쳐졌다. 분해능 30m의 단색 지도 작성용 카메라는 원기둥 측면, 태양 전지판 중 하나 밑에 장착되었고, 이 카메라는 감지하기 힘든 표면 특징들을 잘 보이게 해주는 명암 경계선을 찍을 예정이었다. 탐사선은 회전 안정화 방식을 사용하며, 고도와 회전 속도는 N₂H₄|N2H4영어 단일추진제 연료를 사용한 반작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해 조절할 예정이었다. 또한 달 근처에서의 궤도 수정은 두 추진제(N₂O₄|N2O4영어 및 N₂H₄|N2H4영어)를 사용할 예정이었다.[17] 사용하는 무선 대역 중 S 대역은 지구와의, UHF 대역은 페네트레이터와의 통신에 이용할 예정이었다.[23]4. 2. 페네트레이터
페네트레이터는 미사일 모양 원기둥으로, 지름 14cm, 길이 75cm였다. 궤도 이탈용 로켓 엔진과 자세 제어 시스템은 충돌 전에 분리되었다.[17] 각각의 페네트레이터에는 지진계 두 개, 열유량계, 경사계, 가속도계, 라디오 전송기 및 안테나가 장치되어 있었다.[17] 장비들은 Li-SOCL2 배터리를 이용해 전기를 공급받으며, 수명은 1년으로 추산되었다. 페네트레이터들은 10,000 G의 충격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7] 궤도선과의 통신은 UHF 대역을 이용할 예정이었다.[23]5. 계획 중단
LUNAR-A는 1991년 개발 시작 당시 1995년 발사를 목표로 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연기되었다.[19][20] 1997년 본체 개발이 완료되었으나,[19] 페네트레이터 분리 장치 개조로 인해 발사가 연기되었다.[18] 1998년에는 페네트레이터 침투 실험 중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발사가 다시 연기되었다.[18] 2004년에는 궤도선 추진기 리콜로 발사가 또 연기되었다.[21]
2006년에는 페네트레이터가 거의 완성되었지만, 궤도선 본체 접착제의 열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 문제로 인해[19][20] 2007년 1월, 결국 계획 중단이 결정되었다.[19][20][18][24]
개발된 페네트레이터 기술은 다른 국가의 우주 탐사선에 탑재될 예정이었다. 특히 러시아의 루나 글로브 탐사선에 탑재될 가능성이 있었으나,[25] 2010년 10월 페네트레이터 완성 당시에는 루나 글로브 탐사선의 구성이 이미 확정되어 탑재가 무산되었다.[26]
LUNAR-A 계획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M-V 로켓 2호기는 2008년 10월부터 JAXA 사가미하라 캠퍼스에 전시되고 있다.
6. LUNAR-A 계획의 유산
LUNAR-A를 위해 개발된 지진계는 NASA의 타이탄 탐사선 드래곤플라이에 채택되어 관측 장치 DraGMet의 일부로 사용될 예정이다.[12][13]
실현되지 못한 페네트레이터 기술은 이후 화산이나 남극처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지진계 등을 설치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2024년 현재 남극 시라세 빙하의 유동을 관측하는 계획이 페네트레이터를 통해 진행 중이다. 남극 관측용 페네트레이터에는 지진계 외에 GPS와 인프라 사운드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14][15] 향후 달 행성 탐사에서도 페네트레이터 채용이 모색되고 있다.[16]
참조
[1]
뉴스
Lunar-A launch delayed
http://www.spacetoda[...]
Space Today
2004-03-31
[2]
뉴스
Japan's Moon mission in jeopardy
https://www.cbc.ca/n[...]
Associated Press
2007-01-15
[3]
웹사이트
LUNAR-A Lunar Explorer
https://global.jaxa.[...]
2023-03-19
[4]
웹사이트
Lunar-A
https://nssdc.gsfc.n[...]
2023-03-19
[5]
문서
松浦晋也の「宇宙開発を読む」 第8回 やっと決まったLUNAR-A中止-徹底した原因・経緯の調査が必要-
http://www.nikkeibp.[...]
日経BP社
2007-01-19
[6]
웹사이트
第17号科学衛星 (LUNAR-A) プロジェクトの状況について
https://www.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2-01-28
[7]
웹사이트
JAXA立川理事長定例記者会見
https://www.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2-01-28
[8]
웹사이트
ペネトレータ技術の完成にむけた開発現状と将来ミッションへの展開
https://www2.jpgu.or[...]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24-05-23
[9]
웹사이트
First attempt to revive Luna-Glob
https://www.russians[...]
RussianSpaceWeb.com
2024-05-23
[10]
웹사이트
LUNAR-A中止後のペネトレータ
https://www.wakusei.[...]
日本惑星科学会
2024-05-23
[11]
웹사이트
ルナ・グローブ計画 探査の概要
https://moonstation.[...]
月探査情報ステーション
2024-05-23
[12]
웹사이트
Dragonfly地震計の開発
https://www.miz.nao.[...]
国立天文台
2024-05-23
[13]
웹사이트
Titan Seismology with Dragonfly: Prob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st Accessible Ocean World
https://dragonfly.jh[...]
ジョンズ・ホプキンズ大学応用物理研究所
2024-05-23
[14]
웹사이트
南極観測用ペネトレータの開発と白瀬氷河および周辺域での集中観測
https://www.nipr.ac.[...]
国立極地研究所
2024-05-23
[15]
웹사이트
南極取材 特殊装置「ペネトレータ」を投下 氷河の状態を解明
https://www.fnn.jp/a[...]
FNNプレミアムオンライン
2024-05-23
[16]
웹사이트
西川 泰弘助教が南極の氷河の流動を観測するため第64次南極地域観測隊に参加
https://www.kochi-te[...]
高知工科大学
2024-05-23
[17]
웹인용
LUNAR-A
http://nssdc.gsfc.na[...]
2016-11-09
[18]
웹인용
第17号科学衛星 (LUNAR-A) プロジェクトの状況について
http://www.jaxa.jp/p[...]
2007-01-10
[19]
웹인용
松浦晋也の「宇宙開発を読む」 第8回 やっと決まったLUNAR-A中止-徹底した原因・経緯の調査が必要
http://www.nikkeibp.[...]
2007-01-28
[20]
뉴스
Japan's Moon mission in jeopardy
http://www.cbc.ca/te[...]
Associated Press
2016-11-09
[21]
웹인용
Lunar-A launch delayed
http://www.spacetoda[...]
2004-03-31
[22]
웹인용
月探査機 LUNAR-A
http://www.isas.jaxa[...]
2016-11-08
[23]
웹인용
月探査機 LUNAR-A: Lunar Explorer
http://global.jaxa.j[...]
2016-11-09
[24]
웹인용
ルナーA(LUNAR-A):日本
http://moonstation.j[...]
2016-11-09
[25]
웹인용
JAXA立川理事長定例記者会見
http://www.jaxa.jp/a[...]
2007-10
[26]
웹인용
LUNAR-A計画中止後のペネトレータ
http://www.zisin.jp/[...]
2012-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