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ick My Decals Off, Bab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ck My Decals Off, Baby》는 1970년에 발매된 캡틴 비프하트 앤 히즈 매직 밴드의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밴드의 이전 앨범인 《Trout Mask Replica》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돈 밴 블리트가 직접 프로듀싱을 맡아 프랭크 자파의 프로듀싱 방식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고자 했다. 앨범은 영국에서 20위까지 오르며 성공을 거두었지만, 미국에서는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다. 앨범에는 "Lick My Decals Off, Baby", "I Love You, You Big Dummy"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밴드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실험적인 사운드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1970년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리프리즈 레코드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리프리즈 레코드 음반 - Blue (조니 미첼의 음반)
    Blue는 조니 미첼이 1971년에 발표한 네 번째 정규 앨범으로, 유럽 여행의 영감과 연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내어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Lick My Decals Off, Baby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릭 마이 데칼스 오프, 베이비 음반 표지
릭 마이 데칼스 오프, 베이비 음반 표지
종류정규 음반
아티스트캡틴 비프하트와 더 매직 밴드
발매일1970년 12월
녹음일1970년 5월
스튜디오레코드 플랜트 (웨스트 할리우드, 캘리포니아주)
장르아방가르드 록
아트 록
아방 팝
길이39분 38초
레이블스트레이트 레코드
리프라이즈 레코드
프로듀서돈 반 블리트
이전 음반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
이전 음반 발매일1969년
다음 음반미러 맨
다음 음반 발매일1971년
음반 평가
크리스트가우의 레코드 가이드A−

2. 역사적 배경

1969년, 캡틴 비프하트와 그의 매직 밴드는 획기적인 앨범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를 발표했지만, 밴드 내 불화와 리더 돈 반 블리트(캡틴 비프하트)의 독단적인 운영으로 인해 멤버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기타리스트 제프 코튼은 로드 매니저 제프 버첼과의 폭행 사건을 계기로 밴드를 탈퇴했고,[17] 드러머 존 프렌치는 일시적으로 해고되었다.[16][18]

프랭크 자파와의 관계 악화에도 불구하고,[19] 반 블리트는 자파의 스트레이트 레코드에서 새 앨범을 제작하기로 결정했다.[22] 전 머더스 오브 인벤션 멤버 아트 트립이 합류하고,[21] 존 프렌치가 복귀하면서 밴드는 새로운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22]

2. 1. 앨범 제작 과정

반 블리트는 이전 앨범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의 프로듀서였던 프랭크 자파의 녹음 방식에 불만을 품었기 때문에[25] 직접 프로듀싱을 맡아 자신이 만족할 만한 방식으로 앨범을 제작하고자 했다.[19] 1991년에는 이 앨범을 자신의 최고 작품으로 꼽기도 했다.

기타리스트 빌 "주트 혼 롤로" 하클로로드는 이전 앨범에서 존 "드럼보" 프렌치가 맡았던 편곡과 음악 감독 역할을 맡아 앨범 제작에 큰 기여를 했다.[22] 하클로드에 따르면,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와 달리 기타리스트는 자신뿐이었고, 자신이 음악 감독을 맡거나 편곡에 참여했기 때문에 반 블리트와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작품 중 본작을 가장 마음에 들어한다고 한다.

녹음은 1970년 여름, 할리우드선셋 대로에 있는 유나이티드 레코딩 코프에서 진행되었다. 반 블리트는 전작에 이어 딕 칸크[24]를 엔지니어로 기용했지만, 곧바로 해고하고 엔지니어링 경험이 부족한 필 셰어를 대신 채용했다.

몇 달에 걸친 리허설이 끝나고 녹음에 들어가기 직전에 프렌치가 다시 불려왔고, 아트 "에드 마림바" 트립은 마림바를 담당하게 되었다.

앨범 재킷 뒷면에는 훗날 화가가 되는 반 블리트가 그린 그림과 앨범 제목과 같은 제목의 시가 실렸다. 이 시는 타이틀곡의 가사와는 다르다.

3. 구성

캡틴 비프하트는 앨범에서 보컬, 하모니카, 목관 악기를 연주했으며, 빌 "주트 혼 롤로" 하클로로드는 기타, 마크 "로켓 모튼" 보스턴은 베이스 기타, 아트 "에드 마림바" 트립 (프랭크 자파의 머더스 오브 인벤션 출신)은 마림바, 드럼, 퍼커션을, 존 "드럼보" 프렌치는 드럼과 퍼커션을 연주했다.[7][8]

대부분의 곡은 반 블리트의 피아노 즉흥 연주로 시작되었으며, 하클로로드가 이를 밴드 전체의 곡으로 편곡했다.[9] ''Decals''의 음악은 ''Trout Mask Replica''의 짧은 단편들보다 더 길고 복잡한 경향을 보인다. 라이너 노트에는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두 개의 시 또는 가사가 있는데, 하나는 제목이 없고 다른 하나는 "You Should Know by the Kindness of uh Dog the Way uh Human Should Be"라는 제목이다.

역할연주자
보컬, 베이스 클라리넷, 테너 색소폰, 소프라노 색소폰, 하모니카캡틴 비프하트
전기 기타, 유리 핑거 기타주트 혼 롤로
베이스 오 피리우스로케트 모튼
드럼, 타악기, 빗자루드럼보
마림바, 드럼, 타악기, 빗자루에드 마림바


4. 평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음반에 대해 "비프하트의 유명한 5옥타브 음역과 은밀한 전체주의적 구조가 장난스러운 어조를 띠며, 혐오스럽고 몰입하게 만들며 슬랩스틱 코미디처럼 웃기다."라고 평했다. 레스터 뱅스는 비프하트의 이전 음악적, 서정적 관심사의 성숙을 언급하며 "소리의 질감이 때로는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보다 더 복잡하고 각지지만... 그의 메시지는 우리가 한때 꿈꿨던 미국의 난로처럼 보편적이고 따뜻하다."라고 적었다.[10]

이 음반은 기타리스트 1명과 퍼커셔니스트 2명으로 구성되어 제작되었지만, 높은 평가를 받은 전작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프랭크 자파가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의 프로듀서를 맡았는데, 반 블리트는 그의 녹음 방식에 불만을 품고[25] 스스로 프로듀싱하여 녹음한 본작에 만족했으며, 1991년에는 본작을 자신의 최고 작품으로 꼽았다.

하클로드에 따르면,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와 달리 기타리스트는 자신뿐이었고, 자신이 음악 감독을 맡거나 편곡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반 블리트와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작품 중 본작을 가장 마음에 들어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반 블리트는 프로듀싱 경험과 레코딩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의 희망이 완전히 충족된 녹음은 아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한편, 프렌치는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는 2장짜리였음에도 불구하고 믹싱 작업을 포함하여 불과 4일 만에 제작되었지만, 본작에는 녹음과 믹싱에 충분한 시간이 할애되었기 때문에 트라우트 마스크 레플리카를 능가하는 완성도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앨범 재킷 뒷면에는 훗날 화가가 되는 반 블리트가 그린 그림과 앨범 타이틀과 같은 제목의 시가 게재되었는데, 이 시는 타이틀곡의 가사와는 다르다.

4. 1. 상업적 성과와 유산

영국 음반 차트에서 11주 동안 머물렀고, 20위로 정점을 찍으며 캡틴 비프하트가 영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앨범이 되었다. 존 필이 BBC 라디오에서 이 작품을 옹호하였다.[11]

동명의 곡으로 초기 홍보용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었고, 앨범의 TV 광고도 제작되었는데, 여기에는 "Woe-is-uh-Me-Bop"의 발췌, 마스크를 쓴 매직 밴드 멤버들이 주방 도구를 악기로 사용하는 무성 영상, 반 블리트가 길 한가운데의 분할선에 죽을 던지는 장면이 포함되었다. 이 비디오는 거의 방영되지 않았지만, 나중에 현대 미술관에 받아들여졌다.[11][12]

에니그마 레트로는 1989년에 컴팩트 디스크 에디션을 발매했고, 이 앨범은 180g 바이닐 LP로도 재발매되었으며, 현재도 판매 중이다. 2011년 1월, 반 블리트의 사망 직후, iTunes와 Amazon의 MP3 스토어는 이 앨범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발매했다.[13] 2014년 11월 17일, 라이노 레코드는 한정판 4디스크 비프하트 박스 세트 ''Sun Zoom Spark: 1970 to 1972''의 일부로 이 앨범을 재발매했는데, 여기에는 ''The Spotlight Kid'', ''Clear Spot''과 세 앨범의 아웃테이크 디스크도 포함되었다.[14] 이 앨범은 2015년 9월 25일 라이노에 의해 보너스 트랙 없이 별도로 재발매되었다.[15] 매거진은 1978년에 "I Love You, You Big Dummy"를 커버하여 녹음했다.

본 작품은 최초의 캡틴 비프하트 앤 더 매직 밴드 명의의 앨범으로, 미국에서는 1970년 12월, 영국에서는 1971년 1월에 발표되었으며, 롤링 스톤이나 멜로디 메이커 등의 음악 잡지에서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판매량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저조했고, 차트 진입에는 실패했다. 한편, 영국의 앨범 차트에서는 최고 20위를 기록했다.

본 작품의 선전을 위해, 반 블리트와 복면을 한 멤버가 출연하는 1분 정도의 흑백 영상이 촬영되었다. 채널 13의 아나운서가 앨범 타이틀을 아나운스하고 수록곡 'Woe-is-uh-Me-Bop'이 사용되었으며, 제작비는 1400USD 정도였다. 리프라이즈 레코드의 모회사인 워너 브라더스는 로스앤젤레스 프리 프레스에 이 영상이 방영될 일시를 게재했다. 하지만 채널 11을 비롯한 주요 방송국은 앨범 타이틀을 꺼려 방영하지 않았고,[27] 전미 방송 사업자 협회도 같은 이유로 방영을 중지했다. 지방 방송국 몇 곳은 방영했지만, 편지나 전화로 항의를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소동의 결과, 이 영상은 오히려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뉴욕 현대 미술관의 컬렉션에 수집되었다.

5. 곡 목록

돈 밴 블리트가 작곡하고 빌 하클로로드가 편곡했다.[1]

곡 목록
LP
사이드 1
번호제목길이
1Lick My Decals Off, Baby2:38
2Doctor Dark2:46
3I Love You, You Big Dummy2:54
4Peon [1]2:24
5Bellerin' Plain3:35
6Woe-is-uh-Me-Bop2:06
7Japan in a Dishpan [1]3:00
사이드 2
번호제목길이
1I Wanna Find a Woman That'll Hold My Big Toe Till I Have to Go1:53
2Petrified Forest1:40
3One Red Rose That I Mean [1]1:52
4The Buggy Boogie Woogie2:19
5The Smithsonian Institute Blues (or the Big Dig)2:11
6Space-Age Couple2:32
7The Clouds Are Full of Wine (not Whiskey or Rye)2:50
8Flash Gordon's Ape4:15
CD
번호제목재생 시간
1Lick My Decals Off, Baby2:38
2Doctor Dark2:46
3I Love You, You Big Dummy2:54
4Peon2:24
5Bellerin' Plain3:35
6Woe-is-uh-Me-Bop2:06
7Japan in a Dishpan3:00
8I Wanna Find a Woman That'll Hold My Big Toe Till I Have to Go1:53
9Petrified Forest1:40
10One Red Rose That I Mean1:52
11The Buggy Boogie Woogie2:19
12The Smithsonian Institute [sic] Blues (or the Big Dig)2:11
13Space-Age Couple2:32
14The Clouds Are Full of Wine (not Whiskey or Rye)2:50
15Flash Gordon's Ape4:15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은 선 줌 스파크: 1970-1972 (2014년)에서 구할 수 있다.

5. 1. LP

돈 밴 블리트가 작곡하고 빌 하클로로드가 편곡했다.[1]

LP
사이드 1
번호제목길이
1Lick My Decals Off, Baby2:38
2Doctor Dark2:46
3I Love You, You Big Dummy2:54
4Peon [1]2:24
5Bellerin' Plain3:35
6Woe-is-uh-Me-Bop2:06
7Japan in a Dishpan [1]3:00
사이드 2
번호제목길이
1I Wanna Find a Woman That'll Hold My Big Toe Till I Have to Go1:53
2Petrified Forest1:40
3One Red Rose That I Mean [1]1:52
4The Buggy Boogie Woogie2:19
5The Smithsonian Institute Blues (or the Big Dig)2:11
6Space-Age Couple2:32
7The Clouds Are Full of Wine (not Whiskey or Rye)2:50
8Flash Gordon's Ape4:15



5. 1. 1. 사이드 1

번호제목길이
1Lick My Decals Off, Baby2:38
2Doctor Dark2:46
3I Love You, You Big Dummy2:54
4Peon [1]2:24
5Bellerin' Plain3:35
6Woe-is-uh-Me-Bop2:06
7Japan in a Dishpan [1]3:00



모든 곡은 돈 밴 블리트가 작곡하고 빌 하클로로드가 편곡했다.

5. 1. 2. 사이드 2

제목길이
"I Wanna Find a Woman That'll Hold My Big Toe Till I Have to Go"1:53
"Petrified Forest"1:40
"One Red Rose That I Mean" (기악)1:52
"The Buggy Boogie Woogie"2:19
"The Smithsonian Institute Blues (or the Big Dig)"2:11
"Space-Age Couple"2:32
"The Clouds Are Full of Wine (not Whiskey or Rye)"2:50
"Flash Gordon's Ape"4:15



전곡은 돈 밴 블리트가 작곡하고 빌 하클로로드가 편곡했다.

5. 2. CD

번호제목작곡재생 시간
1Lick My Decals Off, Baby돈 반 블리트2:38
2Doctor Dark돈 반 블리트2:46
3I Love You, You Big Dummy돈 반 블리트2:54
4Peon돈 반 블리트2:24
5Bellerin' Plain돈 반 블리트3:35
6Woe-is-uh-Me-Bop돈 반 블리트2:06
7Japan in a Dishpan돈 반 블리트3:00
8I Wanna Find a Woman That'll Hold My Big Toe Till I Have to Go돈 반 블리트1:53
9Petrified Forest돈 반 블리트1:40
10One Red Rose That I Mean돈 반 블리트1:52
11The Buggy Boogie Woogie돈 반 블리트2:19
12The Smithsonian Institute [sic] Blues (or the Big Dig)돈 반 블리트2:11
13Space-Age Couple돈 반 블리트2:32
14The Clouds Are Full of Wine (not Whiskey or Rye)돈 반 블리트2:50
15Flash Gordon's Ape돈 반 블리트4:15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은 선 줌 스파크: 1970-1972 (2014년)에서 구할 수 있다.

6. 참여자

포지션이름역할
보컬, 베이스 클라리넷, 테너 색소폰, 소프라노 색소폰, 하모니카캡틴 비프하트앨범에서 보컬, 하모니카, 목관악기 연주
전기 기타, 유리 핑거 기타주트 혼 롤로기타
베이스 오 피리우스로케트 모튼베이스 기타
드럼, 타악기, 빗자루드럼보드럼, 퍼커션
마림바, 드럼, 타악기, 빗자루에드 마림바프랭크 자파의 머더스 오브 인벤션 출신으로 마림바, 드럼, 퍼커션
제작
개인 매니지먼트그랜트 깁
앨범 컨셉피콕 잉크
뒷면 커버 페인팅돈 반 블리트
사진 및 아트 디렉션에드 쓰래셔


참조

[1] 서적 25 albums that rocked the world! Omnibus 2008
[2] 웹사이트 Captain Beefheart: Sun Zoom Spark https://americansong[...] 2014-11-10
[3] 웹사이트 What Is Avant-Pop? https://brooklynrail[...] 2007-09
[4] 웹사이트 Lick My Decals Off, Baby - Captain Beefheart & the Magic Band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
[5]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3
[6]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Random House 1992
[7] 웹사이트 Review: Captain Beefheart and His Magic Band - Lick My Decals Off, Baby {{!}} Sputnikmusic https://www.sputnikm[...] 2022-03-31
[8] 간행물 Art Tripp on working with Frank Zappa, John Cage and Captain Beefheart https://www.youtube.[...] 2020-04-24
[9] 문서 Lunar Notes: Zoot Horn Rollo's Captain Beefheart Experience. SAF Publishing Ltd. 1998
[10] 뉴스 Review: Lick My Decals Off, Baby http://www.beefheart[...] 1971-03
[11] 문서 Music Video: The Industry and Its Fringes Museum of Modern Art 1985-09-06
[12] 문서 Looking at Music Museum of Modern Art 2008-08-13
[13] 웹사이트 Lick My Decals Off, Baby by Captain Beefheart & The Magic Band https://itunes.apple[...] Itunes.apple.com 1970-09-10
[14] 웹사이트 Captain Beefheart – Sun Zoom Spark 1970 to 1972 http://www.spincds.c[...] Ispincds.com
[15] 웹사이트 Amazon website https://www.amazon.c[...] 2015-10-31
[16] 문서 ヴァン・ヴリートの従兄弟で客演メンバー。
[17] 문서 コンガとボンゴを演奏できたが、ドラムスの演奏経験は全くなかった。
[18] 문서 1969年10月24日から28日までの5日間、[[フランク・ザッパ]]を司会者に迎えて開かれ、[[イエス (バンド)|イエス]]、[[ピンク・フロイド]]、[[ナイス (バンド)|ザ・ナイス]]などが出演した。キャプテン・ビーフハート・アンド・ヒズ・マジック・バンドは28日に出演した。ドキュメンタリー・フィルムには『[[トラウト・マスク・レプリカ]]』に収録された'My Human Gets Me Blues'を演奏する約5分間の映像が含まれている。
[19] 문서 彼は、ザッパが「『[[トラウト・マスク・レプリカ]]』の収録曲のうちの2曲を[[ストレイト・レコード]]とビザール・レコードのサンプラー・アルバムの''Zappéd''に他のミュージシャンの作品と並んで収録した、『トラウト・マスク・レプリカ』をストレイト・レコードからではなくビザール(「奇妙な」の意)・レコードから発表した、『[[アンクル・ミート]]』や『[[ホット・ラッツ]]』など元々は自分が思いついた名前を盗用した」などど批判した。なおヴァン・ヴリートの主張とは裏腹に、『トラウト・マスク・レプリカ』は彼の希望通りストレイト・レコードから発表されていた。
[20] 문서 ザッパと彼が率いた[[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ザ・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以下、MOI)のマネージャーの[[:en:Herb Cohen|ハーブ・コーヘン]]が共同で経営していたストレイト・レコードは財政問題を抱えて、レコードの生産と配給を担当していた[[リプリーズ・レコード]]に徐々に吸収されつつあった。また、キャプテン・ビーフハート・アンド・ヒズ・マジック・バンドの新マネージャーのグラント・ギブスは、ストレイト・レコードとの間の契約上の複雑な事柄を解決しようと試みていた。
[21] 문서 "[[:en: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Conservatory of Music|シンシナティ大学音楽院]]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Conservatory of Music) で学士号を獲得し、[[ニューヨーク]]の[[マンハッタン音楽学校]]を経てMOIに加入して活動した。"
[22] 문서 前作ではヴァン・ヴリートがピアノで聴かせる新曲のフレーズをフレンチが記譜したが、本作ではヴァン・ヴリートがフレーズをピアノや口笛を演奏して、それを録音したテープをハークルロードに手渡した。
[23] 문서 メンバーは全員、ヴァン・ヴリートが思いついた奇妙なステージ名を持つことが義務だった。
[24] 문서 ザッパのエンジニアだった。
[25] 문서 詳細は『[[トラウト・マスク・レプリカ]]』を参照されたし。
[26] 문서 キャプテン・ビーフハート・アンド・ヒズ・マジック・バンドやキャプテン・ビーフハート・アンド・ザ・マジック・バンドの作品でアメリカでチャート・インしたものはない。
[27] 문서 "[[:en:WDCA|Channel 20]]はこの映像を放映し、Barry Richards Show Turn Onでも取り上げた。"
[28] 웹인용 Lick My Decals Off, Baby - Captain Beefheart & the Magic Band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7-22
[29]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3
[30]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