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18 라크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GM-18 라크로스는 미국 해병대의 야전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단거리 탄도 유도탄이다. 1947년 해군 병참국의 연구 계약을 시작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육군으로 이관된 후 글렌 L. 마틴 컴퍼니가 생산을 담당했다. 1959년 실전 배치되었으나, 신뢰성 문제, 유도 장치의 전자전 취약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 대한민국에 배치되었으나 1964년 기술적 문제로 퇴역했다. 무선 지령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T-34 성형 작약 탄두 또는 W40 핵 분열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MGM-18 라크로스 | |
---|---|
개요 | |
![]() | |
종류 | 전술 탄도 미사일 |
일반 정보 | |
원산지 | 미국 |
사용 기간 | 1959년–1964년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
전쟁 | 냉전 |
개발 | |
설계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코넬 항공 연구소 |
설계 시기 | 1947년–1956년 |
제조사 | 글렌 L. 마틴 컴퍼니 |
생산 시기 | 1959년–1964년 |
생산량 | 약 1200기 |
제원 | |
무게 | 약 1043.26 kg (2300 lb) |
길이 | 5.85 m (19 ft 2.4 in) |
직경 | 52.07 cm (20.5 in) |
날개폭 | 2.74 m (9 ft) |
성능 | |
최대 사거리 | 19.31 km (12 mi) |
속도 | 마하 0.8 |
탄두 | 폭발물 또는 핵탄두 |
탄두 중량 | 244.94 kg (540 lb) |
핵탄두 종류 | W40 핵탄두 (1.5–10 kt) |
유도 방식 | 무선 명령 유도 |
추진체 | Thiokol XM10 또는 XM10E1 고체 연료 로켓 |
발사 플랫폼 | XM-398 수송/발사 트럭 |
2. 역사
라크로스 계획은 미국 해병대가 기존의 야전포를 보충하기 위한 단거리 탄도 유도탄 개발을 목표로 1947년 9월 시작되었다. 미 해군 병참국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산하 응용 물리학 연구소와 코넬 항공 연구소와 설계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1954년 라크로스 유도탄 시험이 진행되었지만, 1956년 연방 통신 연구실이 전자 유도 대책과 관련하여 라크로스의 성능을 향상시킨 MOD 1이라는 다른 안내 시스템 연구를 진행하기로 결정하면서 일시 중단되었다.
1959년 라크로스가 처음 생산된 이후 시스템 개발과 개선 과정을 거쳤으며, 거의 1,200개에 달하는 라크로스 미사일이 생산, 배치되었다. 라크로스 미사일은 오클라호마주 포트실에 주둔한 제41포병연대 제5대대에 처음 배치되었고, 상당수는 유럽에 배치되었다. 1964년 기술적인 문제점을 개선한 다른 미사일에 밀려 퇴역했다.
2. 1. 개발
라크로스 계획은 미국 해병대가 기존의 야전포를 보완하기 위한 단거리 유도 미사일의 필요에 따라 시작되었다. 1947년9월, 미 해군 병참국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APL)와 코넬 항공 연구소에 설계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5]1949년 후반, 미국 통합 참모 본부는 모든 지대공 미사일과 지대지 미사일 무기 개발 책임을 미국 육군성에 부여하는 정책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라크로스 계획은 1950년8월 31일 해군에서 미국 육군 무기과로 이관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과 맞물려, 미 육군은 한 달 전부터 계획을 앞당겨 시작했다. 라크로스 연구 개발은 육군성 우선 순위 IB를 할당받아 1952년까지 진행되었고, 1952년7월 31일 우선 순위 IA가 할당되었다. 코넬 연구소와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계획을 재개했고, 코넬은 유도 장치 설계에 주요 책임을 맡았다. 코넬은 1951년2월 육군 무기과로부터 라크로스 정식 개발 계약을 받았다.[10]
1953년1월, 라크로스 개발은 주요 요소가 결정되는 단계까지 진행되었고,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처음 규정되었다. 코넬은 1954년 전반부터 전술 모델 라크로스 I 시스템 연구를 시작했고, 공동 계약자 이름이 거론될 즈음 전술 모델 설계를 완료하고 시스템 실현 가능성을 보였다. 1954년8월 17일부터 1955년12월 13일 사이, 라크로스 첫 전면 시험이 실시되었고,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서 15기의 A 그룹 비행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기간 중 1954년1월 11일, 라크로스 계획 기술 관리 감독은 레드스톤 무기창에 위임되었다.
1955년1월, 글렌 L. 마틴 컴퍼니는 라크로스 연구 개발 공동 계약자로 승인되었고, 4월 1일 연구 개발 및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마틴은 6월 1일 라크로스 첫 생산 계약을 수주했다. 같은 해부터 마틴으로 기술적 책임이 이관되기 시작했고, 1958년3월 19일 완료되었다. 코넬 연구소가 초기 요구를 넘어, 특히 자금 지원이 중단된 공중 제어 영역에서 미사일 능력을 확대하는 연구로 1959년 이행했기 때문에, 마틴은 계획에 대한 많은 책임을 인수하게 되었다.[12]
1954년부터 시험이 시작되었고, 생산형 시작품은 1956년6월부터 이용 가능했다. 계획의 어려움은 설계 및 시험 기간이 길어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미사일은 1959년7월까지 운용을 시작할 수 없었다. 문제는 신뢰성 우려와 유도 문제, 특히 지령 유도 신호가 ECM 방해에 취약하다는 점이었다. 1956년3월, 연방 전기 통신 연구소는 마틴과의 하청 계약 하에 MOD 1이라 불리는 다른 유도 장치 연구를 시작했다. 신형 유도 장치는 라크로스의 전자 대항책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MOD 1 개발은 1959년8월 18일 중단되었고, 미 해병대가 계획 참여를 철회하는 요인이 되었다.[12]
라크로스 군용 성능은 1956년1월 19일 승인, 공표되었지만, 1956년3월 29일부터 1956년9월 21일 사이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서 실시된 6기의 그룹 B 비행 시험 후, 1957년6월 13일 군용 성능이 수정되어 다시 발표되었다. 라크로스 탄두는 핵탄두, 파편 효과 탄두, 성형 작약탄 순으로 개발될 예정이었다.
1958년3월 19일,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서 평가 시험이 시작되었다. 이 시험은 마틴 단독 책임 기반 라크로스 개발 계획의 마지막 단계였고, 미사일은 최종 전술 모델용 구성이었다. 그러나 시험에서 미사일 구성 요소 신뢰성이 유지되지 못함이 밝혀졌다. 1958년11월 28일 서비스 테스트에서도 시스템 신뢰성 부족은 개선되지 않아 시험은 중단, 재시험을 위해 라크로스 제조도 중단되었다. 1959년1월 19일 시험 기간 확보를 위해 일정이 재검토되었고, 부대 배치는 1959년4월에서 7월로 늦춰졌다. 라크로스 시스템이 개발과 개량을 계속 필요로 함에도, 변경된 일정에 맞춰 1959년7월 첫 부대는 라크로스를 수령할 수 있었다.
2. 2. 대한민국 배치와 퇴역
1960년 3월 유럽에 최초의 라크로스 대대가 배치되었으며, 같은 해 4월 대한민국에도 배치되었다.[1] 라크로스를 장비한 총 8개의 대대 중 한국에 배치된 1개 대대와 전략 육군 부대에 소속된 1개 대대를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 유럽에 배치되었다.[1]라크로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의 신뢰성을 보였으나, 완벽하게 신뢰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배치된 지 불과 3년 반 만인 1964년 2월에 퇴역했다.[1]
3. 특징
MGM-18 라크로스는 티오콜 XM10 / XM10E1 고체 연료 로켓을 추진체로 사용하는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이다. 마하 0.8의 속도와 19km의 사거리를 가지며, 무선 지령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무게는 1040kg, 길이는 5.852m이다.
3. 1. 제원
항목 | 내용 |
---|---|
중량 | 1040kg |
길이 | 5.852m |
지름 | 520mm |
날개 길이 | 2.74m |
가동익폭 | 1.43m |
추진체 | 티오콜 XM10 / XM10E1 고체 연료 로켓 |
속도 | 마하 0.8 |
사거리 | 19km |
유도 장치 | 무선 지령 유도 |
탄두 중량 | T-34 성형 폭약 탄두 245kg |
폭발 수용량 | W40 핵분열 탄두 (핵 출력: 1.7 kt, 10 kt)[25] |
4. 문제점 및 평가
라크로스는 최초로 오클라호마 주 포트 실에서 편성된 제41포병연대 제5대대에 장비되었다. 1960년 3월에는 유럽에 최초의 라크로스 대대가 배치되었으며, 같은 해 4월에는 대한민국에도 배치되었다.[1] 라크로스를 장비한 총 8개의 대대 중 한국과 전략 육군 부대의 1개 대대를 제외한 대부분은 유럽에 배치되었다.[1]
라크로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허용 가능한 신뢰성을 가졌지만, 완벽하지 않아 전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려웠다. 이 때문에 배치 시작 3년 반 만인 1964년 2월에 퇴역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Lacrosse Missile (MGM-18)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1998-08-01
[2]
웹사이트
Martin SSM-A-12/M4/MGM-18 Lacrosse
http://www.designati[...]
2002-01-26
[3]
웹사이트
List of All U.S. Nuclear Weapons
http://nuclearweapon[...]
[4]
서적
The How and Why Wonder Book of Rockets and Missiles
Grosset & Dunlap
[5]
문서
Cagle 1962, page 2
[6]
문서
Cagle 1962, page 3
[7]
문서
Cagle 1962, page 8
[8]
문서
Cagle 1962, page 9
[9]
문서
Cagle 1962, page 16
[10]
문서
Cagle 1962, page 19
[11]
문서
Cagle 1962, page 29
[12]
문서
Cagle 1962, page 20
[13]
문서
Cagle 1962, page 27
[14]
문서
Cagle 1962, pages 131-133
[15]
문서
Cagle 1962, page 135
[16]
문서
Cagle 1962, page 139
[17]
문서
Cagle 1962, page 140
[18]
문서
Cagle 1962, page 147
[19]
문서
Cagle 1962, page 148
[20]
문서
Cagle 1962, page 155
[21]
문서
Cagle 1962, pages 156
[22]
문서
Cagle 1962, page 158
[23]
간행물
Lacrosse Missile (MGM-18)
Brookings Institution
1998-08-01
[24]
간행물
Martin SSM-A-12/M4/MGM-18 Lacrosse
2002-01-26
[25]
웹사이트
MGM-18
http://www.designati[...]
Designation-Systems.Net
2002-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