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onsters and Robot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onsters and Robots는 버킷헤드의 2000년 앨범이다. 이 앨범에는 "Jump Man", "Stick Pit", "The Ballad of Buckethead" 등 13개의 트랙이 수록되어 있으며, 일본판에는 "Remote Viewer #13"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앨범의 수록곡들은 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 DJ 디스크 등 다양한 뮤지션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졌으며, 데이브 맥킨이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사진을 담당했다. "The Ballad of Buckethead"는 앨범 홍보를 위해 선택된 곡으로, 뮤직 비디오는 빌보드 뮤직 비디오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모던 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음반 - 해줄 수 없는 일
    박효신의 데뷔 앨범인 《해줄 수 없는 일》은 동명의 타이틀곡을 포함한 11곡과 드라마 OST 참여곡 2곡이 수록된 앨범이다.
  • 1999년 음반 - MONOCROM
    MONOCROM은 신해철과 크리스 샹그리디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락, 테크노에 국악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앨범 《MONOCROM》을 발표하고 수록곡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는 밴드 크래쉬가 리메이크했으며, 크리스 샹그리디는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Monsters and Robots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Monsters and Robots (몬스터즈 앤 로봇)
종류스튜디오
아티스트버킷헤드
몬스터즈 앤 로봇 앨범 커버
앨범 커버
발매일1999년 4월 20일
녹음 기간1998년–1999년
장르익스페리멘탈 록
펑크 록
일렉트로닉 록
얼터너티브 메탈
길이 (표준 릴리스)50분 54초
길이 (일본 릴리스)55분 12초
레이블CyberOctave (사이버옥타브)
Higher Octave Music (하이어 옥타브 뮤직)
Virgin (버진 레코드)
EMI (EMI 레코드)
프로듀서Pete Scaturro (피트 스카투로)
Les Claypool (레스 클레이풀)
Extrakd (엑스트라카드)
Bill Laswell (빌 라스웰)
앨범 정보
이전 앨범Colma (콜마)
이전 앨범 발매년도1998년
다음 앨범KFC Skin Piles (KFC 스킨 파일즈)
다음 앨범 발매년도2001년

2. 곡 목록

Monsters and Robots영어 앨범에는 여러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총 재생 시간은 55분 12초이다. 각 곡의 작곡가와 재생 시간 정보는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 Remote Viewer #13[1]은 일본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2. 1. 전체 곡 목록

번호곡 제목작곡가재생 시간
1Jump Man버킷헤드, 피트 스카투로4:21
2Stick Pit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3:40
3The Ballad of Buckethead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3:59
4Sow Thistle버킷헤드, 스티브 프리먼, 부츠 콜린스4:30
5Revenge of the Double-Man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 DJ 디스크3:34
6Night of the Slunk버킷헤드5:43
7Who Me?버킷헤드2:08
8Jowls버킷헤드, 피트 스카투로, 브라이언 만티아4:26
9The Shape Vs. Buckethead버킷헤드, 스티브 프리먼, 부츠 콜린스5:40
10Stun Operator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4:17
11Scapula버킷헤드, 피트 스카투로, 브라이언 만티아4:04
12Nun Chuka Kata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 DJ 디스크4:30
13Remote Viewer #13[1]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 DJ 디스크4:18






2. 2. 일본판 보너스 트랙

Remote Viewer #13 (4:18)

  • 작곡: 버킷헤드, 레스 클레이풀, 브라이언 만티아, DJ 디스크

3. 참여

이 음반에는 다양한 음악가와 스태프가 참여했다. 주요 참여자는 다음과 같다.[1]


  • '''뮤지션:''' 버킷헤드, 레 클레이풀, 브레인, 포노사이코그래프 디스크, 부츠 콜린스, [http://ouiwey.com Ouiwey Collins], DJ 에디 데프, 맥스 로버트슨, 더 치킨 스크래치 합창단.
  • '''제작진:''' 피트 스카투로, 롭 비튼, 하워드 존슨, 마크 웨버, 에릭 웨어, 오즈 프리츠, Extrakd, 빌 라스웰, 로버트 무소, 부츠 앤 시스, 돈 E. 타일러, 워렌 슈머, 데이브 맥킨, 브라이언 프랑켄수스 테이스, 맥스 맥머핀, 지나 그라임스, 케니 네메스.

3. 1. 뮤지션

트랙버킷헤드레 클레이풀브레인포노사이코그래프 디스크부츠 콜린스[http://ouiwey.com Ouiwey Collins]DJ 에디 데프맥스 로버트슨더 치킨 스크래치 합창단
1기타, 베이스 기타보컬
2기타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
3기타보컬, 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백 보컬
4기타보컬턴테이블
5기타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
6기타
7기타보컬
8기타, 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
9기타보컬보컬턴테이블
10기타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
11기타, 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보컬
12기타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
13기타베이스 기타드럼, 퍼커션턴테이블


3. 2. 제작진


  • 1, 8, 11번 트랙은 Horn of Zeus에서 녹음되었다.[1]
  • * 피트 스카투로(Pete Scaturro)와 롭 비튼(Rob Beaton)이 프로듀싱 및 믹싱했다.[1]
  • * "Jowls"는 원래 하워드 존슨(Howard Johnson)이 Different Fur Recording에서 녹음했다.[1]
  • * 8번 트랙 녹음 지원은 마크 웨버(Mark Weber)가, 11번 트랙은 마크 웨버(Mark Weber)와 에릭 웨어(Eric Ware)가 담당했다.[1]
  • 2, 3, 5, 7, 10, 12, 13번 트랙은 Rancho Relaxo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
  • * 레스 클레이풀이 프로듀싱했다.[1]
  • * 오즈 프리츠(Oz Fritz)가 엔지니어링했다.[1]
  • 4번과 9번 트랙은 Embalming Plant에서 녹음되었다.[1]
  • * Extrakd가 프로듀싱했다.[1]
  • 6번 트랙은 Orange Music에서 녹음되었다.[1]
  • * 빌 라스웰이 프로듀싱했다.[1]
  • * 로버트 무소(Robert Musso)가 엔지니어링했다.[1]
  • 1, 4, 9번 트랙의 추가 프로덕션은 부츠 앤 시스가 Bootzilla Re-hab P-form School에서 담당했다.[1]
  • 돈 E. 타일러(Don E. Tyler)가 Precision Mastering에서 마스터링했다.[1]
  • A&R 디렉션: 워렌 슈머(Warren Schummer).[1]
  •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데이브 맥킨(Dave McKean) @ Hourglass.[1]
  • Buckethead No. 2의 커버 일러스트레이션: 브라이언 프랑켄수스 테이스(Bryan Frankenseuss Theiss).[1]
  • 3, 6, 7 페이지 및 뒷면 인레이 사진: 워렌 슈머(Warren Schummer).[1]
  • 3-d 프로그래밍: 맥스 맥머핀(Max MacMuffin).[1]
  • 프로덕션 매니저: 지나 그라임스(Gina Grimes).[1]
  • 제품 마케팅 매니저: 케니 네메스(Kenny Nemes).[1]

4. The Ballad of Buckethead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버킷헤드가 레스 클레이풀, 브레인과 함께 작곡하고 레스 클레이풀이 프로듀싱한 실험 록, 펑크 메탈 곡이다. 1999년 4월 20일에 발매된 앨범 ''몬스터 앤 로봇''을 홍보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프라이머스의 레스 클레이풀이 보컬을, 브레인이 드럼을 맡았다.[5]

이 곡은 버킷헤드의 성장 과정을 다룬 가사가 특징이며, 데이브 맥킨[8]이 제작한 뮤직 비디오는 빌보드 뮤직 비디오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모던 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10] 1999년 프라이머스 라이브 공연에 포함되었고,[9] 1996년 영화 ''슬링 블레이드''의 샘플을 사용했다.

4. 1. 개요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앨범 ''몬스터 앤 로봇''을 홍보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이 곡은 버킷헤드의 노래 중 보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몇 안 되는 곡 중 하나로, 프라이머스의 레스 클레이풀이 보컬을 맡았다. 드럼은 버킷헤드의 오랜 친구이자 당시 프라이머스의 드러머였던 브레인이 연주했다.[5]

이 곡은 세 개의 절로 나뉘며, 코러스는 첫 번째와 세 번째 절 뒤에 이어진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곡은 버킷헤드의 (가상의) 삶, 특히 그의 성장 과정을 이야기한다. 버킷헤드의 공식 전기[6]에 따르면, 그는 닭장에 닭들에 의해 길러졌으며, 가사[7]는 이 주제를 이어간다.

Buckethead found freedom at the age of 17
Burning down the chicken coop with a gallon of gasoline
He did puppet shows on the street and bought a real guitar
With the help of 커넬 샌더스, he's gonna be a star|버킷헤드는 17살에 자유를 찾았네
휘발유 한 통으로 닭장을 불태우면서
그는 길거리에서 인형극을 하고 진짜 기타를 샀지
커넬 샌더스의 도움으로 그는 스타가 될 거야영어

영국 예술가 데이브 맥킨[8]이 가사에서 따온 주제를 3D 모델을 사용하여 재구성한 뮤직 비디오 클립을 제작했으며, 여러 음악 관련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이 곡은 1999년 10월과 11월, 버킷헤드가 무대에 카메오로 출연했을 때 프라이머스의 라이브 세트에 포함되었다.[9]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1996년 영화 ''슬링 블레이드''의 샘플을 사용한다.

이 뮤직 비디오는 빌보드 뮤직 비디오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모던 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10]

4. 2. 내용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앨범 ''몬스터 앤 로봇''을 홍보하기 위해 선택된 곡이다. 이 곡은 버킷헤드의 노래 중 보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몇 안 되는 곡 중 하나로, 프라이머스의 레스 클레이풀이 보컬을 맡았다. 드럼은 버킷헤드의 오랜 친구이자 당시 프라이머스의 드러머였던 브레인이 연주했다.[5]

이 곡은 세 개의 절로 나뉘며, 코러스는 첫 번째와 세 번째 절 뒤에 이어진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곡은 버킷헤드의 (가상의) 삶,[5] 특히 그의 성장 과정을 이야기한다. 버킷헤드의 공식 전기[6]에 따르면, 그는 닭장에 닭들에 의해 길러졌으며, 가사[7]는 이 주제를 이어간다.

Buckethead found freedom at the age of 17
burning down the chicken coop with a gallon of gasoline
he did puppets on the street and bought a real guitar
with the help of 커넬 샌더스 he's going to be a star|버킷헤드는 17살에 자유를 찾았네
휘발유 한 통으로 닭장을 불태우면서
그는 길거리에서 인형극을 하고 진짜 기타를 샀지
커넬 샌더스의 도움으로 그는 스타가 될 거야영어

영국 예술가 데이브 맥킨[8]이 가사의 주제를 3D 모델을 사용하여 재구성한 뮤직 비디오 클립을 제작했으며, 여러 음악 관련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이 곡은 1999년 10월과 11월, 버킷헤드가 무대에 카메오로 출연했을 때 프라이머스의 라이브 세트에 포함되었다.[9]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1996년 영화 ''슬링 블레이드''의 샘플을 사용한다.

이 뮤직 비디오는 빌보드 뮤직 비디오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모던 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10]

4. 3. 뮤직 비디오

데이브 맥킨[8]이 '''"버킷헤드의 발라드"''' 뮤직 비디오를 제작했다. 그는 가사 내용을 바탕으로 3D 모델을 사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만들었으며, 여러 음악 관련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이 뮤직 비디오는 빌보드 뮤직 비디오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모던 록"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10]

4. 4. 라이브 공연

1999년 10월과 11월, 버킷헤드가 카메오로 출연했을 때 프라이머스의 라이브 세트에 〈버킷헤드의 발라드〉가 포함되었다.[9]

4. 5. 샘플링

"버킷헤드의 발라드"는 1996년 영화 ''슬링 블레이드''의 샘플을 사용한다.[5]

4. 6. 참여

이 곡은 버킷헤드의 노래 중 보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몇 안 되는 곡 중 하나로, 프라이머스의 레스 클레이풀이 보컬을 맡았다. 드럼은 버킷헤드의 오랜 친구이자 당시 프라이머스의 드러머였던 브레인이 연주했다.[5]

5. 평가

AllMusic에서는 별 다섯 개 만점에 4점을 부여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Allmusic review "{{AllMusic|class=al[...] Allmusic.com 1999-04-20
[2] 웹사이트 MTV News, September 1999 https://web.archive.[...] Mtv.com 1999-09-29
[3] 웹사이트 Katalog des Deutschen Musikarchivs http://dispatch.opac[...] Dispatch.opac.d-nb.de 2011-11-11
[4] 웹사이트 FAQ 2.0 http://www.buckethea[...] Bucketheadland.com 2011-11-11
[5] 웹사이트 Buckethead Album Reviews http://www.guypeters[...] Guypetersreviews.com 2011-11-11
[6] 웹사이트 The Buckethead Story http://bucketheadlan[...] Bucketheadland.com 2011-11-11
[7] 웹사이트 United Mutations, a Buckethead interview by Jason Pettigrew, Alternative Press #139, February 2000 http://www.bingeandg[...] Bingeandgrab.com 2000-02-28
[8] 서적 The Alchemy of MirrorMask Collins Design
[9] 뉴스 Hi kids, do you like Primus? http://media.www.cm-[...] Kyle Kipp 1999-11
[10] 웹사이트 Buckethead Videography https://web.archive.[...] Bingeandgrab.com 2011-11-11
[11] 웹인용 Allmusic review "{{올뮤직|class=album |[...] Allmusic.com 199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