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otörize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otörizer》는 영국의 록 밴드 모터헤드의 19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8년에 발매되었다. 2007년 말과 2008년 초에 녹음되었으며, 카메론 웹이 프로듀싱을 맡았다.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영국 앨범 차트 32위, 빌보드 200 차트 82위에 올랐다. 수록곡 "Rock Out"은 영화 《헤셔》와 《니트로 서커스: 더 무비》에 사용되었으며, WWE 언포기븐의 공식 테마곡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터헤드의 음반 - 1916 (음반)
    모터헤드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음반 《1916》은 GWR 레코드와의 법적 분쟁 후 WTG에서 발매된 첫 음반으로, 레미 킬미스터가 작사/작곡한 발라드 스타일의 타이틀곡 〈1916〉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젊은 병사들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모터헤드의 음반 - We Are Motörhead
    《We Are Motörhead》는 2000년에 발매된 모터헤드의 열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섹스 피스톨즈의 곡을 커버했으며, 핀란드, 독일, 스웨덴, 영국 차트에 진입했다.
  • 2008년 음반 - 절망대살계
    절망대살계는 《안녕, 절망선생》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제곡 및 관련곡 음반으로, 오오츠키 켄지와 절망소녀들이 부른 곡들과 신곡 'Happy☆뭐든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
  • 2008년 음반 - My Style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EP)
    My Style은 브라운 아이드 걸스가 2008년에 발매한 EP로, 타이틀곡 〈어쩌다〉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곡들과 멤버 미료의 랩 메이킹 참여가 돋보이며, 히든 트랙 〈My Style〉은 후에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곡으로 재발매되었다.
Motörizer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Motörizer 음반 커버
Motörizer 음반 커버
음반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모터헤드
발매일2008년 8월 26일
녹음2007년 말 – 2008년 초
장르헤비 메탈
길이38분 55초
레이블SPV/스팀해머
프로듀서카메론 웨브
이전 음반Better Motörhead than Dead: Live at Hammersmith
이전 음반 발매년도2007년
다음 음반The Wörld Is Yours
다음 음반 발매년도2010년

2. 녹음

녹음은 2007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 이루어졌다. 2004년 음반 《인페르노》 이후 모터헤드의 모든 음반과 마찬가지로, 이 음반 역시 카메론 웨브가 프로듀싱, 믹싱,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3. 발매

레미는 2008년 7월 11일, 앨범 홍보를 위해 BBC 6 Music의 라디오 프로그램인 브루스 딕킨슨의 ''프라이데이 록 쇼''에 출연하여 "Runaround Man"을 연주했으며, 이 곡에 대해 "전염성 있는 비트에 맞춰진 넌센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Rock Out"과 "The Thousand Names of God"를 연주했으며, 후자에 대해 "제목은 완전히 부차적인 것이다... 그것은 사업가들을 위해 전쟁에 참전하도록 속는 군인들에 대한 것이다. 더 이상 어떤 대의도 없다."라고 말했다.

밴드의 리드 싱글 "Rock Out"은 WWE 언포기븐의 공식 테마곡으로 사용되었으며, 영화 헤셔와 니트로 서커스: 더 무비에도 사용되었다.

국가발매일
북미2008년 8월 26일
독일2008년 8월 29일
유럽2008년 9월 1일


4. 음반 커버

음반 커버는 2008년 6월 11일 밴드의 공식 웹사이트 첫 페이지를 통해 공개되었다.[2] 이 커버는 오랫동안 모터헤드와 협력해 온 조 페타그노의 삽화 대신 마크 데 비토(Mark de Vito)가 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커버 아트는 모터헤드를 테마로 한 문장 형태를 띠고 있으며, 각 밴드 멤버를 상징하는 문양이 분할되어 있다. 왼쪽 상단에는 레미를 상징하는 영국 왕실 문장이, 오른쪽 하단에는 필 캠벨을 상징하는 드래곤 고흐가, 왼쪽 하단에는 미키 디를 상징하는 트레 크로노르가 그려져 있다. 또한 밴드 전체를 상징하는 스내그투스(밴드의 마스코트)도 포함되어 있다.

5. 평가

이 음반은 발매 당시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2][3]

앨범은 영국 음반 차트에서 32위에 올라 1991년 발매된 ''1916'' 이후 모터헤드의 영국 최고 순위 앨범이 되었다.[10] 미국에서는 ''빌보드'' 차트에서 82위로 데뷔했으며, 영국 록 & 메탈 차트에서는 2위, 독일 '오피셜 탑 100' 및 미국 인디펜던트 차트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이전 앨범들과 마찬가지로 대중적인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견고한 팬층을 기반으로 꾸준한 판매를 보였다. 레미는 이에 대해 "우리는 미국에서 히트곡을 낸 적이 없다"고 말하며, "이번에 100위 안에 들었다... 89위 [sic]로 바로 빠졌지만, 시작일 뿐이다"라고 덧붙였다.[11]

5. 1. 주요 매체 평가

이 음반은 발매와 동시에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의 알렉스 헨더슨은 이 음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전형적인 모터헤드 사운드가 여전히 돋보이며, 'Buried Alive', 'Runaround Man', 'When the Eagle Screams', 'Time Is Right' 와 같은 강렬하고 직설적인 트랙들은 25년 전에 녹음된 것처럼 들린다. Motörizer는 획기적이라고 주장하지 않지만, 만약 소재가 예측 가능하다면, 매력적으로 예측 가능하다."라고 평했다.[4] 피치포크 미디어의 코스모 리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최근 모터헤드의 앨범들보다 개선되었으며 "''Motörizer''는 밴드의 최근 앨범들을 채웠던 평범한 하드 록을 피했다. 대신 11개의 트랙은 39분 이내로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미는 올해 63세가 되지만, 그는 여전히 자신의 나이의 절반처럼 들린다."라고 말했다.[5] 메탈 해머는 이 음반에 만점(10/10)을 부여했다.

6. 곡 목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6. 1. 트랙 목록

모든 곡은 레미 킬미스터, 필 캠벨, 미키 디가 작사, 작곡했다.

번호제목재생 시간
1Runaround Man2:57
2Teach You How to Sing the Blues3:03
3When the Eagle Screams3:44
4Rock Out2:08
5One Short Life4:05
6Buried Alive3:12
7English Rose3:34
8Back on the Chain3:24
9Heroes4:59
10Time Is Right3:14
11The Thousand Names of God4:33


7. 참여 인원

이 음반 제작에 참여한 주요 인력은 아래와 같다.

7. 1. 모터헤드

7. 2. 프로덕션

녹음은 2007년 말부터 2008년 초까지 진행되었다. 2004년 음반 《인페르노》 이후 발매된 모든 음반과 마찬가지로, 캐머런 웹(Cameron Webb)이 프로듀싱, 믹싱,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음반 제작에 참여한 주요 기술 인력은 다음과 같다.

역할이름
프로듀서, 믹싱, 엔지니어캐머런 웹 (Cameron Webb)
보조 엔지니어세르지오 차베스 (Sergio Chavez)
보조 엔지니어존 루스토 (John Lousteau)
보조 엔지니어웨슬리 미체너 (Wesley Michener)
보조 엔지니어조쉬 비얼리 (Josh Beebe)
마스터링케빈 바틀리 (Kevin Bartley)


8. 차트

''Motörizer''는 발매 이후 여러 국가의 음반 차트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영국 록 & 메탈 앨범 차트에서는 2위를 기록했으며, 독일 음반 차트와 미국 빌보드 인디펜던트 앨범 차트에서는 각각 5위를 차지하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8. 1. 주요 차트 순위

순위오스트리아13벨기에 (플랑드르)55벨기에 (왈로니아)70덴마크20네덜란드58핀란드9프랑스24독일5헝가리16이탈리아47일본117노르웨이11스코틀랜드43스웨덴10스위스11영국32 영국 록 & 메탈2미국 빌보드 20082 미국 빌보드 하드 록 앨범11미국 빌보드 인디펜던트 앨범5미국 빌보드 테이스트메이커 앨범14


참조

[1] 웹사이트 Tracklisting https://web.archive.[...] BBC 6 Music 2016-03-20
[2] 웹사이트 Motörhead official site http://www.imotorhea[...]
[3] Metacritic album
[4] AllMusic
[5] 웹사이트 Pitchfork Review http://pitchfork.com[...]
[6] 웹사이트 PopMatters Review http://www.popmatter[...]
[7] 간행물 musik angehört World of Music
[8] 웹사이트 Motörizer - MOTÖRHEAD https://archive.blab[...] Blabbermouth 2020-08-24
[9] 웹사이트 Motörizer - MOTÖRHEAD https://www.theguard[...] 2020-08-24
[10] 웹사이트 Motörizer https://www.official[...] UK Albums Chart 2021-04-28
[11] 문서 "What's been the highlight of the shows? That I'm still alive!;" Classic Rock (magazine)
[12] Metacritic album Motörizer
[13] AllMusic
[14] 웹사이트 Pitchfork Review http://pitchfork.com[...]
[15] 웹사이트 PopMatters Review http://www.popmatter[...]
[16] 저널 인용 musik angehört World of Music
[17] 웹인용 Motörizer - MOTÖRHEAD https://archive.blab[...] Blabbermouth 2020-08-24
[18] 웹인용 Motörizer - MOTÖRHEAD https://www.theguard[...] 2020-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