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F 반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DF 반란은 1978년 아흐마드 알-가쉬미 암살과 알리 압둘라 살레 집권 이후, 국민민주전선(NDF)이 남예멘과 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북예멘에서 일으킨 내전이다. NDF는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1979년 북예멘과 남예멘 간 평화 조약 체결로 외국 지원이 감소했다. 쿠웨이트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의 중재로 여러 차례 휴전이 시도되었으나, NDF의 군사 활동 재개로 무산되었고, 1982년 5월 남예멘의 지원 중단과 다마르 지진으로 인해 NDF는 북예멘 정부군과 이슬람 전선에 패배하며 반란이 종식되었다. 이로써 북예멘 정부는 북-남부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NDF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명칭 | 국가민주전선 (NDF) 반란 |
분쟁의 일부 | 냉전 및 아랍 냉전 |
![]() | |
기간 | 1978년 – 1982년 () |
장소 | 예멘 아랍 공화국 |
결과 | 정부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파일:Emblem of the Muslim Brotherhood.svg|23px|border]] 이슬람 전선 |
지원 세력 1 | |
교전 세력 2 | [[파일:Yemeni Socialist Party Flag.svg|23px|border]] NDF |
지원 세력 2 | |
지휘관 | |
지휘관 1 | 알리 압둘라 살레 |
지휘관 2 | 알리 모흐센 알-아흐마르 |
지휘관 3 | [[파일:Yemeni Socialist Party Flag.svg|23px|border]] 야히아 샤미 |
지휘관 4 | [[파일:Yemeni Socialist Party Flag.svg|23px|border]] |
지휘관 5 | 압둘 파타 이스마일 |
병력 규모 | |
병력 규모 1 | 400명 고문관 80명 ROCAF 조종사 및 지상/공중 방어 요원 |
병력 규모 2 | 15,000명 |
2. 역사적 배경
NDF 반란은 예멘 아랍 공화국(북예멘) 내전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이 내전은 북예멘의 공산주의 세력과 아랍 공화국 간의 갈등이었으며, 아랍 공화국이 승리하였다. 예멘 아랍 공화국은 미국을 비롯한 자유 진영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고, 예멘 국가민주전선(NDF)은 소련 등 공산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
2. 1. 반란의 발발
아흐마드 알가쉬미 암살과 알리 압둘라 살레의 집권 이후인 1978년에 반란이 시작되었다.[4] 국민민주전선(NDF)은 남예멘[4]과 리비아의 지원을 받았다.[2] NDF는 분쟁 초기에 여러 지역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1979년 국경 전쟁 이후 북예멘과 남예멘 간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외국의 지원이 감소하였다.[4]2. 2. 휴전 시도와 갈등 재개
쿠웨이트는 1981년 11월 26일 정부와 국민민주전선(NDF) 간의 휴전 협정을 성사시켰지만, 1981년 12월에 다시 전투가 발생했다.[2]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1982년 4월 3일에 휴전 협정을 중재했지만, 같은 달 말에 국민민주전선(NDF)이 주반을 점령하면서 전투가 다시 시작되었다. 다음 달에 북예멘 정부군은 주반의 국민민주전선(NDF) 진지를 공격하여 영토를 되찾았다.[2]2. 3. 1982년 5월, 반란의 종식
남예멘의 알리 나세르 무함마드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NDF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었고,[4] 1982년 5월에는 지원이 완전히 종료되었다.[2] NDF의 주요 거점이었던 다마르는 1982년 북예멘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 재편성된 북예멘 군대와 친정부 이슬람 전선의 협력으로 NDF는 결국 패배했고, 북예멘 정부는 마침내 북-남부 국경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할 수 있게 되었다.[4]3. 전개
예멘 아랍 공화국 내전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NDF 반란은 북예멘 내 공산주의 세력인 예멘 국가민주전선(NDF)과 아랍 공화국 간의 무력 충돌이었다. 이 분쟁에서 아랍 공화국이 승리했다. 예멘 아랍 공화국은 미국을 비롯한 자유 진영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고, 예멘 국가민주전선은 소련 등 공산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1]
4. 결과
NDF 반란은 북예멘 정부의 승리로 끝났다. 이는 냉전 시기, 자유 진영이 지원하는 정부가 공산 진영의 지원을 받는 반군을 제압한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된다.[1]
참조
[1]
간행물
Foreign Policy in Focus, Yemen, the United States, and Al-Qaida
http://www.fpif.org/[...]
2001-12-19
[2]
웹사이트
10. Kingdom of Yemen/Yemen Arab Republic/North Yemen (1918-1990) - University of Central Arkansas
http://uca.edu/polit[...]
[3]
뉴스
Earthquake Toll in Yemen Area Is Put at 1,08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1-30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