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100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E1000은 1987년 노벨에서 출시한 8비트 ISA 버스 기반의 이더넷 네트워크 카드이다. 노벨은 1980년대 말 넷웨어 운영 체제로 전환하면서 네트워크 카드 대중화를 목표로 NE1000을 개발했다. NE1000은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어 네트워크 하드웨어 가격을 낮추는 데 기여했으며, NE2000과 함께 다른 제조업체들이 호환 카드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1990년대 네트워킹 붐을 이끌었다. NE1000/NE2000은 다양한 운영 체제와 에뮬레이터에서 지원되었으며, 여러 클론 제품이 출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벨 - 디지털 리서치
디지털 리서치는 1972년 게리 킬달이 설립한 회사로, CP/M을 개발하여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 시대의 표준 운영체제를 이끌었으나, MS-DOS와의 경쟁에서 밀려 노벨에 매각되었다. - 노벨 - 노벨 (기업)
노벨은 1979년 유타주에서 설립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로, NetWare를 출시하며 급성장하여 네트워크 운영 체제 시장을 장악했으나,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여러 차례 인수 합병을 거쳐 2023년 오픈텍스트에 최종 인수되었다. - 네트워크 하드웨어 - 가정용 게이트웨이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장치로, 라우팅, NAT, 방화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웹 인터페이스나 앱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보안 취약점의 문제가 있다. - 네트워크 하드웨어 -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IMP)는 1969년 ARPANET의 초기 노드로서 호스트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패킷 통신 및 스토어 앤드 포워드 방식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집적 회로 - 실시간 시계
실시간 시계(RTC)는 CPU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시간을 유지하며, 저전력 소비와 시간 민감 작업의 부담 감소, 절전 모드 유지를 위해 디지털 카운터 회로, 결정 진동자,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어 PC 메인보드에 부착되거나 사우스브리지 칩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내장된다. - 집적 회로 - NMOS 논리
NMOS 논리는 n형 MOSFET만을 사용하여 논리 게이트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저항을 부하로 사용하여 NOR 게이트 등을 구현할 수 있지만, Low에서 High로의 전환 속도가 느리고 전력 소비가 높아 CMOS 논리에 밀려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NE1000 | |
|---|---|
| 기본 정보 | |
![]() | |
| 유형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
| 출시일 | 1987년 |
| 중단일 | 1990년대 초반 |
| 제조사 | 노벨과 이글 테크놀로지 |
| 기술 사양 | |
| 인터페이스 | 8비트 ISA |
| 전송 속도 | 10 Mbps |
| 케이블 연결 | 동축 케이블 |
| 프로토콜 | 이더넷 |
| 지원 | 소프트웨어 설정, 점퍼 또는 스위치 |
| 드라이버 | DOS, 윈도우 3.1, 노벨 NetWare |
| 특징 | 저가형, 단순한 설계, 널리 사용됨 |
| 상세 설명 | |
| 개요 | 노벨과 이글 테크놀로지에서 제조한 저가형 이더넷 네트워크 카드 |
| 역사 | 1987년 출시 1990년대 초반 단종 |
| 특징 | 8비트 ISA 인터페이스 사용 10 Mbps의 전송 속도 지원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DOS, 윈도우 3.1, 노벨 NetWare 등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
| 장점 | 저렴한 가격 단순한 설계 널리 사용되어 호환성이 높음 |
| 단점 | 낮은 전송 속도 동축 케이블만 지원 |
| 기타 정보 | |
| 참고 사항 | NE2000은 NE1000의 후속 모델 NE1000은 초기 이더넷 네트워크 카드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둠 |
2. 역사
1980년대 말, 노벨은 기존의 하드웨어 서버 사업에서 벗어나 주력 제품인 넷웨어(NetWare)를 특정 네트워크 토폴로지나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현 방식에 구애받지 않는 IBM PC 기반 서버 운영 체제로 전환하는 전략을 추진했다. 이 전략의 핵심은 서버 운영 체제와 프로토콜 자체를 차별화된 기술로 만드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네트워킹 기술, 특히 네트워크 카드를 상품화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필요가 있었다.[9]
당시 이더넷이나 토큰 링 같은 네트워킹 기술은 IEEE의 IEEE 802 표준 위원회에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비록 공식적인 표준 채택은 1990년에 이루어졌지만, 이미 기술은 널리 사용되어 다른 제조사의 카드와도 호환될 정도였다. 그러나 3Com이나 IBM과 같은 업계 선두 기업들은 자사의 네트워킹 하드웨어에 높은 가격을 매겨 시장 진입 장벽을 만들고 있었다.[9]
이러한 고가 정책에 맞서기 위해 노벨은 자체적으로 저렴한 네트워크 카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최소한의 R&D, 엔지니어링, 제조 비용으로 카드를 생산하기 위해, 노벨은 내셔널 세미컨덕터가 8390 이더넷 칩[1]을 사용하여 개발한 레퍼런스 디자인을 활용했다.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이 디자인 사용에 개방적이었고, 덕분에 노벨은 비용 효율적으로 카드를 생산할 수 있었다.[9]
이렇게 개발된 첫 카드가 8비트 ISA 방식의 NE1000이다. 1987년 2월 'E-Net 어댑터'라는 이름으로 495USD에 출시되었으며,[2][9] 'NE'는 '노벨 이더넷(Novell Ethernet)'을 의미했다.[2][9]
2. 1. NE1000
1980년대 말, 노벨은 하드웨어 서버 사업에서 벗어나 주력 제품인 넷웨어(NetWare)를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현이나 토폴로지와는 독립적인 IBM PC 기반 서버 운영 체제로 전환하고자 했다. 이 전략의 일환으로 노벨은 서버 운영 체제와 프로토콜을 차별화된 기술로 만들기 위해, 일반적인 네트워킹 기술, 특히 네트워크 카드를 상품화할 필요성을 느꼈다.[9]당시 이더넷과 토큰 링 같은 네트워킹 기술은 IEEE의 IEEE 802 표준 위원회에 의해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비록 초안이 공식 채택된 것은 1990년이지만,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고 다른 업체의 카드와도 호환될 정도였다. 그러나 3Com이나 IBM과 같은 업계 선두 주자들은 자사의 네트워킹 하드웨어에 높은 가격을 매기고 있었다.[9]
이러한 고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노벨은 자체 네트워크 카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연구 개발, 엔지니어링,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벨은 내셔널 세미컨덕터가 개발한 8390 이더넷 칩(DP839EB[1])을 사용한 프로토타입 디자인(레퍼런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카드를 제작했다.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이 디자인 사용에 대해 개방적이었고, 덕분에 노벨은 거의 순수익에 가까운 제안을 할 수 있었다.[9] 다만 이 디자인은 개념 증명(PoC) 프로토타입으로만 고안되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기능만 구현되었다. 예를 들어, DMA 대신 PIO 방식을 사용했고,[1][9] 카드 내 버퍼링용 RAM을 호스트의 주소 공간에 매핑하지 않았으며, 트랜시버 사용도 고려되지 않았다.[9]
이렇게 개발된 첫 번째 카드가 NE1000이다. 이 카드는 8비트 ISA 방식을 사용했으며, 1987년 2월 'E-Net 어댑터'라는 이름으로 495USD에 출시되었다.[2][9] 카드 이름의 "NE"는 "노벨 이더넷(Novell Ethernet)"을 의미한다.[2][9]
2. 2. NE2000
PC AT의 16비트 ISA 버스를 활용하는 NE2000은 1988년에 처음 선보였다.[3] 초기 모델은 씬 이더넷 기술을 사용했다. 이후 "B" 리비전에서는 AUI 포트를 추가하여 외부 트랜시버 연결을 지원했으며, 후속 모델인 NE1000T와 NE2000T는 10BASE-T 연결 기능을 내장했다.NE2000의 개발은 당시 노벨(Novell)의 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노벨은 자사의 주력 상품인 NetWare를 특정 하드웨어나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얽매이지 않는 독립적인 IBM PC 기반 서버 운영 체제로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하드웨어 기술이 보편화되어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를 원했다. 당시 이더넷과 토큰 링 같은 기술은 IEEE 802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었지만, 3Com이나 IBM과 같은 주요 하드웨어 공급업체들은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여 노벨은 자체 네트워크 카드 라인업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NE2000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8390 이더넷 칩 레퍼런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1] 비용 절감을 위해 DMA 대신 프로그래밍된 I/O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성능에는 다소 제약이 있었지만,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NE1000과 NE2000 출시와 함께 노벨은 두 가지 중요한 정책을 추진했다. 첫째, 다른 하드웨어 제조사들이 로열티 부담 없이 "NE1000/2000 호환" 카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필요한 기술 문서를 제공했다. 제조사들은 노벨의 표준 드라이버와 호환되는지 인증만 받으면 되었다. 이 정책은 네트워크 하드웨어 가격을 낮춰 PC 네트워킹의 확산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둘째, 노벨의 유통업체들이 부품 공급업체인 Anthem Technologies의 자회사 Eagle로부터 직접 카드를 구매할 수 있도록 유통 구조를 변경했다. 이를 통해 노벨은 제조 및 재고 관리 부담을 덜면서도 카드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확보할 수 있었다.
노벨의 이러한 저가 정책과 개방적인 접근 방식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3Com을 비롯한 경쟁사들은 가격 인하 압박을 받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전체 PC 네트워킹 비용이 크게 절감되었다. 이는 1990년대 네트워킹 기술의 대중화, 이른바 '네트워킹 붐'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IBM이 주도하던 토큰 링 방식과의 경쟁에서 이더넷 방식이 우위를 점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NE2000 시리즈에 사용된 핵심 칩인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8390 칩은 2003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3. 기술적 특징
NE1000은 내셔널 세미컨덕터가 개발한 DP839EB[1] 8390 이더넷 칩을 사용한 레퍼런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이는 최소한의 R&D, 엔지니어링, 생산 비용으로 카드를 생산하려는 노벨의 전략에 따른 것이었다.
해당 레퍼런스 디자인은 개념 증명(PoC) 프로토타입으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기능만 구현되었다. 특히, 레퍼런스 디자인의 DMA 방식 대신[1] PIO 방식을 사용하여 성능에 일부 제약이 있었다. 또한, 카드 내부에 버퍼링을 위한 RAM을 호스트의 주소 공간에 매핑하지 않았으며, 트랜시버 사용 역시 초기에 고려되지 않았다.
오리지널 NE1000 카드는 8비트 ISA 방식으로 동작했다.
4. 클론

수많은 다른 제조업체들이 자체 브랜드로 NE1000/NE2000 디자인을 복제하여 호환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윈본드(Winbond) 83C901 칩은 리셋 신호를 무시하는 문제가 있었다.[4]
5. 지원 운영 체제
넷웨어 외에 이 카드들의 드라이버 지원은 도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유닉스, FreeBSD, QNX,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제공되었다.[11][5] 윈도우 XP는 플러그 앤 플레이(PnP)를 지원하지 않는 버전의 카드는 지원하지 않으며, 윈도우 비스타는 NE2000을 지원하지 않는다. 윈도우 2000의 경우 작동하는 드라이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에뮬레이터 지원
NE1000 및 NE2000 네트워크 카드는 다양한 에뮬레이터에서 지원된다. 지원되는 에뮬레이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도스박스: 서드파티 패치를 통해 지원된다.
- 커널 기반 가상 머신 (KVM)
- Bochs[12][6]
- PCem: v13부터 지원된다.[13][7]
- 86Box[8]
참조
[1]
웹사이트
DP839EB Network Evaluation Board
http://www.bitsavers[...]
National Semiconductor
[2]
논문
Novell to Add Features To Advanced Netware
https://books.google[...]
2012-01-15
[3]
논문
Novell unveils LAN gear, new version of NetWare
https://books.google[...]
2009-12-03
[4]
웹사이트
Linux Ethernet-Howto: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eb.bilkent.e[...]
[5]
웹사이트
PCI NE2000 cards and Linux
http://beowulf.es.em[...]
2009-04-28
[6]
웹사이트
Features
http://bochs.sourcef[...]
[7]
웹사이트
PCem
https://pcem-emulato[...]
[8]
웹사이트
Network - 86Box documentation
https://86box.readth[...]
[9]
논문
Novell to Add Features To Advanced Netware
https://books.google[...]
2012-01-15
[10]
논문
Novell unveils LAN gear, new version of NetWare
https://books.google[...]
2009-12-03
[11]
웹인용
PCI NE2000 cards and Linux
http://beowulf.es.em[...]
2020-02-01
[12]
URL
http://bochs.sourcef[...]
[13]
URL
https://pcem-emula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