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GC 635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6357은 우리 은하에서 거대 질량 별이 활발하게 형성되는 곳 중 하나이다. 이 성운 내에는 무거운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피스미스 24가 있으며, 피스미스 24-1은 다중성계임에도 불구하고 각 별의 질량이 태양의 100배에 달한다. NGC 6357에는 피스미스 24 외에도 G353.2+0.7, G353.1+0.6과 같은 젊은 성단이 있으며, 다양한 O형 별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플리스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샤플리스 천체 - 시메이즈 147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NGC 천체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NGC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NGC 6357
기본 정보
NGC 6357 합성 이미지
NGC 6357 합성 이미지
종류전리수소영역
별자리전갈자리
거리~5900±450 광년 (1800±140 파섹)
다른 이름전쟁과 평화 성운
샤플리스 11
RCW 131
Gum 66
Lobster Nebula
Madokami
식별 정보
NGC 번호6357
다른 명칭전쟁과 평화 성운
Lobster Nebula
Sharpless 11
RCW 131
Gum 66
Madokami

2. 소속된 성단

NGC 6357 성운 내에는 여러 성단이 존재한다. 성운 내부에는 어두운 색의 가스 원반에 둘러싸인 원시별이 많이 있으며, 이 젊은 별들은 고치처럼 생긴 가스 구조에 둘러싸여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성단으로는 피스미스 24가 있으며, 그 외에 G353.2+0.7, G353.1+0.36 (G353.1+0.6)도 있다.

2. 1. 피스미스 24 (Pismis 24)

NGC 6357 내에는 무거운 별 여럿으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피스미스 24'''가 있다. 이들 중 아주 밝은 별인 피스미스 24-1은 발견 당시 가장 무거운 별로 그 질량은 태양의 약 300배로 추측되었다.[26] 그러나 이후 추가 연구에서 최소 혹은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임이 밝혀졌다.[27] 그럼에도 별 각각의 질량은 태양의 100배 가까이는 되고 이것만으로도 발견된 항성 중 질량으로 최상위 반열에 들어간다.[26][27]

피스미스 24 내 주요 항성[28]
항성
(피스미스 24-#)
분광형절대등급
(Mbol)
표면온도[29]
(K)
반지름
(R)
질량
(M)
1NEO3.5 If*−10.042,0001774
1SWO4 III−9.841,5001666
2O5.5 V(f)−8.940,0001243
3O8 V−7.733,400925
10O9 V−7.231,500820
12B1 V−5.330,000411
13O6.5 III((f))−8.635,6001235
15O8 V−7.833,4001025
16O7.5 V−9.034,0001638
17O3.5 III−10.142,7001778
18B0.5 V−6.430,000615
19B0.5 V−5.430,000411


2. 2. G353.2+0.7

G353.2+0.7은 피스미스 24 동쪽에 있는 젊은 성단이다.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촬영 결과 이 성단을 이루는 항성은 대략 800개 정도임이 밝혀졌다.[30][12]

2. 3. G353.1+0.6 (G353.1+0.36)

G353.1+0.6은 피스미스 24의 남동쪽에 위치한 젊은 성단으로, 엑스선 촬영 결과 약 800개의 항성으로 구성되어 있다.[30][12] 이 영역에는 BDSB2003 10과 같은 O형 별 여러 개가 존재한다.[31][13]

3. 거대 항성

NGC 6357은 우리 은하에서 거대 질량 별이 가장 활발하게 형성되는 곳 중 하나이다. 이 성운에는 다양한 초기 O형 별이 존재하며, 분자 구름에서 볼 수 있는 별 무리 주변에 거품을 형성하고 있다.[24]

Pismis 24의 주요 별[14]
별 이름분광형광도
(Mbol)
온도[15]
(K)
반지름
(R)
질량
(M)
WR 93 (HD 157504)WC7-11.271,00010120
Pismis 24-1NEO3.5 If*-10.042,0001774
Pismis 24-1SWO4 III-9.841,5001666
Pismis 24-2O5.5 V(f)-8.940,0001243
Pismis 24-3O8 V-7.733,400925
Pismis 24-10O9 V-7.231,500820
Pismis 24-12B1 V-5.330,000411
Pismis 24-13O6.5 III((f))-8.635,6001235
Pismis 24-15O8 V-7.833,4001025
Pismis 24-16O7.5 V-9.034,0001638
Pismis 24-17O3.5 III-10.142,7001778
Pismis 24-18B0.5 V-6.430,000615
Pismis 24-19B0.5 V-5.430,000411


참조

[1] simbad NGC 6357 2007-05-03
[2] 서적 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Sky Publishing Corporation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 저널 Kinematics in Young Star Clusters and Associations with Gaia DR2
[4] 웹사이트 Lobster Nebula – birthplace of stars – revealed in infrared https://www.theguard[...] 2013-02-20
[5] 웹사이트 Lobster Nebula Seen with ESO's VISTA Telescope Space Wallpaper http://www.space.com[...] 2013-02-25
[6] 웹사이트 2MASS Picture of the Week Archive Captions http://www.ipac.calt[...]
[7] 웹사이트 There Is A New Petition To Name A Nebula After "Ultimate Madoka" https://www.crunchyr[...] crunchyroll.com
[8] 웹사이트 NGC 6357. The Lobster Nebula https://astrodrudis.[...] astrodrudis.com
[9] 웹사이트 Winter Wonderland' Glows in Space as Nebula Is Wreathed in Wintry Color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6-12-20
[10] 웹사이트 ESA Science & Technology: Star on a Hubble diet NGC 6357 http://www.spacetele[...] 2007-04-11
[11] APOD NASA: Massive Stars in Open Cluster Pismis 24 2006-12-19
[12] 저널 The Massive Star-Forming Regions Omnibus X-Ray Catalog 2014
[13] 저널 The open cluster G353.1+0.7 in NGC6357 2006
[14] 저널 Star formation and disk properties in Pismis 24
[15] 저널 A new calibration of stellar parameters of Galactic O stars
[16] 문서 https://www.ipac.cal[...]
[17] 웹사이트 ESA Science & Technology: Star on a Hubble diet NGC 6357 https://esahubble.or[...] 2007-04-11
[18]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2-05-05
[19] 문서 星雲星団ウォッチング 地人書館 1996
[20] 서적 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Sky Publishing Corporation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인용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imbad.u-stra[...] 2007-05-03
[22] 서적 The Complete New General Catalogue and Index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by J. L. E. Dreyer https://archive.org/[...] Sky Publishing Corporation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3] 저널 Kinematics in Young Star Clusters and Associations with Gaia DR2
[24] 웹인용 2MASS Picture of the Week Archive Captions http://www.ipac.calt[...]
[25] 웹인용 Lobster Nebula – birthplace of stars – revealed in infrar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2-20
[26] 웹인용 ESA Science & Technology: Star on a Hubble diet NGC 6357 http://www.spacetele[...] 2007-04-11
[27] 뉴스 NASA: Massive Stars in Open Cluster Pismis 24 http://apod.nasa.gov[...] 2006-12-19
[28] 저널 Star formation and disk properties in Pismis 24
[29] 저널 A new calibration of stellar parameters of Galactic O stars
[30] 저널 The Massive Star-Forming Regions Omnibus X-Ray Catalog 2014
[31] 저널 The open cluster G353.1+0.7 in NGC6357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