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TS-1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TS-1b는 차세대 통과 탐사(NGTS)에 의해 발견된 뜨거운 가스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0.812배, 반지름은 목성의 1.33배이다. NGTS-1b는 태양 질량의 절반 정도인 적색 왜성 NGTS-1을 2.6일 주기로 공전하며, 이는 기존 행성 형성 이론에 어긋나는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발견한 외계 행성 - OGLE-2016-BLG-1195Lb
OGLE-2016-BLG-1195Lb는 외계 행성으로, 2023년 매개변수 업데이트 이전에는 스타워즈의 호스와 유사하여 호스로 언급되기도 했다. - 2017년 발견한 외계 행성 - TRAPPIST-1e
TRAPPIST-1e는 2016년에 발견된 TRAPPIST-1 행성계의 지구형 외계 행성으로,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지만 자외선 노출과 태양풍의 영향으로 생명체 거주에 부적합할 수 있으며, 고체 암석 표면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 뜨거운 목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뜨거운 목성 - WASP-3b
- M형 주계열성 - 적색왜성
적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8%~50% 정도의 작고 차가운 별로, 느린 핵융합 속도로 수명이 매우 길며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이지만, 외계행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은 여러 요인으로 논란이 있다. - M형 주계열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NGTS-1b | |
---|---|
기본 정보 | |
![]() | |
발견 | 2017년 |
발견자 | 차세대 천체 탐사(Next-Generation Transit Survey) |
발견 방법 | NGTS 망원경과 EulerCam 광도 및 HARPS 분광 후속 관측 |
별 | NGTS-1 |
별자리 | 비둘기자리 |
천문학적 의의 | |
궤도 정보 | |
궤도 종류 | 주회 궤도 |
궤도 장반축 | 0.0326 천문단위(au) (487만 6960 km) |
궤도 이심률 | 0.016 |
공전 주기 | 2.647298 ± 0.000020 일 |
궤도 경사 | 82.8 ± 2.3도 |
통과 시각 | 2457720.6593965 ± 0.00062 HJD |
궤도 준진폭 | 166 ± 11 m/s |
물리적 특징 | |
평균 반지름 | 1.33 목성 반지름 |
질량 | 0.812 목성 질량 |
평균 밀도 | 0.42 g/cm³ |
표면 온도 | 790 ± 20 켈빈(K) (517 ± 20 ℃) |
위치 정보 | |
거리 | 600 광년, 730 ± 121/143 광년(224 ± 37/44 파섹) |
2. 발견
차세대 통과 탐사에 의해 발견되었다.[4] NGTS-1b의 발견을 설명하는 연구의 주 저자이며 워릭 대학교의 다니엘 베일리스는 "NGTS-1b의 발견은 우리에게 완전한 놀라움이었다. 그렇게 거대한 행성은 그렇게 작은 별 주위에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았다. 중요한 것은 이제 이러한 유형의 행성이 은하에서 얼마나 흔한지 알아내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며, 새로운 차세대 통과 탐사 시설을 통해 우리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라고 말했다.[5]
NGTS-1b는 목성 질량의 0.812배, 반지름은 목성의 1.33배인 뜨거운 가스 행성 외계 행성이다.[3][4] 2017년 파라날 천문대에서 외계 행성 탐사를 수행하는 차세대 트랜싯 탐사(NGTS)에 의해 발견되었다.
3. 특징
향후 발사될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이 행성의 대기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1. 모항성
이 행성은 태양 질량의 절반() 및 반지름()의 M0.5 왜성 주위를 공전한다.[4][1] 지금까지의 행성 형성 이론에 따르면, 저질량의 항성은 대질량의 항성보다 적은 양의 성간 가스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 시의 원시 행성계 원반의 양도 적고, 대형의 거대 가스 행성이 형성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고 여겨진다. 주성 NGTS-1은 태양의 0.617배의 질량과 0.573배의 반지름밖에 갖지 않는 적색 왜성이며, 상대적으로 NGTS-1b는 NGTS-1의 23.8%나 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적색 왜성을 공전하고 있는 거대 행성은 케플러 45b나 WASP-80b 등, 몇몇 예밖에 보고되지 않았고, 어느 것도 NGTS-1b 정도의 크기를 갖지 않는다. 발견자인 피터 휘틀리(Peter Wheatley)는 주성이 소형이고 어둡기 때문에, 검출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명칭 | 행성 질량 (MJ) | 행성 반지름 (RJ) | 주성 질량 (M☉) | 주성 스펙트럼 | 발견년도 | |
---|---|---|---|---|---|---|
케플러 45b | 0.505 | 0.96 | 0.59 | M | 2011 | [7] |
WASP-80b | 0.554 | 0.952 | 0.57 | K7V | 2013 | [8] |
HATS-6b | 0.319 | 0.998 | 0.574 | M1V | 2014 | [9] |
NGTS-1b | 0.812 | 1.33 | 0.617 | M0.5 | 2017 |
3. 2. 궤도
NGTS-1b는 모항성으로부터 450만km (약 451만km) 거리에서 2.6473 지구일 주기로 공전한다.[3][4][1][6] 목성 지름의 1.33배에 달하는 반지름을 가지고, 주성에서 불과 490.00000000000006만km(약 483만km) 떨어진 거리를 2.5일 만에 공전하므로,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4. 행성 형성 이론과의 관계
NGTS-1b의 가장 큰 특징은 작은 항성 주위를 공전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행성 형성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작은 항성은 질량이 큰 항성보다 적은 양의 성간 가스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 시의 원시 행성계 원반의 양도 적고, 대형의 거대 가스 행성이 형성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여겨진다. 적색 왜성 주위에 목성 질량의 1~10배의 행성이 형성될 확률은 적색 왜성 1개당 0.07개로 계산된다. 실제로, 지금까지 적색 왜성을 공전하는 거대 행성은 케플러 45b, WASP-80b, HATS-6b 등 몇몇 사례만 보고되었고, 그 어느 것도 NGTS-1b 정도의 크기를 가지지 않는다. 발견자인 피터 휘틀리(Peter Wheatley)는 주성이 작고 어둡기 때문에 검출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명칭 | 행성 질량 (MJ) | 행성 반지름 (RJ) | 주성 질량 (M☉) | 주성 스펙트럼 | 발견년도 | 출처 |
---|---|---|---|---|---|---|
케플러 45b | 0.505 | 0.96 | 0.59 | M | 2011 | [7] |
WASP-80b | 0.554 | 0.952 | 0.57 | K7V | 2013 | [8] |
HATS-6b | 0.319 | 0.998 | 0.574 | M1V | 2014 | [9] |
NGTS-1b | 0.812 | 1.33 | 0.617 | M0.5 | 2017 |
5. 향후 연구
향후 발사될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NGTS-1b의 대기 관측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명칭 | 행성 질량 (MJ) | 행성 반지름 (RJ) | 주성 질량 (M☉) | 주성 스펙트럼 | 발견 연도 | |
---|---|---|---|---|---|---|
케플러 45b | 0.505 | 0.96 | 0.59 | M | 2011 | [7] |
WASP-80b | 0.554 | 0.952 | 0.57 | K7V | 2013 | [8] |
HATS-6b | 0.319 | 0.998 | 0.574 | M1V | 2014 | [9] |
NGTS-1b | 0.812 | 1.33 | 0.617 | M0.5 | 2017 |
기존의 행성 형성 이론에 따르면, 저질량 항성은 대질량 항성보다 적은 양의 성간 가스로 형성되므로, 원시 행성계 원반의 양도 적어 거대 가스 행성 형성이 어렵다고 여겨진다. 적색 왜성 주위에 목성 질량의 1~10배에 달하는 행성이 형성될 확률은 적색 왜성 1개당 0.07개로 추산된다. 실제로 현재까지 적색 왜성을 공전하는 거대 행성은 케플러 45b, WASP-80b 등 몇몇 사례에 불과하며, 이들 모두 NGTS-1b만큼 크지 않다. 발견자인 피터 휘틀리(Peter Wheatley)는 주성이 작고 어둡기 때문에 검출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참조
[1]
백과사전
Planet NGTS-1 b
https://exoplanet.eu[...]
2017
[2]
웹사이트
Huge 'monster' planet could challenge scientists' theory of how worlds form
https://timesofindia[...]
2017-11-02
[3]
논문
NGTS-1b: A hot Jupiter transiting an M-dwarf
2017-10-31
[4]
웹사이트
Monster Planet, Tiny Star: Record-Breaking Duo Puzzles Astronomers
https://www.space.co[...]
2017-10-31
[5]
웹사이트
'Monster' planet discovery challenges formation theory
https://phys.org/new[...]
2017-10-31
[6]
웹사이트
This Tiny Star Hosts a Planet Nearly the Size of Jupiter
https://gizmodo.com/[...]
2017-10-31
[7]
arxiv
Characterizing the Cool KOIs II. The M Dwarf KOI-254 and its Hot Jupiter
2012-03-21
[8]
arxiv
WASP-80b: a gas giant transiting a cool dwarf
2013-03-01
[9]
arxiv
HATS-6b: A Warm Saturn Transiting an Early M Dwarf Star, and a Set of Empirical Relations for Characterizing K and M Dwarf Planet Hosts
2014-08-08
[10]
링크
http://www.joongang.[...]
[11]
저널
NGTS-1b: A hot Jupiter transiting an M-dwarf
https://arxiv.org/pd[...]
2017-10-31
[12]
웹인용
Monster Planet, Tiny Star: Record-Breaking Duo Puzzles Astronomers
https://www.space.co[...]
2017-10-31
[13]
웹인용
'Monster' planet discovery challenges formation theory
https://phys.org/new[...]
201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