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Wr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penWrt는 2004년 링크시스가 WRT54G 시리즈 무선 라우터용 펌웨어를 개발하면서 시작된 리눅스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용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따라 소스 코드가 공개되었으며, 다양한 라우터 및 장치로 지원이 확장되었다. OpenWrt는 칵테일 이름을 딴 릴리스, 사용자 정의 기능, o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 LuCI 웹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며, 2016년 LEDE 프로젝트로 분리되었다가 재통합되었다. OpenWrt는 다양한 파생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으며, Sveasoft와의 라이선스 분쟁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운영체제 - 시스코 IOS
시스코 IOS는 시스코 시스템즈의 네트워크 장비 운영체제로, 라우터용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하드웨어 기능과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적응하며 CLI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IOS XR, IOS XE 등 후속 운영 체제가 등장했다. - 네트워크 운영체제 - 넷웨어
넷웨어는 노벨이 개발한 네트워크 운영 체제로, 파일 공유 중심으로 설계되어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LAN 환경에서 높은 성능으로 시장을 선도했으나, 윈도우 NT 서버의 부상과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해 쇠퇴했다. - 커스텀 펌웨어 - DD-WRT
DD-WRT는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운영체제로, 무선 라우터에 설치되어 접근 제어, 대역폭 관리, VPN 설정, 무선 네트워크 확장 등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고, OpenVPN, WireGuard와 같은 VPN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오래된 라우터를 활용하여 서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커스텀 펌웨어 - LibreCMC
LibreCMC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인증을 받은 라우터용 운영체제로, OpenWrt 및 LEDE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하드웨어 사양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버전으로 제공된다. - 와이파이 -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와이파이 기술의 상호 운용성 확보 및 표준 준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산업 협회로서, Wi-Fi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LAN 장비의 상호 운용성을 테스트하고 무선 통신 기술의 혁신을 주도한다. - 와이파이 - 닌텐도 Wi-Fi USB 커넥터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는 닌텐도 DS나 Wii를 무선 LAN 환경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는 USB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로, 독점적인 인증 방식과 운영체제 지원 문제 등으로 비판받다 단종되었다.
| OpenWrt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개발 | OpenWrt 프로젝트 |
| 종류 | 라우터 펌웨어 |
| 라이선스 | GPL |
| 웹사이트 | openwrt.org |
| 기술 정보 | |
| 커널 종류 | 모놀리식 (리눅스) |
| 사용자 영역 | BusyBox |
| 사용자 인터페이스 | CLI, 웹 UI (LuCI) |
| 패키지 관리자 | opkg (24.10 버전까지) |
| 업데이트 모델 | opkg (24.10 버전까지) |
| 지원 플랫폼 | 50개의 다양한 플랫폼 ( ARC, ARM, m68k, MIPS, PowerPC, SPARC, SuperH, x86, x86-64 ) |
| 프로그래밍 언어 | 영어, 중국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펀자브어, 스페인어, 웨일스어 + 25개의 부분적으로 번역된 언어 |
| 출시 정보 | |
| 최초 출시 | 2004년 1월 |
| 최신 안정화 버전 | 23.05.5 |
| 최신 안정화 버전 출시일 | 2024년 9월 25일 |
| 최신 미리보기 버전 | 24.10.0-rc2 |
| 최신 미리보기 버전 출시일 | 2024년 12월 4일 |
| 작동 상태 | 현재 |
| 기타 | |
| 소스 모델 | 오픈 소스 |
2. 역사
OpenWrt 프로젝트는 2004년 링크시스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따라 라이선스된 코드로 WRT54G 시리즈 무선 라우터용 펌웨어를 구축하면서 시작되었다.[5] 이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자들은 이전 소비자 수준 라우터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리눅스 배포판을 만들었다. 초기에는 일부 기능에 독점 소프트웨어가 필요했는데, 예를 들어 OpenWrt 8.09 이전에는 많은 브로드컴 기반 라우터의 WLAN은 독점 모듈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OpenWrt 릴리스는 화이트 러시안, 가미카제 등 칵테일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해당 레시피는 메시지 오브 데이(motd)에 포함되어 명령줄 인터페이스 로그인 후 표시되었다.
2016년 5월, 내부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핵심 OpenWrt 기여자들은 Linux 임베디드 개발 환경(LEDE)으로 포크했다.[8] 이 분열은 1년 후 해결되었고,[9] 2018년 1월 재통합이 발표되었다.[10] OpenWrt 브랜드는 유지되었으며, LEDE의 많은 프로세스와 규칙이 사용되었다. LEDE 프로젝트 이름은 v17.01에 사용되었고, 18.01 개발 버전은 OpenWrt 브랜드로 출시되어 칵테일 기반 명명 방식을 폐지했다.[11]
2. 1. 개발 배경
링크시스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따라 라이선스된 코드로 WRT54G 시리즈 무선 라우터용 펌웨어를 구축한 후, 2004년 OpenWrt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5] 해당 라이선스 조항에 따라 링크시스는 수정된 버전의 소스 코드를 동일한 라이선스 하에 공개해야 했으며,[6][7] 이를 통해 독립 개발자들이 파생 버전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지원은 WRT54G 시리즈로 제한되었지만, 이후 여러 제조업체의 다양한 라우터 및 장치로 확장되었다.2. 2. 명칭 유래
OpenWrt의 주요 버전 이름은 화이트 러시안, 카미카제, Backfire와 같이 칵테일 이름에서 따왔다.[5] 2016년에는 내부 의견 불일치로 인해 핵심 개발자들이 분리되어 리눅스 임베디드 개발 환경(LEDE)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나,[8] 2018년에 다시 OpenWrt로 통합되었다.[10]2. 3. 주요 버전
OpenWrt는 2004년 첫 번째 안정적인 릴리스 이후, 여러 주요 버전을 거쳐 발전해왔다. 각 버전은 칵테일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예: White Russian, Kamikaze), 새로운 기능 추가, 버그 수정, 보안 강화 등을 포함한다.2016년에는 내부 의견 불일치로 인해 핵심 개발자들이 LEDE라는 이름으로 분리되었으나, 2018년에 재통합되었다. 재통합 이후에는 칵테일 이름 대신 버전 번호(예: 17.01.0, 18.06.0)를 사용하고 있다.
| 버전(코드명) | 일반 출시일 | 커널 | libc | 주요 특징 |
|---|---|---|---|---|
| 첫 번째 안정적인 릴리스 | 2004-01 | uClibc | 링크시스 WRT54G 기반 | |
| 0.9 (White Russian) | 2007-02-05 | 2.4.30 | uClibc | NVRAM 기반, nas, wl |
| 7.06 (Kamikaze) | 2007-06-02 | 2.6.19 | uClibc | opkg 사용 |
| 8.09 (Kamikaze) | 2009-02-19 | 2.6.26 | uClibc | 새로운 플랫폼: ar71xx |
| 10.03 (Backfire) | 2010-04-07 | 2.6.32 | uClibc | 다양한 플랫폼 지원 |
| 12.09 (Attitude Adjustment) | 2013-04-25 | 3.3 | uClibc | CoDel 백포팅, bcm2708 (라즈베리 파이) 지원 |
| 14.07 (Barrier Breaker) | 2014-10-02 | 3.10.49 | uClibc | i.MX23, i.MX6 지원 |
| 15.05 (Chaos Calmer) | 2015-09-11 | 3.18.20 | uClibc | nftables |
| 17.01.0 (Reboot (OpenWrt/LEDE))[30] | 2017-02-22 | 4.4.50 | musl[31] | OpenWrt/LEDE 재통합 |
| 18.06.0 | 2018-07-31 | 4.9.111 / 4.14.52 | musl | |
| 19.07.0 | 2020-01-06 | 4.14.162 | musl | WPA3 지원, 플로우 오프로딩 (베타) |
| 21.02.0 | 2021-09-04 | 5.4.143 | musl | WPA3, TLS 및 HTTPS 기본 지원, 초기 [https://www.kernel.org/doc/html/latest/networking/dsa/dsa.html DSA] 지원 |
| 22.03.0 | 2022-09-06 | 5.10.138 | musl | nftables 기반 Firewall4, LuCI 다크 모드, 2038년 문제 처리 |
| 23.05.0[42] | 2023-10-13 | 5.15.134 | musl | ipq40xx 대상 DSA 변환, 기본 암호화 라이브러리 mbedtls |
OpenWrt는 일반 게이트웨이 장비에 내장된 펌웨어가 제공하는 여러 기능들, 예를 들어 DHCP 서비스나 WEP, WPA, WPA2 같은 무선 보안 기능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이런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기본 펌웨어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들을 추가로 제공한다.
3. 특징
OpenWrt의 또 다른 장점은 파일 시스템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ipkg (최신 버전에서는 opkg) 라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OpenWrt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리눅스 기반 펌웨어들은 대체로 읽기만 가능한 SquashFS 같은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펌웨어 이미지 전체를 새로 빌드하고 플래시에 올려서 사용해야 한다. 이것이 다른 리눅스 기반 펌웨어와 비교해서 OpenWrt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이다. OpenWrt는 배포 정책에 따라 읽기만 가능한 SquashFS이나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한 JFFS2 중 알맞은 것으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OpenWrt는 쓰기 가능한 JFFS2파일 시스템 형태로 설치되며, opkg를 통한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OpenWrt는 범용성이 뛰어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메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4. 구성 요소
OpenWrt는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웹 인터페이스(LuCI), 빌드 시스템(Buildroot), 패키지 관리 시스템(opkg) 등이 있다.
4. 1. 웹 인터페이스 (LuCI)
LuCI는 OpenWrt의 주요 웹 인터페이스로, Lua로 작성된 MV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다.[85] LuCI를 통해 사용자는 라우터의 다양한 기능을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8.09 이전 버전에서는 제한적인 웹 인터페이스만 제공되었으나,[84] 8.09 버전부터 LuCI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84]4. 2. 빌드 시스템 (Buildroot)
OpenWrt의 개발 환경과 빌드 시스템은 ''OpenWrt Buildroot''라고 불리며, Buildroot 시스템을 크게 수정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67][68] OpenWrt Buildroot는 적절한 크로스 컴파일러 툴체인을 빌드하고 사용하여 임베디드 장치용 리눅스 기반 OpenWrt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Makefile과 패치 묶음이다.[67][68]임베디드 장치는 일반적으로 OpenWrt 시스템 이미지를 빌드하는 데 사용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다른 프로세서를 사용하므로 크로스 컴파일 툴체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컴파일 툴체인은 호스트 시스템에서 실행되지만 대상 임베디드 장치와 해당 프로세서의 명령 집합 아키텍처 (ISA)에 대한 코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시스템이 x86을 사용하고 대상 시스템이 MIPS32를 사용하는 경우, 호스트의 일반 컴파일 툴체인은 x86에서 실행되어 x86 아키텍처용 코드를 생성하는 반면, 크로스 컴파일 툴체인은 x86에서 실행되어 MIPS32 아키텍처용 코드를 생성한다. OpenWrt Buildroot는 대부분의 임베디드 장치 및 호스트 시스템의 명령 집합 아키텍처에서 작동하도록 이 전체 과정을 자동화한다.[67][69]
OpenWrt Buildroot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67][69]
- 여러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를 쉽게 이식할 수 있다.
- 모든 옵션의 구성에 menuconfig (Linux 커널 menuconfig)를 사용한다.
- 통합된 크로스 컴파일러 툴체인 (gcc, ld, uClibc 등)을 제공한다.
- autotools (automake, autoconf), CMake 및 SCons에 대한 추상화를 제공한다.
- 다운로드, 패치, 구성, 컴파일 및 패키징과 같은 표준 OpenWrt 이미지 빌드 워크플로를 처리한다.
- 알려진 동작이 좋지 않은 패키지에 대한 일반적인 수정 사항을 제공한다.
시스템 이미지 빌드 외에도, OpenWrt 개발 환경은 OpenWrt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간소화된 크로스 플랫폼 빌드를 위한 메커니즘도 제공한다. 각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소스 코드는 Makefile과 유사한 일련의 빌드 지침과 버그 수정 또는 풋프린트 최적화를 위한 선택적 패치 세트를 제공해야 한다.[70]
4. 3. 패키지 관리 시스템 (opkg)
opkg (최신 버전)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OpenWrt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다른 리눅스 기반 펌웨어들은 대체로 읽기만 가능한 SquashFS 같은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펌웨어 이미지 전체를 새로 빌드하고 플래시에 올려서 사용해야 한다. 이것이 다른 리눅스 기반 펌웨어와 비교해서 OpenWrt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이다. OpenWrt는 배포 정책에 따라 읽기만 가능한 SquashFS이나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한 JFFS2 중 알맞은 것으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OpenWrt는 쓰기 가능한 JFFS2파일 시스템 형태로 설치되며, opkg를 통한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OpenWrt는 범용성이 뛰어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5. 파생 프로젝트
OpenWrt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들이 파생되었다.
- Chillifire - 무선 핫스팟 관리에 중점을 둔 OpenWrt 기반 펌웨어
- PacketProtector - IDS, IPS, VPN, 웹 안티 바이러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OpenWrt 기반 보안 배포판.
- Coova - 무선 핫스팟 관리에 중점을 둔 OpenWrt 기반 펌웨어.
- Freifunk - OLSR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OpenWrt 기반의 독일 소프트웨어. 다른 언어도 지원.
- RO.B.IN - ROBIN (ROuting Batman INside)은 OpenWrt 카미카제를 기반으로 하여 Atheros AP51 라우터에서 돌아가는 오픈 소스 메시 네트워크 프로젝트이다. B.A.T.M.A.N.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FON - 핫스팟으로 동작하는 OpenWrt 기반 무선 라우터. 툴체인과 소스 코드는 fonosfera.org에서 받을 수 있다.
- LibreCMC - 리눅스-리브레 커널을 사용하는 완전한 자유 소프트웨어 배포판.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 의해 승인된 배포판이다.[89]
- LEDE - OpenWrt 프로젝트의 운영이 폐쇄적이라는 불만을 품은 개발자들이 2016년에 결성한 프로젝트. LEDE는 Linux Embedd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약자로, OpenWrt와 거의 동일한 목표를 공유하는 포크이다.[86] 2018년에 OpenWrt와 재통합되었으며, LEDE의 성과는 OpenWrt에 병합되었다.
- DD-WRT - 가정용 라우터용 기능 강화 펌웨어
- Gargoyle Router Firmware - OpenWrt용 웹 인터페이스 (사용성을 강화)
- FreeWRT - OpenWrt 프로젝트에서 갈라져 나온 포크
- X-Wrt - OpenWrt의 웹 인터페이스를 강화한 것
6. Sveasoft 논란
2006년 3월 11일, OpenWrt 개발자들은 Sveasoft가 GPL 라이선스를 위반했다며 Sveasoft의 OpenWrt 배포를 금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90] Sveasoft는 무선 LAN 라우터용 펌웨어를 판매하는 기업이었다. OpenWrt는 Sveasoft가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고 바이너리만 판매하여 GPL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87]
이에 대해 Sveasoft는 OpenWrt가 Sveasoft와 브로드컴(Broadcom)이 저작권을 소유한 소프트웨어를 허가 없이 부정한 방법으로 GPL화했다고 반박했다.[88][91] 이처럼 양측은 서로 상대방의 주장을 부인하는 상황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penWrt 24.10.0-rc2 - Second Release Candidate - 4. December 2024
https://openwrt.org/[...]
2024-12-18
[2]
웹사이트
LuCI Translation Portal on Weblate
https://hosted.webla[...]
2021-01-22
[3]
웹사이트
git.openwrt.org Git - openwrt/openwrt.git/blob - target/Config.in
https://web.archive.[...]
2018-07-02
[4]
뉴스
OpenWrt switches to musl by default
https://web.archive.[...]
2015-06-16
[5]
메일링리스트
Linksys WRT54G and the GPL
https://lkml.org/lkm[...]
2003-06-07
[6]
웹사이트
The Open Source WRT54G Story
http://www.wi-fiplan[...]
2018-07-05
[7]
웹사이트
Linksys Releases GPLed Code for WRT54G
http://hardware.slas[...]
2018-07-05
[8]
웹사이트
LEDE and OpenWrt
https://lwn.net/Arti[...]
2017-08-31
[9]
웹사이트
OpenWRT and LEDE agree on Linux-for-routers peace plan
https://www.theregis[...]
2017-08-31
[10]
웹사이트
Announcing the OpenWrt/LEDE merge
https://forum.lede-p[...]
2018-01-10
[1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OpenWrt Project (OpenWrt Project)
https://openwrt.org/
2018-02-16
[12]
웹사이트
OpenWrt version history
https://openwrt.org/[...]
2023-10-16
[13]
웹사이트
Release Builds
https://openwrt.org/[...]
2023-10-19
[14]
웹사이트
Security - Support status
https://openwrt.org/[...]
2024-01-09
[15]
웹사이트
Whiterussian 0.9 / Kamikaze snapshots
https://forum.archiv[...]
2007-02-05
[16]
웹사이트
WHITE RUSSIAN 0.9
https://archive.open[...]
2007-02-05
[17]
웹사이트
Kamikaze 7.06
https://archive.open[...]
2007-06-02
[18]
웹사이트
Kamikaze 7.07
https://forum.archiv[...]
2007-07-26
[19]
웹사이트
Kamikaze 7.09
https://forum.archiv[...]
2007-09-30
[20]
웹사이트
Kamikaze 8.09
https://openwrt.org/[...]
2009-02-19
[21]
웹사이트
Kamikaze 8.09.1
https://openwrt.org/[...]
2009-06-03
[22]
웹사이트
Kamikaze 8.09.2
https://openwrt.org/[...]
2010-01-10
[23]
웹사이트
Backfire 10.03
https://openwrt.org/[...]
2010-04-07
[24]
웹사이트
Backfire 10.03.1
https://openwrt.org/[...]
2011-12-21
[25]
웹사이트
Attitude Adjustment
https://openwrt.org/[...]
2013-04-25
[26]
웹사이트
Barrier Breaker
https://openwrt.org/[...]
2014-10-02
[27]
웹사이트
OpenWrt Project: Freescale i.MX
https://openwrt.org/[...]
2018-07-16
[28]
웹사이트
Chaos Calmer
https://openwrt.org/[...]
2015-09-11
[29]
웹사이트
OpenWrt 15.05.1 "Chaos Calmer"
https://openwrt.org/[...]
2016-03-16
[30]
웹사이트
LEDE 17.01 "Reboot"
https://openwrt.org/[...]
2019-06-29
[31]
메일링리스트
[OpenWrt-Devel] OpenWrt switches to musl by default
http://lists.openwrt[...]
2015-06-27
[32]
웹사이트
OpenWrt/LEDE 17.01.7 - Seventh Service Release - June 2019
https://openwrt.org/[...]
2019-06-20
[33]
웹사이트
OpenWrt 17.01.7 - date of release?
https://forum.openwr[...]
2024-01-11
[34]
웹사이트
OpenWrt 18.06
https://openwrt.org/[...]
2018-07-31
[35]
웹사이트
OpenWrt 19.07
https://openwrt.org/[...]
2020-01-06
[36]
웹사이트
OpenWrt 19.07.0 - First Stable Release - 6 January 2020
https://openwrt.org/[...]
2020-01-06
[37]
웹사이트
Speedtest OpenWRT with flow offloading
https://www.leowkahm[...]
2020-02-01
[38]
웹사이트
OpenWrt 21.02
https://openwrt.org/[...]
2021-09-04
[39]
웹사이트
OpenWrt 21.02.0 - First Stable Release - 4 September 2021
https://openwrt.org/[...]
2021-09-04
[40]
웹사이트
OpenWrt 22.03
https://openwrt.org/[...]
2022-09-06
[41]
웹사이트
OpenWrt 21.03.0 - First Stable Release - 6 September 2022
https://openwrt.org/[...]
2022-09-15
[42]
웹사이트
OpenWrt 23.05
https://openwrt.org/[...]
2023-10-13
[43]
웹사이트
OpenWrt 23.05.0 - First Stable Release - 13 October 2023
https://openwrt.org/[...]
2023-10-11
[44]
웹사이트
Lua Configuration Interface: /modules/luci-base/po
https://git.lede-pro[...]
2017-05-10
[45]
웹사이트
LEDE Source Repository: /target/Config.in
https://git.lede-pro[...]
2017-03-30
[46]
웹사이트
OpenWRT Gets Forked By Some Of Its Own Developers As LEDE Project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7-05-14
[47]
웹사이트
LEDE and OpenWrt
https://lwn.net/Arti[...]
LWN.net
2016-05-11
[48]
웹사이트
Router hackers reach for the fork: LEDE splits from OpenWRT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16-05-05
[49]
웹사이트
OpenWRT-Kernentwickler starten eigenen Fork
https://www.golem.de[...]
2016-05-05
[50]
웹사이트
Router-Firmware: LEDE als offenere OpenWRT-Alternative
https://www.heise.de[...]
Heise Online
2016-05-04
[51]
웹사이트
OpenWRT and LEDE agree on Linux-for-routers peace plan
https://www.theregis[...]
2017-05-10
[52]
웹사이트
LEDE call for vote on remerge proposal V3
http://lists.infrade[...]
2017-06-26
[53]
웹사이트
Announcing the OpenWrt/LEDE merge
https://forum.lede-p[...]
2018-01-02
[54]
웹사이트
OpenWrt Project: OpenWrt 18.06
https://openwrt.org/[...]
2018-05-18
[55]
웹사이트
LEDE Project: LEDE 17.01.0 - First Stable Release - February 2017
https://lede-project[...]
2017-02-22
[56]
웹사이트
LEDE Project: LEDE 17.01.1 - First Service Release - April 2017
https://lede-project[...]
2017-04-19
[57]
웹사이트
LEDE Project: LEDE 17.01.2 - Second Service Release - June 2017
https://lede-project[...]
2017-06-12
[58]
웹사이트
LEDE Project: LEDE 17.01.3 - Third Service Release - October 2017
https://lede-project[...]
2017-10-03
[59]
웹사이트
LEDE Project: LEDE 17.01.4 - Fourth Service Release - October 2017
https://lede-project[...]
2017-10-18
[60]
웹사이트
OpenWrt/LEDE 17.01.5 - Fifth Service Release - July 2018
https://openwrt.org/[...]
2018-07-15
[61]
웹사이트
OpenWrt/LEDE 17.01.6 - Sixth Service Release - September 2018
https://openwrt.org/[...]
2018-09-02
[62]
웹사이트
The OpenWrt Flash Layout
https://openwrt.org/[...]
2010-01-18
[63]
웹사이트
Debating overlayfs
https://lwn.net/Arti[...]
2011-06-15
[64]
웹사이트
The UCI System
https://openwrt.org/[...]
2009-09-16
[65]
웹사이트
29C3: ISP's black box
https://events.ccc.d[...]
2013-01-19
[66]
웹사이트
kernel: add codel and fq_codel to generic 3.3 patch set
https://dev.archive.[...]
2012-05-16
[67]
웹사이트
OpenWrt Buildroot – About
https://openwrt.org/[...]
[68]
웹사이트
OpenWrt Buildroot - Usage and documentation
http://downloads.ope[...]
2006-01-08
[69]
웹사이트
OpenWrt Development Guide
http://www.ccs.neu.e[...]
Wireless Networks Lab, CCIS, NEU
2012-02-13
[70]
웹사이트
Creating packages
https://openwrt.org/[...]
[71]
웹사이트
OpenWrt Project: Table of Hardware
https://openwrt.org/[...]
2016-01-19
[72]
웹사이트
OpenWrt Project: Buyers' Guide
https://openwrt.org/[...]
2010-12-29
[73]
웹사이트
4/32 warning
https://openwrt.org/[...]
2020-09-28
[74]
웹사이트
Simet Box
https://simet.nic.br[...]
2017-09-14
[75]
웹사이트
ANNOUNCE: debloat-testing kernel git tree
https://lwn.net/Arti[...]
LWN.net
2014-02-13
[76]
웹사이트
Cerowrt Wiki - Bufferbloat.net
https://www.bufferbl[...]
[77]
웹사이트
Free Software Foundation adds libreCMC to its list of endorsed distributions
https://www.fsf.org/[...]
2014-09-04
[78]
웹사이트
"closing time" message from author on PacketProtector forum
https://web.archive.[...]
[79]
웹사이트
GPL Code Center | TP-Link
https://www.tp-link.[...]
[80]
웹사이트
GPL Source Code Support; D-Link
https://tsd.dlink.co[...]
[81]
웹사이트
FriendlyElec Downloads
https://www.friendly[...]
[82]
웹사이트
Ansuel GUI
https://github.com/A[...]
2017-08-16
[83]
웹사이트
OpenWRT 8.09.1 release notes
http://downloads.ope[...]
2009-07-23
[84]
웹사이트
OpenWrt 8.09 release notes
http://downloads.ope[...]
2009-02-23
[85]
웹사이트
About LuCI
http://luci.freifunk[...]
2009-02-28
[86]
웹사이트
About the LEDE project
https://lede-project[...]
LEDE Project
2017-07-07
[87]
웹사이트
NOTICE OF LICENSE TERMINATION
http://openwrt.org/?[...]
OpenWrt
2006-03-11
[88]
웹사이트
sveasoft post to forum.openwrt.org
http://forum.openwrt[...]
OpenWrt
2006-03-12
[89]
웹인용
List of Free GNU/Linux Distributions
http://www.gnu.org/d[...]
2020-12-29
[90]
웹인용
NOTICE OF LICENSE TERMINATION
http://openwrt.org/?[...]
OpenWrt
2006-03-11
[91]
웹인용
sveasoft post to forum.openwrt.org
https://web.archive.[...]
OpenWrt
2006-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