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BC CSKA 모스크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BC CSKA 모스크바는 1923년 창단된 러시아의 프로 농구 클럽으로, 소련 시기부터 러시아 리그와 유로리그를 포함한 다양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유럽 농구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소련 시절에는 2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소련 농구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1990년대 이후 러시아 리그를 지배하며 2006년과 2008년 유로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8년 이후에는 VTB 유나이티드 리그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2015-16 시즌 유로리그 우승을 추가하는 등 꾸준한 강세를 보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로리그에서 자격이 박탈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도 러시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SKA 모스크바 - HC CSKA 모스크바
    HC CSKA 모스크바는 1946년 창단되어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에 참가하는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프로 아이스하키 팀이며, 소련 시절부터 강력한 팀으로 명성을 떨치며 32회의 소련 챔피언십 우승과 20회의 유러피언 컵 우승을 기록했고, 2019년과 2022년에 가가린 컵을 차지했다.
PBC CSKA 모스크바
지도
기본 정보
팀 명칭CSKA 모스크바
별칭아르메이치 (Army men)
코니 (Horses)
크라스노-시니에 (Red-Blue)
창단일1923년 4월 23일
역사PBC CSKA 모스크바 (1923년–현재)
홈 경기장메가스포트 아레나
수용 인원13,344명
연고지모스크바, 러시아
팀 색상빨강
파랑
하양
구단주노릴스크 니켈
회장안드레이 바투틴
감독안드레아스 피스톨리스
주장세묜 안토노프
제휴 구단CSKA 주니어
웹사이트cskabasket.ru
리그
소속 리그VTB 유나이티드 리그
유로리그 (참가 자격 정지)
우승 기록
유로리그 우승8회
소련 리그 우승24회
러시아 리그 우승27회
러시아 컵 우승4회
소련 컵 우승3회
북유럽 리그 우승1회
VTB 유나이티드 리그 우승11회
VTB 유나이티드 리그 슈퍼컵 우승1회
유니폼
홈 유니폼 상의 색상EF1C21
홈 유니폼 하의 색상EF1C21
홈 유니폼 하의 패턴_blue border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_redshoulders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_red stripes
세 번째 유니폼 상의 색상0000FF
세 번째 유니폼 하의 색상EF1C21
세 번째 유니폼 하의 패턴_border on blue

2. 역사

CSKA 모스크바 농구팀은 1923년 4월 29일 OPPV[6][7]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OPPV는 "총군사교육 서비스 부서의 첫 번째 중앙 스포츠 부서"를 뜻하며, 러시아 혁명 이전의 "아마추어 스키어 공동체"를 기반으로 설립되었다.[6] 1924년 농구 부서가 창설되어 소비에트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우승했다.

CSKA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번 이름을 바꾸었다. 1938년 CDKA (''적군 중앙 건물'')[6], 1953년과 1954년 CDSA (''소비에트 육군 중앙 건물'')[6], 1955년부터 1960년까지 CSK MO[6]로 불렸으며, 1960년에 현재 이름인 CSKA (''육군 중앙 스포츠 클럽'')가 되었다.[6]

CSKA는 소비에트 리그에서 총 24번 우승하며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했다.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현재의 유로리그)에서도 1961년, 1963년, 1969년, 1971년에 우승하며 유럽 무대에서도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1991년에는 CSKA 소속 선수였던 세르게이 벨로프가 FIBA 역대 최고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세르게이 벨로프, 1991년 역대 최고 FIBA 선수로 선정됨.
]1992년 소련 붕괴 이후 CSKA는 러시아 리그에서 1992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우승하며 러시아 최강팀의 자리를 지켰다. 유로리그에서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2006년과 2008년에 우승했다. 특히, 2006년에는 테오도르 파팔루카스(Theo Papaloukas)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으로 유로리그 레전드 반열에 올랐다.

테오도르 파팔루카스(Theo Papaloukas), 팀의 스타 선수이자 유로리그 레전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CSKA는 러시아 리그에서 다시 한번 연속 우승했고,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도 11시즌 중 10시즌 우승을 달성했다. 이 시기에는 난도 드 콜로(Nando de Colo)와 밀로시 테오도시치(Miloš Teodosić) 등이 팀을 이끌었다. 난도 드 콜로(Nando de Colo)는 2016년 유로리그 MVP와 파이널 포 MVP를 동시에 수상했다.

난도 드 콜로(Nando de Colo), 유로리그 MVP 및 파이널 포 MVP (2016년).


2010년대 중반 팀의 스타 선수였던 밀로시 테오도시치(Miloš Teodosić)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CSKA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팀을 떠났고,[12][13][14] 유러피언리그는 CSKA를 징계하고,[16] 3월 22일에는 CSKA, 우니크스 카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자격을 박탈했다.[17] 이로 인해 팀 예산이 줄고 국제 무대 역할이 축소되는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17]

2. 1. 1923-1991: 소련 시대

CSKA는 1923년 4월 29일, OPPV[6][7]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OPPV는 "총군사교육 서비스 부서의 첫 번째 중앙 스포츠 부서"를 뜻하며, 러시아혁명 이전의 "아마추어 스키어 공동체"를 기반으로 설립되었다.[6]

농구 부서는 1924년 소비에트 리그 챔피언십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28년과 1935년에도 우승했다. 1938년, 소비에트 리그 챔피언십이 클럽 간 대회로 바뀌면서 CSKA는 '''CDKA''' (''적군 중앙 건물'')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대조국 전쟁 이후, CSKA는 소련 농구계에서 가장 명망 높은 팀 중 하나로 성장했다.[6]

1953년과 1954년에는 '''CDSA''' (''소비에트 육군 중앙 건물'')로, 1955년부터 1960년까지는 '''CSK MO'''로 불렸으며, 1960년에 현재 이름인 '''CSKA''' (''육군 중앙 스포츠 클럽'')를 얻었다.[6]

CSKA는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현재 유로리그)에서 1961년, 1963년, 1969년, 1971년에 우승했다. 소비에트 리그에서는 1945년, 1960년부터 1962년, 1964년부터 1966년, 1969년부터 1974년, 1976년부터 1984년, 1988년, 1990년까지 총 24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다.

]

2. 2. 1992-2008: 러시아 리그 지배와 유로리그 성공

CSKA 모스크바는 1992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러시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CSKA는 1996 유로리그 파이널 포, 2001 수프로리그 파이널 포, 2003 유로리그 파이널 포, 2004 유로리그 파이널 포, 2005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고, 2006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서 유로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CSKA는 2005-06 유로리그 탑 16 조에서 1위를 차지하고, 준결승에서 바르사를 꺾고, 결승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꺾고 우승했다.

다음 해 2007 유로리그 파이널 포 결승전에서는 파나티나이코스에게 패했다. 2008년 2008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서 유로리그 챔피언십을 우승하며 유럽 최상위 레벨 대회 통산 우승 횟수에서 단독 2위를 차지했다.

2. 3. 2009-2021: 유로리그 강호, VTB 유나이티드 리그 지배

CSKA 모스크바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러시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2003년부터 이어온 러시아 리그 연속 우승 기록을 이어갔다. 2008년 VTB 유나이티드 리그가 출범한 이후 CSKA는 리그를 지배하며 11시즌 중 10시즌(2010년, 2012년~2019년, 2021년)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유로리그에서는 2011년을 제외하고 매년 파이널 포에 진출했지만, 여러 차례 고배를 마셨다. 특히 올림피아코스에게 2012년 유로리그 결승전에서 패배했고, 2013년과 2015년에도 탈락했다. 2014년에는 마카비 텔아비브에게 패하기도 했다.

2015-16 시즌에 CSKA는 베를린 파이널 포에서 페네르바체를 연장전 끝에 꺾고 유로리그 우승을 차지했다.[8] 난도 드 콜로(Nando de Colo)는 유로리그 MVP와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를 수상했다.[9][10] 2016-17 시즌에도 파이널 포에 진출했지만, 준결승에서 올림피아코스에 다시 패했다.

2017-18 시즌 파이널 포 준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BC 젤기리스(BC Žalgiris)에 패했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 CSKA는 힘키를 꺾고 9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시즌 파이널 포 결승전에서 아나돌루 에페스를 꺾고 8번째 유로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도 힘키를 꺾고 우승했다.

2019-20 시즌,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어 우승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2020-21 시즌, CSKA는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지만 4위를 기록했고,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2. 4. 2022-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와 새로운 도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팀은 큰 변화를 겪었다. 조지아 출신의 토르니케 솅겔리아, 독일 출신의 요하네스 포이트만[11], 덴마크 출신의 가브리엘 룬드베리, 리투아니아 출신의 마리우스 그리조니스, 이탈리아계 미국인 다니엘 해킷, 러시아계 미국인 조엘 볼롬보이 등 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팀을 떠났다.[12][13][14] 특히 포이트만은 "러시아 대통령은 잔혹한 전쟁에 책임이 있으며... 저는 그냥 러시아에 남아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할 수 없었습니다..."라며 러시아 팀에서 뛰는 것을 거부했다.[11] 전쟁 발발 하루 전 CSKA와 계약한 캐나다계 슬로베니아 출신 케빈 팡고스는 팀에 합류조차 하지 않았다. 팀은 선수들에게 계약 위반임을 알렸으나, 올림피아코스 피레우스와 계약하기 위해 FIBA의 승인을 받은 볼롬보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계약을 해지했다.[15]

유러피언리그는 2022년 2월 28일 CSKA 모스크바를 징계했고,[16] 3월 22일에는 CSKA 모스크바, 우니크스 카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자격을 박탈했다.[17] 2022년 10월, CSKA 모스크바 회장 안드레이 바투틴은 구단주와 후원사들의 위기로 예산이 줄었고, 국제 무대에서 퇴출되면서 세계 농구계에서 CSKA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고 밝혔다.[17]

VTB 유나이티드 리그에서 CSKA는 2022년 결승에 진출했지만,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게 3-4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는 2010-2011 시즌 이후 처음으로 CSKA가 우승하지 못한 시즌이었다. 그리스 출신 감독 디미트리오스 이투디스는 2022년 6월 팀을 떠났다.[18]

3. 경기장



PBC CSKA 모스크바는 1979년부터 2015년까지 5,500석 규모의 CSKA 유니버설 스포츠 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19] 2008년 1월 23일에는 13,344석 규모의 메가스포트 아레나에서 유로리그 홈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19] 2015-16 시즌부터는 VTB 유나이티드 리그 경기는 CSKA 유니버설 스포츠 홀에서, 유로리그 홈 경기는 메가스포트 아레나에서 치렀다.[19] 2019-20 유로리그 시즌에는 칼리닌그라드의 얀타르니 스포츠 팰리스를 대체 경기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9]

4. 선수

CSKA 모스크바는 수많은 스타 플레이어를 배출했다.

국적이름포지션비고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블라디미르 안드레예프
세르게이 바자레비치
세르게이 벨로프
유리 코르네예프
발레리 밀로세르도프
아나톨리 미슈킨
빅토르 판크라슈킨
세르게이 타라카노프
발레리 티호넨코
블라디미르 트카첸코
겐나디 볼노프
스타니슬라프 예리오민
빅토르 주브코프
루슬란 아블레예프
알렉산드르 바시미노프
드미트리 도마니
비탈리 프리드존
바실리 카라세프
사샤 카운--
빅터 크리야파--
예브게니 키수린
이고르 쿠델린
니키타 쿠르바노프
니키타 모르구노프
세르게이 파노프
자카르 파슈틴
안톤 폰크라쇼프
알렉세이 사브라센코
알렉세이 슈베드
드미트리 소콜로프
비탈리 노소프
빅터 케이루
안드레이 보론체비치
알렉세이 조줄린
아르메나크 알라차키안
이반 에데시코
알잔 자르무카메도프
알렉산더 벨로스테니
세르게이 코발렌코
아나톨리 코브툰
알렉산더 볼코프
조엘 볼롬보이
비야체슬라프 크라프초프
데이비드 앤더슨
라무나스 시슈카우스카스--
니코스 지시스
니코스 차치브레타스
빅터 알렉산더
오스카 토레스
루벤 볼코비스키
토마스 반 덴 스피겔
알렉 피터스
케빈 팽고스
블라단 알라노비치
고르단 기리체크
조란 플라니니치
조스코 폴략(Josko Poljak)
마테 스켈린
하워드 산트-루스
가브리엘 룬드베르그
야크 립소
헤이노 엔덴
마틴 뮈르세프
티이트 쏙
난도 드 콜로
레오 베스터만
리비오 장-샤를
아마트 음바예
요하네스 포이트만
마누차르 마르코이슈빌리
토르니케 솅겔리아
팝스 멘사-본수
조엘 프리랜드
디모스 디쿠디스
코스타 쿠포스
다니엘 해켓
유리스 움브라슈코
라이몬즈 미글리니크스
군다르스 베트라
야니스 스트렐니크스
긴타라스 에이니키스
마리우스 그리조니스
리마스 쿠르티나이티스
다리우스 라브리노비치
다리우스 송가일라
마이클 에릭
줄리어스 누수
토니 제키리
조란 에르체그
보반 마리야노비치
네나드 크르스티치
이반 라데노비치
드라간 타를라치
블라디미르 미코프
밀로시 테오도시치
니콜라 밀루티노프
에라젬 로르벡
마티야즈 스모디시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요나스 예레브코
미르사드 튀르크찬
제임스 어거스틴
론 베이커
마커스 브라운
디온테 크리스마스
윌 클라이번
패트릭 에디
척 에반스
케네스 페리드
앨러릭 프리먼
자몬트 고든
마커스 고리
안토니오 그랜저
코리 히긴스
다런 힐리어드
카일 하인즈
제이알 홀든
오셀로 헌터
애런 잭슨
마이크 제임스
트라얀 랭던
러스티 라루
커티스 맥캔츠
새미 메히아
테렌스 모리스
드류 니콜라스
데메트리스 니콜스
제러미 파고
로이 로저스
빅터 러드
멜로 트림블
캐스퍼 웨어
마커스 웹
소니 윔스
데이비드 반터풀






소련/러시아 국적 선수로는 안드레이 키릴렌코, 세르게이 모냐가 있다. 외국 국적 선수로는 유로리그 레전드인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el (그리스), 유로리그 MVP와 파이널 포 MVP를 수상한 난도 드 콜로프랑스어 (프랑스), 유로리그 MVP 출신 밀로시 테오도시치sr (세르비아),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출신 트라얀 랭던영어 (미국)이 있다.[1][2][3][4]

4.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국적이름포지션몸무게생년월일
1니키타 미하일로프스키슈팅 가드2.03m91kg2000년 9월 10일
2캐스퍼 웨어포인트 가드1.78m79kg1990년 2월 2일
3토니 제키리센터2.13m103kg1990년 1월 17일
4알렉사 아브라모비치슈팅 가드1.93m87kg1994년 10월 25일
5알렉산드르 간케비치센터2.01m101kg1995년 8월 5일
6멜로 트림블포인트 가드1.88m86kg1995년 2월 2일
7이반 우호프슈팅 가드1.93m89kg1995년 9월 11일
8안톤 아스타프코비치스몰 포워드2.02m104kg1994년 1월 29일
9블라디미르 카르펜코포인트 가드1.92m80kg2000년 9월 7일
11세미온 안토노프파워 포워드2.02m104kg1989년 7월 18일
15루슬란 압둘바시로프파워 포워드2.11m100kg1993년 12월 5일
17리비오 장-샤를센터2.06m104kg1993년 11월 8일
24아마트 엠바예파워 포워드2.06m102kg1989년 12월 14일
32유리 움리킨포인트 가드1.9m75kg1999년 6월 28일
41니키타 쿠르바노프스몰 포워드2.02m105kg1986년 10월 5일


4. 2. 유명 선수

CSKA 모스크바는 수많은 스타 플레이어를 배출했다.

국적이름포지션비고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블라디미르 안드레예프
세르게이 바자레비치
세르게이 벨로프
유리 코르네예프
발레리 밀로세르도프
아나톨리 미슈킨
빅토르 판크라슈킨
세르게이 타라카노프
발레리 티호넨코
블라디미르 트카첸코
겐나디 볼노프
스타니슬라프 예리오민
빅토르 주브코프
루슬란 아블레예프
알렉산드르 바시미노프
드미트리 도마니
비탈리 프리드존
바실리 카라세프
사샤 카운--
빅터 크리야파--
예브게니 키수린
이고르 쿠델린
니키타 쿠르바노프
니키타 모르구노프
세르게이 파노프
자카르 파슈틴
안톤 폰크라쇼프
알렉세이 사브라센코
알렉세이 슈베드
드미트리 소콜로프
비탈리 노소프
빅터 케이루
안드레이 보론체비치
알렉세이 조줄린
아르메나크 알라차키안
이반 에데시코
알잔 자르무카메도프
알렉산더 벨로스테니
세르게이 코발렌코
아나톨리 코브툰
알렉산더 볼코프
조엘 볼롬보이
비야체슬라프 크라프초프
데이비드 앤더슨
라무나스 시슈카우스카스--
니코스 지시스
니코스 차치브레타스
빅터 알렉산더
오스카 토레스
루벤 볼코비스키
토마스 반 덴 스피겔
알렉 피터스
케빈 팽고스
블라단 알라노비치
고르단 기리체크
조란 플라니니치
조스코 폴략(Josko Poljak)
마테 스켈린
하워드 산트-루스
가브리엘 룬드베르그
야크 립소
헤이노 엔덴
마틴 뮈르세프
티이트 쏙
난도 드 콜로
레오 베스터만
리비오 장-샤를
아마트 음바예
요하네스 포이트만
마누차르 마르코이슈빌리
토르니케 솅겔리아
팝스 멘사-본수
조엘 프리랜드
디모스 디쿠디스
코스타 쿠포스
다니엘 해켓
유리스 움브라슈코
라이몬즈 미글리니크스
군다르스 베트라
야니스 스트렐니크스
긴타라스 에이니키스
마리우스 그리조니스
리마스 쿠르티나이티스
다리우스 라브리노비치
다리우스 송가일라
마이클 에릭
줄리어스 누수
토니 제키리
조란 에르체그
보반 마리야노비치
네나드 크르스티치
이반 라데노비치
드라간 타를라치
블라디미르 미코프
밀로시 테오도시치
니콜라 밀루티노프
에라젬 로르벡
마티야즈 스모디시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요나스 예레브코
미르사드 튀르크찬
제임스 어거스틴
론 베이커
마커스 브라운
디온테 크리스마스
윌 클라이번
패트릭 에디
척 에반스
케네스 페리드
앨러릭 프리먼
자몬트 고든
마커스 고리
안토니오 그랜저
코리 히긴스
다런 힐리어드
카일 하인즈
제이알 홀든
오셀로 헌터
애런 잭슨
마이크 제임스
트라얀 랭던
러스티 라루
커티스 맥캔츠
새미 메히아
테렌스 모리스
드류 니콜라스
데메트리스 니콜스
제러미 파고
로이 로저스
빅터 러드
멜로 트림블
캐스퍼 웨어
마커스 웹
소니 윔스
데이비드 반터풀






소련/러시아 국적 선수로는 안드레이 키릴렌코세르게이 모냐가 있다. 외국 국적 선수로는 유로리그 레전드인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el (그리스), 유로리그 MVP와 파이널 포 MVP를 수상한 난도 드 콜로프랑스어 (프랑스), 유로리그 MVP 출신 밀로시 테오도시치sr (세르비아),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출신 트라얀 랭던영어 (미국)이 있다.[1][2][3][4]

4. 2. 1. 소련/러시아 국적

4. 2. 2. 외국 국적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el (그리스)는 유로리그 레전드이다.[1] 난도 드 콜로프랑스어 (프랑스)는 유로리그 MVP, 파이널 포 MVP 출신이다.[2] 밀로시 테오도시치sr (세르비아)는 유로리그 MVP 출신이다.[3] 트라얀 랭던영어 (미국)은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출신이다.[4]

5. 수상 기록

PBC CSKA 모스크바는 다양한 대회에서 수많은 우승을 차지한 명문 구단이다.

대회우승 횟수
수퍼리그24
소련컵/러시아컵7
유로리그8
VTB 유나이티드리그11


5. 1. 국내 대회

PBC CSKA 모스크바는 국내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소련 프리미어 리그 (폐지)241944–45, 1959–60, 1960–61, 1961–62, 1963–64, 1964–65, 1965–66,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7–88, 1989–90
러시아 리그2819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20–21, 2023–24
VTB 유나이티드 리그122008, 2009–10,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20–21, 2023–24
소련컵 (폐지)31971–72, 1972–73, 1981–82
러시아컵42004–05, 2005–06, 2006–07, 2009–10
VTB 유나이티드 리그 슈퍼컵12021


5. 2. 유럽 대회

PBC CSKA 모스크바는 유로리그에서 8번 우승(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했고, 6번 준우승(1964-65, 1969-70, 1972-73, 2006-07, 2008-09, 2011-12)했다.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는 20회 진출하여 4강 1회, 3위 8회, 4위 8회를 기록했다.

PBC CSKA 모스크바는 폐지된 FIBA 사포르타컵 4강에 2회(1985-86, 1986-87), FIBA 코라치컵 4강에 1회(1989-90) 진출했다. 준공식 대회였던 유러피언 슈퍼컵에서는 3위(1988)를 차지했다.

5. 3. 기타 대회

PBC CSKA Moscow영어는 여러 기타 대회에서 우승 또는 준우승한 기록이 있다.

대회명우승준우승
FIBA 국제 크리스마스 토너먼트1998
VTB 유나이티드 리그 프로모-컵2008
고멜스키컵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2019, 20202009, 2017
모스크바 토너먼트2006
쾰른 토너먼트2006
글로리아컵2014, 20192018
자다르 농구 토너먼트2017, 2018
블라디미르 곤드라신과 알렉산더 벨로프 토너먼트2003, 2004, 2005, 2006, 2008, 20102021, 2022
니코스 갈리스컵2014
베니스, 이탈리아 초청 경기2008
베로나, 이탈리아 초청 경기2008
로시이스키에 제레즈니예 도로기컵2011
트로페오 치타 디 카세르타2011
모데르나, 이탈리아 초청 경기2012
시에나, 이탈리아 초청 경기2013
볼로냐, 이탈리아 초청 경기2013
파트라스, 그리스 초청 경기2014
모스크바, 러시아 초청 경기2015, 2017, 2018, 2019, 2020
찬카야, 터키 초청 경기2015
코냐, 터키 초청 경기2015
테살로니키, 그리스 초청 경기2016
선전, 중국 초청 경기2016
벨렉, 터키 초청 경기2019
네바컵2020
네오피토스 찬드리오티스2021


참조

[1] 문서 PBC CSKA Moscow
[2] 뉴스 Championship Game: Fenerbahce Istanbul 96-101 CSKA Moscow http://www.euroleagu[...] Euroleague.net 2018-03-25
[3] 웹사이트 A Russian owner in NBA: Tycoon buying NJ Nets https://www.sandiego[...] 2009-09-23
[4] 웹사이트 Moscow Basketball Team Thrived Under Nets’ Prospective Owner https://www.nytimes.[...] 2009-09-25
[5] 웹사이트 Follow the Bouncing Ball http://grantland.com[...] Grantland 2015-08-04
[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клуба https://cska.ru/hist[...]
[7] 웹사이트 History & Awards https://web.archive.[...] 2017-03-05
[8] 뉴스 CSKA Moscow claims its seventh Euroleague crown after OT thriller http://www.euroleagu[...] 2016-05-15
[9] 웹사이트 2015-16 Euroleague MVP: Nando De Colo, CSKA Moscow | Euroleague https://www.euroleag[...]
[10] 웹사이트 Latest News | Euroleague https://www.euroleag[...]
[11] 웹사이트 Voigtmann: 'I can't imagine myself playing for a Russian team in this situation' https://basketnews.c[...]
[12] 웹사이트 Tornike Shengelia: 'I wasn't the same player, the same person in CSKA' https://basketnews.c[...] 2022-03-24
[13] 웹사이트 5 CSKA Moscow players leave team for war between Russia, Ukraine https://www.aa.com.t[...]
[14] 웹사이트 FIBA Suspends All Russian Teams, Officials From Competition https://hoopswire.co[...] 2022-03-01
[15] 웹사이트 CSKA intends to sue basketball player Bolomboy who joined Olympiacos https://sportish.co/[...] 2022-07-06
[16] 웹사이트 EuroLeague suspended Russian teams https://basketnews.c[...]
[17] 웹사이트 Andrey Vatutin: "CSKA's role in world basketball is declining. We are ready to help Bodiroga" https://www.eurohoop[...] 2022-10-19
[18] 웹사이트 Itoudis leaves CSKA after losing the VTB against Pascual's Zenit https://blazetrends.[...] 2022-06-05
[19] 웹사이트 CSKA to play a couple of EuroLeague home games at Kaliningrad https://www.eurohoop[...]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