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ESA 620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ESA 620M은 폴란드 PESA 214M을 기반으로 개발된 디젤 동차이다. 러시아 궤간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벨라루스에서 사용된다. 620M은 양쪽에 운전실이 있고, 저상 승강장을 위한 계단이 있는 출입문이 각 면에 두 개씩 설치되어 있다. 초기형과 후기형의 디젤 엔진, 변속기, 냉각 시스템 구성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철도 차량 - UZ HRCS2
    UZ HRCS2는 2012년 UEFA 유로 2012를 위해 우크라이나에 도입된 현대로템 제작 고속 전동차이며, 개량 과정을 거쳐 현재 우크라이나 철도에서 주요 도시 간 노선에 운행되고 있다.
  • 벨라루스의 철도 - 벨라루스의 철도 전쟁
  • 벨라루스의 철도 - 통합운송물류회사
    통합운송물류회사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물류 회사로, 철도 운송을 통해 경제망 연결, 지역 경제 개발, 철도 운송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러시아 철도공사가 주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PESA 620M
차량 정보
차량명620M
리투아니아에서 사용 중인 620M-010
리투아니아에서 사용 중인 620M-010
제작사폴란드 PESA
벨라루스 벨코문마시
차륜 배열B' 2'
구동 방식디젤 액압식
성능
영업 최고 속도120
차량 정원91
차량 중량50
제원
전장26400 / 27350
전폭3000
전고4222 / 4435
차륜 직경840
궤간1520

2. 차량

620M은 폴란드에서 사용 중인 PESA 214M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주 사용 지역에 맞추어 러시아 궤간으로 설계가 변경되었고, 이에 따라서 2+3 좌석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차량 양쪽에 모두 운전실이 있으며, 출입문은 면당 두 개씩 설치되어 있고 저상 승강장을 위한 계단이 마련되어 있다.

2. 1. 동력 장치

디젤 엔진변속기, 냉각 시스템으로 구성된 파워팩은 좌석부 아래에 장착되어 있다. 620M-004까지 생산된 초기형과 이후 생산분의 파워팩 구성 방식에 차이가 있다.

구분엔진트랜스미션냉각 시스템
초기형 (620M-004까지)MTU 6R183TD13H (315kW)Voith Tr211re3BEHR 제조
후기형MAN D2876LUE623 (385kW)Voith Tr211re4Voith 제조


3. 국가별 도입

007,012
003, 0042004년-2008년리투아니아009, 010, 013~0222008년-벨라루스023, 0242011년-


3. 1. 우크라이나

리비우에 있는 620M


우크라이나 철도에서는 과거 헝가리 MAVAG에서 제작한 D, D1 디젤 동차와 라트비아 RVR에서 제작한 DR1 디젤 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이 차량을 주문했다. 2004년부터 차량 반입이 시작되었고, PESA 610M 시제차가 우크라이나에 들어와 시험 운행을 거친 후 620M의 정식 영업 운행을 시작했다.[1]

처음에는 교통량이 적은 노선에 투입하기 위해 4편성을 주문할 계획이었으나,[2] 이후 운행 실적에 만족한 우크라이나 철도 측에서 다른 노선에도 투입하기 위해 추가로 주문했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총 10편성이 반입되었다.

2004년 9월 20일부터 24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이노트랜스 전시회에 우크라이나로 납품될 차량이 전시되기도 했다.[3]

3. 2. 리투아니아

빌뉴스 공항역에 있는 620M


2008년 리투아니아 철도는 지역 교통용 차량으로 620M을 주문하였다. 첫 4편성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리투아니아에 도착했다. 이후 2010년 4월 19일, 추가로 8편성을 더 주문하는 계약을 체결하였고[4], 2012년 기준으로 총 12편성이 운행 중이다.[5]

2008년 10월 2일에는 빌뉴스 역과 빌뉴스 공항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이 노선에 620M 차량이 투입되었다.[6]

3. 3. 벨라루스

2011년 벨라루스는 620M 6편성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7] 벨라루스용 620M은 PESA 비드고슈치 공장과 벨라루스의 벨코문마시에서 라이선스 생산 방식으로 제작하기로 했다.[7] PESA에서 생산한 첫 차량은 2011년 12월 23일 벨라루스로 인도되었다.[8] 이후 2012년 4월 13일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했다.[9] 벨라루스에서의 형식 명칭은 ДП-1|DP-1be이다.

참조

[1] 저널 Wagony silnikowe i zespoły trakcyjne kolei ukraińskich produkcji Pesy Bydgoszcz EMI-PRESS Wydawnictwa Techniczne i Naukowe
[2] 웹인용 Pesa dla szerokiego toru https://web.archive.[...] 2012-07-08
[3] 저널 Polscy producencie na InnoTrans 2004 Emi-press
[4] 웹인용 "Kolejne pojazdy spalinowe jadą na Litwę" http://pesa.pl/pl/Ak[...] 2012-04-23
[5] 웹인용 Szerokotorowe składy Pesy coraz popularniejsze https://web.archive.[...] 2012-07-08
[6] 웹인용 Dworzec kolejowy z lotniskiem połączy autobus szynowy https://web.archive.[...] 2012-07-18
[7] 웹인용 "PESA powraca na rynek białoruski" http://www.rynek-kol[...] 2011-02-09
[8] 웹인용 First diesel train dp-1 runs starting-up and adjustment exploitation https://web.archive.[...] 2012-07-10
[9] 웹인용 ПЕРВЫЙ "РЕЛЬСОВЫЙ АВТОБУС" ГОТОВ К РАБОТЕ https://web.archive.[...] 201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