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젤 엔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젤 엔진은 연료를 고온, 고압의 공기에 분사하여 자기 착화시키는 내연 기관으로, 루돌프 디젤에 의해 발명되었다. 189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어, 1900년대부터 선박, 잠수함, 트럭, 승용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기술이 발전해 왔다.

디젤 엔진은 2행정 및 4행정 사이클로 구분되며, 작동 방식과 연소실 구조, 회전 속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연료 분사 방식은 직접 분사 방식과 간접 분사 방식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커먼 레일 시스템이 널리 사용된다.

디젤 엔진은 높은 열효율과 내구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매연,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로 인해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저감 기술 개발과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EGR, DPF, SCR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젤 엔진 - 디젤 배기가스
    디젤 배기가스는 디젤 엔진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가스로, 이산화 탄소, 물, 질소 외에도 질소 산화물과 미세 입자를 포함한 유해 물질을 포함하며, 인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으로 인해 세계 보건 기구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각국에서 배출 규제 및 저감 기술 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디젤 엔진 - EMD 645
    EMD 645는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에서 개발한 45도 V형 2행정 디젤 엔진 시리즈로, 디젤 기관차, 고정식 발전기, 선박 등에 사용되며 터보차저 기술로 효율성을 높였다.
  • 영국의 발명품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영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디젤 엔진
지도
기본 정보
분류내연 기관
산업자동차 산업
응용에너지 변환
발명가루돌프 디젤
발명 년도1893년
상세 정보
연료다양한 연료 (경유, 바이오 디젤 등)
작동 원리압축 착화
특징높은 열효율
강력한 힘
내구성
역사
초기 개발1893년 루돌프 디젤에 의해 개발
초기 연료다양한 연료 실험 (석탄 가루 등)
최초 실용화1897년 MAN에 의해 개발
바이오 디젤 사용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땅콩 기름 사용 시연
활용 분야
동력 장치자동차
선박
기차
발전기
건설 기계
농업 기계
기타
소음 및 진동가솔린 엔진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크다
환경 영향질소 산화물 배출량이 가솔린 엔진보다 많다.
장점연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높다
단점초기 비용이 높고 소음이 크다.

2. 역사

루돌프 디젤은 디젤 기관을 발명하고, 1892년에 ‘새로운 합리적인 열기관에 대한 이론과 구조’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1893년 2월 23일에는 독일 제국 특허국으로부터 “열기관의 작동 사이클과 실행 방법”에 관한 특허를 받았다.[109]

디젤은 1893년 M.A.N.과 새로운 열기관 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개발에 착수, 그해 7월에 첫 시제품을 만들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1895년에 두 번째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나, 실용화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여러 번의 실험을 거쳐 1897년 2월 17일에 작동 가능한 최초의 디젤 기관을 완성하였다.[109]

디젤 엔진은 2행정 엔진 또는 4행정 연소 사이클로 설계될 수 있으며, 1910년대부터 잠수함과 선박에 사용되었다. 이후 기관차, 버스, 트럭, 중장비, 농업용 장비 및 발전소에도 사용되었고, 1930년대에는 일부 자동차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1885년, 영국의 허버트 아크로이드 스튜어트는 파라핀을 이용한 엔진을 연구했다. 그가 발명한 열구 엔진은 1891년 리처드 혼스비 앤드 선즈사에서 제작되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압력식 연료 분사 장치를 사용한 내연 기관이었다.[105] 1892년, 디젤 엔진 발명 1년 전, 스튜어트는 추가적인 열원이 필요 없는 개량형을 만들었다.[106]

루돌프 디젤은 칼 폰 린데의 강연에서 압축 발화기를 보고, 고압 내연 기관 발명에 큰 영감을 받았다.

디젤 엔진의 발전과 보급, 그리고 기술의 진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2. 1. 루돌프 디젤의 초기 연구 (1890년대)

루돌프 디젤은 1892년에 '새로운 합리적인 열기관에 대한 이론과 구조'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1893년 2월 23일에 독일 제국 특허국으로부터 "열기관의 작동 사이클과 실행방법"에 관한 특허(DRP 67207)를 받았다.[109]

루돌프 디젤의 1893년 합리적인 열기관 특허






1878년, 뮌헨폴리테크니쿰에서 수학하던 루돌프 디젤은 칼 폰 린데의 강의를 들었다. 린데는 증기 기관이 열에너지의 6~10%만을 일로 변환할 수 있지만, 카르노 순환을 이용하면 등온 과정을 통해 열에너지를 훨씬 더 많이 일로 변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디젤은 이것이 카르노 순환으로 작동하는 고효율 엔진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했다고 한다. 디젤은 또한 린데가 동남아시아에서 얻은 전통적인 불을 붙이는 도구인 화약 피스톤을 소개받았다.[7] 수년간 자신의 아이디어를 연구한 후, 디젤은 1893년에 "합리적인 열기관의 이론과 구조"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디젤의 논문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그가 저지른 실수를 발견한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의 "합리적인 열기관"은 (등온 압축을 사용하는) 일정 온도 순환을 이용할 예정이었는데, 이는 압축 착화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압축을 필요로 했다. 디젤의 아이디어는 공기를 매우 압축하여 공기의 온도가 연소 온도를 초과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엔진은 어떤 유용한 일도 할 수 없었다. 1892년 미국 특허(1895년 허여) #542846에서 디젤은 그의 순환에 필요한 압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순수한 대기 중 공기는 곡선 1 2에 따라, 점화 또는 연소가 일어나기 전에, 다이어그램의 최고 압력과 최고 온도가 얻어질 정도로 압축된다. 즉, 그 다음 연소가 일어나야 하는 온도, 연소점 또는 점화점이 아니다. 이것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 연소가 70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그 경우 초기 압력은 64기압이어야 하며, 섭씨 800°의 경우 압력은 90기압이어야 한다. 이렇게 압축된 공기 속으로는 외부에서 미세하게 분산된 연료가 점진적으로 주입되는데, 공기가 연료의 점화점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 있기 때문에 주입 시 점화된다. 따라서 현재 발명에 따른 순환의 특징은, 연소에 의해 아닌 기계적 공기 압축에 의해 최대 압력과 온도가 증가하고, 그 후 절단유에 의해 결정되는 스트로크의 지정된 부분 동안 점진적인 연소에 의해 압력과 온도의 증가 없이 일이 수행된다는 것이다.

1893년 6월, 디젤은 자신의 원래 순환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정압 순환을 채택했다. 디젤은 1895년 특허 출원에서 이 순환을 설명하며, 연소 온도를 초과하는 압축 온도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압축이 점화를 유발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 단순히 명시되어 있다.

: 1. 내연 기관에서, 연료의 점화점 이상의 온도를 생성하는 정도로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실린더와 피스톤의 조합, 압축 공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 연료 공급 장치; 연료 분배 밸브; 공기 공급 장치에서 연료 분배 밸브와 통하는 실린더로의 통로; 공기 공급 장치와 연료 밸브와 통하는 실린더의 입구; 그리고 절단유, 본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다.

1892년, 디젤은 "열을 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특허를 독일, 스위스, 영국, 미국에서 받았다. 1894년과 1895년에 그는 여러 국가에서 그의 엔진에 대한 특허와 추가 특허를 출원했는데, 최초의 특허는 1894년 12월 스페인(번호 16,654),[8] 프랑스(번호 243,531), 벨기에(번호 113,139)에서, 그리고 1895년 독일(번호 86,633)과 1898년 미국(번호 608,845)에서 발행되었다.

디젤은 수년간 공격과 비판을 받았다. 비평가들은 디젤이 새로운 모터를 발명하지 않았고 디젤 엔진의 발명은 사기라고 주장했다. 오토 쾰러(Otto Köhler)와 에밀 카피타인(Emil Capitaine)은 디젤 시대의 가장 저명한 비평가 중 두 명이었다. 쾰러는 1887년에 논문을 발표했는데, 여기서 그는 디젤이 1893년 논문에서 설명한 엔진과 유사한 엔진을 설명하며, 그러한 엔진은 어떤 일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에밀 카피타인은 1890년대 초에 가열관 점화 방식의 석유 엔진을 제작했다. 그는 자신의 판단과는 달리 자신의 가열관 점화 엔진이 디젤 엔진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근거가 없었고 그는 디젤과의 특허 소송에서 패소했다. 아크로이드 엔진과 브레이턴 엔진과 같은 다른 엔진도 디젤 엔진 순환과 다른 작동 순환을 사용한다. 프리드리히 사스(Friedrich Sass)는 디젤 엔진이 디젤의 "자신만의 작품"이며 어떤 "디젤 신화"도 "역사 왜곡"이라고 말한다.

디젤은 자신의 엔진을 제작할 회사와 공장을 찾았다. 모리츠 슈뢰터와 막스 프리드리히 구터무트(Max Friedrich Gutermuth)의 도움으로 에센의 크루프(Krupp)와 마시넨파브리크 아우크스부르크(Maschinenfabrik Augsburg)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1893년 4월 계약이 체결되었고, 1893년 초여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디젤의 첫 번째 시제품 엔진이 제작되었다. 1893년 8월 10일 최초의 점화가 이루어졌는데, 사용된 연료는 휘발유였다. 1893년/1894년 겨울에 디젤은 기존 엔진을 재설계했고, 1894년 1월 18일까지 그의 정비사들은 이를 두 번째 시제품으로 개조했다. 그해 1월, 엔진 실린더 헤드에 공기 분사식 연료 분사 시스템이 추가되어 테스트되었다. 프리드리히 사스는 디젤이 조지 B. 브레이튼으로부터 공기 분사식 연료 분사 개념을 복사했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디젤은 이 시스템을 상당히 개선했다. 1894년 2월 17일, 재설계된 엔진은 1분 동안 88회전했다. 이 소식으로 마시넨파브리크 아우크스부르크의 주가는 30% 상승했는데, 이는 더 효율적인 엔진에 대한 엄청난 예상 수요를 나타낸다. 1895년 6월 26일, 엔진은 16.6%의 효율을 달성했고 연료 소비량은 519g·kW-1·h-1였다. 그러나 개념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엔진은 문제를 일으켰고, 디젤은 상당한 진전을 이룰 수 없었다. 따라서 크루프는 디젤과 체결한 계약을 해지하는 것을 고려했다. 디젤은 엔진 설계를 개선해야 했고 세 번째 시제품 엔진을 서둘러 제작했다. 1895년 11월 8일부터 12월 20일 사이에 두 번째 시제품은 시험대에서 111시간 이상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1896년 1월 보고서에서 이는 성공으로 간주되었다.

1896년 2월, 디젤은 세 번째 시제품에 과급기를 장착하는 것을 고려했다. 세 번째 시제품 "Motor 250/400"의 설계를 담당한 이마누엘 라우스터는 1896년 4월 30일까지 도면을 완성했다. 그해 여름 엔진이 제작되어 1896년 10월 6일에 완성되었다. 1897년 초까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첫 공개 테스트는 1897년 2월 1일에 시작되었다. 1897년 2월 17일 모리츠 슈뢰터의 테스트는 디젤 엔진의 주요 테스트였다. 엔진은 13.1 kW로 평가되었고, 비연료 소비량은 324g·kW-1·h-1였으며, 효율은 26.2%였다. 1898년까지 디젤은 백만장자가 되었다.

2. 2. 디젤 엔진의 발전과 보급 (1900년대 ~ 1920년대)

루돌프 디젤이 디젤 기관을 발명한 후, 190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디젤 엔진은 다양한 분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연도사건
1898년루돌프 디젤, 러시아 석유회사 브라노벨(Branobel)에 디젤 엔진 라이선스 제공. 브라노벨은 정제되지 않은 석유로 작동하는 엔진에 관심을 가졌고, 기술자들은 4년에 걸쳐 선박용 디젤 엔진 설계. 같은 해, 크루프(Krupp)와 슐러(Sulzer)에게도 디젤 엔진 라이선스 제공. 두 회사는 곧 주요 디젤 엔진 제조업체가 됨.
1902년1910년까지 MAN(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이 고정식 디젤 엔진 82기 제작.
1903년니즈니노브고로드(Nizhny Novgorod) 조선소에서 세계 최초의 디젤 엔진 탑재 유조선 "반달(Vandal)" 진수.
1904년프랑스에서 세계 최초의 디젤 잠수함 Z호 건조.
1905년알프레드 부키(Alfred Büchi), 디젤 엔진용 터보차저인터쿨러 고안.
1908년프로스퍼 로랑주(Prosper L'Orange), 도이츠(Deutz)사와 함께 니들형 분사 노즐로 정밀하게 제어 가능한 분사 펌프 개발.
1909년프로스퍼 로랑주, 다임러 벤츠(Benz & Cie.)사와 함께 예연소실식 반구형 연소실 개발.
1910년노르웨이 탐험선 프람호(Fram)에 디젤 엔진 탑재. 상선으로는 셀란디아(Selandia)호가 최초.
1912년덴마크 최초의 디젤 선박 셀란디아(Selandia)호 건조. 세계 최초의 디젤 기관차 제작.
1913년미국 해군(US Navy) 잠수함, 넬세코(NELSECO)사 제작 디젤 엔진 채용. 우편선 드레스덴호가 영국 해협을 건너던 중 루돌프 디젤 의문의 죽음.
1914년독일 U보트(U-boat), MAN사 제작 디젤 엔진 탑재.
1919년프로스퍼 로랑주, 예연소실식 특허 취득, 니들 분사 노즐 제작. 커민스(Cummins), 디젤 엔진 생산 시작.
1921년프로스퍼 로랑주, 연속 가변 출력식 분사 펌프 제작.
1922년벤츠(Benz), 디젤 엔진 탑재 최초의 트랙터 출시.
1923년MAN, 벤츠(Benz), 다임러(Daimler), 최초의 디젤 엔진 탑재 트럭 제작 및 시험 시작.
1924년프랑크푸르트 모터쇼(Frankfurt Motor Show)에 디젤 엔진 탑재 트럭 출품. 페어뱅크스-모스(Fairbanks-Morse), 디젤 엔진 생산 시작.
1927년보쉬(Bosch), 트럭용 분사 펌프와 분사 노즐 생산 시작. 슈토이어(Stoewer), 최초의 디젤 엔진 탑재 승용차 시제작.


2. 3. 디젤 엔진 기술의 진화 (1930년대 ~ 현재)

루돌프 디젤이 디젤 엔진을 발명한 이후,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디젤 엔진 기술은 꾸준히 발전해왔다. 주요 발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33년시트로엥이 세계 최초의 디젤 엔진 탑재 승용차 Rosalie를 제작. 해리 리카르도 설계 엔진 사용.[107] (판매 X)
1933년양마(YANMAR)가 소형 범용 고속 디젤 엔진 "HB형" 자체 개발.
1934년마이바흐가 세계 최초의 철도 차량용 터보 디젤 엔진 제작.
1934년-35년융커스가 항공기용 디젤 엔진 "융커스 유모 205(Jumo 205)" 시리즈 생산 (900대 이상).
1936년메르세데스-벤츠 260D, 하노마그, 자우어 디젤 승용차 생산. 에이치 탑 앤드 산타페 철도 슈퍼 치프(Super Chief)용 디젤 기관차 채용. LZ 129 힌덴부르크에 다임러 벤츠 602LOF6 엔진 채용.
1936년소비에트 연방 BT-7 전차에 VD-2 디젤 엔진 탑재 실험, 개량형 V-2 엔진 탑재 BT-7M 양산 (1939년 말 부대 배치).
1937년소비에트 연방 A-20, A-32 전차에 V-2 엔진 탑재. A-34 (T-34) 채택 (1939년).
1937년BMW 항공기용 디젤 엔진 BMW 114 시제작.
1940년유모 207A(Jumo 207A) 탑재 Ju 86P 고고도 폭격/정찰기 실전 투입.
1944년클뢰크너 훔볼트 도이츠 AG(KHD) 공랭식 디젤 엔진 개발.
1953년메르세데스-벤츠 터보 디젤 탑재 트럭 시리즈 출시.
1968년푸조 푸조 204에 소형차 최초 디젤 엔진 채용 (가로 배치, 전륜 구동).
1973년DAF 공랭식 디젤 엔진 채용.
1976년폭스바겐 골프용 디젤 엔진 시험. 취리히 공과대학 커먼레일식 분사 시스템 개발.
1977년최초 터보 디젤 탑재 승용차 메르세데스-벤츠 300SD 생산.
1994년보쉬 디젤 엔진용 유닛 인젝터 시스템 개발.
1995년덴소 커먼레일 시스템 세계 최초 실용화 (히노 라이징 렌저 탑재).
1997년알파로메오 156 승용차 최초 커먼레일 실현.
1998년BMW 320d (뉘르부르크링 24시간 레이스 우승).
2004년서유럽 승용차 디젤 엔진 탑재율 50% 초과.
2008년스바루 승용차용 수평대향 디젤 엔진 도입 (EGR 시스템, "유로 5" 적합).


3. 작동 원리

디젤 엔진은 가솔린 기관과 달리 전기 점화 장치 없이 공기를 압축하여 발생한 고열을 이용해 연료를 스스로 발화시키는 압축 점화 방식으로 작동한다.

실린더 내로 흡입된 공기는 압축되어 온도가 높아진다. 이후 연료 분사 장치를 통해 연료가 고압으로 분사되면, 고온의 압축 공기와 만난 연료가 자연 발화하면서 연소가 시작된다.

디젤 엔진은 연료 분사량으로 출력을 제어하므로 스로틀 밸브가 필요 없다. 항상 흡입 공기 과잉의 희박 영역에서 운전되지만, 불균일한 확산연소 때문에 부분적으로 입자상 물질(PM)이 발생하고, 연료가 희박한 영역에서는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한다.

연료 분사 장치는 연소실에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연소실 형상에 따라 단실의 직접 분사식과 부실식(예연소실식·와류실식)으로 나뉜다. 1990년대 이후 연료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면서 소형 배기량 엔진에서도 직접 분사식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승용차나 소형 상용차기통당 용적이 700cc 정도보다 작은 엔진에서 일반적이었던 부실식은 질소산화물(NOx)과 미연소 탄화수소 발생은 적지만, 효율이 낮아 현재는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가스 엔진 점화에 주로 사용된다.

3. 1. 연소 과정

가솔린 기관이 전기와 점화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료를 점화시키는 반면, 디젤 기관은 압축 점화 기관 형태로, 실린더 안에 공기를 압축해서 온도를 높인 후 연료를 실린더 안에 분출하면서 스스로 점화되도록 하는 장치이다.[1][2]

연료가 연소하면서 화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뀔 때, 각 실린더 안의 온도가 2,480℃ 정도까지 올라가고, 실린더 내부에 약 100kg/cm2의 압력이 나온다. 이 압력이 실린더 안의 피스톤을 하사점까지 밀어내고,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축을 회전시켜서 동력을 만든다.

실린더 안에 압축된 공기가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 안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연료 점화에 필요한 압축비가 높을수록 온도가 높아진다. 압축비는 압축 전과 후의 공기의 체적비로 측정하는데, 대형 실린더에는 압축비가 약 13:1, 중형은 약 14.3:1, 소형은 약 20:1 정도 나온다.

디젤 기관에 이용되는 연료는 열효율이 높으면서 휘발유보다 저렴한 연료를 사용하며, 주로 경유 계통을 사용한다.



디젤 내연 기관은 연료를 점화하기 위해 고도로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며, 스파크 플러그 (압축 착화보다는 불꽃 점화)를 사용하는 가솔린의 점화 사이클과는 다르다.

진정한 디젤 엔진에서, 공기만이 초기 연소 챔버로 도입된다. 연료 분사 장치는 연료를 작은 방울로 분해되는 것을 보장하고, 연료가 고르게 분포된다. 압축 공기의 열은 방울의 표면에서 연료를 기화한다. 연소가 끝날때, 피스톤이 내려가면서 연소 가스는 확장한다.

1부터, 피스톤이 하사 점에 있고, 양쪽의 밸브는 압축 행정이 시작될 때 폐쇄된다. 실린더는 대기압에서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 1과 2사이의 공기는 단열 압축된다. 이것이 압축되는 동안, 부피는 감소한다. 이때 온도는 올라가고 압력은 증가한다. 화학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것은 압축된 가스에 열에너지 (열)를 주입한다. 연소 가열은 2와 3사이에 발생한다. 이 구간에서의 압력은 피스톤이 내려가고,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연소 에너지의 영향으로 온도는 올라간다. 3에서의 연료 분사 및 연소가 끝나고, 실린더는 2에서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기체를 포함한다. 작업은 엔진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이 팽창하는 동안, 기체의 부피는 증가한다. 이때 온도는 내려가고 압력은 감소한다. 4에서 배기 밸브가 열리고, 압력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디젤 엔진은 공기만, 또는 배기가스의 잔류 연소가스(배기가스 재순환, "EGR"으로 알려짐)와 혼합된 공기를 압축하여 작동한다. 흡입 행정 동안 공기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고, 압축 행정 동안 압축된다. 이렇게 하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여 연소실로 분사되는 미세한 디젤 연료가 점화된다. 연료는 연소 직전에 공기 중에 분사되므로 연료 분산이 고르지 않은데, 이를 불균질 공연비 혼합이라고 한다. 디젤 엔진이 생성하는 토크는 공연비(λ)을 조절하여 제어한다. 디젤 엔진은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대신 분사되는 연료량을 변경하여 공연비를 조절하며, 따라서 공연비는 일반적으로 높습니다.

디젤 엔진은 매우 높은 팽창비와 고유한 희박 연소로 인해, 과도한 공기에 의한 열 방출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적인 내연 또는 외연기관 엔진 중 가장 높은 열효율(''엔진 효율 참조'')을 자랑한다. 또한, 밸브 오버랩 동안 미연소 연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료가 흡입구/분사구에서 배기구로 직접 이동하지 않아, 직접 분사 가솔린 엔진에 비해 효율 손실이 적다. 저속 디젤 엔진(선박 및 엔진 무게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다른 용도에 사용됨)은 최대 55%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피스톤으로 공기를 연료의 발화점 이상으로 압축 가열하고, 거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자기발화시킨다. 이에 따라 발생한 연소 가스의 팽창으로 피스톤을 밀어내는 「압축착화확산연소 기관」이다. 디젤 엔진의 본질은 「점화장치가 불필요한 내연기관」이다.

디젤 엔진은 4행정 사이클과 2행정 사이클로 크게 나뉜다. 이론 사이클 분류에서는 저속의 것은 디젤 사이클(등압 사이클), 고속의 것은 사바테 사이클(복합 사이클)로 취급된다.

디젤 엔진은 연료 분사량으로 출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가 필요 없다. 즉, 항상 흡입 공기 과잉의 희박 영역에서 운전된다. 그러나 불균일한 확산연소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희박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연소잔류의 입자상 물질(PM)이 발생한다. 동시에, 연료가 희박한 영역에서는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하게 된다.

연료 분사 장치를 사용하여 연소실에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연소실 형상의 차이로 단실의 직접 분사식과 부실식(예연소실식·와류실식)으로 나뉜다. 1990년대 이후 연료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소배기량 엔진에서도 직접 분사식이 주류이며, 승용차나 소형 상용차 등, 기통당 용적이 700 cc 정도보다 작은 엔진에서 일반적이었던 부실식은 질소산화물(NOx)과 미연소 탄화수소의 발생은 적지만, 저효율이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디젤 연료로 대형 가스 엔진을 점화할 때 부실식이 사용된다.

3. 2. 열역학 사이클

가솔린 기관이 전기와 점화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료를 점화시키는 반면, 디젤 엔진은 압축 착화 기관 형태로, 실린더 안에 공기를 압축해서 온도를 높인 후 연료를 실린더 안에 분출하면서 스스로 점화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연료가 연소하면서 화학 에너지열에너지로 바뀔 때, 각 실린더 안의 온도는 2480°C 정도까지 올라가고, 실린더 내부에는 약 100kg/cm2의 압력이 발생한다. 이 압력이 실린더 안의 피스톤을 하사점까지 밀어내고,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동력을 만든다.

디젤 내연 기관은 연료를 점화하기 위해 고도로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며, 점화 플러그를 사용하는 가솔린의 점화 사이클과는 다르다.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고, 양쪽의 밸브는 압축 행정이 시작될 때 폐쇄된다. 실린더는 대기압에서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 1과 2사이의 공기는 단열 압축된다. 이때 부피는 감소하고, 온도는 올라가고 압력은 증가한다. 2와 3사이에서는 연소 가열이 발생하는데, 이 구간에서 압력은 피스톤이 내려가고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3에서의 연료 분사 및 연소가 끝나고, 실린더는 2에서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기체를 포함한다. 3과 4사이에서는 작업은 엔진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기체의 부피는 증가하고, 온도는 내려가고 압력은 감소한다. 4에서 배기 밸브가 열리고, 압력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디젤 엔진은 공기만, 또는 배기가스의 잔류 연소가스(배기가스 재순환, "EGR"으로 알려짐)와 혼합된 공기를 압축하여 작동한다. 흡입 행정 동안 공기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고, 압축 행정 동안 압축된다. 이렇게 하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여 연소실로 분사되는 미세한 디젤 연료가 점화된다. 연료는 연소 직전에 공기 중에 분사되므로 연료 분산이 고르지 않은데, 이를 불균질 공연비 혼합이라고 한다. 디젤 엔진이 생성하는 토크는 공연비(λ)을 조절하여 제어한다. 디젤 엔진은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대신 분사되는 연료량을 변경하여 공연비를 조절하며, 따라서 공연비는 일반적으로 높다.

디젤 엔진은 매우 높은 팽창비와 고유한 희박 연소로 인해, 과도한 공기에 의한 열 방출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적인 내연기관 또는 외연기관 엔진 중 가장 높은 열효율(''엔진 효율 참조'')을 자랑한다.

디젤 엔진은 2행정 또는 4행정 연소 사이클로 설계될 수 있다.

피스톤으로 공기를 연료의 발화점 이상으로 압축 가열하고, 거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자기발화시킨다. 이에 따라 발생한 연소 가스의 팽창으로 피스톤을 밀어내는 「압축착화확산연소 기관」이다. 디젤 엔진의 본질은 「점화장치가 불필요한 내연기관」이다.

디젤 엔진은 4행정 사이클과 2행정 사이클로 크게 나뉜다. 이론 사이클 분류에서는 저속의 것은 디젤 사이클(등압 사이클), 고속의 것은 사바테 사이클(복합 사이클)로 취급된다.

디젤 엔진은 연료 분사량으로 출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가 필요 없다. 즉, 항상 흡입 공기 과잉의 희박 영역에서 운전된다. 그러나 불균일한 확산연소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희박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연소잔류의 입자상 물질(PM)이 발생한다. 동시에, 연료가 희박한 영역에서는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하게 된다.

4. 디젤 엔진의 종류

디젤 엔진은 작동 방식에 따라 2행정 기관4행정 기관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경우 4행정 기관을 사용하며, 일부 대형 기관의 경우에는 2행정 기관을 사용한다.[1][2]

페어뱅크스 모스 모델 32

4. 1. 작동 방식에 따른 분류

디젤 엔진은 작동 방식에 따라 2행정 기관4행정 기관으로 나뉜다.

  • '''4행정 기관''': 대부분의 디젤 엔진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피스톤이 아래-위-아래-위 순서로 움직이며 한 사이클을 완료한다.

# 아래로 내려가면서 공기를 흡입 (흡입 행정)

# 위로 올라가면서 공기를 압축 (압축 행정)

# 다시 아래로 내려가면서 연료 분사 및 폭발 (동력 행정)

# 마지막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배기 가스 배출 (배기 행정)

  • '''2행정 기관''': 일부 대형 기관에서 사용된다. 피스톤이 아래-위로 움직이며 한 사이클을 완료한다.

# 아래로 내려가면서 배기 가스 배출과 동시에 공기 흡입 (흡기 및 배기)

  • 슈퍼차저터보차저를 통해 빠르게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 밸브를 통해 연소된 가스를 빠르게 배출한다.

# 위로 올라가면서 공기 압축 (압축)

  • 4행정 기관보다 한 사이클당 폭발 행정이 2배이므로 크기가 작고 큰 힘을 내는 데 유리하다.


일반적인 중속 및 고속 디젤 엔진에는 4행정 엔진이 사용되고, 대형 선박이나 대형 발전에는 저속 2행정 유니플로 흡기 디젤 엔진이 사용된다. 2행정 엔진에서 신선한 공기를 실린더로 보내려면 과급기와 상부 배기밸브를 병용하는 유니플로 흡기 디젤 터보 엔진만이 생산되고 있다.

디젤 엔진은 연료 분사 장치를 사용하여 연소실에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연소실 형상의 차이로 단실의 직접 분사식과 부실식(예연소실식·와류실식)으로 나뉜다. 1990년대 이후 연료 분사 압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소배기량 엔진에서도 직접 분사식이 주류이며, 승용차나 소형 상용차 등, 기통당 용적이 700 cc 정도보다 작은 엔진에서 일반적이었던 부실식은 질소산화물(NOx)과 미연소 탄화수소의 발생은 적지만, 저효율이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디젤 연료로 대형 가스 엔진을 점화할 때 부실식이 사용된다.

4행정 사이클 디젤 엔진과 2행정 사이클 디젤 엔진(유니플로 흡기의 경우)의 각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분4행정 사이클2행정 사이클 (유니플로 흡기)
흡기/상승 행정피스톤이 하사점까지 내려가면서 공기실린더 안으로 흡입한다.피스톤의 상승에 따라 흡기 포트, 배기 밸브 순으로 닫히고, 전반부에서 흡기가 완료되고, 후반부(과반수)에서 압축이 이루어진다. 그 후 압축 상사점 부근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한다.
압축/하강 행정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올라가면서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 가열한다.전반부에서 팽창이 이루어진 후, 배기 밸브가 열리고 내압이 낮아지며, 바로 그 후 피스톤의 하강에 따라 흡기 포트가 열리고, 흡기가 배기를 밀어내면서 흡기가 시작된다.
팽창 행정연소실 내의 고온 고압의 공기에 연료를 분사하면 연료가 자연 발화하고, 팽창한 연소 가스가 피스톤을 하사점까지 밀어내린다.
배기 행정플라이휠관성이나 다른 실린더의 팽창 등에 의해 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올라가면서 연소 가스를 실린더 밖으로 밀어낸다.



## 확산 연소


  • 디젤 기관은 분무 연소에서의 액적의 확산 연소이다. 연소실 내의 압축 가열된 공기에 액체 연료를 분사하면, 여러 개의 미세한 액적이 증발하면서 개별적으로 표면의 확산 영역이 연소하기 쉬워지고, 자기 발화와 확산 연소를 반복하여 이웃 액적에 연소가 확대된다. 최근, 액적 간의 연소 확대의 주요 원인은 점화를 수반하는 마랑고니 대류에 의한 증발 가스의 분출이며, 점화를 전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중력 하에서는 고압일수록 자연 대류에 의해 마랑고니 대류가 저해되어 연소 확대 속도가 저하된다.[44]

  • 확산 연소는 한꺼번에 점화, 연소하지 않으므로, 화염 점화·균일 예혼합 연소에서 일어나는 점화 플러그를 기점으로 퍼지는 화염면의 전파는 없다. 적절한 점화 지연은 확산, 혼합 영역의 확대로 양호한 확산 연소를 가져오고, 연소실의 구석에는 공기만 남아 있으므로 압축비가 높더라도 이상 연소에 의한 노킹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저온 시동 시나 점화성이 나쁜 연료에서는 긴 점화 지연으로부터 한꺼번에 예혼합적으로 연소하는 디젤 노킹이 발생한다.

  • 경유 디젤이 확실히 저온 시동하기 위해 압축비를 16~18 정도로 해 왔다. 이 고압축비에서는 예열 후 고부하 시에 다량의 연료 분사가 이루어지면 연소실이 발화점을 크게 초과하므로 연료가 현저하게 불균일하고 짙은 영역에서 기화하기 전의 액적까지 조기에 발화하여 저산소 상태에서 불완전 연소하여 다량의 그을음상 PM이 발생했다. PM은 발암성이 있는 대기오염 물질이 된다. 원래는 충분히 확산하여 기화 직전의 액적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하여 완전 연소하고 싶다. 또한 완전 연소하는 조건에서도 공기 과잉의 연소 가스가 고온, 고압이 되므로 남은 산소와 질소가 결합하여 질소산화물(NOx)도 다량 발생한다.

  • 종래에는 "압축 점화"의 조건을 우선시하여 "확산 연소"에는 고압이어서 과조기 점화에 의한 불완전 연소로 배기가스가 더럽고 효율도 저하되었다. 고압축의 문제를 저감하면서 상사점에서 점화했을 때의 충분한 팽창비를 고려하면 자동차용 경유 디젤의 압축비는 14 정도가 좋다고 여겨진다. 이 압축비에서 연료가 자기 발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연료 분사의 고압화와 다단 분사가 필요하게 된다. 고압 연료 분사로 유적을 미세화하여 기화하기 쉽게 하고, 다단 연료 분사에 의해 공기를 포함한 확산 영역을 확대하여 고온이 되지 않는 분위기에서 완전 연소시킨다. 저온 시동에는 #예열 기구를 확충한다.

  • 이러한 불균일한 확산 연소는 균일 혼합기가 연소실 전체에 퍼지기 전에 발화하는 것과 같으므로 원리적으로 실린더 용적을 다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용적당 출력이 낮다. 고압축이므로 연소 속도가 느리고 고회전으로 운전할 수 없다.


## PCCI (예혼합 압축 점화)

  • 1995년에는 디젤 기관의 저부하 영역에서 PCCI(Premixed Charged Compression Ignition, [불균일] 예혼합 압축 점화)가 실용화된다. 이것은 흡기 과정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불균일한 예혼합기를 생성한 후 한꺼번에 압축 점화시키는 것으로, 제어된 노킹이라고 할 수 있다. 예혼합 연소이므로 PM이 발생하지 않는 데다, EGR과 병용하여 저부하 시의 연소 온도를 저하시켜 디젤 노킹과 NOx를 저감하면서 희박 연소에 의한 연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여겨진다.[45]

  • 그러나 PCCI는 고부하 시에는 심한 디젤 노킹을 발생시키므로 사용할 수 없다. 고부하 시의 유해 배기 저감에는 압축비 14 정도로 깨끗한 확산 연소를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4. 2. 연소실 구조에 따른 분류

주어진 소스에는 디젤 엔진의 연소실 구조에 따른 직접 분사 방식과 간접 분사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연소실 구조에 따른 분류'라는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 제공된 소스는 디젤 엔진의 작동 원리, 연료, 효율, 역사 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만, 섹션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이 섹션에는 포함할 수 없다.

4. 3. 회전 속도에 따른 분류

디젤 엔진은 회전 속도에 따른 분류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는다. 제공된 원문 소스는 디젤 엔진의 작동 원리, 연료, 효율, 역사, 연소 방식 등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만, 회전 속도에 따른 구체적인 분류는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디젤 엔진의 회전 속도에 대한 분류 정보가 없음을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5. 연료 분사

디젤 엔진의 연료 분사는 점화 플러그를 사용하는 가솔린 기관과 달리, 압축된 공기의 고온을 이용하여 연료를 자연 발화시키는 방식이다.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실린더 내부 온도를 2,480℃까지 높이고, 약 100kg/cm²의 압력을 생성한다. 이 압력이 피스톤을 밀어내고,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동력을 얻는다.

연료 점화를 위한 압축비는 실린더 크기에 따라 다르며, 대형은 약 13:1, 중형은 약 14.3:1, 소형은 약 20:1 정도이다. 디젤 기관은 주로 경유를 사용하며, 이는 휘발유보다 저렴하고 열효율이 높다.

20세기 대부분의 구성에서 연료 분사는 주로 기계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디젤 엔진은 전자 제어식 연료 분사 시스템을 사용한다. 초기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연료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 방식도 있었지만, 효율이 낮고 압력을 높이기 어려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5. 1. 기계적 또는 전기적 분사

대부분의 디젤 엔진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단일 기계적 플런저 고압 연료 펌프를 사용한다. 각 엔진 실린더에는 연료 펌프에 대응하는 플런저가 있어 정확한 양의 연료를 분사하고, 각 분사의 타이밍을 정한다. 이 엔진에 쓰이는 분사기는 특정 연료 압력에 따라 여닫는 매우 정밀한 스프링이 장착된 밸브를 사용한다. 별도의 고압 연료 라인이 연료 펌프와 각 실린더를 연결한다. 각 실린더에서 한 번 연소될 때 사용되는 연료량은 플런저의 경사면 홈을 통해 조절되는데, 이는 약간의 회전을 통해 압력을 해제하거나 기계식 조속기에서 제어된다. 조속기는 스프링 레버에 의해 엔진 속도가 제한되어 회전 가중치가 구성되는 방식이다. 분사기는 연료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고속 엔진에서 플런저 펌프는 하나의 유닛으로 묶여 있기도 하다.[108] 각 분사기의 펌프로부터 연료 라인까지의 길이는 보통 각 실린더에 대해 동일하게 맞춰져 동일한 압력 지연을 얻는다.

6기통 미만의 고속 엔진에는 축 피스톤 펌프 분배기(axial-piston distributor pump)를 사용하는 것이 저렴하다. 이는 각 실린더 밸브 및 라인에 연료를 제공하는 하나의 회전 펌프 플런저로 구성된다. (오토 엔진의 points 및 배전기 캡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메르세데스-벤츠 OM 352 엔진. 1963년에 소개되었지만, 대량 생산은 1964년 여름에 시작된 최초의 직분사 메르세데스-벤츠 디젤 엔진 중 하나이다.


전자식 분사 펌프


1990년대 후반부터는 고압 연료 분사를 전자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펌프는 가압만 담당하고, 종속 밸브와 펌프 사이에 배치된 전자 제어 밸브가 분사량과 타이밍을 담당한다. 주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커먼 레일 (Common Rail)

: 공급 펌프가 공통 압력관(레일)에 고압 연료를 저장한 후, 각 실린더마다 전자 제어 밸브를 내장한 분사 노즐(인젝터)이 분사한다. 전자 제어 밸브가 분사 타이밍과 분사량을 담당하여 고압으로 다단 분사를 실현한다. 솔레노이드식 인젝터는 1,800기압으로 1사이클당 5회 정도 분사할 수 있다. 2012년 현재 압전식 인젝터는 2,500기압의 초고압으로 연료를 1사이클당 9회 분사할 수 있다.[46]

  • 유닛 인젝터 (Unit Injector)

: 분사 펌프와 분사 밸브가 일체형인 분사 장치로, 1930년대부터 기계식이 존재했으며 1990년대에 전자 제어화되었다. 각 실린더마다 유닛 인젝터를 설치한다. 고압 파이프를 연결할 필요가 없어 대형 엔진에 적합하다.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고압화는 커먼 레일보다 먼저 이루어졌지만, 다단 분사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하여,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전자 밸브를 병용하는 등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다. OHC가 유닛 인젝터의 플런저 펌프를 구동하고, 첫 번째 전자 밸브가 펌프의 가압 시작과 종료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1사이클당 분사량을 결정한다. 다단 분사를 하려면 가압 과정 내부에서 두 번째 전자 밸브가 분사 밸브의 개폐를 제어해야 하므로, 분사 타이밍에 일정한 제한이 있다.

5. 2. 직접 분사

대부분의 디젤 엔진은 직접 분사 방식을 사용한다. 초창기 직접 분사 방식은 로터리 펌프를 사용하여 간접 분사 방식과 유사했지만, 분사기는 실린더 위에 장착되었고 별도의 챔버는 없었다. 이 방식은 소음이 크고 매연이 많았지만, 연료 소비가 15-20%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후 전자적으로 분사 펌프를 조절하면서 성능이 향상되었다. 분사 압력은 300로 유지되었지만, 분사 타이밍, 연료량, 배기 가스 재순환 등이 전자적으로 제어되었다. 이러한 성능 향상으로 인해 경제적이면서도 강력해져 당시의 간접 분사 방식보다 우수하여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디젤 엔진은 흡입 행정 동안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유입하고 압축 행정 동안 압축한다. 이렇게 하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여 연소실로 분사되는 미세한 디젤 연료가 점화된다. 연료는 연소 직전에 공기 중에 분사되므로 연료 분산이 고르지 않은데, 이를 불균질 공연비 혼합이라고 한다. 디젤 엔진이 생성하는 토크는 공연비(λ)를 조절하여 제어한다. 디젤 엔진은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대신 분사되는 연료량을 변경하여 공연비를 조절하며, 따라서 공연비는 일반적으로 높다.

디젤 엔진은 매우 높은 팽창비와 고유한 희박 연소로 인해, 과도한 공기에 의한 열 방출을 가능하게 하여 실용적인 내연 또는 외연기관 엔진 중 가장 높은 열효율(''엔진 효율 참조'')을 자랑한다. 또한, 밸브 오버랩 동안 미연소 연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연료가 흡입구/분사구에서 배기구로 직접 이동하지 않아, 직접 분사 가솔린 엔진에 비해 효율 손실이 적다. 저속 디젤 엔진(선박 및 엔진 무게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다른 용도에 사용됨)은 최대 55%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연소 사이클은 2행정 또는 4행정으로 설계될 수 있다.

1906년에 제작된 MAN DM 트렁크 피스톤 디젤 엔진. MAN DM 시리즈는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디젤 엔진 중 하나로 여겨진다.


디젤 엔진에서 연료 분사는 점화와 연소를 제어하는 수단이므로, 분사 장치는 중요한 부품이 된다. 현재 약 2,000bar(약 2,000기압) 정도의 고압과 다단 분사가 필요하며, 상당히 고가의 부품이 되고 있다. 자동차용 디젤 엔진 비용의 절반은 연료 분사 계통이 차지한다.

  • 열형(列型) 분사 펌프: 하나의 플런저 펌프가 단기통의 연료 가압과 토출을 담당하고, 기통 수만큼의 펌프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이다.
  • 분배형(分配型) 분사 펌프 (로터리 펌프): 하나의 플런저 펌프가 전 기통의 연료 가압과 토출을 실현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펌프는 가압만 담당하고, 종속 밸브와 사이에 배치된 전자 제어 밸브가 분사량과 타이밍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고압 연료 분사를 전자 제어하고 있다.

  • : 분사 펌프와 분사 밸브가 일체형인 분사 장치로, 1930년대부터 기계식이 존재했으며 1990년대에 전자 제어화되었다.

5. 2. 1. 커먼레일 직접 분사

고압 펌프를 사용하여 연료를 연료 레일에 고압으로 압축하여 두었다가 분사 시기에 맞추어 인젝터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에 연료를 직접 분사한다. 커먼레일이란 용어는 모든 실린더의 인젝터가 하나의 연료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을 공유한다(Common Rail)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46]

공급 펌프는 공통(커먼) 압력관(레일)에 고압 연료를 저장하고, 실린더마다 전자 제어 밸브를 내장한 분사 노즐(인젝터)이 분사한다. 전자 제어 밸브는 분사 타이밍과 분사량을 담당하여 고압으로 다단 분사를 실현한다. 솔레노이드식 인젝터는 1,800기압으로 1사이클당 5회 정도 분사할 수 있다. 2012년 현재 압전식 인젝터는 2,500기압의 초고압으로 연료를 1사이클당 9회 분사할 수 있다.[46]

5. 3. 간접 분사

리카르도 코메트(Ricardo Comet) 간접 분사 챔버


간접 분사 방식은 실린더 내에 직접 연료를 분사하는 대신, 프리챔버(prechamber)라는 별도의 공간에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를 시작하고, 이 연소가 주 연소실(실린더)로 전파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포드와 쉐보레가 이 방식의 엔진을 생산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직접 분사 방식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1909년 3월 14일, 프로스퍼 로랑주(Prosper L'Orange)는 예연소실 분사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 그는 나중에 이 시스템을 사용한 최초의 디젤 엔진을 제작했다.

1923년, 벤츠는 예연소실 분사식 디젤 엔진을 장착한 트럭을 제작했다.

1964년 여름, 다임러-벤츠는 예연소실 분사에서 나선형 제어 직분사로 전환한다.

6. 디젤 엔진의 특징

디젤 엔진은 가솔린 기관과 달리 점화 플러그 없이 공기를 압축하여 발생한 열로 연료를 점화시키는 압축 착화 방식을 사용한다. 실린더 내부에 공기를 압축하여 온도를 높인 후, 연료(경유 계통)를 분사하여 스스로 점화되도록 한다.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높은 압력(약 100kg/cm²)이 피스톤을 밀어내고, 이 힘이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동력을 생성한다.

디젤 엔진은 연료 분산이 고르지 않은 불균질 공연비 혼합 상태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며, 공연비(λ)를 조절하여 토크를 제어한다. 흡입 공기를 조절하는 대신 분사되는 연료량을 변경하여 공연비를 조절하며, 일반적으로 높은 공연비를 유지한다.

확산화염 방식으로 연소되기 때문에, 연소 전에 연료와 산소가 미리 섞여 예혼합화염을 형성하는 가솔린 엔진과 달리, 연소 시 산소가 화염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디젤 엔진의 압축비는 대형 실린더는 약 13:1, 중형은 약 14.3:1, 소형은 약 20:1 수준으로 매우 높다. 높은 압축비는 높은 팽창비로 이어져 열효율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높은 압축비는 마찰 손실과 부품 무게 증가에 따른 관성 손실을 증가시켜 기계적 손실을 유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두 엔진의 특징이 서로 융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마쓰다(Mazda)는 압축비를 14로 통일한 고압축비 가솔린 엔진과 저압축비 디젤 엔진을 출시했다. 또한, 가솔린 엔진에서도 흡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나 저온 다량 EGR 밸브를 통해 흡입량을 조절하여 스로틀 밸브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다.

디젤 엔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압축 착화 사용 (점화 장치 불필요)
  • 실린더 내부 혼합기 형성
  • 흡입 공기 조절 없이 연료량 조절을 통한 토크 제어
  • 높은 공기-연료비
  • 확산화염 연소
  • 불균질 공기-연료 혼합
  • 높은 세탄가 연료 선호 (가솔린 엔진은 높은 옥탄가 연료 선호)

6. 1. 장점

디젤 엔진은 가솔린 기관과 달리 압축 착화 방식을 사용한다. 높은 압축비로 공기를 압축하여 온도를 높인 후, 연료를 분사하여 자연 발화시킨다. 이러한 방식 덕분에 디젤 엔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높은 열효율: 디젤 엔진은 매우 높은 팽창비와 희박 연소로 인해 열 방출을 효율적으로 하여, 현존하는 내연기관 또는 외연기관 엔진 중 가장 높은 열효율을 자랑한다. 저속 디젤 엔진(선박 등)은 최대 55%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 연료 효율성: 높은 압축비 덕분에 발화점만 확보되면 정제도가 낮은 저렴한 연료(예: 중유, 식용유, 폐윤활유)를 사용할 수 있다. (단, 경우에 따라 아세톤, 나프타, 알코올 및 예열로 유동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고가의 전처리 장치나 특수한 엔진 오일이 필요하다.)
  • 저렴한 연료: 디젤 기관은 휘발유보다 저렴한 경유 계통의 연료를 주로 사용하며, 열효율이 높다.
  • 큰 엔진 제작 가능: 확산 연소의 특징으로 기통 용적당 출력은 낮지만, 기통 용적에 제한이 없어 거대한 엔진을 만들 수 있다. 열효율이 좋기 때문에 필요한 출력을 얻을 때까지 엔진을 대형화할 수 있으며, 이는 대형 선박 등 저속 회전, 대출력이 필요한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실제로 초대형 저속 디젤 엔진은 대형 상선의 주기관으로 널리 사용된다.
  • 과급에 용이: 공기만을 압축한 상태에서 연료가 자기 발화하기 때문에, 예혼합 연소 가솔린 엔진에서 문제가 되는 노킹이나 데토네이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급에 의한 흡입 충전량 증가로 기통 용적당 저출력을 보완하기 용이하다. 터보차저를 통해 배기 에너지의 일부를 회수하여 효율을 유지하면서 배기량 1리터당 출력을 100마력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 구조 단순화 및 신뢰성: 점화 장치와 스로틀 밸브가 필요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다.
  • 안전성: 디젤 연료는 가솔린보다 인화점이 약 80℃ 높아 폭발이나 화재 사고 위험이 적다. 이는 피탄 가능성이 있는 군용 차량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이다.


하지만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에 비해 크고 무거우며, 초기 비용이 높고, 작동 회전 영역이 좁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형차보다는 대형차에 더 적합하다.

6. 2. 단점

디젤 엔진은 압축비가 높아 발화점만 확보하면 정제도가 낮은 저렴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한다.

  • 높은 초기 비용: 엔진 본체는 높은 압축비에 견딜 수 있는 구조 강도가 필요하여 크고 무거워지며, 초기 비용이 높다.
  • 낮은 회전 영역: 작동 회전 영역은 가솔린 엔진보다 낮고 좁기 때문에 차량 출발에는 유리하지만, 더 많은 단수의 변속기가 필요하다.
  • 높은 엔진 가격: 가솔린 엔진과 다른 특성에 맞는 장치(연료 분사 장치, 배기가스 처리 장치 등)가 필요하여 엔진 전체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
  • 진동 및 소음: 원리적으로 진동과 소음이 커서 2차 밸런서 추가, 방진 고무 사용, 압축 해제 제동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 낮은 출력 중량비: 무게가 많이 나가 엔진의 출력 중량비가 나쁘다.
  • 배기가스 문제: 확산 연소로 인해 매연과 미세먼지(PM)가 발생하기 쉽고, 연소실 내부 고온 고압 및 희박 연소 영역에서 산소질소 과잉으로 NOx도 발생하기 쉽다. 삼원촉매를 사용할 수 없어 PM과 NOx 대책에 별도의 후처리 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무게 증가와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4]

7. 주요 제조사

디젤 엔진의 주요 제조사는 국가별, 분야별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제조사들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기타 국가의 주요 제조사들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 독일:
  • MTU: 디트로이트 디젤(미국)의 자동차용 엔진을 제외한 사업을 통합했다.
  • 다임러(Daimler AG): 메르세데스-벤츠디트로이트 디젤(미국) 자동차 엔진 부문,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일본)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 [http://www.deutz.de/ 도이츠](Deutz AG)
  • MAN Diesel & Turbo SE: 디젤 엔진을 개발한 루돌프 디젤을 擁하고 있었으며, 버마이스터 & 와인(B&W)(덴마크)과 SEMT 빌스티크(프랑스)를 인수했다.
  • 프랑스:
  • 푸조 시트로엥 모터(PSA 그룹의 엔진 제조 담당)
  • 르노(Renault)
  • 스웨덴:
  • 볼보(Volvo)
  • 스카니아(Scania)
  • 핀란드:
  • [http://www.sisudiesel.com/ 시수](Sisu Diesel)
  • Wärtsilä바르질라(Wärtsilä): 술저(Sulzer)(스위스)를 인수했다.
  • 영국:
  • 롤스로이스 홀딩스(Rolls-Royce Holdings): 인수한 구 Bergen社(노르웨이)의 선박용 디젤 엔진이 주력이며, MTU도 인수
  • 기타:
  • [http://www.perkins.com/ 퍼킨스](Perkins)(영국)
  • 캐터필러
  • 커민스
  • 나비스타 인터내셔널
  • 제너럴 모터스: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GM-EMD)에서 기관차용 엔진을 생산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여러 제조업체를 인수한 지주회사를 다른 지주회사가 통째로 인수하는 등 대규모 재편이 진행 중이며, 합병으로 인해 사라진 제조업체도 많다.

디젤 엔진 모델, 왼쪽


디젤 엔진 모델, 오른쪽

7. 1. 대한민국

7. 2. 일본

2021년 현재 일본 내 디젤 엔진 제조사 및 생산 분야는 다음과 같다. (△는 타사로부터 엔진을 공급받는 경우)

제조사승용차상용차선박농기계산업용철도
이세키농기(井関農機)
이스즈자동차(いすゞ自動車)
미쓰비시후소트럭·버스(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
히노자동차(日野自動車)
UD트럭스(UDトラックス)
(구 닛산디젤)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해외 한정
혼다기켄공업(本田技研工業)해외 한정
마쓰다(マツダ)
스바루(SUBARU)
(구 후지중공업)
해외 한정
(2020년 폐지)
미쓰비시자동차공업(三菱自動車工業)해외 한정
다이하쓰공업(ダイハツ工業)해외 한정해외 한정
스즈키(スズキ)해외 한정
(2021년 폐지)
해외 한정
(2021년 폐지)
얀마파워테크놀로지(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
(얀마홀딩스(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
쿠보타(クボタ)
IHI시바우라(IHIシバウラ)
고마쓰제작소(小松製作所)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미쓰비시 UE 엔진 라이선서 및 Wärtsilä 사의 술저 계열 제품 라이선시 겸 일부 공동 개발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
MAN B&W 라이선시
미쓰이조선(三井造船)
MAN B&W 라이선시
히타치조선(日立造船)
MAN B&W 및 Wärtsilä 라이선시
IHI(IHI)
(디젤 유나이티드(ディーゼルユナイテッド))
Wärtsilä 및 MAN SAS의 구 S.E.M.T Pielstick 계열 라이선시
니가타겐도키(新潟原動機)
(구 니가타테츠코쇼)
칸코조키(神鋼造機)
아카사카테츠코쇼(赤阪鐵工所)
자사 4행정 엔진과 미쓰비시 UE 엔진 라이선시
한신내연기공업(阪神内燃機工業)
자사 4행정 엔진과 가와사키 MAN B&W 라이선시
마키타(엔진 제조사)(マキタ (エンジンメーカー))
자사 4행정 엔진과 미쓰이 MAN B&W 라이선시
다이하쓰디젤(ダイハツディーゼル)
고베발동기(神戸発動機)
미쓰비시 UE 엔진 라이선시


7. 3. 기타 국가



유럽과 미국에서는 여러 제조업체를 인수한 지주회사를 다른 지주회사가 통째로 인수하는 등 대규모 재편이 진행 중이며, 합병으로 인해 사라진 제조업체도 많다.

  • 독일
  • Tognum AG의 자회사인 MTU는 2011년 9월 Daimler AG와 Rolls-Royce plc의 합작회사인 Engin Holding GmbH가 Tognum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
  • MTU
  • 디트로이트 디젤(미국)의 자동차용 엔진을 제외한 사업을 통합
  • 다임러(Daimler AG)
  •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 디트로이트 디젤(미국) 자동차 엔진 부문을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Mitsubishi Fuso Truck and Bus Corporation)(일본)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 [http://www.deutz.de/ 도이츠](Deutz AG)
  • Volkswagen AG(폭스바겐 그룹)이 MAN SE(MAN 그룹의 지주회사)를 인수
  • MAN Diesel & Turbo SE: 디젤 엔진을 개발한 루돌프 디젤(Rudolf Diesel)을 擁하고 있었다.
  • B&W버마이스터 & 와인(B&W)(덴마크)를 인수
  • SEMT 빌스티크(SEMT Pielstick)(프랑스)를 인수하여 MAN DIESEL SAS(프랑스)로 함.
  • 프랑스
  • 푸조 시트로엥 모터(PSA 그룹의 엔진 제조 담당)
  • 르노(Renault)
  • 스웨덴
  • 볼보(Volvo)
  • 스카니아(Scania)
  • 핀란드
  • [http://www.sisudiesel.com/ 시수](Sisu Diesel)
  • Wärtsilä바르질라(Wärtsilä)
  • Sulzer술저(Sulzer)(스위스)를 인수하여 (현재 바르질라, 스위스)로 함
  • 영국
  • 롤스로이스 홀딩스(Rolls-Royce Holdings) 인수한 구 Bergen社(노르웨이)의 선박용 디젤 엔진이 주력이며, MTU도 인수
  • 기타
  • [http://www.perkins.com/ 퍼킨스](Perkins)(영국)
  • 캐터필러
  • 커민스
  • 나비스타 인터내셔널(en:Navistar International Corporation)
  • 제너럴 모터스
  • 일렉트로-모티브 디비전(GM-EMD) - 기관차용 엔진을 생산

8. 환경 문제 및 대응

디젤 엔진은 효율이 높지만, 입자상 물질(PM)과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 오염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91]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 엔진은 액적 형태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 때문에 연소 찌꺼기 형태로 PM과 검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고온 고압 조건에서 과잉 공기를 흡입하므로 NOx 생성량도 많다. 디젤 엔진은 저부하 시 공연비가 희박하지만, 균일 예혼합 연소가 아니므로 NOx 저감 효과는 없다. 오히려 액적 주변 공기만 소비하는 불균일 확산 연소로 인해 연소 온도가 높아져 다량의 잉여 공기를 가열, 고부하 시보다 더 많은 NOx를 생성한다.

디젤 엔진은 배기가스에 산소가 많아 휘발유 엔진에 쓰이는 삼원촉매를 사용할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2년 6월 디젤 엔진 배기가스를 "인체 발암성 있음(그룹 1)"으로 상향 조정했다.[94][95] 이는 미국 국립암연구소/국립노동안전보건연구소의 대규모 역학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8. 1. 배기가스 규제

디젤 엔진은 휘발유 엔진보다 열효율이 높아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은 적지만, 입자상 물질(PM)과 질소산화물(NOx) 발생량이 많아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91]

디젤 엔진은 연료를 액적 상태로 연소시키는 분무 연소 방식이기 때문에, 액적의 연소 잔여물로 PM과 검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고온고압 조건에서 과잉 공기를 흡입하므로 NOx 생성량도 많다. 디젤 기관의 저부하 시 공연비는 30:1에서 60:1로 희박하지만, 균일 예혼합 연소가 아니라서 NOx 저감 효과는 없다. 오히려 액적 주변의 공기만 소비하는 불균일 확산 연소로 인해 연소 온도가 높아져 다량의 잉여 공기를 가열, 행정당 고부하 시보다 더 많은 NOx를 생성한다.

디젤 엔진은 배기가스에 산소가 많아 휘발유 엔진에 쓰이는 삼원촉매를 사용할 수 없다. 삼원촉매는 이론 공연비에서 탄화수소(HC), NOx, 일산화탄소(CO)를 동시에 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새로운 해결책과 그 이상의 개발, 수소 내연기관 자동차 및 트럭을 위한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92][93]

디젤 연료에 이 남아 있으면 배기가스에 유해한 황산화물(SOx)이 포함된다. 황은 산화력이 강해 배기가스 정화용 산화 촉매나 환원 촉매와 먼저 반응하여 무효화시킨다. 따라서 자동차용 엔진은 주로 연료의 탈황에 의존한다. 과거 유럽의 경유는 저황 북해산 원유로 만들어졌지만, 일본의 경유는 고황 중동산 원유로 만들어져 저황화가 어렵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2004년 말, 일본에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관련 연료 품질 규제치가 변경되어, 경유의 황 허용 한계가 0.01% 질량 이하에서 0.005% 질량 이하로 낮아져 유럽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96] 황 성분은 연료 펌프 윤활 작용을 하므로, 탈황 후 연료에는 윤활제가 첨가된다.

대형 선박용 엔진은 3% 정도의 황 성분이 많은 불량 연료를 사용하므로, 해수 스크러버(배기가스의 SOx를 해수에 흡수시키는 배연 탈황 장치) 등의 후처리로 SOx를 제거한다. 습식 스크러버 후단에서 NOx 저감 촉매도 사용 가능하지만, 배기 온도가 너무 낮아져 어렵다. 2012년 현재, 유럽에서는 배기 온도를 낮추지 않는 건식 스크러버와 #SCR 조합이 개발 중이다.[97]

배기가스 중 NOx와 매연은 상반 관계이며, 자동차 주행 조건은 둘 중 한 상태이므로, 2000년대 PM, NOx 대책에는 두 개의 후처리 장치가 필요했다.

고압 분사로 소량의 연료를 완전 연소시켜 매연 발생을 막아도, 고온고압 하 질소와 산소(공기)에 의해 NOx가 생성된다. 따라서 저부하 시에는 EGR(배기가스 재순환)을 늘려 연소 온도를 낮춰 NOx를 줄인다. EGR을 늘리면 완전 연소가 어려워져 매연이 증가하므로, 고부하 시에는 EGR을 사용할 수 없다. EGR을 없애도 고온고압에서 연료 분사량이 늘면 불균일 연료가 조기 발화하여 PM이 발생한다. 1990년대 커먼레일 방식으로 다단 분사가 가능해지면서,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은 발생 PM을 다단 분사에 의한 후연소로 완전 연소시키려 했다. 그러나 NOx에는 효과가 없었다. 결국 PM, NOx 대책을 위해 별도 후처리 장치가 사용되었다.

2012년 출시된 마쓰다 스카이액티브-D(SKYACTIV-D)의 저압축비 디젤은 고부하 시 NOx를 저감하여 NOx 후처리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대형 선박용 엔진은 황 함량이 많은 C중유를 사용하므로 NOx 정화 촉매를 쉽게 사용할 수 없다. 불량 중유 점화를 위해 압축비를 낮출 수도 없다. 파생형 내연 발전에서는 물 첨가 연소로 연소 온도를 낮춰 NOx를 저감한다. 물의 기화열로 연소 가스 온도는 낮아지고, 수증기는 작용 기체가 된다. 열효율은 2~3% 저하될 뿐 NOx는 50% 저감된다. 다층 물 첨가 기술을 사용하면 열효율 유지하며 60% NOx 저감이 가능하다.[98]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디젤 자동차 환경 규제가 시행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1997년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VI(MARPOL 73/78 ANNEX VI)를 채택, 비준국 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발효하는 절차를 거쳐 2000년부터 SOx 규제를 발효, 정기적 규제 강화 방침이다.[97] NOx는 2005년 발효된 제1차 규제, 2011년 발효된 제2차 규제에 이어 전 해역 적용 규제가 시행되었고, 2016년 배출규제해역(ECA)에만 엄격한 제3차 규제가 적용될 예정이었다.[97]

8. 2. 배기가스 저감 기술

디젤 엔진은 휘발유 엔진보다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이 적어 환경 부담이 낮은 편이지만, 입자상 물질(PM)과 질소산화물(NOx) 발생량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91]

디젤 엔진은 연료를 액적 상태로 연소시키는 분무 연소 방식이기 때문에 액적 연소 후 남은 찌꺼기로 인해 PM과 검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디젤 엔진은 휘발유 엔진보다 고온 고압 환경에서 작동하고 과도한 공기를 흡입하므로 질소산화물(NOx) 생성량도 많다.

디젤 엔진은 저부하 시 공연비가 30:1에서 60:1로 희박하지만, 균일한 예혼합 연소가 아니기 때문에 저온 연소를 통해 NOx를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디젤 엔진은 액적 주변 공기만 소비하는 불균일 확산 연소 방식이므로, 연소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다량의 잉여 공기를 가열하여 고부하 시보다 더 많은 NOx를 생성한다.

디젤 엔진 배기가스는 산소가 과도하게 포함되어 있어 휘발유 엔진에서 주로 사용되는 삼원촉매를 사용할 수 없다. 삼원촉매는 이론 공연비 조건에서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를 동시에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새로운 해결책과 추가적인 개발, 그리고 수소 내연기관 자동차 및 트럭의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92][93]

디젤 연료에 이 남아 있으면 배기가스에 유해한 황산화물(SOx)이 포함된다. 황은 산화력이 강해 배기가스 정화용 산화 촉매나 환원 촉매와 먼저 반응하여 촉매 기능을 무력화시킨다. 따라서 자동차 엔진의 경우 주로 연료 탈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과거 유럽 경유는 저황 북해산 원유로 생산되었지만, 일본 경유는 고황 중동산 원유로 만들어져 저황화가 어렵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2004년 말 일본에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관련 연료 품질 규제가 변경되어 경유 내 황 함량 허용 한계가 0.01%에서 0.005%로 낮아져 유럽과 비슷한 수준으로 황 함량이 감소되었다.[96] 황 성분은 연료 펌프 윤활 작용을 하므로, 탈황된 연료에는 연료 펌프 보호를 위한 윤활제가 첨가된다.

대형 선박 엔진은 황 성분이 3% 정도 포함된 불량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수 스크러버(배기가스 내 SOx를 해수에 흡수시키는 배연 탈황 장치) 등의 후처리 기술을 통해 배기가스에서 SOx를 제거한다. 습식 스크러버 후단에 NOx 저감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배기 온도가 너무 낮아져 사용이 어렵다. 2012년 현재 유럽에서는 배기 온도를 낮추지 않는 건식 스크러버와 #SCR 조합 기술이 개발 중이다.[97]

배기가스 내 NOx와 매연은 서로 상반된 관계를 가지며, 자동차 주행 조건에 따라 둘 중 하나의 상태가 되기 쉽다. 따라서 2000년대 PM, NOx 대책은 두 가지 후처리 장치를 필요로 했다.

고압 분사를 통해 소량의 연료를 완전 연소시켜 매연 발생을 억제하려 해도 고온 고압 환경에서 질소와 산소(공기)가 반응하여 NOx가 생성된다. 따라서 저부하 시에는 EGR(배기가스 재순환)을 늘려 연소 온도를 낮춰 NOx를 줄인다. EGR을 늘리면 완전 연소가 어려워 매연이 증가하므로 고부하 시에는 EGR을 사용할 수 없다. EGR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온 고압 환경에서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면 불균일한 연료가 조기 발화하여 PM이 발생한다. 1990년대 커먼 레일 방식으로 다단 분사가 가능해지면서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은 발생한 PM을 다단 분사를 통한 후연소로 완전 연소시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NOx 저감에는 효과가 없었다. 결국 PM 대책과 NOx 대책을 위해 별도의 후처리 장치가 사용되었다.

2012년 출시된 마쓰다 스카이액티브-D(SKYACTIV-D) 저압축비 디젤 엔진은 고부하 시 NOx를 줄여 NOx 후처리 장치가 필요 없게 되었다. 대형 선박 엔진은 황 함량이 높은 C중유를 사용하므로 NOx 정화 촉매를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불량 중유 점화를 위해 압축비를 낮추는 것도 불가능하다. 파생형인 내연 발전에서는 물 첨가 연소를 통해 연소 온도를 낮춰 NOx를 줄인다. 물의 기화열로 인해 연소 가스 온도가 낮아지고 수증기는 작용 기체가 된다. 열효율은 2~3% 정도만 감소하고 NOx는 50% 감소한다. 다층 물 첨가라는 고도 기술을 사용하면 열효율을 유지하면서 NOx를 6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98]

배기가스 처리 기술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첫째는 저온·저압 연소를 통해 NOx 발생을 최소화하고, 산화 촉매와 DPF(디젤 매연 필터)로 PM(매연 입자), CO(일산화탄소), HC(탄화수소)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고온 완전 연소를 통해 CO와 HC 생성을 억제하고, 그 결과 증가하는 NOx를 질소로 환원하는 NOx 환원 촉매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NOx 환원 촉매에는 기존 삼원 촉매에서 파생된 것과 SCR(선택적 촉매 환원)이 있다. 또한, 항상 NOx를 정화하는 "요소수 SCR 시스템"과 희박 연소 중 NOx를 흡장하고 농후 연소 후 정화 작용을 하는 "흡장 촉매" 두 가지가 있으며, 각각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 외, 연료 개질을 통해 NOx를 줄이는 방법이 연구 중이며, 디메틸 에테르 혼입, 수에멀션 연료 등이 선박용 엔진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공급 체제 정비 및 사용자가 보급을 소홀히 할 경우의 대책 등 문제로 실용화가 더디다.

NOx와 PM 배출량은 서로 상반된 관계를 가지므로, 기본적으로 연소 설정에 따라 배출량이 많은 물질 처리에 적합한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용 상황에 따라 제조사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 요소수 SCR 시스템 채택 차량에서 어떤 이유로 연소가 저온 또는 저압이 되어 검은 연기를 많이 배출하는 경우. 반대로, DPF 장착 차종에서 제조사 예상보다 저온·저압 등으로 PM이 DPF 처리 능력 이상으로 배출되어 연료 문제가 아닌 필터 막힘을 유발하는 경우). 또한, DPF 강제 재생은 연료 소비가 많고(=연비가 나쁨), 요소수 SCR 시스템도 구조상 연비 악화는 작지만, 요소수 소비량은 이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는 트럭·버스에서 매우 많다. 이러한 상황을 완화하기 위해 2010년대 DPF와 요소수 SCR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는 정화 시스템이 보급되기 시작했다(예: 다임러 그룹이 채택하는 BlueTec 등). 병용 시 연소 설정을 저온 저압 또는 고온 고압 중 한쪽으로 치우칠 필요가 없으며, PM 발생량이 DPF만 장착한 차종보다 줄어 강제 재생 횟수가 감소하여 연비가 개선된다. NOx 발생량도 요소수 SCR 시스템만 장착한 차종보다 적어 요소수 소비량도 줄일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은 배기가스 일부를 흡기계로 재순환시켜 흡기 내 산소량을 줄여 피크 연소 온도를 낮추고 NOx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다. 디젤 엔진은 스로틀 밸브가 없어 저부하 시 극단적인 공기 과잉 희박 연소가 되는 지점에 EGR을 도입하여 NOx 저감에 활용한다. 승용차는 고부하 시 EGR이 작동하지 않지만, 트럭 등은 고부하 시에도 EGR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EGR은 연소 시 소음을 줄이는 장점도 있다(산소 농도를 낮춰 급격한 연소를 억제).

디젤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대부분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 미립자 필터)라는 세라믹 소재 필터로 포집하여 연소 처리한다. DPF는 배기관 중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채워진 다공성 세라믹 미세한 틈새를 통해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그을음 형태 PM을 포집한다. 다공성 표면에는 백금 등 금속 촉매가 도포되어 있으며, 300℃ 이상 환경에서 PM이 촉매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H₂O와 CO₂의 무해한 기체로 산화되어 배출된다. 엔진 배기가스 온도가 낮은 상태가 지속되면 "강제 재생"을 통해 수동으로 연료 과다 배기가스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고온 상태를 만들어 DPF에 쌓인 PM을 무해화하여 제거한다.

대부분 촉매는 황에 약해 필터 막힘 원인이 되므로 저황 경유 외( 불법 경유 등) 사용은 불가능하지만, 필터에 세라믹 대신 금속망과 탄화규소 섬유를 사용한 제품도 있으며, 이는 저황 경유 외에도 사용 가능하다.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은 선택적 촉매를 이용한 환원 작용으로, 배기가스 대책의 경우 NOx만을 선택적으로 환원제인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정화 촉매 작용이다. 암모니아 환원제를 사용하므로 기존 NOx 환원 촉매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암모니아를 얻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요소 SCR 시스템

:미리 고순도 요소를 정제수에 녹인 요소수를 별도 탱크에 적재하고, 주행 중 NOx 환원 촉매 앞에 요소수를 분무하여 고온 배기가스에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암모니아를 얻는다. 넓은 배기가스 온도 범위에서 NOx 환원 성능이 우수하다(실제 시스템에서는 HC분 저감을 위해 배기가스는 SCR 전 이차 공기와 산화 촉매로 연소시키고, SCR 처리 후 남은 암모니아 분해를 위한 산화 촉매도 필요하다). 요소수 보급과 시스템 설치 공간 확보가 가능한 트럭, 버스 등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NOx 암모니아 흡장 SCR

:SCR에 NOx 흡장층과 암모니아 흡장층을 추가한 새로운 콤바인드 타입 NOx 저장 환원 촉매. 먼저 린 연소 중 NOx를 흡장층에 흡수시키고, 제어 장치가 적절히 리치 연소를 시작한다. 리치 연소 중 백금 촉매에 의해 CO와 H₂O와 NOx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흡장한다. 다음으로 린 연소할 때 SCR이 작동하여 새로운 NOx를 질소와 물로 환원한다. 미국 배기가스 규제를 통과한 혼다 촉매에 사용되고 있다. 벤츠도 요소 분사를 하지 않는 SCR에 NOx 흡장 기능을 조합하고 있다. 닛산도 비슷한 신형 촉매를 개발하여 2008년 국내 판매 차량에 탑재한다고 발표했다(2009년 4월 기준 익스트레일만 일본 내 판매).

배기가스 중 NOx를 린 연소 시 흡수하고, 이후 리치 연소로 환원시키는 촉매이다. NOx 환원에 상기 SCR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환원제는 HC와 CO와 H₂가 되며, 삼원 촉매에 NOx 흡장층을 추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가솔린 직분사 엔진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디젤에는 일부 사용되고 있다.

승용 디젤 엔진용으로는 유럽 사양 아벤시스(Avensis)에서 채용되고 있는 DPF와 일체화하여 PM과 NOx를 동시에 환원하는 토요타(Toyota) DPNR이 있다. NOx 환원을 위해 연료량이 많은 리치 연소가 필요하며, 경유 내 황 성분이 촉매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이 단점이다.

8. 3. 한국의 정책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디젤 자동차에 대한 환경 규제가 시행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1997년에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VI(MARPOL 73/78 ANNEX VI)를 채택하고, 비준국 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발효하는 절차를 거쳐 2000년부터 SOx 규제를 발효하기 시작하여 정기적으로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97] NOx에 대해서는 2005년에 발효된 제1차 규제, 2011년에 발효된 제2차 규제에 이어 전 해역에 적용되는 규제가 시행되었고, 2016년에는 배출규제해역(ECA)에만 극히 엄격한 제3차 규제가 적용될 예정이었다.[97]

참조

[1] 웹사이트 10 Diesel Cars That Time Forgot https://www.autoweek[...] Hearst Autos, Inc. 2021-04-13
[2] 간행물 Critical evaluation of the European diesel car boom - global comparison, environmental effects and various national strategies https://enveurope.sp[...] 2022-12-05
[3] 웹사이트 Every New 2021 Diesel for Sale in the U.S. Today https://www.caranddr[...] 2022-12-05
[4] 웹사이트 The Best 15 Best Diesel Vehicles of 2021 https://cars.usnews.[...] 2022-12-05
[5] 웹사이트 Inside the Diesel Revolution https://www.flyingma[...] 2022-12-05
[6] 웹사이트 Diamond Rolls Out 500th DA40 NG https://www.avweb.co[...] 2020-12-31
[7] 웹사이트 Origin of Diesel Engine is in Fire Piston of Mountainous People Lived in Southeast Asia http://inet.museum.k[...] Jap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02-10-21
[8] 특허 Perfeccionamientos en los motores de combustión interior
[9] 특허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veränderlicher Dauer der unter wechselndem Überdruck stattfindenden Brennstoffeinführung
[10] 웹사이트 Peugeot 403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London 2007-07-10
[11] 웹사이트 Blauer Rauch http://www.spiegel.d[...] Der Spiegel (online) 1976-09-27
[12] 웹사이트 How Volkswagen built a diesel dynasty https://europe.auton[...] Crain Communications, Inc., Detroit MI 2001-05-21
[13] 논문 Toyota's New Microprocessor-Based Diesel Engine Control System for Passenger Cars 1985
[14] 학회발표 SAE Technical Paper Series 1990-02-01
[15] 서적 Thermodynamik der Verbrennungskraftmaschine Springer-Verlag 2009
[16] 서적 Elektromobilität Grundlagen und Praxis; mit 21 Tabellen 2015
[17] 서적 Diesel engine management : systems and components Springer-Verlag 2014
[18] 서적 Diesel engine management : systems and components Springer-Verlag 2014
[19] 서적 Handbuch Dieselmotoren Springer Vieweg 2018
[20] 웹사이트 What Are Diesel Emissions? Diesel Engine Exhaust Emissions https://www.nettinc.[...] 2022-07-09
[21] 학회발표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567 Series General Motors Locomotive Engine https://books.google[...] Electro-Motive Division, General Motors Corporation 1951-11-29
[22] 웹사이트 Could Our Cars Get Two Stroke Diesels? https://www.enginebu[...] Babcox Media Inc. 2015-01-11
[23] 웹사이트 DFPS Brochure http://www.dualfuel.[...]
[24] 서적 Dieselmotor-Management Systeme, Komponenten, Steuerung und Regelung 2020
[25] 웹사이트 IARC: Diesel Engine Exhaust Carcinogenic https://www.iarc.fr/[...]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2012-06-12
[26] 간행물 Gedetailleerde Test: Citroën BX19 TRD 1984-07-05
[27] 서적 Flugmotoren und Strahltriebwerke: Entwicklungsgeschichte der deutschen Luftfahrtantriebe von den Anfängen bis zu den internationalen Gemeinschaftsentwicklungen Bernard & Graefe 1985
[28] 뉴스 FLIES 700 MILES; FUEL COST $4.68; Diesel-Motored Packard Plane Goes From Michigan to Langley Field in Under Seven Hours. ENGINE HAS NINE CYLINDERS Oil Burner Is Exhibited Before Aviation Leaders, Met for Conference. Woolson Reports on Flight. Packard Motor Stocks Rise https://www.nytimes.[...] 1929-05-15
[29] 웹사이트 The Packard DR-980 Radial Aircraft Diesel https://www.dieselwo[...] 2022-12-05
[30] 웹사이트 Packard-Diesel Powered Buhl Air Sedan, 1930 https://www.earlyavi[...] 2022-12-05
[31] 웹사이트 Aircraft Engine Historical Society – Diesels http://www.enginehis[...] 2009-01-30
[32] 웹사이트 Diesel Aviation Engines https://www.enginehi[...] 2022-12-05
[33] 서적 Assessment of New Technology for General Aviation Aircraft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78-09
[34] 웹사이트 Congressman urges FAA to expand use of existing unleaded fuel https://generalaviat[...] 2022-12-06
[35] 웹사이트 Diesels are the Way for GA to Go https://www.linkedin[...] 2022-12-06
[36] 논문 Biodiesel – Just the Basics http://www.eere.ene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7-08-24
[37] 간행물 Powerplant https://www.faa.gov/[...] 2022-12-05
[38] 웹사이트 FLIGHT TEST: Diamond Aircraft DA42 - Sparkling performer https://www.flightgl[...] Collins, Peter 2022-12-05
[39] 웹사이트 Certified Jet-A Engines https://www.continen[...] 2022-12-05
[40] 뉴스 EPS gives certification update on diesel engine https://www.aopa.org[...] 2019-01-23
[41] 논문 Knock criteria for aviation diesel engines https://doi.org/10.1[...]
[42] 뉴스 Army awards 'Warrior' long-range UAV contract http://www4.army.mil[...] Army News Service 2005-08-05
[43] 뉴스 ERMP Extended-Range Multi-Purpose UAV http://www.defense-u[...] Defense Update 2006-11-01
[44] 문서 第2章 高圧化の液滴および液滴列燃焼 http://www.jspacesys[...]
[45] 논문 高過給ディーゼル機関における予混合圧縮着火燃焼の研究 https://hdl.handle.n[...] 大分大学工学研究科
[46] 웹사이트 マツダ「スカイアクティブD」の技術/低圧縮のデメリットを克服 https://car.watch.im[...]
[47] 문서 舶用大型2サイクル低速ディーゼル機関の技術系統化調査 https://sts.kahaku.g[...]
[48] 웹사이트 HCCI(予混合圧縮着火) http://www.nissan-gl[...] 日産自動車
[49]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0]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1]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2]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3]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4] 보고서 総合効率とGHG排出の分析報告書 日本自動車研究所 2011-03
[55] 웹사이트 労働災害事例 タイヤローラーをトラックに積込み中、突然動きだしたローラーに挟まれる https://anzeninfo.mh[...]
[56] Youtube backwards running diesel https://www.youtube.[...]
[57] 웹사이트 Reversing gears of a marine diesel engine http://www.machinery[...]
[58] 웹사이트 Reversing Of Marine Engines http://www.brighthub[...]
[59] 웹사이트 MARINE ENGINES http://www.splashmar[...]
[60] 웹사이트 CLUTCHES AND REVERSE GEARS http://www.tpub.com/[...]
[61] 웹사이트 Operational Information Lost Motion http://www.marinedie[...]
[62] 웹사이트 寒いと軽油が凍るって本当? 意外と知らない寒冷地仕様の軽油に迫る。 https://kurukura.jp/[...] 日本自動車連盟 2023-03-26
[63] 서적 Diesel Engines and Fuel Systems Longman Australia
[64] 웹사이트 FIE system; diesel fuel system; boat fuel system http://www.tb-traini[...] Tb-training.co.uk 2012-06-22
[65] 웹사이트 Intake air matters http://primempg.com/ www.primempg.com 2015-06-07
[66] 서적 Lessons from My Good Old Boat Sheridan House, Inc.
[67] 웹사이트 What is runaway? https://www.carthrot[...]
[68] 뉴스 Here’s How You Quickly Stop a Runaway Diesel https://www.autoevol[...] 2014-10-03
[69] 서적 Diesel Engine Maintenance Training Manual アメリカ海軍艦船局 2015-01-15
[70] 웹사이트 A General Electric ES44AC locomotive in the process of a runaway http://www.railpictu[...]
[71] 서적 Troubleshooting and Repairing of Diesel Engines 第4版 マグロウヒル・エデュケーション 2007-11-05
[72] 뉴스 暴走は製造上の欠陥 三菱自工が7800台リコール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3-07-06
[73] 웹사이트 Controlling Runaway Diesel Engines https://www.pumpsand[...] 2012-05-02
[74] 웹사이트 船舶用のシステム油,シリンダ油とは https://www.juntsu.c[...] 潤滑通信社 2023-03-26
[75] 웹사이트 大型船舶のシステム・シリンダー油 http://www.jalos.jp/[...] 潤滑油協会 2023-03-26
[76] 웹사이트 帝国海軍潜水艦伝習所 - Warbirds http://www.warbirds.[...]
[77] 웹사이트 ガソリンが高い! 世界のガソリン価格はもっと高い! いくらか 日米中、欧州各国比較 https://motor-fan.jp[...] 2023-03-26
[78] 웹사이트 Benefits of a diesel engine in a UTV https://corvus-utv.c[...]
[79] 웹사이트 Stinson model SM-IDX "Detroiter," registration number X7654 :en:Aircraft diesel [...]
[80] 웹사이트 Dair http://www.dair.co.u[...]
[81] 웹사이트 Thielert gains diesel engine certification http://www.flightglo[...]
[82] 웹사이트 TAE_AERO2003 http://www.dglr.de/l[...]
[83] 뉴스 ILA: EADS unveils hybrid eco-helicopter concept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10-06-07
[84] 웹사이트 one of four concepts http://ntrs.nasa.gov[...]
[85] 뉴스 NASA’s electric vertical-takeoff airplane takes first flight, aims to eventually replace the helicopter http://www.extremete[...] ExtremeTech null
[86] 웹사이트 Airbus Helicopters starts flight tests with high-compression engine for cleaner, more efficient and higher-performance rotorcraft https://www.airbushe[...]
[87] 웹사이트 セスナ172P https://alphaaviatio[...]
[88] 웹사이트 セスナ172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搭載機耐空検査に合格 https://alphaaviatio[...]
[89] 웹사이트 ジャプコン、日本初セスナ・ターボ・スカイホークJT-A 5機を海上保安庁に納入|新着情報|株式会社ジャプコン - JAPCON https://www.japcon.c[...] 2021-07-30
[90] 서적 新版 2級土木施工管理技士 受験用図解テキスト5 用語集 土木施工管理技士テキスト編集委員会 1987
[91] 서적 ディーゼル自動車がよくわかる本 山海堂 2006-07-24
[92] 웹사이트 Diesel Engine For Clean Hydrogen Combustion Retrofitted By Engineers - H2 News https://www.hydrogen[...] 2022-10-17
[93] 웹사이트 New System Retrofits Diesel Engines to Run on 90 Per Cent Hydrogen https://hydrogen-cen[...] 2022-10-10
[94] 웹사이트 IARC: DIESEL ENGINE EXHAUST CARCINOGENIC http://www.iarc.fr/e[...]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2-06-12
[95] 웹사이트 IARC: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の発がん性 https://www.jisha.or[...] 中央労働災害防止協会 2012-07-23
[96] 문서 null https://www.env.go.j[...]
[97] 간행물 欧州における極低排出で効率的な舶用エンジンに関する開発動向調査 社団法人 日本舶用工業会 財団法人 日本船舶技術研究協会 2012-03
[98] 간행물 三菱UE大形2サイクルディーゼル機関新シリーズの開発 三菱重工技報 2001-07
[99] 문서 null
[100] 웹사이트 ツネイシクラフト&ファシリティーズ 世界初となる水素燃料フェリーを竣工 https://www.tsuneish[...] 2021-07-29
[101] 웹사이트 水素で船が動くんだって https://www3.nhk.or.[...] 2021-07-29
[102] 서적 天然ガスが日本を救う 日経BP社 2008-09-10
[103] 웹사이트 B.T.L 石油代替燃料の製造システム http://www.microener[...] 2010-04-22
[104] 웹사이트 The Akroyd Oil Engine http://www.oldengine[...] Ray Hooley's—Ruston-Hornsby—Engine Pages 2007-07-29
[105] 서적 Illustrated Encyclopedia of World Railway Locomotives Courier Dover Publications
[106] 웹사이트 Who invented Diesel Engine? http://factbooks.blo[...] 2012-12-17
[107] 웹사이트 Sir Harry Ricardo http://www.oldengine[...]
[108] 웹인용 Diesel injection pumps, Diesel injectors, Diesel fuel pumps, turbochargers, Diesel trucks all at First Diesel Injection LTD http://www.firstdies[...] Firstdiesel.com 2009-05-11
[109] 서적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2 - 자동차디젤기관 도서출판 골든벨 2011-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