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L-8은 1980년대 중국이 이스라엘의 파이썬-3 공대공 미사일을 면허 생산하여 개발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1983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6년 실전 배치되었으며, PL-8A, PL-8B, PL-8H 등 파생형이 존재한다. 듀얼 추력 고체 로켓 모터와 광시야 표적 조준 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최대 마하 4의 속도와 38G 이상의 기동력을 제공한다.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에서 J-8, J-10, J-20 등에 사용되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에서도 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대공 미사일 - PL-9
PL-9은 1986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1989년에 양산된 중국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며, PL-9B, PL-9C, PL-9D 등의 개량형과 지대공 미사일 버전인 DK-9가 존재하고, 최대 유효 사거리는 35km이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대공 미사일 - PL-15
PL-15는 중국 공중 미사일 아카데미에서 개발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2015년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에 실전 배치되어 J-10C, J-16, J-20 등의 전투기에 탑재되어 PL-12를 대체하였으며, 200km 이상의 사거리와 능동 전자 주사식 배열 레이더 탐색기를 장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DF-16
DF-16은 중국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로, 2단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사거리는 1,200km이고 DF-11, DF-15의 후속으로 개발되어 2010년대 초반에 실전 배치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사일 - DF-2
DF-2는 소련 미사일을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탑재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개량형인 DF-2A는 중국 최초의 핵미사일 시스템으로 실전 배치되어 핵확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PL-8 | |
|---|---|
| 개요 | |
![]() | |
| 유형 | 공대공 미사일 및 지대공 미사일 |
| 원산지 | 중국 |
| 사용 국가 | 중국 |
| 제작사 | 시안 동방 기계 공장 및 CATIC |
| 생산 정보 | |
| 생산 기간 | 1988년 ~ 1990년대 |
| 사용 기간 | 1988년 ~ 현재 |
| 설계 및 제원 | |
| 추진체 | 고체 연료 |
| 엔진 | 고체 로켓 |
| 무게 | 115 kg |
| 길이 | 2.95 m |
| 직경 | 160 mm |
| 날개폭 | 800 mm |
| 탄두 | 11 kg 고폭탄 |
| 성능 | |
| 속도 | ≈ 마하 3.5 |
| 사거리 | 20 km |
| 상승 한도 | 21 km |
| 최소 고도 | 0.5 km |
| 유도 방식 및 폭발 | |
| 유도 방식 | 수동 적외선 유도 |
| 폭발 방식 | 충격 / 근접 신관 |
| 발사 플랫폼 | |
| 발사 플랫폼 | 공중 및 지상 |
2. 개발 및 역사
이스라엘 파이썬-3 대공 미사일은 1982년 레바논 전쟁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고, 이를 지켜본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LAAF)은 이 미사일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1980년대에 중국은 PL-8 공대공 미사일(AAM)로 면허 생산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했으며, 1982년 PLAAF는 파이썬-3를 100% 현지 부품으로 생산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러한 기술 이전은 냉전 말기 중국의 미사일 개발 속도를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8호 프로젝트"(八号工程)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며, 1983년 9월 15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PL-8은 1986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이 미사일은 듀얼 추력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넓은 시야각을 가진 표적 조준 장치를 갖추고 있다. 최고 속도는 마하 4에 달하며, 38G 이상의 높은 기동성과 1미터 미만의 정밀한 유도 능력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파이썬-3 대공 미사일이 1982년 레바논 전쟁에서 보여준 성능에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LAAF)은 깊은 인상을 받았다. 1980년대 중국은 파이썬-3의 면허 생산 비용을 지불했으며, 1982년 PLAAF는 이 미사일을 100% 현지 부품으로 생산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 기술 이전은 냉전 말기 중국의 미사일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8호 프로젝트"(八号工程)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며, 1983년 9월 15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1986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PL-8의 국내 제조는 시안에 위치한 시안 동방 기계 공장(西安东方机械厂)이 담당했다. 또한 뤄양(014 기지)에 위치한 612 연구소(2002년 중국 공대공 유도 미사일 연구소(中国空空导弹研究院)로 개명)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 1988년 3월부터 1989년 4월까지 중국으로의 기술 이전이 완료되었고, 면허 조립 및 면허 생산 부품 제작이 계속되었다. 1989년 봄에는 완전히 중국 부품으로 제작된 PL-8이 국가 인증을 받았다.
1993년에는 개량된 국내산 PL-8A가 실전 배치되었고, 1994년부터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 100% 중국 부품으로 제작된 또 다른 변형인 PL-8B는 1984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1989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3. 디자인
중국은 PL-8 운용을 위해 헬멧 장착 조준 장치(HMS) 시스템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조종사는 단순히 바라보는 것만으로 표적을 조준하고 미사일을 발사하는 "룩 앤 슈트(look and shoot)"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 HMS는 이스라엘 엘빗 시스템즈(Elbit Systems)의 DASH(Display And Sight Helmet) 기술을 라이선스 생산한 것일 수도 있고, 중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것일 수도 있으나 정확히 어떤 경우인지는 불분명하다. 또한 이 HMS 개발이 파이썬-3 도입 계약의 일부였는지, 별도의 거래였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원래 파이썬-3 미사일의 탐색기는 항공기의 사격 통제 레이더나 DASH HMS와 연동되어 조준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었다(슬레이브 기능). 하지만 PL-8 도입 초기에는 이러한 기능이 제한적이었다. PL-8은 서방제 레이더와만 호환되었기 때문에, 중국이 보유한 소수의 서방제 레이더, 예를 들어 영국 마르코니 전자 시스템즈(GEC-Marconi)의 스카이레인저 레이더나 이탈리아 FIAR 그리포 시리즈 레이더를 탑재한 청두 J-7 같은 기체에서만 레이더 연동이 가능했다. 대부분의 중국산 레이더를 장착한 항공기에서는 PL-8의 탐색기가 정면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제한은 중국의 차세대 공대공 미사일인 PL-9이 개발되면서 해결되었다. PL-9은 서방제 레이더뿐만 아니라 중국 및 러시아제 레이더와도 호환되는 탐색기를 갖추었다. 이후 PL-9에 적용된 기술이 PL-8에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통합되면서, PL-8 역시 다양한 레이더와 연동하여 원래 파이썬-3과 동일한 수준의 완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4. 파생형
국내 제조는 시안에 위치한 시안 동방 기계 공장(西安东方机械厂)이 담당했으며, 생산은 뤄양(014 기지, 2002년 중국 공대공 유도 미사일 연구소로 개명)에서 이루어졌다. 1988년 3월부터 1989년 4월까지 중국으로의 기술 이전이 완료되었고, 면허 조립 및 부품 생산이 지속되었다. 1989년 봄에는 완전한 중국산 미사일이 국가 인증을 받았다.
1993년에는 개량된 국내산 PL-8A가 실전 배치되었고, 1994년에는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 100% 중국산 부품으로 제작된 PL-8의 변형인 PL-8B는 1984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1989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중국은 통상적으로 미사일이 70% 이상 국산화된 후에 중국식 명칭을 부여하는 관행과 달리, 파이썬-3를 구매할 때부터 PL-8이라는 중국식 이름을 부여했다. 이는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과도하게 드러내지 않고, 이슬람 국가들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PL-8/파이썬-3 AAM은 AIM-9 사이드와인더와 크기가 비슷한 PL-2/PL-5보다 날개 폭이 훨씬 크다. 이 때문에 중국 전투기들은 PL-8 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 확장된 파일론을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새로 배치된 함재기 J-15의 날개 끝 파일론 역시 이러한 목적으로 확장되었으며, 이는 Su-33과 비교했을 때 J-15의 눈에 띄는 외형적 차이점 중 하나이다.[1]
지대공 버전은 중국 항공 기술 수입 수출 공사(CATIC)에서 개발했다. 개발사에 따르면 각 파생형마다 약간의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업그레이드 내용은 명시되지 않았다.
5. 제원
- '''길이:''' 295cm
- '''날개폭:''' 80cm
- '''직경:''' 16cm
- '''무게:''' 120kg
- '''유도방식:''' 적외선 유도
- '''탄두:''' 11kg, 능동 근접 신관
- '''사거리:''' 15km
- '''속도:''' 마하 3.5
6. 운용 현황
- 중국
-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J-8, J-10[2] 및 J-20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 PL-8 Air-to-air Missile Wingspan Issues
http://www.airforcew[...]
2011-10-05
[2]
간행물
Future Force Structure of the Chinese Air Force
https://www.jstor.or[...]
2024-01-22
[3]
웹사이트
A Guide to China's Increasingly Impressive Air-To-Air Missile Inventory
https://www.thedrive[...]
202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