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It Lou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lay It Loud》는 1970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슬레이드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밴드는 데뷔 앨범의 상업적 실패 이후, 매니저 채스 챈들러의 제안으로 스킨헤드 이미지를 시도하며 앨범을 제작했다. 앨범은 싱글 〈Know Who You Are〉와 함께 발매되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했고, 이후 밴드는 스킨헤드 이미지를 버리고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1973년 캐나다에서 발매되어 40위에 올랐다. 앨범에는 밴드의 자작곡과 커버곡이 수록되었으며, 발매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1970년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Meanwhile
10cc의 1992년 앨범 《...Meanwhile》는 재결합 후 게리 카츠와 작업했지만 멤버와 프로듀서 간 불협화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굴드먼과 스튜어트의 파트너십을 끝맺게 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Play It Loud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 |
| 음반 종류 | 스튜디오 |
| 아티스트 | 슬레이드 |
| 발매일 | 1970년 11월 |
| 장르 | 하드 록 |
| 길이 | 34분 05초 |
| 레이블 | 폴리도르 (영국), 코틸리언 (미국) |
| 프로듀서 | 채스 챈들러 |
| 이전 음반 | Beginnings |
| 이전 음반 발매일 | 1969년 |
| 다음 음반 | Coz I Luv You |
| 다음 음반 발매일 | 1972년 |
| 싱글 | |
| 싱글 1 | Shape of Things to Come |
| 싱글 1 발매일 | 1970년 3월 |
| 싱글 2 | Know Who You Are |
| 싱글 2 발매일 | 1970년 9월 |
2. 배경
1969년 데뷔 앨범 《Beginnings》의 상업적 실패 이후, 슬레이드는 매니저 채스 챈들러의 제안으로 이미지 변신을 시도한다.[2] 챈들러는 밴드가 직접 곡을 쓰고 이미지를 바꾸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밴드의 관심을 끌기 위해 스킨헤드 이미지를 연출해야 한다고 결정했다.[2] 기타리스트 데이브 힐과 베이시스트 짐 리는 변경된 이미지에 경악했지만, 밴드는 이 아이디어를 시도하기로 하고 닥터 마틴 부츠, 브레이스, 짧게 자른 머리, 공격적인 "보버 보이" 자세를 채택했다.[2]
《'''Play It Loud'''》는 사이드 1과 사이드 2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밴드의 자작곡으로 채워져 있다. 〈Dapple Rose〉는 노령마에 대한 드러머 돈 파월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곡이다.[7] 돈 파월은 말을 좋아했고, 부모님과 함께 살던 곳 뒤편에 집시들이 캠핑하곤 했던 들판의 말과 당나귀를 보며, 돌봄을 받지 못하는 그들의 모습에 슬픔을 느꼈다고 회상했다.[7]
새로운 이미지와 함께, 앰브로스 슬레이드는 이름을 "The Slade"로 변경했으며, 1969년 10월 싱글 〈Wild Winds Are Blowing〉을 발매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했다.[3] 1970년 3월, 밴드의 다음 싱글인 〈Shape of Things to Come〉이 발매되었지만,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그 결과, 챈들러는 슬레이드를 폰타나 레코드에서 폴리도르 레코드로 옮겼다.[3] 밴드는 다음 앨범을 위해 계속 곡을 녹음했으며, 챈들러는 그룹의 프로듀싱을 맡았다. 이 앨범의 경우, 대부분의 곡이 밴드에 의해 쓰여졌다.
1970년 9월, 〈Know Who You Are〉가 폴리도르에서 밴드의 데뷔 싱글로 발매되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했고, 11월에 발매된 앨범 《Play It Loud》도 마찬가지였다. 그 후, 밴드는 스킨헤드 이미지를 버리기로 결정했고, 1971년 중반 싱글 〈Get Down and Get with It〉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게 된다.[2] 리드 보컬리스트 노디 홀더는 닥터 마틴을 플랫폼 부츠로 바꾸고 더 화려해졌으며, 데이브는 우주복을 입는 등 변화를 겪었다고 회상했다.[2]
1973년 후반, 이 앨범은 캐나다에서 폴리도르에 의해 발매된 후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 40위에 올랐다.[4] 1975년 인터뷰에서 홀더는 ''Play It Loud''가 처음에는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지만, 히트곡을 내기 시작한 지난 4년 동안에도 계속해서 천천히 팔리고 있었다고 언급했다.[5][6]
3. 곡 목록
〈One Way Hotel〉은 싱글 〈Wild Winds are Blowing〉의 B-사이드 곡을 재녹음한 버전으로, 기타 파트에서 더 재즈적인 영향을 받았던 원곡과 달리 《'''Play It Loud'''》에서는 변경되었다.[8]
〈Know Who You Are〉는 데뷔 앨범에 수록되었던 기악곡 〈Genesis〉에 가사를 붙인 곡이다.[9]
〈I Remember〉는 기억 상실을 겪은 남자에 대한 돈 파월의 가사가 특징인데, 1973년 돈 파월이 교통사고로 기억력 문제를 겪은 후 이 가사가 더욱 섬뜩하게 느껴졌다고 한다.[7]
〈Pouk Hill〉은 노디 홀더가 살았던 비치데일 부동산 근처의 랜드마크인 동명의 랜드마크에서 이름을 따온 곡이다. ''Beginnings''의 커버 사진은 눈이 내리는 이곳에서 촬영되었으며, 이 사건은 나중에 이 곡에 영감을 주었다.[2]번호 곡명 작사/작곡 재생 시간 1 Raven 짐 리, 노디 홀더, 돈 파월 2:37 2 See Us Here 리, 홀더, 파월 3:12 3 Dapple Rose 리, 파월 3:31 4 Could I 지미 그리핀, 로브 로이어 2:45 5 One Way Hotel 리, 홀더, 파월 2:40 6 The Shape of Things to Come 배리 만, 신시아 웨일 2:18 번호 곡명 작사/작곡 재생 시간 7 Know Who You Are 짐 리, 노디 홀더, 돈 파월, 힐 2:53 8 I Remember 리, 파월 2:55 9 Pouk Hill 리, 홀더, 파월 2:23 10 Angelina 닐 인네스 2:49 11 Dirty Joker 리, 파월 3:26 12 Sweet Box 리, 파월 3:24
3. 1. 사이드 1
|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 1 | Raven | 짐 리, 노디 홀더, 돈 파월 | 2:37 |
| 2 | See Us Here | 리, 홀더, 파월 | 3:12 |
| 3 | Dapple Rose | 리, 파월 | 3:31 |
| 4 | Could I | 지미 그리핀, 로브 로이어 | 2:45 |
| 5 | One Way Hotel | 리, 홀더, 파월 | 2:40 |
| 6 | The Shape of Things to Come | 배리 만, 신시아 웨일 | 2:18 |
3. 2. 사이드 2
《Play It Loud》의 사이드 2는 〈Know Who You Are〉, 〈I Remember〉, 〈Pouk Hill〉, 〈Angelina〉, 〈Dirty Joker〉, 〈Sweet Box〉로 구성되어 있다. 〈Know Who You Are〉는 짐 리, 노디 홀더, 돈 파월, 힐이 작곡했다. 〈I Remember〉와 〈Dirty Joker〉, 〈Sweet Box〉는 짐 리와 돈 파월이 작곡했다. 〈Pouk Hill〉은 짐 리, 노디 홀더, 돈 파월이 작곡했다. 〈Angelina〉는 닐 인네스가 작곡한 곡이다.3. 3. 일본 '24 비트 리마스터 2006' 보너스 트랙
2006년 일본에서 24비트 리마스터반으로 발매된 ''Play It Loud''에는 세 곡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보너스 트랙은 모두 정규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싱글 곡들이다. 첫 번째 보너스 트랙은 바비 마찬이 작곡한 "Get Down And Get With It"이다. 두 번째 보너스 트랙은 홀더와 리가 작곡한 "Coz I Luv You"이다. 마지막 보너스 트랙은 홀더, 리, 파월이 작곡한 "Look Wot You Dun"이다.4. 평가
발매 당시, NME는 이 앨범을 "공격적"이라고 평가하며 "음악과 슬레이드의 보컬은 그렇게 보이지만, 그들은 능숙하게 볼륨을 조절하여 때로는 조용하다가 청취자에게 소리를 지른다. 리드 보컬은 너무 소리를 지르는 경향이 있지만, 아마 그것이 그룹의 매력일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0] 1991년, Q는 이 앨범이 ''Beginnings''에 이어 "더 빡빡한 그루브"를 가진 사운드를 선보였다고 평했다. 잡지는 "다가올 일의 형태"가 이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느꼈다. 그들은 결론을 내렸다: "이 트랙은 여전히 흥미롭고 호전적으로 들리지만, 나머지는 진정한 불꽃이 부족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이 ''Beginnings''와 함께 그들의 미래 자료보다 "더 진지하다"고 느꼈다. 그들은 결론을 내렸다: "전반적으로, 그들이 유명해진 것을 제외하면 좋은 음반이다."[1] 2006년 Salvo에서 발매한 ''Beginnings''와 ''Play It Loud''를 함께 리뷰하면서, 올뮤직은 또한 이들을 "두 개의 견고하게 훌륭한" 앨범이자 "과소평가된" 앨범이라고 묘사했다. 이 리뷰는 두 앨범 모두 밴드가 "자신의 재능을 파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11]
5. 참여진
- 노디 홀더 - 리드 보컬, 리듬 기타
- 데이브 힐 - 리드 기타, 백 보컬
- 짐 리 - 베이스, 바이올린, 백 보컬
- 돈 파웰 - 드럼
'''추가 참여진'''
- 채스 챈들러 - 프로듀서
- 조지 키안츠 - 엔지니어
- 안톤 매튜스 - 믹싱 엔지니어
- 게레드 맹코위츠 - 사진
- 해미시 앤 구스타브 - 슬리브 디자인
5. 1. 슬레이드
- 노디 홀더 - 리드 보컬, 리듬 기타
- 데이브 힐 - 리드 기타, 백 보컬
- 짐 리 - 베이스, 바이올린, 백 보컬
- 돈 파웰 - 드럼
추가 참여진
- 채스 챈들러 - 프로듀서
- 조지 키안츠 - 엔지니어
- 안톤 매튜스 - 믹싱 엔지니어
- 게레드 맹코위츠 - 사진
- 해미시 앤 구스타브 - 슬리브 디자인
5. 2. 추가 참여진
채스 챈들러는 프로듀서를 담당했다. 조지 키안츠는 엔지니어를 담당했고, 안톤 매튜스는 믹싱 엔지니어를 담당했다. 게레드 맹코위츠는 사진을 담당했다. 해미시 앤 구스타브는 슬리브 디자인을 담당했다.6. 차트
wikitable
| 차트 (1973년) | 최고 순위 |
|---|---|
| 캐나다 앨범 차트 | 40 |
참조
[1]
웹사이트
Slade - Play It Loud Album Reviews, Songs & More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4-01-04
[2]
문서
Beginnings/Play It Loud - 2006 Salvo remaster booklet liner notes
[3]
서적
Slade, Feel the Noize!: an illustrated biography
Omnibus Press
[4]
웹사이트
Slade - Play It Loud (Vinyl, LP, Album) at Discogs
https://www.discogs.[...]
Discogs
1973-08-23
[5]
웹사이트
1975 Press Cuttings
http://www.sladescra[...]
Slade Scrapbook
2017-10-18
[6]
문서
http://www.sladescra[...]
[7]
웹사이트
Don Powell interviews
http://donpowellinte[...]
Donpowellinterviews.blogspot.com
2012-06-23
[8]
웹사이트
CD Album - Slade - B-Sides - Salvo - UK
http://www.45worlds.[...]
45worlds.com
2018-07-30
[9]
웹사이트
Beginnings/Play It Loud - Slade
https://www.allmusic[...]
AllMusic
2006-08-21
[10]
뉴스
NME magazine 19 December 1970
NME magazine
1970-12-19
[11]
웹사이트
Beginnings/Play It Loud - Slade
http://www.allmusic.[...]
AllMusic
2006-08-21
[12]
웹인용
Play It Loud - Slade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