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도르 레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도르 레코드는 1913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설립된 음반사로, 1924년부터 수출 레이블로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 레이블로 성장했으며, 비틀즈를 발굴하기도 했다. 1962년 필립스와 지멘스의 합작으로 그라모폰 필립스 그룹에 편입되었고, 1972년에는 폴리그램의 자회사로 운영되었다. 1998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현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의 레이블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폴리도르 UK는 영국에서 활동하는 주요 레이블 중 하나이며, 일본에서도 폴리도르 레코드가 부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도르 레코드 - Saints & Sinners (화이트스네이크의 음반)
    1982년 발매된 화이트스네이크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Saints & Sinners는 펍 록 스타일로 회귀하여 영국 앨범 차트 9위에 오르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Here I Go Again"은 1987년 재녹음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 비방디의 자회사 -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
    1996년 닥터 드레가 설립한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는 에미넘, 50 센트, 켄드릭 라마 등 영향력 있는 힙합 아티스트들을 배출하고 사회 비판적 메시지로 음악계 흐름을 선도하는 미국의 힙합 음반 레이블이다.
  • 비방디의 자회사 - V2 레코드
    리처드 브랜슨이 버진 레코드 매각 후 설립한 V2 레코드는 독립 레이블 인수 및 유통, 다양한 아티스트 협업, 여러 차례의 소유권 변동을 거치며 에이미 와인하우스, 모비, 더 화이트 스트라이프스 등 대표적인 아티스트들을 배출한 국제적인 음반 레이블이다.
  • 1924년 설립된 기업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 1924년 설립된 기업 - 하쿠호도
    하쿠호도는 1895년 설립된 일본의 광고 회사로, 교육 잡지 광고 중개업으로 시작하여 신문 광고 게재 계약을 통해 성장했으며, 다이코, 요미우리 광고사와 합병 후 해외 기업 인수 및 도쿄 올림픽 관련 입찰 담합 혐의 등으로 논란을 겪었고, 아사히 맥주,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등의 광고를 진행하며 칸 국제 광고제에서 수상했다.
폴리도르 레코드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설립일1913년 4월 2일
설립자알 수 없음
유통자가 유통 (영국 및 프랑스)
인터스코프 캐피톨 레이블 그룹 (미국)
아일랜드 (미국 내 프리-1998 재발매)
리퍼블릭 레코드 (제임스 브라운, MGM 및 Verve 팝 재발매, 미국)
유니버설 뮤직 그룹 (국제)
유니버설 뮤직 재팬 (일본)
장르다양함
국가독일
영국
위치런던, 잉글랜드
웹사이트Polydor 공식 웹사이트
모회사유니버설 뮤직 그룹 (UMG)
추가 정보 (일본)
모회사도이체 그라모폰
설립일1924년
유통사유니버설 뮤직
장르R&B
펑크


소울 음악
추가 정보 (한국)
원어Polydor Records
설립1913년
산업음반
제품알 수 없음
모기업인터스코프 레코드
유니버설 뮤직 그룹
웹사이트http://www.polydor.co.uk/

2. 레이블 역사

폴리도르는 1910년대에 시작되어, 전쟁 후 팝 음악과 클래식 음악 레이블로 성장했다. 베르트 켐페르트가 비틀즈를 발굴하여 "마이 보니"를 녹음했는데, 이는 폴리도르에서 발매되었다.[23][24][25][26][27] 1969년에 미국 지사를 설립했고,[28] 1970년대에는 비지스와 계약했다.[29]


  • 1924년 - 도이체 그라모폰(DGG)의 독립 분사로 설립되었다.
  • 1946년 - DGG는 클래식, 폴리도르는 대중음악 레이블이 되었다.
  • 1962년 - 필립스 레코드(포노그램) 모회사 필립스와 DGG 모회사 지멘스가 음악 자회사에 상호 출자하여 "그라모폰 필립스 그룹(GPG)"을 결성했다.
  • 1971년 - 제임스 브라운이 US 킹 레코드를 떠나 폴리도르와 계약했다.[30]
  • 1972년 - DGG와 포노그램이 경영 통합하여 폴리그램 산하에 들어갔다.
  • 1998년 - 시그램이 폴리그램을 매수, 유니버설 뮤직 그룹과 합병하여 폴리도르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의 레이블이 되었다.

2. 1. 초기

폴리도르 레코드는 1913년 4월 2일 독일 폴리폰-무지크베르케 AG에 의해 라이프치히에서 설립되었고, 1914년 7월 25일에 등록되었다.[3] 이 레이블은 1887년 구스타프 아돌프 브라하우젠과 에른스트 파울 리스너가 설립한 Firma Brachhausen & Riesener가 1870년에 발명된 새로운 기계식 디스크 재생 뮤직 박스 폴리폰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4월 24일, 폴리폰-무지크베르케 AG는 독일 정부로부터 독일 도이체 그라모폰-아크티엔게젤샤프트 레코드 공장과 회사를 인수했다. 독일 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이 소유한 그라모폰을 적의 재산으로 몰수했다.[4]

폴리도르는 원래 폴리폰-그라모폰-콘체른 그룹의 독립적인 지사였으며, 1924년부터 수출 레이블로 사용되었다.[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라모폰 컴퍼니의 영국 지사와 독일 지사가 분리된 후, 도이체 그라모폰은 전쟁 중 손실된 회사를 대체하여 HMV 레코딩을 Electrola 상표로 출시하기 위해 독일에서 니퍼-개와 축음기 상표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5] 그 결과, 독일에서 수출된 도이체 그라모폰 레코드는 폴리폰 무지크 및 폴리도르 레이블로 출시되었다.[5] 오스트리아, 덴마크, 스웨덴, 프랑스 등 새로운 해외 지사가 설립되었다.

1920년대 빈티지 폴리도르 수출 레이블, 이중 경적 축음기 로고 Ave verum corpus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연주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폴리도르 포함)은 지멘스 & 할스케에 인수되었다.[4] 폴리도르는 1946년에 대중음악 레이블이 되었고, 새로운 도이체 그라모폰 게젤샤프트 레이블은 1949년에 클래식 음악 레이블이 되었다.[4] 이전에 사용되던 레이블인 그라모폰은 해산되었다. DGG는 1949년 7월 5일자 계약에 따라 1951년 7월 1일부터 축음기가 있는 니퍼-개를 원래 소유자의 회사인 EMI의 독일 지사인 Electrola에 독점 라이선스를 부여했다.[6] 폴리도르는 언어 및 문화적 문제로 인해 롱 플레이 시대의 나머지 기간 동안 프랑스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클래식 음악을 포함한 도이체 그라모폰의 수출 레이블로 남았다. DGG는 1954년 런던에 폴리도르 레코드(Polydor Records Ltd.)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2. 2. 폴리그 (**PolyGram**) 시절

1962년 필립스(포노그램)의 모회사 필립스와 DGG의 모회사 지멘스가 서로의 음악 자회사에 상호 출자하여 "그라모폰 필립스 그룹(GPG)"을 결성했다.[30] 1972년, 그라모폰-필립스 그룹(GPG)은 폴리그램(PolyGram)을 만들기 위해 재편성되었으며, 이는 폴리도르('''Poly'''dor)와 포노'''그램''''(Phono'''Gram''')에서 유래했다. 폴리도르(Polydor) 레이블은 새로운 회사 아래에서 자회사 레이블로 계속 운영되었다.[13] 1980년대에 폴리도르는 머큐리 레코드(Mercury Records)라는 폴리그램의 자매 레이블에 점점 가려졌음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사업을 계속했다. 폴리도르는 데카 레코드(British Decca)의 팝 카탈로그 관리를 인수했다.[14]

1990년대 초반까지 폴리도르는 부진하기 시작했다. 폴리그램은 이후 폴리도르의 직원과 라인업 대부분을 정리하고, 아일랜드 레코드(Island Records), 런던 레코드(London Records), 아틀라스 레코드(Atlas Records) 및 당시 버브 레코드(Verve Records)를 포함한 폴리그램의 저조한 실적의 임프린트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새로운 "슈퍼 레이블"인 '''폴리그램 레이블 그룹'''(PolyGram Label Group, PLG)의 산하에서 운영하도록 전환했다.

1994년, 아일랜드 레코드가 판매 부진에서 회복되면서 폴리그램은 PLG의 대부분을 해체하여 아일랜드 레코드에 통합했다. 한편, 폴리도르 레코드와 아틀라스 레코드는 합병되어 잠시 "폴리도르/아틀라스"로 불렸으며, 또 다른 폴리그램 자회사인 A&M 레코드(A&M Records)를 통해 운영되기 시작했다. 1995년, 폴리도르/아틀라스는 다시 단순히 폴리도르 레코드가 되었다.

2. 3. 유니버설 뮤직 그룹 시대

1998년, 폴리그램은 시그램에 인수되어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폴리도르의 미국 사업부는 인터스코프-게펜-A&M과 유니버설 레코드로 합병되었고, 해외 지사는 그대로 유지되었다.[28]

오늘날 북미에서 폴리도르 레코드라는 이름과 로고는 주로 1960년대와 1970년대 전성기의 구작 재발매에 사용된다. 아일랜드 레코드는 1998년 이전 폴리도르 발매작의 미국 유통을 담당하고(영국 데카 팝/록 컬렉션의 재발매 포함), 리퍼블릭 레코드제임스 브라운과 MGM 레코드 및 버브 레코드 팝 카탈로그의 재발매를 담당한다. 그러나 2010년대부터 인터스코프 레코드는 아젤리아 뱅크스와 라나 델 레이와 같은 아티스트를 폴리도르와 공동으로 계약했으며, 두 회사의 발매작에서 폴리도르 로고를 볼 수 있다.

2. 4. 폴리도르 내슈빌 (Polydor Nashville)

해럴드 셰드는 1994년 테네시주 내슈빌에 폴리도르 레코드의 컨트리 음악 전문 부서를 설립했다. 폴리도르 내슈빌과 계약을 맺은 아티스트로는 셰인 서튼, 타샤 해리스, 4 러너, 모파츠, 셸리 라이트, 마크 루나, 클린턴 그레고리, 에이미 코모,[15] 1994년 머큐리 내슈빌에서 이적한 토비 키스와 데이비스 다니엘 등이 있다.[16] 내슈빌 부서는 1996년 3월 A&M 내슈빌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같은 해 9월 폴리그램이 모든 내슈빌 사업을 머큐리 이름으로 통합하면서 폐쇄되었다.

2. 5. 폴리도르 UK (Polydor UK)

1972년, 영국의 폴리도르 레코드(Polydor Records Ltd.)는 폴리도르(Polydor Ltd.)로 사명을 변경했다. 1970년대 초, 이 레이블의 주요 수입원은 영국의 성공적인 밴드 슬레이드와 더 뉴 시커스, 그리고 더 후였다.[39]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는 더 후더 잼 (그리고 그 후속 그룹인 더 스타일 카운슬)도 이 레이블에 소속되었다.

폴리도르의 미국 지부는 거의 활동하지 않지만, 영국에서는 테이크 댓, 셰릴, 더피, 걸스 얼라우드, S 클럽, 더 새터데이스, 카이저 치프스, 엘리 골딩, 메이블, 로슨과 같은 아티스트들과 함께 영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레이블 중 하나로 남아 있다. 폴리도르는 또한 픽션 임프린트를 통해 이안 브라운, 브라이트 아이즈, 엘보, 스티븐 프렛웰, 화이트 라이스, 케이트 내시, 스노우 패트롤, 필시 듀크스, 크리스탈 캐슬스와 같은 아티스트들과 함께 강력한 인디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2006년, 폴리도르는 팝 음악 전용 레이블인 페시네이션 레코드를 설립했다. 걸스 얼라우드와 소피 엘리스-벡스터는 새 레이블로 이적했고, 더 새터데이스와 걸스 캔트 캐치와 같은 그룹을 만들었다.

2008년, A&M 레코드 UK가 폴리도르 UK의 임프린트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폴리도르는 롤링 스톤스의 백 카탈로그와 신규 릴리스의 유통권을 확보했다.

폴리도르 UK는 영국 싱어송라이터 레이의 앨범 마이 21st 센추리 블루스와 주요 싱글 중 하나인 이스케이피즘을 이 레이블에서 발매하는 것을 거부했고, 이에 따라 레이는 앨범을 독립적으로 발매했다. 2024 브릿 어워드에서 레이는 폴리도르가 아닌 다른 레이블과 함께 발매한 작품으로 6개의 상을 받았으며, 이는 한 해에 한 아티스트가 가장 많은 후보 지명을 받은 기록을 깼다.

2. 6. 폴리도르 재팬 (Polydor Japan)

1927년 5월 30일, 아난 마사시게는 '''주식회사 일본 폴리도르 축음기 상회'''를 설립하여 폴리도르 레코드의 일본 내 판매를 시작했다.[23][24][25][26][27] 이는 도이치 그라모폰사(폴리도르 레코드)의 일본 내 수입을 담당하던 아난 상회의 아난 시게루가 마츠모토 소노스케, 스즈키 이쿠조(긴자 쥬지야), 기술자 시오자키 나카요시와 함께 독일로 건너가 일본 내 레코드 제조 허가를 취득한 결과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외국어 사용 금지 풍조에 따라 1942년 3월에 회사 이름을 '대동아 축음기 주식회사'로 변경하고, 브랜드명도 일본 음악 부문은 대동아 레코드, 서양 음악 부문은 폴리도르 레코드를 그대로 사용했다. 1943년 12월에는 회사 이름을 '대동아 항공 공업 주식회사'로 변경했다. 1944년 1월 신보를 마지막으로 상업 레코드 신보 발매를 중단했다. 종전 후인 1950년 4월에 '폴리도르 축음기 주식회사'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여러 차례 사명 변경을 거쳤다.

2023년에는 유니버설 J에서 분할되는 형태로 Polydor Records가 부활했다.[20][21] 폴리도르 재팬에서 처음 발매된 음반은 고바야시 토야|小林柊矢일본어의 데뷔 정규 앨범 ''Hiiragi''였다.[22]

폴리도르 재팬은 Perfume Records, Asse!! Records (HY의 전속 레이블), Utahime Records (나카모리 아키나의 전속 레이블) 등 세 개의 하위 레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NHK 레코드의 유통 권한도 가지고 있다.

3. 소속 아티스트

다음은 과거 폴리도르 레코드에 소속되었던 아티스트들의 목록이다.



'''NHK 레코드'''는 일본방송협회(NHK)텔레비전 프로그램 테마송이나 대하드라마의 테마곡, 『모두의 노래』의 악곡, NHK 교향악단의 연주곡 등을 NHK 고유의 레이블로 NHK 서비스 센터가 기획·제작하고, 폴리도르가 위탁받아 판매한 레코드의 레이블명이다.

3. 1. 한국 관련 아티스트

소녀시대[1]

3. 2. 주요 아티스트 (일부)

다음은 폴리도르 레코드의 주요 아티스트 목록이다.
과거 소속 아티스트소울/R&B
록/팝
재즈

3. 3. 과거 소속 아티스트 (일본, 일부)

참조

[1] 뉴스 Jon Mayall Polydor albums https://www.bluesmag[...] 2023-03-13
[2] 웹사이트 Artists https://www.polydor.[...] 2024-07-02
[3] 웹사이트 Schellackplatten Label - Polyphon - Grammophon und Schellackplatten Portal 78rpm http://grammophon-pl[...] 2017-02-17
[4] 웹사이트 EMIL BERLINER STUDIOS - About us - Chronicle http://www.emil-berl[...] 2017-02-17
[5] 서적 Encyclopedia of Recorded Sou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12
[6] 웹사이트 Dg-111.com https://web.archive.[...] 2012-03-05
[7] 웹사이트 The Beatles with Tony Sheridan https://web.archive.[...] 2015-04-19
[8] 웹사이트 Infosite http://www.beatlesou[...] 2015-04-19
[9] 잡지 Beatles collaborator Tony Sheridan dead at 72 https://www.rollings[...] 2013-02-17
[10] 뉴스 One-time Beatles frontman Tony Sheridan dies http://www.nme.com/n[...] 2013-02-18
[11] 서적 All These Years Volume 1: The Beatles Tune In Little Brown 2013
[12] 잡지 College Music Contest Opens Talent Hunt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69-03-15
[13] 웹사이트 Bee Gees - Album Discography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7-02-17
[14] 웹사이트 Ray, Goodman & Brown https://www.allmusic[...] 2023-05-05
[15] 잡지 A&M Nashville a Victim of Country Label Growth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96-09-21
[16] 잡지 Mercury Focuses on Tighter Roster https://archive.org/[...]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94-05-14
[17] 뉴스 Stones ditching EMI for Universal http://news.bbc.co.u[...] 2008-07-25
[18] 뉴스 'I'm angry, I'm raging': how Raye took on her record label – and won https://www.theguard[...] 2021-09-25
[19] 뉴스 Raye: Singer-songwriter makes history winning six Brit Awards https://www.bbc.com/[...] 2024-03-15
[20] 웹사이트 ありがとうスピッツ、20年ぶりに復活したPolydor Recordsが感謝の新聞広告 https://natalie.mu/m[...] 2023-04-03
[21] 웹사이트 ユニバーサル ミュージック、1/1付の役員人事および組織変更と人事異動を発表 {{!}} Musicman https://www.musicman[...] 2022-12-26
[22] 웹사이트 Hiiragi by Kobayashi Touya https://music.apple.[...] 2023-02-15
[23] 웹사이트 トニー・シェリダンとビートルズ http://www.friktech.[...] 2015-07-07
[24] 웹사이트 Infosite http://www.beatlesou[...] 2015-04-19
[25] 잡지 Beatles collaborator Tony Sheridan dead at 72 https://www.rollings[...] 2023-02-16
[26] 뉴스 One-time Beatles frontman Tony Sheridan dies http://www.nme.com/n[...] 2023-02-16
[27] 서적 All These Years Volume 1: The Beatles Tune In Little Brown
[28] 잡지 College Music Contest Opens Talent Hunt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23-02-16
[29] 웹사이트 Bee Gees - Album Discography - AllMusic http://www.allmusic.[...] 2023-03-20
[30] 문서 「リズム&ブルースの死」p.274
[31] 문서 元モーメンツの3人。「スペシャル・レイディ」が1980年にヒット
[32] 문서 スタックスが倒産した後ポリドールからディスコ曲「ドント・レット・ゴー」(1980)のヒットを放っている
[33] 문서 ポリドールの在籍した人種、国籍融合のファンク・バンド
[34] 문서 ポリドール(日)からライブ盤を発表したことあり
[35] 문서 1984年の「パーフェクト・ストレンジャー」がポリドール発売
[36] 문서 アルバム「ポリド-ル・イヤーズ」がリリースされたことがある
[37] 웹사이트 ポリドール https://muuseo.com/c[...] 2023-03-11
[38] 문서 ソニー・ミュージックレコーズ、日本コロムビア、日本フォノグラムとコンパクト・ディスク・ソフト発売
[39] 문서 海援隊、スピッツ、山崎まさよし、山上兄弟のPolydorレーベルロゴ使用
[40] 트위터 spitz30th_UM https://twitter.com/[...]
[41] 뉴스 ありがとうスピッツ、20年ぶりに復活したPolydor Recordsが感謝の新聞広告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23-03-25
[42] 웹사이트 Polydor Records、デビュー33年目のスピッツへの感謝メッセージ広告を公開 https://prtimes.jp/m[...]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2023-03-27
[43] 문서 初期フォークスタイルとロック曲発表、ポリドール在籍
[44] 문서 1983年、ポリドール30周年記念男性新人歌手としてデビュー
[45] 문서 CBS・ソニーレコード/Epicより移籍
[46] 문서 フォーライフ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メントより復帰
[47] 문서 現:トイズファクトリー所属
[48] 문서 プラチナム・レコード
[49] 문서 日本コロムビア、ビクターからのレコード発売
[50] 문서 エレクトレコード、テイチク/ブラックレコードより移籍
[51] 문서 1978年ワンショット契約、2003年から2006年まで在籍
[52] 문서 現:アミューズソフトエンタテインメント所属
[53] 문서 1968年シングル「あなたの面影」、CBS・ソニー在籍後復帰
[54] 문서 ポリスターより移籍、現:ビク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所属
[55] 문서 リズメディア、Rhythmedia Tribeへ移籍
[56] 문서 現:アップフロントワークス/zetima所属
[57] 문서 SMSレコード、東芝EMI、ポリドール、キティMME、徳間ジャパ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Far Eastern Tribe Records、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所属歴
[58] 문서 ポリドール30周年記念女性アイドル歌手としてデビュー
[59] 문서 オフィスオーガスタ、オーガスタレコード所属
[60] 문서 「熱き心に」発売、現:夢レコード所属
[61] 문서 RCAレコードから移籍
[62] 문서 ビーイング専用レーベル“b-gram”、B-Gram RECORDS所属
[63] 문서 プライベートレーベル“JULIE LABEL”設立、EMI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avex trax所属歴
[64] 문서 井上堯之バンドのレーベルプリント
[65] 문서 Risky名義でavex traxよりシングルリリース
[66] 문서 ユニバーサルJ所属時のPolydorマーク使用
[67] 문서 渡辺音楽出版による原盤権所持
[68] 문서 戦前在籍、戦後テイチク移籍
[69] 문서 パブリック・イメージ専用レーベル“Primitive”所属
[70] 문서 ビーイング専用レーベル“b-gram”所属
[71] 회사 요시모토 뮤직
[72] 회사 폴리도르 → 뉴토러스 → BMG 재팬 → 에이벡스
[73] 회사 NEC 애비뉴
[74] 회사 워너 뮤직 재팬
[75] 그룹 세인트 포의 하마다 노리코 & 스즈키 유키에
[76] 회사 에픽 소니 → 머큐리 뮤직 엔터테인먼트
[77] 회사 워너 파이오니어 → TDK 코어 → SMS 레코드 → 반다이 뮤직 엔터테인먼트 → 멜다크 → 맥셀 이큐브 → 유니버설 뮤직 복귀 → 인디즈 전향
[78] 회사 소니 뮤직 레이블즈의 아리올라 재팬
[79] 레이블 비잉 전용 레이블 "b-gram"
[80] 레이블 츠바사 레코즈/아이언 캔들 레이블
[81] 레이블 유니버설 J
[82] 인물 스즈키 유카
[83] 레이블 오거스타 계열
[84] 레이블 엑스터시 계열
[85] 회사 일본 컬럼비아 → 워너 뮤직 재팬
[86] 회사 뉴토러스 → 웹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