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136은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타란툴라 성운 내의 젊은 별무리로, 알려진 가장 크고 밝은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성단은 R136a1을 포함하여 중심 5 파섹 내에 매우 뜨거운 O형 별과 울프-레이예 별을 포함하고 있다. R136은 R136a, R136b, R136c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처음 분해되었으며, R136a는 최대 24개의 구성 요소로 분해되었고, R136a1, R136a2, R136a3는 태양보다 수백만 배 더 밝은 매우 거대한 WNh 별이다. R136은 타란툴라 성운의 에너지를 생산하며, 태양 질량의 45만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0년 발견한 천체 - 944 히달고
944 히달고는 발터 바데가 발견하고 멕시코 독립 영웅의 이름을 딴 소행성으로, 목성과 해왕성 사이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켄타우루스군으로 분류되지만 소행성대 소행성으로도 간주되고, D형 소행성으로 직경 약 52~61km, 표면 알베도 0.028~0.042의 특징을 가진다. - 대마젤란 은하 - 초신성 1987A
초신성 1987A는 1987년 대마젤란 은하에서 발생한 핵붕괴 초신성으로, 푸른 초거성이 폭발하여 중성미자 폭발이 먼저 관측되었고, 중성자별로 추정되는 밝은 먼지구름과 세 개의 고리가 발견되었다. - 대마젤란 은하 - 타란툴라 성운
타란툴라 성운은 대마젤란 은하 내에 위치하며,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활발한 별 생성 지역 중 하나이고, 초신성 1987A와 블랙홀 VFTS 243이 발견된 H II 영역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a3
R136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돛자리 |
거리 | 157 kly (48.5 kpc) |
겉보기 등급 | 9.50 |
나이 | 150만 년 ( 백만 년) |
질량 | 90,000 태양 질량 |
다른 이름 | UCAC2 1803442, SAO 249329, HD 38268, TYC 9163-1014-1, CD-69 324, GC 7114 |
2. 구성
R136 성단은 R136a1을 포함하여 알려진 가장 크고 밝은 별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중심 5 파섹 내에는 가장 뜨거운 O형 별 32개(O2.0–3.5), 다른 O형 별 40개, 그리고 대부분 매우 밝은 WNh형의 12개의 울프-레이에 별이 있다.[4] 150 파섹 내에는 O형 별 325개와 울프-레이에 별 19개가 더 있다.[4] VFTS 682를 포함하여 여러 도주성이 R136과 연관되어 있다.[10]
R136은 처음에는 R136a, R136b, R136c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해되었다. R136a는 얼룩 간섭계를 사용하여 분해되었고, 결국 최대 24개의 구성 요소로 우주 기반 관측을 통해 분해되었으며,[11] R136a1, R136a2, R136a3가 지배적이며, 이 세 별 모두 태양보다 수백만 배 더 밝은 매우 거대한 WNh 별이다.[12]
이름 | 적경[4] | 적위[4] | V[9] (F555W) | 분광형[12] | MV[13] (F555W) | 온도 (K)[12][14] | 광도 (태양 광도) | 질량 (태양 질량) |
---|---|---|---|---|---|---|---|---|
R136a1 | 12.28 | WN5h | −8.18 | 46,000 | 4,677,000 | 196 | ||
R136a2 | 12.80 | WN5h | −7.80 | 50,000 | 3,548,000 | 151 | ||
R136a3 | 12.97 | WN5h | −7.52 | 50,000 | 3,631,000 | 155 | ||
R136a4 | 13.96 | O3 V((f*))(n) | −6.68 | 50,000 | 1,905,000 | 108 | ||
R136a5 | 13.71 | O2I(n)f* | −6.86 | 48,000 | 2,089,000 | 116 | ||
R136a6 | 13.35 | O2I(n)f*p | −6.46 | 52,000 | 1,738,000 | 105 | ||
R136a7 | 13.97 | O3III(f*) | −6.59 | 54,000 | 2,291,000 | 127 | ||
R136a8 | 14.42 | O2–3V[9] | −6.05[9] | 49,500 | 1,479,000 | 96 | ||
R136b | 13.24 | O4If | −7.70 | 35,500 | 2,239,000 | 92 | ||
R136c | 12.86 | WN5h[15] | −7.9[4] | 42,170[15] | 3,802,000[15] | 142[15] | ||
R136은 타란툴라 성운을 밝히는 주요 에너지원이다. 이 성단은 태양 질량의 45만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며, 미래에 구상 성단이 될 가능성이 있다.[6] 백조자리 OB2와 같은 일반적인 OB 성협보다 별의 밀도가 약 200배 더 높다.[7] 성단의 중심부인 R136의 집중 영역은 약 2파섹 정도이며, NGC 2070 전체 성단은 훨씬 더 크다.[7]
3. 속성
R136은 생성된 지 200만 년 미만으로 추정된다.[7][8] 구성원 별 중에는 적색 초거성, 청색 극대거성, 밝은 청색 변광성이 없으며, 초신성으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별도 없다. 가장 밝은 별들은 WNh형, O형 초거성 및 OIf/WN 슬래시 별로, 모두 극도로 질량이 큰 완전 대류 별이다. 성단 외곽에서는 소수의 B형 주계열성이 발견되었지만, 질량이 작고 광도가 낮은 별들은 LMC의 먼 거리에서 밀집된 성단 중심부로부터 분해하기 어렵다.[4]
3. 1. 구성원 별
R136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적경 | 적위 | 겉보기 등급(V) | 분광형 |
---|---|---|---|---|
R136a1 | 12.77 | WN | ||
R136a2 | 13.38 | WN | ||
R136a3 | 12.93 | WN | ||
R136 Ab (SNR B0538-69.2) | 9.59 | SNR | ||
R136 Ac (PSR J0537-6910) | 펄서 | |||
R136b | 13.66 | O4 | ||
R136c | 12.86 | WN |
R136은 생성된 지 200만 년 미만으로 추정된다.[7][8] 구성원 중 진화가 크게 진행된 별은 없으며, 초신성으로 폭발한 별도 없다.
3. 1. 1. R136a
R136a는 R136의 중심부에 위치한 밝은 덩어리이다. 이 덩어리는 8개의 매우 무거운 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3개는 울프-레이에별이고 나머지는 초기 O형 주계열성이다.[9]R136 성단은 R136a1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무겁고 밝은 별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중심부 5파섹 이내에는 가장 뜨거운 O형 별 32개(O2.0–3.5), 다른 O형 별 40개, 그리고 대부분 매우 밝은 WNh형의 울프-레이에 별 12개가 존재한다. 150파섹 이내에는 O형 별 325개와 울프-레이에 별 19개가 더 있다.[4] VFTS 682를 포함한 여러 개의 도주성이 R136과 연관되어 있다.[10]
R136은 처음에는 R136a, R136b, R136c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해되었다. R136a는 얼룩 간섭계를 사용하여 분해되었고, 이후 우주 기반 관측을 통해 최대 24개의 구성 요소로 분해되었으며,[11] R136a1, R136a2, R136a3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세 별은 모두 태양보다 수백만 배 더 밝은 매우 무거운 WNh 별이다.[12]
이름 | 적경[4] | 적위[4] | V[9] (F555W) | 분광형[12] | MV[13] (F555W) | 온도 (K)[12][14] | 광도 | 질량 |
---|---|---|---|---|---|---|---|---|
R136a1 | 12.28 | WN5h | −8.18 | 46,000 | 467.7만L | |||
R136a2 | 12.80 | WN5h | −7.80 | 50,000 | 354.8만L | |||
R136a3 | 12.97 | WN5h | −7.52 | 50,000 | 363.1만L | |||
R136a4 | 13.96 | O3 V((f*))(n) | −6.68 | 50,000 | 190.5만L | |||
R136a5 | 13.71 | O2I(n)f* | −6.86 | 48,000 | 208.9만L | |||
R136a6 | 13.35 | O2I(n)f*p | −6.46 | 52,000 | 173.8만L | |||
R136a7 | 13.97 | O3III(f*) | −6.59 | 54,000 | 229.1만L | |||
R136a8 | 14.42 | O2–3V[9] | −6.05[9] | 49,500 | 147.9만L | |||
R136b | 13.24 | O4If | −7.70 | 35,500 | 223.9만L | |||
R136c | 12.86 | WN5h[15] | −7.9[4] | 42,170[15] | 380.2만L[15] | [15] | ||
4. 갤러리
참조
[1]
논문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 Letter to the Editor
2000-01
[2]
간행물
RMC 136
[3]
논문
The brightest stars in the Magellanic Clouds
1960
[4]
논문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 XI. A census of the hot luminous stars and their feedback in 30 Doradus
2013
[5]
논문
Adaptive Optics Near-Infrared Imaging of R136 in 30 Doradus: The Stellar Population of a Nearby Starburst
[6]
논문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2009
[7]
논문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8]
논문
The R136 star cluster hosts several stars whose individual masses greatly exceed the accepted 150 M⊙ stellar mass limit
[9]
논문
The R136 star cluster dissect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STIS. I. Far-ultraviolet spectroscopic census and the origin of He II λ1640 in young star clusters
[10]
논문
Runaway massive stars from R136: Vfts 682 is very likely a "slow runaway"
[11]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Planetary Camera images of R136
https://authors.libr[...]
1992-11
[12]
논문
The R136 star cluster dissect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STIS. III. The most massive stars and their clumped winds
https://www.aanda.or[...]
2022-04-07
[13]
논문
The R136 star cluster dissect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STIS. II.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st massive stars in R136
[14]
논문
Resolving the core of R136 in the optical
2022-07-26
[15]
논문
An excess of massive stars in the local 30 Doradus starburst
[16]
웹사이트
R136 observed with WFC3
https://esahubble.or[...]
2016-03-17
[17]
Simbad
Simbad data for RMC 136
https://simbad.u-str[...]
[18]
논문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https://ui.adsabs.ha[...]
1998-01
[19]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https://ui.adsabs.ha[...]
2008-06
[20]
논문
The 30 Doradus nebula. I -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
https://ui.adsabs.ha[...]
1985-12
[21]
논문
R136a in the 30 Doradus nebula resolved by holographic speckle interferometry
https://ui.adsabs.ha[...]
[22]
논문
An Empirical Isochrone of Very Massive Stars in R136A
http://www.iop.org/E[...]
[23]
뉴스
Astronomers detect 'monster star'
http://www.bbc.co.uk[...]
BBC News
2010-07-21
[24]
뉴스
Heftiest Star Discovery Shatters Cosmic Record
http://www.space.com[...]
SPACE.com
2010-07-21
[25]
논문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https://ui.adsabs.ha[...]
[26]
논문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http://adsabs.harvar[...]
1998-01
[27]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http://adsabs.harvar[...]
2008-06
[28]
논문
The 30 Doradus nebula. I -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
http://adsabs.harvar[...]
1985-12
[29]
논문
R136a in the 30 Doradus nebula resolved by holographic speckle interferometry
http://adsabs.harvar[...]
[30]
논문
An Empirical Isochrone of Very Massive Stars in R136A
http://www.iop.org/E[...]
2012-08-10
[31]
뉴스
Astronomers detect 'monster star'
http://www.bbc.co.uk[...]
BBC News
2010-07-21
[32]
뉴스
Heftiest Star Discovery Shatters Cosmic Record
http://www.space.com[...]
SPACE.com
2010-07-21
[33]
논문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