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켈빈(kelvin, 기호: K)은 열역학적 온도의 단위로, 1848년 윌리엄 톰슨(켈빈 경)에 의해 절대 온도 눈금의 개념이 제안된 데서 유래했다. 켈빈은 2019년 재정의를 통해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정의되며, 섭씨(°C)와 화씨(°F) 온도와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켈빈은 광원의 색온도, 전자 회로의 잡음 온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유니코드에서는 U+212A에 해당하지만 일반적인 대문자 K(U+004B)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I 기본 단위 - 킬로그램
킬로그램은 질량의 SI 단위로, 2019년 5월 20일부터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되어 더 이상 국제 킬로그램 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 SI 기본 단위 - 미터
미터는 길이의 SI 단위로, 어원은 그리스어 'μέτρον(메트론)'이며, 지구 자오선 길이의 1/40,000,000을 기준으로 정의되었으나 현재는 1초의 1/299,792,458 동안 빛이 진공에서 진행한 거리로 정의되어 일상생활 및 과학,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 온도의 단위 - 섭씨
섭씨는 켈빈에서 273.15를 뺀 값으로 정의되는 국제단위계의 온도 단위로, 켈빈과 함께 사용되며 켈빈 1도와 크기가 같고, 안데르스 셀시우스의 이름을 땄으며, 온도와 온도 간격, 변화량 표시에 사용되고 화씨, 켈빈 등 다른 온도 단위로 환산이 가능하다. - 온도의 단위 - 도 (온도)
도는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 또는 기호로, 섭씨, 화씨, 란씨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각 단위는 고유한 기준점을 가진다. - SI 단위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SI 단위 - 제곱킬로미터
제곱킬로미터는 한 변의 길이가 1킬로미터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000 m², 100 헥타르, 247.105381 에이커와 같으며, 지도에서 축척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면적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활용된다.
켈빈 | |
---|---|
기본 정보 | |
![]() | |
표준 | SI |
물리량 | 온도 |
기호 | K |
명명 유래 | 윌리엄 톰슨, 초대 켈빈 남작 |
2019년 정의 | k ≝ J/K |
단위 변환 | |
SI 유도 단위 | ( − 273.15) °C |
영국/미국 단위 | (1.8 − 459.67) °F |
영국/미국 절대 온도 척도 | 1.8 °Ra |
2. 역사
1848년, 켈빈 경은 논문 "절대 온도 눈금에 관하여"(''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에서 "infinite cold"(절대 영도)를 눈금의 영점으로 하고, 온도 간격은 섭씨와 같도록 하는 온도 눈금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켈빈 경은 당시의 온도계에 의해 절대 영도는 −273 °C에 해당한다고 계산했다.[47] 이 절대 눈금은 오늘날 "켈빈 열역학 온도 눈금"으로 알려져 있다. 켈빈이 계산한 "−273"이라는 수치는 빙점에서의 섭씨 1도당 기체의 팽창률 0.00366의 역수로부터 구한 것이며, 현재 인정되는 값과도 거의 일치한다.
1954년 제10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의 제3결의에서 물의 삼중점을 정확히 273.16켈빈으로 하는 정의가 채택되었다.[48][49]
1967~1968년 제13차 국제도량형총회의 결의 3에서 그때까지의 단위 명칭 "켈빈도"(degree Kelvin)와 기호 °K를 바꾸어 단위 명칭을 "켈빈"(kelvin), 기호를 K로 했다.[45][50] 그리고, 척도가 아니라 단위임을 명시하기 위해 결의 4에서 "열역학 온도의 단위, 켈빈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 온도의 이다"라고 규정했다.[60]
2005년,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정의에 사용하는 물의 동위원소 조성에 대한 보충을 추가했다.[51] 이것은 물의 물리적 성질은 엄밀하게는 그 동위원소 조성의 차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삼중점을 측정하기 위한 물에 대해 특정 동위원소 조성을 지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정된 물은 비엔나 표준 평균 해양수(Vienna Standard Mean Ocean Water, VSMOW)라고 불리는 것으로, 물의 엄밀한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는 경우의 국제 표준물질이 되는 것이다.[52]
2007년, 측온 자문 위원회에서 CIPM에, 그때까지의 정의에서는 20 K 이하와 1300 K 이상에서 충분한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측온 자문 위원회에서는 그때까지의 물의 삼중점에 의한 정의보다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하는 편이 더 좋은 온도의 계량이 가능하고, 저온이나 고온에서의 측정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53] CIPM은 볼츠만 상수를 정확히 1.3806505 × 10-23 J/K로 고정함으로써 켈빈을 정의하는 것을 제안했다.[54] CIPM은 이 제안이 2011년 제24차 CGPM에서 채택될 것을 바랐지만, 제24차 CGPM에서는 이 제안은 SI 기본 단위 전체의 재검토의 일부로 고려해야 한다고 하여, 채택은 2014년 CGPM으로 연기되었다.[55] 제25차 국제도량형총회(CGPM)(2014년 11월 18~20일)에서는 "제시된 데이터는 새로운 SI의 정의를 채택하기에는 충분히 견고하지 않다"고 하여[56], 2018년에 행해지는 다음 제26차 CGPM까지 개정을 연기하기로 했다. 또한 재정의를 위해 필요한 기초 상수의 새로운 데이터는 2017년 7월 1일까지 논문으로서 받아들여진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57]
위의 기초 상수의 새로운 데이터(복수)는 CODATA가 평가하여 SI의 재정의에 필요한 정밀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CIPM은 CGPM에서의 결의안을 2018년 2월에 결정했다.[58]
이 결의안은 2018년 11월 13~16일에 개최된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의 마지막 날인 11월 16일에 결의 승인되었다. 이 켈빈의 정의 변경을 포함한 새로운 SI는 2019년 5월 20일에 시행[59]되었다.
과학적인 관점에서는 이 재정의에 의해 온도의 단위가 다른 SI 기본 단위와 관련지어지고, 어떤 특정 물질로부터도 독립된 안정된 정의를 얻을 수 있다. 실제적인 관점에서는 재정의의 영향은 거의 없다.
일본의 법령상은 계량법 제3조의 규정에 기반한 계량 단위령(1992년 정령 제357호)이 계량 단위령의 일부를 개정하는 정령(2019년 5월 17일 정령 제6호)에 의해 개정되어 2019년 5월 20일에 시행됨으로써 변경되었다.
2. 1. 초기 개념 및 발전
18세기 동안 화씨와 섭씨(이후 셀시우스)를 포함한 여러 온도 눈금이 개발되었다.[1] 이러한 눈금들은 열역학, 원자론, 기체 운동론(절대 영도 개념의 기반)과 같은 현대 과학보다 앞서 등장했다. 1787년부터 1802년까지, 자크 샤를(미발표), 존 돌턴[1],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은 일정한 압력에서 이상 기체의 부피가 온도 변화에 따라 섭씨 0°C와 100°C 사이에서 약 1/273씩 선형적으로 팽창하거나 수축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샤를의 법칙). 이 법칙을 외삽하면 기체가 약 -273°C로 냉각되면 부피가 0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1848년, 켈빈 경은 논문 "절대 온도 눈금에 관하여"(''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에서 "infinite cold"(절대 영도)를 눈금의 영점으로 하고, 온도 간격은 섭씨와 같도록 하는 온도 눈금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켈빈 경은 당시의 온도계에 의해 절대 영도는 −273 °C에 해당한다고 계산했다.[47] 이 절대 눈금은 오늘날 "켈빈 열역학 온도 눈금"으로 알려져 있다.
2. 2. 켈빈 경의 공헌

1848년, 윌리엄 톰슨(William Thomson)은 "절대 온도 눈금에 관하여"(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라는 논문을 발표했다.[2] 톰슨은 훗날 켈빈 경(Lord Kelvin)으로 귀족 작위를 받았다. 톰슨은 이 논문에서 절대 영도를 0으로 하는 절대 온도 눈금의 개념을 제안했다.[47] 그는 당시 온도계를 사용하여 절대 영도가 -273°C에 해당한다고 계산했다.[3] 이 값은 현재 받아들여지는 −273.15 °C 값과 거의 일치한다.

톰슨은 184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온도 °인 물체 에서 온도 − 1)°}}인 물체 로 내려오는 단위 열량이 어떤 수 이든지 간에 동일한 기계적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절대 온도 눈금 설계의 원리를 제시했다.[2]
1854년, 톰슨은 제임스 프레스콧 줄(James Prescott Joule)과의 협력을 통해, 대부분의 목적을 위해 공기 온도계와 일치하는 더 실용적이고 편리한 두 번째 절대 온도 눈금을 공식화했다.[6] 이들은 열 단위의 기계적 등가물을 카르노 함수로 나눈 값을 온도의 수치 척도로 정의했다.[6]
2. 3. 삼중점 표준
제임스 톰슨은 1873년에 물질의 세 가지 상(고체, 액체, 기체)이 평형을 이루는 삼중점 개념을 도입했다.[8] 1954년, 제10차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물의 삼중점을 273.16 K로 정의하는 새로운 국제 표준 켈빈 눈금을 도입했다.[11][12][48][49] 1967/1968년, 제13차 CGPM은 열역학적 온도의 단위 명칭을 "켈빈"(kelvin, 기호 K)으로 변경하고, "켈빈도"(°K)를 폐지했다.[28][13][45][50] 또한 제 13차 CGPM은 결의 4호에서 "열역학적 온도의 단위인 켈빈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과 같다"[14][15]고 정의 하였다.1848년, 켈빈 경은 논문 "절대 온도 눈금에 관하여"(''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에서 "infinite cold"(절대 영도)를 눈금의 영점으로 하고, 온도 간격은 섭씨와 같도록 하는 온도 눈금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켈빈 경은 당시의 온도계에 의해 절대 영도는 −273 °C에 해당한다고 계산했다.[47] 이 절대 눈금은 오늘날 "켈빈 열역학 온도 눈금"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정의에 사용하는 물의 동위원소 조성에 대한 보충을 추가했다.[51] 삼중점을 측정하기 위한 물에 대해 특정 동위원소 조성을 지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정된 물은 비엔나 표준 평균 해양수(Vienna Standard Mean Ocean Water, VSMOW)라고 불리는 것이다.[52]
1983년 미터의 재정의 이후, 켈빈, 초, 킬로그램은 다른 단위를 참조하지 않고 정의된 유일한 SI 단위로 남았다.
2. 4. 2019년 재정의
2005년,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켈빈을 재정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8] 특히, 위원회는 볼츠만 상수(''k''B)를 정확히 의 값을 갖도록 켈빈을 재정의하는 것을 제안했다. 2019년 5월 20일, 미터 조약 144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정의가 공식적으로 시행되었다.[24] 이로써 켈빈은 볼츠만 상수와 보편 상수([[File:Unit_relations_in_the_new_SI_black_arrows_to_K.svg|thumb|280x280px|2019년 SI 단위계 의존성. 켈빈(K)은 볼츠만 상수(''k''B), 플랑크 상수(''h''), 세슘-133 초미세 전이 주파수(Δ''ν''Cs)와 같은 기본 물리 상수와 연관되어 정의된다.])에만 의존하게 되었다.켈빈은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 1 켈빈 = |()()}} |''k''B}}}}}} = |}} |''k''B}}}}}}.
과학적 목적에서, 이 재정의의 주요 장점은 사용된 기술이 볼츠만 상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낮은 온도와 매우 높은 온도에서 더 정확한 측정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정 물질이나 측정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철학적 장점도 있다. 실용적인 목적에서, 재정의는 눈에 띄지 않았다. 273.16 K가 물의 삼중점의 불확실성을 포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유효숫자를 포함하도록 볼츠만 상수에 대해 충분한 자릿수가 사용되었으며,[22] 물은 여전히 높은 정밀도로 0 °C에서 정상적으로 얼어붙는다.[21]
일본의 경우, 계량법 제3조에 기반한 계량 단위령(1992년 정령 제357호)이 개정되어 2019년 5월 20일에 새로운 정의가 시행되었다.
3. 정의
2019년 5월 이후의 "켈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2]
켈빈(기호는 K)은 열역학 온도의 SI 단위이며, 볼츠만 상수 ''k''를 단위 J K⁻¹(kg m² s⁻² K⁻¹과 같음)로 나타낼 때, 그 수치를 1.380649 × 10-23으로 정함으로써 정의된다. 여기서, 킬로그램, 미터 및 초는 ''h'', ''c'' 및 ''∆ν''Cs와 관련하여 정의된다.[33][34] ''h''는 플랑크 상수, ''c''는 진공 속에서의 빛의 속도, ''∆ν''Cs는 133Cs(세슘)의 초미세 구조 전이 주파수이다.
켈빈이 열역학 온도의 단위이므로, 절대 영도는 0켈빈이다. 또한, 섭씨는 켈빈으로 나타낸 수치에서 273.15를 뺀 것으로 정의된다.
대한민국 법령에서는, 계량법 제3조의 규정[35]에 따른 계량단위령에서의 정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
볼츠만 상수를 1.380649 × 10-23 J/K로 하는 것으로 정해지는 온도(켈빈으로 나타낸 온도는 열역학 온도로 하고, 섭씨 또는 도로 나타낸 온도는 섭씨 온도(켈빈으로 나타낸 열역학 온도의 값에서 273.15를 뺀 것)로 한다.)
3. 1. 2019년 이후 정의
2019년 5월 20일부터 켈빈은 볼츠만 상수 ''k''를 1.380 649 × 10-23 J⋅K-1 (kg⋅m2⋅s-2⋅K-1)로 정의함으로써 결정된다.[63] 켈빈(K)은 열역학적 온도의 SI 단위이며, 킬로그램, 미터, 초는 플랑크 상수(''h''), 빛의 속도(''c''), 세슘-133 원자의 초미세 전이 주파수(ΔνCs)를 통해 정의된다.[32][33][34]2005년, 국제 도량형 위원회(CIPM)는 켈빈을 재정의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2019년 SI 단위계 개정에서 볼츠만 상수가 정확히 1.3806505 × 10-23 J/K 값을 갖도록 켈빈을 재정의하는 것을 제안했다.[18] 이 제안은 2018년 말 26차 CGPM에서 ''k''B = 1.380649 × 10-23 J/K 값으로 채택되었다.[18][24]
과학적 목적으로, 재정의의 주요 장점은 볼츠만 상수에 의존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매우 낮은 온도와 매우 높은 온도에서 더 정확한 측정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정 물질이나 측정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철학적 장점도 있다. 켈빈은 이제 볼츠만 상수와 물리 상수에만 의존한다.
: 1 켈빈 = 13.80649 / 6.09110229711386655 × (''h''Δ''ν''Cs / ''k''B)
실용적인 목적으로, 재정의는 눈에 띄지 않았다. 물은 여전히 높은 정밀도로 0 °C에서 정상적으로 얼어붙는다.[21] 재정의 전에는 물의 삼중점이 정확했고 볼츠만 상수는 측정값을 가졌지만,[22] 재정의 후에는 볼츠만 상수가 정확하고 불확실성은 물의 삼중점으로 전달되었다.
새로운 정의는 미터 조약 144주년인 2019년 5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시행되었다.[24]
대한민국 법령에서는, 계량법 제3조의 규정[35]에 따른 계량단위령에서 켈빈을 "볼츠만 상수를 1.380649 × 10-23 J/K로 하는 것으로 정해지는 온도"로 정의한다. 켈빈으로 나타낸 온도는 열역학 온도로, 섭씨 온도는 켈빈으로 나타낸 열역학 온도의 값에서 273.15를 뺀 값으로 정의한다.
3. 2. 이전의 정의 (2019년까지)
절대 영도와 '빈 표준 평균 바닷물'(Vienna Standard Mean Ocean Water, VSMOW)의 삼중점을 정의하면 0도와 간격을 정의할 수 있다.[60] 이 둘은 섭씨를 켈빈을 통해 정의하고 환산할 수 있도록 한다.[60] 절대 영도는 열에너지가 있을 수 없는 어떤 계(system)의 안정된 상태인데 이런 물체는 우주에 존재하지 않는다.[60] 이 상태를 0 K 이라고 하고 -273.15 °C로 정의한다.[60] 물의 삼중점은 273.16 K이며 0.01 °C로 정의한다.[60]이 둘을 이용하여 절대 영도와 273.16도를 정의하므로, 1 켈빈이라는 간격은 절대 영도와 VSMOW의 삼중점의 273.16분의 일이다.[60] 온도가 1 켈빈 상승하는 것과 섭씨 1도 상승하는 것은 같다.[60] 0 K는 -273.15°C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섭씨는 켈빈온도로 켈빈온도는 섭씨로 서로 변환을 할 수 있다.[60]
2019년까지 국제단위계에서 켈빈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60] 이 정의는 아래의 물질량 비율에 따라 엄밀하게 정의된 동위원소 조성을 가진 물에 관한 것이다.[60]
4. 표기 및 사용상의 주의
1967년~68년의 제13차 국제 도량형 총회 이전에는 다른 온도 표기와 같이 도(°)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현재까지 도(°) 기호 없이 로마자 대문자 K만 사용하고 있다.[25][26][27][41] 과거에는 “°K”라고 쓰였지만 현재는 잘못된 표기이다.[37]
영어 등 복수형과 단수형을 구분하는 언어에서는 볼트, 옴 등 다른 SI 단위와 마찬가지로, 수치가 1이 아닐 때는 복수형으로 표기한다(예: “물의 삼중점은 정확히 273.16 켈빈이다”는 "the triple point of water is exactly 273.16 kelvins"가 된다).[38]
다른 대부분의 SI 단위 기호와 마찬가지로, 수치와 단위 기호 사이에는 "99.987 K"와 같이 빈칸을 넣는다.[39][40]
5. 섭씨 및 화씨와의 관계
섭씨 ''t''와 이에 상응하는 켈빈 ''T''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t''/°C = ''T''/K - 273.15
:''T''/K = ''t''/°C + 273.15
화씨 ''θ''와 이에 상응하는 켈빈 ''T''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θ''/°F = (9/5)''T''/K - 459.67
:''T''/K = (5/9)(''θ''/°F + 459.67)
열역학적 온도(기호 ''T'')를 어는점 부근의 ''T''0 = 273.15 K라는 기준 온도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법이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차이를 섭씨 온도(기호 ''t'')라고 한다.[42] 현재 국제단위계(SI) 공식 문서에서는 고유한 명칭과 기호를 가진 22개의 SI 조합단위가 정의되어 있지만, 섭씨는 이 22개 중 하나로, 조합량인 "섭씨 온도"를 나타내는 고유한 명칭을 가진 조합단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43]
따라서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같은 문장에서 섭씨 온도와 켈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다(예: "측정값은 0.01028 °C이고, 불확도는 60 μK"). 이는 1989년 국제도량형위원회 권고 5에서 채택된 1990년 국제온도눈금(ITS-9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켈빈과 섭씨 온도의 온도 간격은 같으며(즉, 켈빈과 섭씨는 같다), SI에서는 섭씨가 "섭씨 온도를 나타내는 켈빈의 특수한 명칭"으로 간주되므로 이러한 표기가 허용된다.[44] 제13차 CGPM 결의 3은 "온도 간격은 섭씨로 표현해도 좋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45] "°C"와 "K"를 함께 사용하는 관례는 과학 분야에 널리 보인다. 단, 섭씨라는 단위는 온도 차이를 나타낼 때만 일관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6]
국제단위계 공식 문서 및 계량법 규정에 따라, 켈빈(K)과 마찬가지로 섭씨(섭씨/°C영어)에도 SI 접두어를 붙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m밀리섭씨/°C영어" 또는 "μ마이크로섭씨/°C영어"와 같은 표기는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5. 1. 섭씨와의 관계
섭씨 온도(''t'')는 켈빈 온도(''T'')에서 273.15를 뺀 값으로 정의된다.[42] 즉, ''t''/°C = ''T''/K - 273.15이다. 켈빈과 섭씨의 온도 간격은 동일하다. 즉, 1 K의 온도 변화는 1 °C의 온도 변화와 같다.[44]열역학적 온도(기호 T)를 어는점 부근의 ''T''0 = 273.15 K라는 기준 온도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법이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차이를 섭씨 온도(기호 ''t'')라고 한다.[42] 따라서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같은 문장에서 섭씨 온도와 켈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다.[44]
제13차 CGPM 결의 3은 "온도 간격은 섭씨로 표현해도 좋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45] "°C"와 "K"를 함께 사용하는 관례는 과학 분야에 널리 보인다. 단, 섭씨라는 단위는 온도 차이를 나타낼 때만 일관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6]
국제단위계 공식 문서 및 계량법 규정에 따라, 켈빈(K)과 마찬가지로 섭씨(섭씨/°C영어)에도 SI 접두어를 붙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m밀리섭씨/°C영어" 또는 "μ마이크로섭씨/°C영어"와 같은 표기는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5. 2. 화씨와의 관계
화씨 온도(''θ'')와 켈빈 온도(''T'')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6. 응용
==== 색온도 ====
켈빈은 광원의 색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61] 색온도는 흑체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약 4000 K 이하 온도의 흑체는 붉게 보이고, 약 7500 K 이상의 흑체는 푸르게 보인다. 색온도는 "일광" 필름 감광재료와 일치하는 약 5600 K의 색온도가 필요한 영상 투사 및 사진 촬영 분야에서 중요하다.[61]
천문학에서 별의 항성 분류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상의 위치는 부분적으로 표면 온도(즉, 유효 온도)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태양의 광구는 5772 K의 유효 온도를 갖는다.
디지털 카메라와 사진 편집 소프트웨어는 편집 및 설정 메뉴에서 종종 K 단위의 색온도를 사용한다. 간단히 말해, 색온도가 높을수록 흰색과 파란색 색조가 강화된 이미지가 생성된다. 색온도가 낮아지면 붉은색, "따뜻한 색"이 더 두드러진 이미지가 생성된다.
==== 잡음 온도 ====
전자공학에서 켈빈은 회로의 잡음 정도(잡음 레벨)를 절대적인 잡음 하한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지표인 잡음 온도의 단위로 사용된다. 저항기의 존슨-니퀴스트 잡음은 볼츠만 상수에서 유도된 열잡음의 일종이며, 프리스 잡음 공식을 사용하여 전기 회로의 잡음 온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6. 1. 색온도
켈빈은 광원의 색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61] 색온도는 흑체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약 4000 K 이하 온도의 흑체는 붉게 보이고, 약 7500 K 이상의 흑체는 푸르게 보인다. 색온도는 "일광" 필름 감광재료와 일치하는 약 5600 K의 색온도가 필요한 영상 투사 및 사진 촬영 분야에서 중요하다.[61]천문학에서 별의 항성 분류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상의 위치는 부분적으로 표면 온도(즉, 유효 온도)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태양의 광구는 5772 K의 유효 온도를 갖는다.
디지털 카메라와 사진 편집 소프트웨어는 편집 및 설정 메뉴에서 종종 K 단위의 색온도를 사용한다. 간단히 말해, 색온도가 높을수록 흰색과 파란색 색조가 강화된 이미지가 생성된다. 색온도가 낮아지면 붉은색, "따뜻한 색"이 더 두드러진 이미지가 생성된다.
6. 2. 잡음 온도
전자공학에서 켈빈은 회로의 잡음 정도(잡음 레벨)를 절대적인 잡음 하한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지표인 잡음 온도의 단위로 사용된다. 저항기의 존슨-니퀴스트 잡음은 볼츠만 상수에서 유도된 열잡음의 일종이며, 프리스 잡음 공식을 사용하여 전기 회로의 잡음 온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7. 유니코드
켈빈 기호(K)는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U+212A에 할당되어 있다.[64] 그러나 이는 레거시 인코딩과의 호환성을 위해 제공되는 호환 문자이며, 유니코드 표준은 일반적인 대문자 K (U+004B)를 대신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62] "다음 세 가지 문자상 기호는 일반 문자와 정준 등가이다: , , and 。 이 세 문자 모두에 대해 일반 문자가 사용되어야 한다."[62]
기호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명칭 |
---|---|---|---|---|
K | U+212A | 켈빈 |
참조
[1]
논문
Kelvin: History
https://www.nist.gov[...]
2018-05-14
[2]
서적
A Source Book In Physics
https://archive.org/[...]
1935
[3]
harvnb
[4]
harvnb
[5]
논문
A History of Thermodynamics: The Missing Manual.
2020-01-07
[6]
서적
A treatise of heat and energy
Springer
2020
[7]
간행물
Planets
Encyclopaedia Britannica
1920-1950
[8]
논문
A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certain relations between the gaseous, the liquid, and the solid states of water-substance
https://babel.hathit[...]
1873
[9]
논문
The triplet point of water
https://pubs.acs.org[...]
1967-09
[10]
웹사이트
Resolution 3 of the 9th CGPM (1948)
https://www.bipm.org[...]
BIPM
[11]
웹사이트
Resolution 3 of the 10th CGPM (1954)
https://www.bipm.org[...]
BIPM
[12]
웹사이트
Resolution 3: Definition of the thermodynamic temperature scale
http://www.bipm.fr/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13]
웹사이트
Resolution 3: SI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www.bipm.fr/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14]
웹사이트
Resolution 4 of the 13th CGPM (1967)
https://www.bipm.org[...]
BIPM
[15]
웹사이트
Resolution 4: Definition of the SI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s://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16]
웹사이트
Resolution 10 of the 23rd CGPM (2007)
https://www.bipm.org[...]
BIPM
[17]
웹사이트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www1.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18]
웹사이트
Draft Chapter 2 for SI Brochure, following redefinitions of the base units
http://www.bipm.org/[...]
CCU
2010-09-29
[19]
보도자료
General Conference on Weights and Measures approves possible changes to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including redefinition of the kilogram.
http://www.bipm.org/[...]
General Conference on Weights and Measures
2011-10-23
[20]
웹사이트
Report on the Meeting of the CODATA Task Group on Fundamental Constants
http://www.bipm.org/[...]
2014-11-03
[21]
웹사이트
Updating the definition of the kelvin
http://www.bipm.org/[...]
BIPM
[22]
논문
The CODATA 2017 values of ''h'', ''e'', ''k'', and ''N''A for the revision of the SI
2018-01-29
[23]
논문
The Boltzmann project
2018-04-01
[24]
웹사이트
Resolution 1 of the 26th CGPM (2018)
https://www.bipm.org[...]
BIPM
[25]
간행물
NIST Guide to the SI {{!}} Chapter 9: Rules and Style Conventions for Spelling Unit Names
https://www.nist.gov[...]
2016-01-28
[26]
웹사이트
Definition of KELVIN
https://www.merriam-[...]
[27]
서적
CERN English Language Style Guide
https://translation-[...]
CERN
[28]
웹사이트
Resolution 3 of the 13th CGPM (1967)
https://www.bipm.org[...]
BIPM
[29]
논문
Writing with SI (Metric System) Units
https://www.nist.gov[...]
2010-01-13
[30]
서적
Chemistry, Student Study Guide: The Study of Matter and Its Chang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1-28
[31]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8.0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15-08
[32]
법률
第26回国際度量衡総会の決定
2019-05-20
[33]
간행물
国際単位系(SI)第 9 版(2019)
https://unit.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計量標準総合センター
2020-03
[34]
설명
[35]
법률
[36]
위키
물의 성질#물리적 성질
null
[37]
서적
국제 문서 국제 단위계 (SI) 제 8판 일본어판 (2006)
null
null
[38]
웹사이트
Rules and style conventions for expressing values of quantities
http://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2-08-27
[39]
웹사이트
SI Unit rules and style conventions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08-02-06
[40]
웹사이트
Rules and style conventions for expressing values of quantities
http://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5-12-13
[41]
논문
Guide for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1-03-05
[42]
웹사이트
켈빈
https://unit.aist.go[...]
(독)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
[43]
웹사이트
표 4 고유의 명칭과 기호를 가진 22개의 SI 단위
https://unit.aist.go[...]
(독)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
[44]
웹사이트
Units with special names and symbols; units that incorporate special names and symbols
http://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6-06-27
[45]
웹사이트
Resolution 3: SI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www.bipm.fr/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08-02-06
[46]
웹사이트
https://unit.aist.go[...]
(독)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
[47]
논문
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
http://zapatopi.net/[...]
2008-02-06
[48]
웹사이트
Resolution 3: Definition of the thermodynamic temperature scale
http://www.bipm.fr/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08-02-06
[49]
서적
국제 문서 국제 단위계 (SI) 제 8판 일본어판 (2006)
null
null
[50]
서적
국제 문서 국제 단위계 (SI) 제 8판 일본어판 (2006)
null
null
[51]
서적
국제 문서 국제 단위계 (SI) 제 8판 일본어판 (2006)
null
null
[52]
웹사이트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www1.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08-02-06
[53]
웹사이트
Report to the CIPM on the implications of changing the definition of the base unit kelvin
http://www.bipm.org/[...]
2011-01-02
[54]
웹사이트
Draft Chapter 2 for SI Brochure, following redefinitions of the base units
http://www.bipm.org/[...]
CCU
2011-01-01
[55]
보도자료
General Conference on Weights and Measures approves possible changes to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including redefinition of the kilogram.
http://www.bipm.org/[...]
국제도량형총회
2011-10-25
[56]
웹사이트
Resolution 1 of the 25th CGPM (2014)
http://www.bipm.org/[...]
International Bureau for Weights and Measures
2014-12-14
[57]
웹사이트
Timetable for the future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http://www.bipm.org/[...]
BIPM
2015-01-00
[58]
웹사이트
Draft Resolution A On the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www.bipm.org[...]
2018-02-06
[59]
웹사이트
Joint CCM and CCU roadmap for the adoption of the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https://www.bipm.org[...]
2019-00-00
[60]
웹사이트
Resolution 4: Definition of the SI unit of thermodynamic temperature (kelvin)
http://www.bipm.fr/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08-02-06
[61]
웹사이트
기술정보
https://www.sugatsun[...]
스가츠네공업
2015-10-29
[62]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8.0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15-09-06
[63]
웹인용
Mise en pratique
https://www.bipm.org[...]
[64]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8.0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15-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