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944 히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44 히달고는 1920년 독일 천문학자 발터 바데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이다. 멕시코 독립 전쟁 관련 인물 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히달고는 13년 9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이 크고 궤도 경사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소행성대 소행성으로 분류되지만, 목성 횡단 천체이자 토성 접근 천체이기도 하다. D형 소행성으로 어둡고 탄소질 표면을 가지며, 직경은 38~61km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0년 발견한 천체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 센타우루스군 - 2060 키론
    2060 키론은 1977년에 발견된 센타우루스군 천체로, 소행성과 혜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혜성 활동을 보이고 고리가 존재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 센타우루스군 - 10199 커리클로
    10199 커리클로는 1997년에 발견된 켄타우루스 천체로, 현재까지 알려진 켄타우루스 중 가장 크며 두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
  • 사람 이름이 붙은 소행성 - 3915 후쿠시마
    3915 후쿠시마는 내부 소행성대에서 태양을 약 3년 10개월 주기로 공전하며, 붉은색을 띠는 P형 또는 C형 소행성으로, 일본의 천문학자 후쿠시마 히사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 사람 이름이 붙은 소행성 - 1134 케플러
    1134 케플러는 태양을 약 4년 5개월 주기로 공전하는 S형 소행성으로, 행성 운동 법칙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의 300주기 사망 기념으로 명명되었으며 지름은 약 3~8km로 추정된다.
944 히달고
기본 정보
2003년 [[VLT (망원경)|VLT]]에서 촬영한 히달고의 모습.
2003년 VLT에서 촬영한 히달고의 모습.
명칭944 히달고
기원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
임시 이름1920 HZ
궤도 정보
소행성군센타우루스
소행성대
특징원거리 소행성체
목성 횡단
토성 횡단
특이
궤도 기준점2019년 4월 27일 (JD 2458600.5)
불확실성0
관측 호97.97 년 (35,784 일)
원일점9.5345 AU
근일점1.9474 AU
긴반지름5.7410 AU
궤도 이심률0.6608
공전 주기13.76 년 (5,024 일)
평균 근점 이각13.078°
평균 운동0.0717 도/일
궤도 경사42.521°
승교점 경도21.420°
근일점 편각56.651°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0.3285 AU
티세랑 매개변수2.0690
물리적 특성
평균 지름52.45±3.60 km
61.4±12.7 km
자전 주기10.063±0.0003 h
스펙트럼형D
알베도0.028
0.042
절대 등급10.77
발견 정보
발견자발터 바데
발견 장소베르게도르프 천문대
발견일1920년 10월 31일
기타 명칭
다른 이름1920 HZ
A920 UB

2. 발견 및 명명

히달고는 1920년 10월 31일 독일 천문학자 발터 바데가 독일 함부르크 베르겐도프 천문대에서 발견하였다. 이름은 1810년 멕시코 독립 선언 및 멕시코 독립 전쟁의 관련 인물 미겔 이달고 이 코스티야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1923년 9월 10일 멕시코에서 있었던 개기일식을 관측하기 위해 방문한 독일 천문학자들은 멕시코 대통령 알바로 오브레곤에게 소행성의 이름을 히달고로 명명할 것을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다.

3. 궤도 및 분류

히달고는 약 13년 9개월(5,024일)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공전 궤도 반장축은 5.74 AU이다. 궤도 이심률은 0.66으로 매우 크며, 경사는 황도면에 대해 43°로 기울어져 있다. 근일점은 1.95 AU로 소행성대 안쪽에 위치하지만, 원일점은 9.54 AU로 토성 궤도 바깥쪽에 이른다. 소행성체 센터는 히달고를 소행성대 소행성으로 분류하지만, 큰 궤도 이심률 때문에 특이한 소행성으로도 분류한다. 히달고는 목성 횡단 천체이자 토성 접근 천체이며, 과거 혜성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1977년 센타우루스군 소행성 2060 키론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전통적인 소행성으로 간주되었다.

히달고의 궤도.

3. 1. 궤도의 진화

히달고는 13년 9개월(5,024일)마다 태양을 1.9–9.5 AU 거리에서 공전한다. 궤도는 0.66의 높은 궤도 이심률과 황도면에 대해 43°궤도 경사를 가지고 있다. 히달고의 궤도 경사는 목성과의 근접 조우로 인해 커졌다고 추정된다. 1922년 히달고는 목성에 0.89 AU까지 접근했었다.[5] 히달고와 목성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는 0.33AU밖에 되지 않는다.

4. 물리적 특성

톨렌 분류 및 버스-데메오 분류에 따르면, 히달고는 어둡고 탄소가 풍부한 D형 소행성이다. 일본 아카리 위성과 NASA의 광역 적외선 탐사기 NEOWISE 임무로 수행된 조사에 따르면, 히달고의 직경은 각각 52.45km와 61.4km이며 표면 알베도는 0.042와 0.028로 낮다. JPL 소천체 데이터베이스는 《혜성과 소행성으로 인한 위험》(톰 게렐스, 1994)을 인용하여 직경을 38km로 제시한다.

1990년대 후반, 전 세계 천문학자 네트워크는 히달고를 포함한 10개 소행성의 자전 상태와 모양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광도곡선 데이터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히달고는 매우 넓은 평평한 영역과 '직사각형' 극점 실루엣을 가진 비볼록 형태이며, 일부 광도곡선에서 날카로운 최솟값이 나타나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5. 탐사

히달고는 1993년 허블 전이 혜성 탐색 계획에 포함된 다섯 소행성체 중 하나였다.[2]

1990년대 후반, 전 세계의 천문학자들은 히달고를 포함해 10개의 소행성의 광도곡선 데이터를 구해 회전 상태와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 히달고는 "매우 넓은 평원과 사각형 윤곽선으로, 볼록하지 않은 형태"를 띤다고 묘사되었다. 광도곡선 일부는 급격한 최대치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소행성이 볼록한 부분 2개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

참조

[1] OED hidalgo
[2] 웹인용 Amateur Astronomers Will Use NASA's Hubble Space Telescope http://hubblesite.or[...] 1992-09-10
[3] 웹인용 Phased Data Plot for: 944 https://web.archive.[...] 2018-10-01
[4]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8-05-27
[5] 웹사이트 JPL Close-Approach Data: 944 Hidalgo (1920 HZ) http://ssd.jpl.nasa.[...] 2009-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