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 마터스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V 마터스부르크는 1922년 창단된 오스트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1988년 마르틴 푸허 회장 취임 이후 젊은 선수 육성에 힘썼다. 2003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여 2020년까지 활동했으며, 2006-07 시즌에는 리그 3위를 기록했다. 2020년 주 재정 지원처였던 코메르치알방크 마터스부르크의 회계 스캔들로 인해 파산하여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LASK
LASK는 오스트리아 린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컵에서 우승한 역사를 가지며, 부침을 겪었으나 재정비 후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구단 - FK 아우스트리아 빈
FK 아우스트리아 빈은 1911년 창단되어 마티아스 신델라를 중심으로 미트로파컵을 제패하고, 나치 독일 합병 시련과 재건을 거쳐 리그를 지배한 황금기를 누렸으며, SK 라피트 빈과의 빈 더비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빈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서던 유나이티드 FC
서던 유나이티드 FC는 2004년 오타고 유나이티드로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 더니든을 연고로 오타고 지역을 대표했으나, 2020년 운영 중단 후 2021년 해체된 축구 클럽이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상주 상무 축구단
상주 상무 축구단은 국군체육부대 예하 프로 축구단으로, 2002년 창단하여 K리그에서 활동하다 2020년 김천 상무 FC로 재창단되기 전 K리그2 2회 우승 및 FA컵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1922년 설립된 축구단 - 교토 상가 FC
교토 상가 FC는 1922년 교토 자광 클럽으로 시작하여 J리그에서 활동하며, 2002년 천황배 우승, J1과 J2리그를 오가다 2021년 J2리그 준우승으로 J1리그에 승격하여 보라색 유니폼을 입고 교세라 산가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22년 설립된 축구단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Socceroos)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22년 데뷔 후 월드컵 진출에 어려움을 겪다 1980년대 후반 '황금 세대'를 맞이하며 성장, 2006년 AFC 가입 후 아시안컵 우승과 월드컵 16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며 여러 국가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SV 마터스부르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SV 바우벨트 코흐 마터스부르크 |
창단 | 1922년 |
해산 | 2020년 |
회장 | 마르틴 푸허 |
홈구장 | 파펠슈타디온, 마터스부르크 |
수용 인원 | 17,100명 |
웹사이트 | SV 마터스부르크 팬 웹사이트 |
시즌 정보 | |
시즌 | 2019–20 시즌 |
리그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최종 순위 | 10위 |
2. 역사
SV 마터스부르크는 1922년에 창단되었으며 파펠슈타디온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03-04 시즌부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했으며, 2013년과 2015년 사이 두 시즌을 제외하고는 분데스리가에 참가했다. 마터스부르크의 인구는 6,300명에 불과했지만, 2004-05 시즌 평균 관중 수는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 2006-07 T-모바일 분데스리가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서 3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
2020년 8월, SV 마터스부르크는 주된 재정 지원처였던 코메르치알방크 마터스부르크가 회계 스캔들로 인해 폐쇄되면서 파산했다.[1]
2. 1. 창단 초기 (1922-1988)
1922년에 창단되었다. 오랫동안 아마추어 수준의 클럽으로 존재했으나, 1960년대에 일시적으로 에어스테 리가(2부)에 소속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부진하여 주로 4부와 5부를 오가는 클럽이었다.[1]2. 2. 마르틴 푸허 회장 취임과 성장 (1988-2003)
1988년 마르틴 푸허 회장이 취임하면서 클럽의 방침이 바뀌어 적극적으로 젊은 선수 육성에 힘쓰게 되었다. 건실한 클럽 운영과 장기적인 팀 강화를 통해 약 15년의 세월을 거쳐 2003년 5부에서 1부 리그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뤘다.[1]2. 3.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시절 (2003-2020)
SV 마터스부르크는 2003-04 시즌부터 2013년과 2015년 사이 두 시즌을 제외하고 2020년까지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했다. 홈 경기에서는 1만 1천 명 이상의 평균 관중 동원 수를 기록했다. 2004-05 시즌의 평균 관중 수는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많았는데, 마터스부르크의 인구가 6,300명에 불과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주목할 만한 기록이다. 2006-07 T-모바일 분데스리가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서 3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2. 4. 파산 및 해체 (2020)
SV 마터스부르크는 주된 재정 지원처였던 코메르치알방크 마터스부르크가 회계 스캔들로 인해 폐쇄된 후 2020년 8월에 파산했다.[1] 이로 인해 클럽은 해체되었다.3. 경기장
4. 역대 성적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오스트리아 컵 |
---|---|---|---|---|---|---|---|---|---|---|
2003-04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8위 | 36 | 9 | 10 | 17 | 39 | 61 | 37 | |
2004-05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2 | 9 | 15 | 48 | 58 | 45 | |
2005-06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7위 | 36 | 12 | 8 | 16 | 40 | 54 | 44 | |
2006-0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위 | 36 | 16 | 7 | 13 | 61 | 58 | 55 | |
2007-0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위 | 36 | 13 | 14 | 9 | 55 | 43 | 53 | |
2008-0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9위 | 36 | 8 | 9 | 19 | 42 | 71 | 33 | 3회전 탈락 |
2009-1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6위 | 36 | 12 | 5 | 19 | 45 | 71 | 41 | 1회전 탈락 |
2010-1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9위 | 36 | 7 | 10 | 19 | 29 | 56 | 31 | 8강 탈락 |
2011-1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8위 | 36 | 9 | 11 | 16 | 41 | 43 | 38 | 2회전 탈락 |
2012-13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0위 | 36 | 9 | 8 | 19 | 36 | 67 | 35 | 3회전 탈락 |
2013-14 | 에르스테 리가 | 6위 | 36 | 11 | 11 | 14 | 53 | 67 | 44 | 3회전 탈락 |
2014-15 | 에르스테 리가 | 1위 | 36 | 21 | 8 | 7 | 69 | 36 | 71 | 3회전 탈락 |
2015-16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9위 | 36 | 10 | 9 | 17 | 40 | 70 | 39 | 8강 탈락 |
2016-1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7위 | 36 | 12 | 7 | 17 | 39 | 54 | 43 | 2회전 탈락 |
2017-1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6위 | 36 | 12 | 10 | 14 | 50 | 56 | 46 | 준결승 탈락 |
2018-1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8위 | 32 | 12 | 7 | 13 | 41 | 48 | 28 | 2회전 탈락 |
2019-2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 | - | - | - | - | - | - | - | - |
5. 유럽 대항전 기록
SV 마터스부르크는 UEFA컵(현 UEFA 유로파리그)에 2회 참가했다. 최고 성적은 2007-08 시즌 UEFA컵 2차 예선 진출이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국가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06–07 | UEFA컵 | 1차 예선 | 폴란드 | 비스와 크라쿠프 | 1–1 | 0–1 | 1–2 |
2007–08 | UEFA컵 | 1차 예선 | 카자흐스탄 | FC 악토베 | 4–2 | 0–1 | 4–3 |
2차 예선 | 스위스 | FC 바젤 | 0–4 | 1–2 | 1–6 |
6.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마틴 부름 | 1991년 7월 1일 ~ 1992년 6월 30일 |
페테르 하니치 | 1992년 7월 1일 ~ 1992년 12월 31일 |
크리스티안 야니치 | 1993년 1월 1일 ~ 1994년 6월 30일 |
카를 로스너 | 1994년 7월 1일 ~ 2000년 9월 14일 |
에른스트 심멜 | 2000년 9월 14일 ~ 2000년 12월 31일 |
귄터 시퍼 | 2001년 1월 1일 ~ 2001년 11월 30일 |
베르너 그레고리치 | 2002년 3월 4일 ~ 2004년 6월 30일 |
무신 에르투랄 | 2004년 7월 1일 ~ 2004년 11월 15일 |
프란츠 레데러 | 2004년 11월 17일 ~ 2013년 6월 10일 |
알프레드 타타르 | 2013년 6월 10일 ~ 2013년 10월 7일 |
프란츠 레데러 (임시) | 2013년 10월 7일 ~ 2013년 12월 20일 |
Ivica Vastić|이비차 바스티치hr | 2013년 12월 20일 ~ 2017년 1월 2일 |
게랄트 바움가르트너 | 2017년 1월 2일 ~ 2018년 7월 25일 |
클라우스 슈미트 | 2018년 8월 26일 ~ 2020년 8월 7일 |
7. 선수 명단
분류:SV 마터스부르크 선수에 속한 선수들에 대한 정보는 해당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역대 주요 선수
선수 | 국적 | 포지션 | 활동 기간 |
---|---|---|---|
로베르트 알머 | Robert Almer|로베르트 알머de | 골키퍼 | 2006-2008 |
크리스티안 푸흐스 | Christian Fuchs|크리스티안 푸흐스de | 수비수 | 2003-2008 |
고체 세드로스키 | Goce Sedloski|고체 세들로스키mk | 수비수 | 2006-2011 |
토마스 살라몬 | Thomas Salamon|토마스 살라몬de | 미드필더 | 2008-2011 |
미하엘 메르츠 | Michael Mörz|미하엘 뫼르츠de | 미드필더 | 2000-2014 |
디트마어 퀴바우어 | Dietmar Kühbauer|디트마어 퀴바우어de | 미드필더 | 2002-2008 |
슈테판 일잔커 | Stefan Ilsanker|슈테판 일잔커de | 미드필더 | 2010-2012 |
오쿠가와 마사야 | 奥川 雅也|오쿠가와 마사야일본어 | 미드필더 | 2017-2018 |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 Milivoje Novaković|밀리보예 노바코비치sl | 공격수 | 2003-2004 |
카르스텐 얀커 | Carsten Jancker|카르스텐 양커de | 공격수 | 2006-2009 |
카림 오니시워 | Karim Onisiwo|카림 오니시워de | 공격수 | 2014-2016 |
슈테판 마이어호퍼 | Stefan Maierhofer|슈테판 마이어호퍼de | 공격수 | 2017-2018 |
참조
[1]
웹사이트
Commerzialbank-Skandal: SV Mattersburg beantragte Konkursverfahren
https://kurier.at/wi[...]
2020-08-14
[2]
웹사이트
SV Mattersburg beantragte Konkursverfahren
https://burgenland.o[...]
2020-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