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KB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KBS는 KBS가 운영하는 지상파 DMB 채널이다. KBS 1TV와 KBS 2TV를 재전송하는 비디오 채널과 KBS 제2FM(쿨FM)을 재전송하는 오디오 채널, 그리고 데이터 채널인 U-KBS CLOVER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KBS 프로그램 재전송 위주로 운영된다. U-KBS는 전국적인 송출 시설망을 갖추고 있으며,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권 등 각 권역별로 송신소와 중계소를 운영한다.

2. 채널 구성

U-KBS는 다양한 형식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채널명송출 형식전송 속도운영 방식비고
HD U-KBS STAR비디오 채널 (DMB)512kbps자체2020년 1월 1일부터 TV 전체 중계 방송에 U-KBS 로고 표출 중지. 지방에서 유일하게 HD DMB 본사 방송 송출.
U-KBS STAR320kbps
U-KBS HEART352kbps2020년 1월 1일부터 U-KBS STAR에 이어 2022년 4월 27일2022년 6월 27일 TV 전체 중계로 인해 자체 편성 중지.
U-KBS MUSICV-Radio 채널 (DMB)128kbps2024년 2월 26일부터 쿨 FM 로고와 프로그램 캡처 화면 삽입으로 변경. 현재는 자체 편성 중지. 2025년 1월 1일 자체 시보, 뉴스 자막, 시종료 중지 예정이며, 본사 쿨 FM 라디오 시보와 시종료를 DMB로 재전송 예정.
U-KBS CLOVER데이터 채널128kbps



각 채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비디오 채널

U-KBS는 U-KBS STAR, U-KBS HEART 두 개의 비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KBS 1TV와 2TV의 프로그램을 재전송하고 있으며, 2020년대 이후로는 전체 중계방송 및 자체 편성이 중지되고 있다.

2. 1. 1. 과거 편성 프로그램

U-KBS는 과거에 다양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시청자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했다. 시사, 교양, 예능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통해 DMB 채널만의 특색을 살리고자 노력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생방송 D-라이브 (종영)
  • 책 읽는 사람들 (종영)
  • 서보배의 출동 노래판 (종영)
  • 버터 잉글리쉬 (종영)
  • 가애란의 알약톡톡 (종영)
  • U-KBS 스페셜 (종영)
  • 박은영, 강유정의 무비무비 (종영)
  • 서경덕의 국가대표 (종영)
  • 엄지인의 시사콜콜 (종영)
  • 차정인의 뉴스풀이 (종영)
  • 이광용의 옐로우카드 (종영)
  • 알약톡톡 2 (종영)
  • 차정인의 티타임 (종영)
  • 인터뷰선물 (종영)

2. 2. 오디오 (V-Radio) 채널

U-KBS는 KBS 제2FM(쿨FM)을 재전송하는 V-Radio 채널 'U-KBS MUSIC'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KBS 제2FM의 프로그램을 재전송하고 있다.

2. 2. 1. 과거 편성 프로그램

2. 3. 데이터 채널

U-KBS는 'U-KBS CLOVER'라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부가 데이터 서비스, 교통정보, 웹 서비스 등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내비게이션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방송 송출 시설망

U-KBS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송출 시설망을 갖추고 있다.

권역송신소 및 중계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송신소)위치
수도권관악산 송신소, 남산 중계소, 불광 중계소, 감악산 중계소, 파평 중계소, 포천 중계소, 용문산 중계소, 하점 중계소, 계양산 중계소, 만월 중계소, 안산 중계소, 광교산 중계소, 운중 중계소, 광주 중계소, 용인 중계소, 이동 중계소, 안성 중계소CH 12B (207.008MHz)20W ~ 2kWHLKA-TDMB경기도, 서울, 인천
강원권대룡산 송신소, 대암산 중계소, 백운산 송신소, 태기산 중계소, 괘방산 송신소, 속초 중계소, 초록봉 중계소, 함백산 중계소CH 13B (213.008MHz)90W ~ 2kWHLKM-TDMB강원도
충청권식장산 송신소, 계룡산 중계소, 우암산 송신소, 금적산 중계소, 영동 중계소, 황간 중계소, 옥마산 중계소, 흑성산 중계소, 원효봉 중계소, 가엽산 송신소, 용두산 중계소, 단양 중계소CH 11B (201.008MHz)90W ~ 2kWHLKI-TDMB대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권모악산 송신소, 적상산 중계소, 노고단 중계소, 무등산 송신소, 영광 중계소, 대둔산 송신소, 양을산 중계소, 망운산 송신소, 구봉산 중계소, 남산 중계소CH 12B (207.008MHz), CH 8B (183.008MHz), CH 7B (177.008MHz)90W ~ 2kWHLKH-TDMB전라북도, 광주, 전라남도
경상권팔공산 송신소, 앞산 중계소, 구미 중계소, 김천 중계소, 학가산 송신소, 일월산 중계소, 경주 중계소, 조항산 송신소, 울진 중계소, 울릉 중계소, 독도 중계소, 황령산 송신소, 녹산 중계소, 양산 중계소, 기장 중계소, 무룡산 송신소, 문수산 중계소, 연화산 중계소, 미포 중계소, 불모산 송신소, 진례 중계소, 함안 중계소, 장군대산 송신소, 감악산 중계소, 삼천포 중계소CH 7B (177.008MHz), CH 9B (189.008MHz), CH 12B (207.008MHz)50W ~ 2kWHLKG-TDMB, HLKB-TDMB대구, 부산, 울산,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권견월악 송신소, 금악 중계소, 광해악 중계소, 삼매봉 중계소CH 13B (213.008MHz), CH 8B (183.008MHz)90W ~ 1kWHLKS-TDMB제주특별자치도



각 권역별 송신소와 중계소는 방송 송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난시청 지역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4. 관련 보기

참조

[1] 뉴스 영광군 전지역 내년 상반기 방송 '난시청 해소' http://www.joongang.[...] 2015-12-23
[2] 웹사이트 2016년 DMB 방송망 시설 확장 및 교체 공사 https://tender.kbs.c[...]
[3] 웹사이트 김천 DMBR 신실 시설공사 https://tender.kbs.c[...]
[4] 웹사이트 방송 장비 2차 구매(DMB 송신ANT 2종) https://tender.kb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