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방송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다.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국영 방송 시기를 거쳐 1973년 공사로 전환되었으며,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민영 방송사를 흡수했다. KBS는 1TV, 2TV, 뉴스 D 등 텔레비전 채널과, 1라디오, 2라디오, 클래식FM 등 다양한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DMB 방송과 해외 방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재원은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구성되며, 정치적 편향성, 수신료 징수 및 사용, 프로그램 관련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법인 (방송통신위원회 소관)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특수법인 (방송통신위원회 소관) - 방송문화진흥회
    방송문화진흥회는 MBC 경영 관리·감독 및 방송문화진흥자금 운용을 수행하며, 방송통신위원회가 임명하는 9명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가 MBC 사장 임명 및 해임 결정권을 가지는 대한민국의 기관이다.
  • 192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BS 제1라디오
    KBS 제1라디오는 1927년에 개국하여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1994년 광고방송을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다.
  • 192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영국방송공사
    영국방송공사(BBC)는 1922년 설립된 영국의 공영 방송사로, 텔레비전, 라디오,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신료를 재원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AFN Korea
    AFN Korea는 한국 전쟁 직후 설립된 미군 방송국으로, 라디오에서 텔레비전 방송으로 확장하며 한국 방송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한미행정협정에 따라 한국 정부의 통제 없이 운영되며 미국 문화를 소개하고 군사정권 시대 언론 통제를 우회하는 역할도 했으며, 현재는 라디오, 위성 TV, 인터넷 라디오 채널 AFN Pacific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방송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이름한국방송공사
로마자 표기Hanguk Bangsong Gongsa
한자 표기韓國放送公社
영어 이름Korean Broadcasting System
로고
한국방송공사 본관 건물
한국방송공사 본관 건물
유형법정법인
산업공영 방송
전신경성방송국 (1927–1932)
조선방송협회 (1932–1945)
설립일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 라디오 방송 시작)
1956년 5월 (텔레비전 방송 시작)
1973년 3월 3일 (공영 방송 기관으로 재설립)
설립자조선총독부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서비스 지역전 세계
주요 인물박장범 (사장 겸 CEO)
주요 상품텔레비전
라디오
웹 포털
소유주대한민국 기획재정부
직원 수4,701명 (2020년 6월 1일 기준)
자회사KBS 미디어
KBS 아트비전
KBS 비즈니스
KBS N
KBS i (2011년 폐쇄)
KBS 시큐리티
E-KBS
KBS 아메리카
KBS 재팬
몬스터 유니온
웹사이트기업 웹사이트
약칭KBS, 한국방송
슬로건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방송 채널 정보
KBS 1TV 개국일1961년 12월 31일
KBS 1TV 위성 채널9번 (HD)
KBS 1TV 디지털 채널지니 TV: 9번
B TV: 9번
U+ TV: 9번
KBS 2TV 개국일1980년 12월 1일
KBS 2TV 위성 채널7번 (HD)
KBS 2TV 디지털 채널지니 TV: 7번
B TV: 7번
U+ TV: 7번
KBS NEWS D 개국일2010년 3월 3일
KBS 제1라디오 개국일1927년 2월 16일
KBS 제2라디오 개국일1933년 4월 26일
KBS 해피FM 개국일2003년 10월 20일
KBS 제3라디오 개국일2000년 1월 1일
KBS 사랑의 소리방송 개국일1995년 12월 20일
KBS 제1FM 개국일1979년 4월 2일
KBS 클래식FM 개국일2007년 4월 16일
KBS 제2FM 개국일1965년 6월 26일
KBS 쿨FM 개국일2003년 10월 20일
KBS 사회교육방송 개국일1972년 8월 15일
KBS 한민족방송 개국일2007년 8월 15일
기타 정보
직원 수 (추정)약 9,000명 ~ 12,000명
시장 정보(방송법에 따라 설립된 공영방송사이므로, 비상장 기업, 사회적 기업단체)
자본금3000억원 (방송법 근거)
매출액2조 500억 원
자산 총액1,800억 대한민국 원 (2012년 결산 기준)
영업 이익800억원 (2021년 공시 기준)
순이익5조 원 (2021년)
주주대한민국 정부, 시청자(수신료 운영체계)+KBS 광고판매에 낙찰된 광고주의 일부자본+대한민국 정부의 보조금
사장박장범

2. 역사

1926년 11월 30일,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설립이 허가되었고, 1927년 1월 20일 시험 방송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2월 16일, 경성방송국이 개국하면서 호출 부호 JODK, 주파수 870킬로사이클, 송신 출력 1kW로 방송을 시작했다.[1] 1932년 4월 7일에는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로 개편되었고, 경성방송국은 경성중앙방송국으로 개칭되었다.

1933년 4월 26일, 경성중앙방송국은 한국어로 제2방송을 시작하고, 기존 방송은 일본어로 제1방송이 되었다. 송신 출력은 모두 10kW였다. 1935년 9월 21일 부산방송국을 시작으로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했으며, 1937년 4월 17일에는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의 송신 출력을 50kW로 증강했다.

1945년 8월 15일 종전의 칙령을 중계 방송했고, 8월 26일에는 소련군이 남북 중계 회선을 차단했다. 9월 9일, 미군이 경성중앙방송국을 접수하고 일본어 방송을 종료하면서 미군의 관리 하에 놓였다. 1948년 8월 6일 대한민국 발족과 함께 조선방송협회는 대한방송협회로 개칭된 후 해산되고 국영화되었다.

1953년 8월 15일, KBS월드라디오의 전신인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이 시작되었고, 1961년 7월 1일 "서울국제방송국"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10월 15일, 박정희 정권에 의해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인 대한방송이 국가에 접수되어 폐국되었다. 12월 31일, 대한방송을 계승하는 형태로 "서울텔레비전방송국"이 개국했다.

1968년 7월 25일, 서울중앙방송국, 서울국제방송국, 서울텔레비전방송국이 통합되어 국영중앙방송국이 발족되었다. 1973년 3월 3일, 방송 사업이 공사화되면서 "한국방송공사"가 발족되었다.[74][75][56] 1976년에는 여의도방송센터 본관 운영을 시작했고, 1979년에는 FM 스테레오 음악 방송을 시작했다.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 정책에 따라 동양방송, 동아방송 등 민영 방송을 통합하고 컬러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81년 2월 2일에는 제3텔레비전, 교육 FM 방송을 시작했고, 1990년 12월 27일 제3텔레비전과 교육 FM 방송을 한국교육개발원으로 이관했다.

2000년에는 라디오 제3방송 "사랑의 소리 방송"을 시작했고, 2001년 3월 3일 "한국방송"이라는 애칭을 도입했다. 같은 해 11월 5일에는 디지털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58] 2004년 10월 31일에는 지역 방송국 통폐합을 실시했다. 2012년 12월 31일, 수도권 지역을 마지막으로 아날로그텔레비전 방송을 종료했다.[59][60]

2. 1. 일제강점기: 경성방송국 (JODK)

1927년 2월 16일,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호출 부호 '''JODK'''를 사용하는 경성방송국(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한국어)으로 시작했다.[1] 한국 최초의 라디오방송이었다.

1932년 조선방송협회(Chōsen Broadcasting Corporation|朝鮮放送協會|Chōsen Hōsō Kyōkai일본어)로 개편되었다.

1935년 경성중앙방송국으로 개칭하고 조선방송협회를 결성, 1936년 부산방송국(JBAK)을 시작으로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지역호출 부호
평양JBBK
청진JBCK
이리JBFK
함흥JBDK
대구JBGK
광주JBHK
대전JBIK
원산JBJK
해주JBKK
신의주JBLK
춘천JBMK
마산JBOK
목포JBNK
성진JBPK
청주JBQK
강릉JBRK



1937년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한국어)이 시작되었다.

2. 2. 해방 이후: 국영방송 서울중앙방송

1945년 해방 이후 서울중앙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대한민국 건국과 함께 국영화되었다.[56] 1947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호출부호 '''HL'''을 인정받았으며, 국영 방송인 '''대한방송협회'''에서 '''KBS'''라는 약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72] 1948년 서울중앙방송국으로 개칭되었다.

2. 3. 텔레비전 방송 시작과 성장

1961년 10월 15일 텔레비전 방송(HLKA-TV)이 개시되었고,[56] 1963년부터 수신료 및 광고 방송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KBS가 독자적으로 수신료를 징수했으나, 이후 공공기관 위탁 징수를 거쳐 1994년부터는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요금에 통합되어 징수되고 있다.[66] 수신료의 일부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와 한국전력공사에 배분된다.[65] 1969년에는 광고 방송이 폐지되고 교육 방송이 시작되었다.

2. 4. 공영방송 전환

1973년 3월 3일, 국영 방송에서 공영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지금의 한국방송공사(KBS)가 창립되었다.[74][75][56] 1976년에는 여의도에 현재의 사옥이 준공되었다.[76][77] 1979년에는 KBS 스테레오(현재 KBS 1FM)가 개국하면서 FM 방송을 시작했다.

2. 5. 1980년대: 언론통폐합과 민주화 운동

1980년 언론통폐합 지침에 따라 동양방송(서울본사 및 부산지국)과 동아방송 등 민간 방송국을 인수 합병했고,[78] 12월 1일부터 텔레비전 컬러 방송을 개시하였다. 같은 날 KBS 제2FM은 광고방송을 폐지했다. 12월 22일에는 KBS 2TV가 컬러방송을 개시했고, 1981년 2월 2일 KBS 3TV를 개국했다. 1981년 3월 7일부터 KBS 1TV, KBS 제1라디오, KBS 제1FM, KBS 2TV, KBS 제2라디오는 광고방송을 시작했다.

1982년 1월 25일 KBS 2TV의 광고 형식이 변경되었고, KBS 1TV의 광고는 스포츠 프로그램, 실황 중계, 영화 등에서 축소되었다. 4월에는 평일 오전 시간대에 블록 광고를 편성하여 광고 시간이 늘어났다. 라디오 채널도 KBS 제1라디오, KBS 제1FM, KBS 제2라디오도 텔레비전 채널과 같이 광고방송을 실시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중반에는 농민, 종교단체들의 "KBS 시청료 거부 운동" 확산을 일으켰지만, 1983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138일간 방영하였다. 1985년 음성다중방송을 처음 실시하였다. 이후 한국방송공사는 국내 대회의 주관방송사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1985년 5월 1일 KBS 1TV는 술 광고를 폐지했고, 오후 시간대(20:00 ~ 22:30)의 광고방송을 줄였다.[79]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을 주관 방송했다. KBS 1TV는 1986년 7월 평일 오후 블록광고(20:30~20:35)를 폐지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주관 방송했고, 릴 테이프 입출력 방식의 대형 컴퓨터, 위성 송출 장비, 텔레텍스트, 크로마키 스튜디오 등이 외국 취재진들을 위해 완비된 최첨단 올림픽 프레스 센터 건물을 개관하였다. KBS 1TV는 1988년 ~ 1989년 오전에 뉴스를 시작할 때 광고방송을 방영했다.[80]
KBS 중계차
1983년 특별 생방송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는 2015년 10월 9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6]

2. 6. 1990년대: 민영방송 분리와 수신료 제도 변화

1990년 12월 27일, KBS 3TV와 교육 FM이 KBS에서 분리되어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설립되었다.

1994년 텔레비전 수신료 제도 개정 이후 1TV제1라디오는 광고 방송을 중단했다.[57]

1990년 4월 KBS 본사 앞에서 기자들이 시위하는 모습

2. 7.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전환과 국제화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의 주관 방송을 실시하였다. 2011년에는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대회 주관방송을 맡아 3D 중계방송을 실시했고, 2012년에는 여수 엑스포의 주관방송을 실시했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ITU 전권회의를 주관방송하였으며, 해외 대상 24시간 방송 서비스인 KBS WORLD 24가 출범하였다. 2017년에는 한국방송 개시 90주년을 맞았다.

2018년 4월 양승동 사장 취임 이후 정치와 자본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려는 노력이 이어졌으며, 이러한 노력은 2019년 11월 KBS 방송 편성규약 개정으로 결실을 보았다.[87] 2018년 6월, KBS는 킨텍스에서 열린 2018년 남북정상회담의 주관 방송사 역할을 수행했다.[7]

2021년 7월 19일에는 KBS 다채널 방송이 개국되었다.[87] 9-2 채널은 KBS NEWS D로 전환, 9-3 채널은 KBS 제1라디오의 보이는 라디오와 독도 실시간 라이브로 활용, 7-2 채널은 9월 30일까지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8월 31일에는 9-2 채널을 24시간 재난전문채널 신설 계획을 발표하였다.[88]

2001년 HD 방송을 처음 시작한 KBS는 2012년 완전한 디지털 방송 전환을 완료했다. 2013년, KBS 월드 라디오는 창립 60주년을 기념했고, KBS 월드 TV는 개국 10주년을 기념했다. 2014년, 주로 해외 거주 한국인을 위한 KBS 월드 24가 개국했다. 2015년, KBS는 '이산가족 찾기' 특별 생방송 아카이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영예를 안았다. 2017년, KBS는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방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9년 5월, KBS는 비상시 긴급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재난 방송 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

3. 운영 현황

KBS는 한국 정부와 방송 수신료로 운영되는 독립 공영 방송이다. KBS 매출의 약 49%는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텔레비전 수신료 2,500 에서 나오며, 18.7%는 상업 광고 판매에서 발생한다.[8]

KBS는 본사 외에 18개의 지역 방송국, 12개의 해외 지국을 두고 있으며, KBSN, KBS 비즈니스, KBS 미디어 등 8개의 자회사를 통해 KBS 콘텐츠를 관리한다.

KBS 쿨FM 라디오 스튜디오

3. 1. 조직 구조

2020년 11월 기준, KBS인력현황 공사


KBS는 한국 정부와 방송 수신료로 운영되는 독립적인 공영 방송이다.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KBS 사장은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한다. 한국의 정당들은 KBS 이사회 구성원을 지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8]

이러한 시스템은 정치인들에게 KBS 사장과 이사회 구성원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통제권을 부여하여, KBS 운영에 대한 정치적 개입을 불러일으킨다는 비판이 있다.[8]

KBS는 독립성 유지를 위해 2018년부터 '공영 자문단'을 설립하여 사장 및 최고경영자 선임 과정에 참여시키고 있다. 공영 자문단은 발표, 패널 토론, 면접을 통해 사장 후보들을 심사하며, 이사회가 추천한 후보를 대상으로 한다. 최종 임명은 대통령이 한다.[8]

KBS는 2019년 3월 1일 조직 개편을 통해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 디지털 업무 흐름 개선, 시청자 서비스 향상을 추진했다. 콘텐츠 제작 2본부를 신설하여 제작, 마케팅, 콘텐츠 사업을 담당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작 기능의 창의성을 높이고 의사결정 과정을 간소화하여 뛰어난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8]

전략기획본부 산하에 공영방송전략팀을 신설하여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KBS의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게 했다. 프로그램본부의 디지털미디어부서 역할이 확대되었고, 보도본부 산하 디지털뉴스부서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시청자센터'는 KBS 사장 직속의 임원 부서가 되어 시청자 서비스 향상과 시청자 참여 기회 확대에 주력한다. 지역 방송국의 자율성 확대 요구에 따라 지역방송국 운영은 KBS 부사장 직속으로 개편되었다.[18]

3. 2. 재정

KBS의 수신료 제도는 1961년 텔레비전 방송 개시와 함께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KBS가 독자적으로 수신료를 징수하다가, 1994년부터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요금에 추가하여 징수하고 있다. 수신료의 일부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와 한국전력공사[65]에 배분된다.[66]

현행 제도는 수신료 징수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수신료의 공평한 부담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징수 제도로 수신료 수입이 증가했고, 광고 수입도 증가했기 때문에 월 2,500으로 20년 이상 유지되고 있다.[67] 2023년 6월, 대통령실은 한국전력의 전기요금과 분리하여 KBS 수신료를 징수하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권고했다.[68]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KBS 수신료 보이콧 운동이 일어났다. 이 수신료 불납 운동으로 당시 KBS는 수신료 수입이 50%나 감소하여 KBS 경영에도 큰 타격을 입었다. 언론 통폐합으로 인한 매체·조직의 비대화로 수신료 수입만으로는 운영이 어려워져 국영기업을 통해 광고를 유치하여 그 수입으로 부족분을 메우는 상황이었다.[69]

KBS 매출의 약 49%는 2,500 의 의무적인 텔레비전 수신료에서 나오며, 나머지 18.7%는 상업 광고 판매에서 발생한다.[8]

3. 3. 지역국

인천광역시
경기도본부 직할경인센터 (수원)강원특별자치도춘천원주, 강릉영월, 태백, 속초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대전공주충청북도청주충주전라북도전주군산 (구 서해방송), 남원광주광역시
전라남도광주목포, 순천여수대구광역시
경상북도대구안동, 포항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부산울산경상남도창원진주제주특별자치도제주서귀포


3. 4. 방송 제작 시설

1974년 4월 착공하여 1976년 11월 1일 준공된 본관은 TV스튜디오 7개, 라디오스튜디오 19개 등 최신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라디오센터, 시사교양, 외주제작파트의 사무실이 위치하고 있다.

1985년 12월 착공되어 1988년 6월 완공된 신관은 서울 올림픽의 국제종합방송센터(IBC)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건축되었으며, 올림픽 폐막 이후에는 방송 제작 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4개의 TV스튜디오, 2천 석 규모의 공개홀이 있으며, 현재 보도본부를 비롯한 예능본부, 드라마본부, 시사교양본부, 외주제작파트 등이 사용하고 있다.

1977년 11월 착공된 별관은 1980년 4월 14일 준공되어 동양방송의 본사로 사용되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 조치로 동양방송의 여의도 사옥을 인수받아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1991년 9월 7일 개관한 KBS홀은 1,660석 규모의 종합 공연장으로, 가변식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가 설치되어 있어 오페라, 발레, 뮤지컬 등의 공연과 방송사 주최 대규모 특집 프로그램, 시상식 등에 이용되고 있다.

2000년 준공된 수원센터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작·미술·편의 시설과 오픈세트장, 특수촬영장 및 관련 부대시설로 구성된 종합영상제작단지이다. KBS 1TV의 경기 및 인천 지역 보도 업무를 전담하는 지역 방송국인 KBS경인방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4. 역대 사장

역대성명임기비고
제1·2대(故) 홍경모1973년 2월 21일 ~ 1979년 2월 22일
제3대(故) 최세경1979년 2월 22일 ~ 1980년 7월 28일
제4·5대이원홍1980년 7월 28일 ~ 1985년 2월 19일
제6대박현태1985년 2월 19일 ~ 1986년 8월 29일
제7대(故) 정구호1986년 8월 29일 ~ 1988년 11월 3일
제8대(故) 서영훈1988년 11월 3일 ~ 1990년 4월 9일사퇴
제9대(故) 서기원1990년 4월 9일 ~ 1993년 3월 17일사퇴
제10·11대홍두표1993년 3월 18일 ~ 1998년 4월 1일사퇴
제12·13대(故) 박권상1998년 4월 20일 ~ 2003년 3월 24일원로 언론인, 사퇴
제14대서동구2003년 3월 25일 ~ 2003년 4월 2일사퇴
제15·16·17대정연주2003년 4월 25일 ~ 2008년 8월 11일동아일보 기자, 해임
제18대이병순2008년 8월 27일 ~ 2009년 11월 23일공채 기자
제19대김인규2009년 11월 24일 ~ 2012년 11월 23일공채 기자
제20대길환영2012년 11월 24일 ~ 2014년 6월 10일공채 프로듀서, 해임
제21대조대현2014년 7월 28일 ~ 2015년 11월 23일공채 프로듀서
제22대고대영2015년 11월 24일 ~ 2018년 1월 23일공채 기자, 해임
제23·24대양승동2018년 4월 9일 ~ 2021년 12월 9일공채 프로듀서[91]
제25대김의철2021년 12월 10일 ~ 2023년 9월 12일공채 기자, 해임
제26대박민2023년 11월 12일 ~ 2024년 12월 9일문화일보 기자
제27대박장범2024년 12월 10일 ~공채 기자


5. 역대 이사진

(대수)이사장1기, 2기노정팔3기김태길4기김채윤, 이세중5기지명관6기이종수7기김금수, 유재천8기손병두9기, 10기이길영, 이인호11기, 12기, 13기김상근14기남영진15기, 16기서기석


6. 로고

1984년 8월 1일 전문 디자인 기업인 디자인포커스에서 제작한 현재의 폰트는 1984년 10월 29일부터 사용되었다. 1984년 10월 새로운 폰트와 동시에 원형태극문양과 사람의 눈 모양으로 세계와 한국과 전파를 표현하였다.[92] 6개의 선으로 된 로고와 4개의 선으로 된 로고가 있으며, 1985년 11월 4일 통합로고가 추인되었다.

7. 층별 안내

층별지명
9층창고
8층보도본부, 아나운서본부
7층감사실장, 기획감사부, 콘텐츠제작감사부, 사업/인프라감사부, 대외협력국, 대외협력부, 커뮤니케이션부
6층사장, 감사, 부사장, 전략기획실장, 제작2본부장, 기술본부장, 경영본부장, 비서실, 인적자원실장, 인사운영부, 노사협력주간, 노사협력부, 국제협력부, 혁신추진부, 대회의실
5층라디오센터장, 라디오편성기획국, 1라디오국, 2FM부, 2라디오부, 1FM부, 남북교류협력단, 남북교류협력부, R국제방송부, 라디오기술국, 라디오기술 총감독1, 경영정보국, 경영정보부, 정보인프라부, 교향악단, 투브 RS-1~17, R주조, 성우실
4층콘텐츠아카이브부, 라디오기획부, 라디오편성부, 디지털오디오부, 한민족방송부, 라디오기술 총감독2, 시설관리부, 라디오생방센터(1라디오, 1FM(Classic FM), 한민족방송, 월드 라디오)
3층전략기획국, 전략기획부, PSM전략부, 예산국, 예산부, 인사기획부,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2부, 제작기획2부, 콘텐츠프로모션부, TV기술국, TV기술 총감독1~4, 후반제작부, 음향디자인실, TS-6~7, 제작편집실-1~9, 인터뷰룸, 제1회의실
2층성평등센터, 성평등부, 시청자센터, 시청자서비스부, 경영관리국, 총무부, TS-1~5, 출연자분장/대기실, 라디오생방센터(2라디오(Happy FM), 2FM(Cool FM), 교통정보센터, 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
1층안전관리실, 도서관, 의무실, 치과, KBS 시큐리티, 방송차량서비스
지하 1층본관식당, 아나운서교육장, 사진스튜디오
지하 2층지하주차장


8. 방송 현황



한국방송공사(KBS)는 텔레비전,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그리고 국제 방송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은 2012년 12월 31일을 기점으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비무장지대 인근에서는 UHF 아날로그 방송(SECAM D/K 표준)이 비공식적으로 유지되고 있다.[14]

KBS는 여러 채널을 운영하고 있지만, 지역별로 시청 가능한 방송 체계는 다를 수 있다.



케이블·위성·IPTV 서비스 채널인 KBS N은 KBS drama, KBS joy, KBS N Sports, KBS Story, KBS Kids, KBS Life, KBS N Plus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료 방송 서비스이다.[15][16]

KBS 월드는 해외 시청자를 위한 국제 방송 서비스로, 2003년 7월 1일에 개국했다. 뉴스, 스포츠, 드라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4시간 방송하며, 전 세계 32개국에서 시청 가능하다. 해외 자회사로는 KBS 아메리카와 KBS 재팬이 있다. KBS 재팬은 일본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일본어 자막이 제공된다. KBS 월드 텔레비전은 주로 KBS 1TV와 KBS 2TV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국제 통신 및 방송 위성을 통해 배포된다. 2007년 유튜브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20년 4월 기준 소셜 미디어 구독자 수는 2,000만 명을 넘어섰다. KBS 월드의 자회사 채널인 KBS 코리아(이전에는 KBS World 24)는 해외 거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다.

KBS 라디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여러 계층의 청취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채널은 특정 주제와 청취자 층에 맞춰져 있으며, 일부 채널은 광고 없이 운영된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 조치로 인해 KBS가 다른 민영 방송사들을 흡수 합병하면서 라디오 채널이 더욱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동양방송KBS 제2라디오 등으로, 동아방송은 KBS 라디오 서울(이후 SBS로 이관)로 전환되었다.

KBS 라디오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포함한 수도권을 본사 직할로 운영하고 있다.

DMB 채널은 다음과 같다.

8. 1. 텔레비전

; 일반광고 (O).(X) 현재

; 디지털TV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비고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1TV2TV1TV2TV
관악산 송신소CH 52CH 565kWCH 15CH 172.5kW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남산 중계소CH 52CH 565kWCH 22CH 455kW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불광 중계소CH 52CH 56900WCH 26CH 2890W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93]
백련 중계소CH 52CH 56900WCH 20CH 5190W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93]
장위 중계소CH 52CH 56900WCH 38CH 4790W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93]



;'''아날로그TV'''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방송 종료)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비고
1TV2TV
남산 송신소CH 9CH 750kW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관악산 중계소CH 25CH 3730kW / 10kW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0
불광 중계소CH 49CH 52500W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백련 중계소CH 20CH 32500W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250 백련산
정릉 중계소CH 53CH 57100W서울 성북구 성북동 산10
동소문 중계소CH 49CH 3610W서울 성북구 돈암2동 616-100 한신아파트 106동
장위 중계소CH 20CH 45500W서울 성북구 장위동 산3-92
행당 중계소CH 57CH 2110W서울 성동구 행당2동 328-1 한진아파트 106동



채널명 및 설명
채널명로고설명
KBS 1TV
160x160px
KBS의 주력 채널. 뉴스, 시사, 교육, 드라마, 스포츠, 어린이 프로그램, 문화 프로그램 방송. 1961년 HLKA-TV로 개국, 수신료로만 운영, 광고 없음. 전국 9번 채널에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청 가능. 공익 광고와 소량의 오락 프로그램도 방송.[12]
KBS 2TV
160x160px
KBS의 오락 채널. 1980년 동양방송과 통합, 대체 채널로 개국. 지상파 디지털 방송 7번 채널. 생방송 스포츠 중계, 어린이 프로그램, 공익 광고, 소량의 뉴스, 시사, 드라마 프로그램도 방송.[12]
KBS 뉴스 D
160x160px
24시간 뉴스 및 날씨 채널. KBS 24 뉴스라는 온라인 뉴스 채널에서 시작. [https://www.youtube.com/@newskbs KBS 뉴스 유튜브 채널]에서도 무료 시청 가능.
KBS UHDATSC 3.0 방식 초고화질 채널. 뮤직비디오, TV 시리즈 재방송, 다양한 프로그램 방송.[13]



KBS 1TV와 KBS 2TV는 2012년 12월 31일 아날로그 방송 종료, 디지털 방송 전환. 비무장지대 부근 UHF 아날로그 방송 (SECAM D/K 표준) 비공식적 지속.[14]

다채널이지만, 지역별 시청 가능 방송 체계 상이.

; KBS 1TV

: 약칭: KBS 1TV. 뉴스, 시사, 교양 프로그램 중심. KBS 오리지널 채널.

; KBS 2TV

: 약칭: KBS 2TV.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중심. 일부 1TV 장르 중복. 언론통폐합 (1980년 11월 30일) 이후 동양방송 계승.

; KBS 제3텔레비전

: 2017년 5월 31일 수도권 지역 개국. 세계 최초 지상파 초고선명 화질(4K) 텔레비전 방송. 1TV, 2TV 각각 방송. 시험 단계 유럽 방식, 본방송 미국 방식 채택. 미국 방식 대응 셋톱박스 추가 구매 상황 발생.

; 지상파 DMB텔레비전방송 “U-KBS”

: 2005년 수도권 시작, 2년 후 전국화. 1TV 동시 방송 “U-KBS HEART”, 2TV 동시 방송 “U-KBS STAR”.

; KBS 드라마 (드라마·버라이어티 전문)

: 캐치프레이즈: “'''당신을 사랑합니다'''”. 최신 드라마, 버라이어티, 추억의 드라마, 해외 드라마 등 방송.

; KBS N 스포츠 (스포츠 전문)

: 캐치프레이즈: “'''MORE THAN SPORTS'''”, “'''스포츠, 그 이상의 감동'''”. 국내 프로스포츠, 해외 스포츠 중계 중심.

; KBS 조이 (본격 버라이어티 전문)

: 캐치프레이즈: “'''상상, 그 이상의 즐거움'''”. 자체 제작 오리지널 프로그램 다수.

; KBS 프라임 (프리미엄 문화 전문)

: 캐치프레이즈: “'''Leader's Choice'''”. 1996년 '''위성 2TV''' 개국. 문화·역사·생활 정보 등 방송.

; KBS 키즈 (어린이 전문)

: 어린이 프로그램 전문 채널. 과거 2TV 방송 유아 대상 드라마 '후토스' 캐릭터 마스코트 사용.

; KBS W (여성 전문)

: 여성 위한 프로그램 다수 방송.

; KBS 뉴스 D (뉴스 전문)

: 인터넷 전용 방송. 채널 오리지널 뉴스, 다큐멘터리 방송. 지상파 채널 정규 뉴스 프로그램 동시 방송.

;제1텔레비전


;제2텔레비전
;EBS텔레비전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제1텔레비전제2텔레비전EBS텔레비전
관악산K-15chK-17chK-18ch2.5kW
남산K-22chK-45chK-46ch5kW
불광K-26chK-28ch90W
백련K-20chK-51ch90W
정릉K-32chK-51ch50W
장위K-38chK-47ch90W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종료)'''

;제1텔레비전


;제2텔레비전
;EBS텔레비전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제1텔레비전제2텔레비전EBS텔레비전
남산K-9chK-7chK-13ch50kW / 50kW / 10kW
관악산K-25chK-37chK-43ch30kW / 10kW / 30kW
불광K-49chK-52chK-60ch500W
백련K-20chK-32chK-39ch500W
정릉K-53chK-57chK-59ch100W
동소문K-49chK-36chK-39ch10W
장위K-20chK-45chK-23ch500W
행당K-57chK-21chK-31ch10W


8. 2. 케이블·위성·IPTV 서비스 채널

KBS N은 KBS drama, KBS joy, KBS N Sports, KBS Story, KBS Kids, KBS Life, KBS N Plus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료 방송 서비스이다.[15][16]

KBS 월드는 해외 시청자를 위한 국제 방송 서비스로, 2003년 7월 1일에 개국했다. 뉴스, 스포츠, 드라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4시간 방송하며, 전 세계 32개국에서 시청 가능하다. 해외 자회사로는 KBS 아메리카와 KBS 재팬이 있다. KBS 재팬은 일본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일본어 자막이 제공된다.

KBS 월드 텔레비전은 주로 KBS 1TV와 KBS 2TV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국제 통신 및 방송 위성을 통해 배포된다. 2007년 유튜브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20년 4월 기준 소셜 미디어 구독자 수는 2,000만 명을 넘어섰다.

KBS 월드의 자회사 채널인 KBS 코리아(이전에는 KBS World 24)는 해외 거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다.

8. 3. 라디오

(인천광역시)AM 711kHz500kWHLKA관악산 송신소
(서울특별시)FM 97.3MHz10kWHLKA-SFM용문산 중계소
(양평군)FM 90.3MHz1kW없음곤지암 중계소
(파주시 외)FM 91.5MHz500W성남 중계국
(성남시)FM 93.5MHz20W용인 중계국
(용인시)FM 88.1MHz20W



; 제2라디오 (HappyFM)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남양 송신소
(화성시)
AM 603kHz250kW(주간)
500kW(야간)
HLSA
관악산 송신소FM 106.1MHz10kWHLSA-FM



;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화성 송신소
(화성시)
AM 1134kHz500kWHLKC
관악산 송신소FM 104.9MHz2kWHLKC-SFM



; 제1FM (Classic FM)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관악산 송신소FM 93.1MHz10kWHLKA-FM



; 제2FM (Cool FM)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관악산 송신소FM 89.1MHz10kWHLKC-FM
백령 중계국FM 90.9MHz100W없음
성남 중계국FM 97.7MHz20W없음



; 한민족방송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비고
당진 송신소
(충청남도 당진시)
AM 972kHz750kW(주간)
1500kW(야간)
HLCA제1방송
화성 송신소SW 6015kHz100kWHLK2
김제 송신소
(전라북도 김제시)
AM 1170kHz500kWHLSR제2방송


8. 4. DMB

(N서울타워)불광 중계소
(서울시)


9. 방송지표

연도방송지표
1986년하나로 세계로 미래로
1987년믿는 사회, 밝은 내일, 세계와 함께
1990년인간화, 민주화, 세계화-21세기를 준비합니다.
1991년환경을 지킵시다
1992년우리의 선택이 우리를 살린다
1993년새로운 출발, 국민의 힘을 모읍시다.
1994년국민과 함께 세계로/그린정신 - 인간사랑, 자연사랑, 나라사랑
1995년광복 50주년 새 반세기의 출발
1996년21세기 앞으로 5년 국민과 함께 KBS가 열어갑니다.
1997년KBS 50년, 새로운 반세기 국민과 함께
1998년경제위기 극복, 국민과 함께 KBS가 앞장섭니다.
1999년21세기가 눈앞에 다시 일어서는 한국
2000년벽을 넘어서 화합의 시대로
2001년디지털 KBS, 희망을 함께 나눔을 함께
2002년2002 코리아 하나되어 세계로 미래로
2003년새출발 대한민국 화합의 시대로
2004년함께 가자 대한민국
2005년국민감동 KBS
2006년아시아의 창 KBS
2007년한국인의 희망 KBS
2008년하나되는 대한민국 함께하는 KBS
2009년공정 공익 KBS
2010년희망2010 대한민국의 힘 KBS
2011년시청자와 함께 디지털 KBS
2012년하나되는 대한민국 글로벌 KBS
2013년글로벌 KBS, 행복한 대한민국
2014년창의와 신뢰로 미래를 여는 KBS
2015년광복 70년 미래 30년, 대한민국 100년의 드라마
2016년청년 대한민국
2017년희망 2017 KBS가 함께 합니다.
2018년희망과 감동 KBS가 함께 합니다.
2019년함께하는 평화 함께여는 미래
2020년2020 새로운 시작, 공정 창의 혁신 KBS
2021년수신료의 가치를 더욱 높이며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겠습니다.
2022년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KBS
2023년
2024년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2025년신뢰와 혁신, 국민과 함께 KBS


10. 방송 송출 시설망

'''한국방송공사''' 본사가 직접 관할하는 송출 시설망만을 다룬다.

11. 직원

한국방송공사(KBS)에는 아나운서, 기자, 특파원, 수어 통역사, 기상캐스터, PD, 보도국장 등 다양한 직군이 존재한다.

'''KBS 본사 근무 아나운서'''

연도기수남성여성
1991년18기임수민[96], 태의경[97], 성기영, 정용실[98]
1993년19기성세정김성은[99]
1994년20기이형걸, 최승돈[100]변우영[101]
1995년21기[102]김재원[103], 한상권, 김홍성
1995년22기[104]김태규[105], 원석현, 유지철백정원[106], 신윤주
1996년23기[107]이창진, 최시중
1997년24기[108]김은성, 윤인구[109], 오태훈, 이재후신성원[110], 윤지영[111], 홍소연
1998년25기[112]이재홍
2000년26기[113]배창복, 이규봉, 장웅[114]박주아, 최원정[115], 최윤경
2001년27기[116]박노원, 김기만[117]
2002년28기[118]김희수, 이상협, 이영호김지윤
2003년29기[119]이상호김보민, 박사임, 백승주, 이승연
2004년30기[120]박태원김진희
2005년31기[121]김재홍윤수영, 이선영
2007년33기[122]오언종[123]박지현, 엄지인, 장수연
2008년34기[124]김승휘가애란, 유지원
2009년35기[125]김솔희, 이현주
2011년37기[126]오승원이지연, 전주리
2012년38기[127]한상헌이슬기, 정지원
2013년39기[128]강승화, 조항리이각경, 이승현
2015년42기[129]이재성박소현
2016년43기[130]강성규, 김종현
2018년45기[131]남현종박지원
2019년46기[132]김진웅, 이광엽이윤정
2021년47기[133]김진현, 임지웅홍주연
2023년50기[134]박철규정은혜, 허유원, 이예원



'''기자'''



'''수어 통역사'''

'''기상캐스터'''

'''PD'''

'''역대 보도국장'''

12. 해외 제휴 방송국

국가방송사
Canada|캐나다영어CBC
United Kingdom|영국영어BBC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CCTV
France|프랑스프랑스어France Télévisions, Radio France
Spain|스페인esRTVE
Germany|독일deARD, Deutschlandradio
Switzerland|스위스deSRG SSR
Netherlands|네덜란드nlNPO
Italy|이탈리아itRai
Czech Republic|체코csČT, ČRo
Denmark|덴마크daDR
Sweden|스웨덴svSVT, Sveriges Radio
Norway|노르웨이noNRK
Finland|핀란드fiYle
Portugal|포르투갈ptRTP
Austria|오스트리아deORF
Ireland|아일랜드영어RTÉ, TG4
Belgium|벨기에nlVRT, RTBF, BRF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ABC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TVNZ, Radio New Zealand
Taiwan|대만중국어TTV, 대만중앙방송
Singapore|싱가포르영어Mediacorp
Japan|일본일본어NHK
Israel|이스라엘heIPBC
Vietnam|베트남viVTV
Russia|러시아ruVGTRK


13. 한국방송공사에 대한 비판

전두환 정권은 새로운 법률을 통해 공영 방송사들을 KBS에 강제 합병시켰다. 이들 방송사는 전두환 정권에 비판적인 뉴스를 보도했기 때문에, 전두환은 이들의 비판을 억압하고자 했다. 합병 대상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19]



문화방송(MBC) 역시 영향을 받았다. MBC는 본래 한국 전역 20개 회원사의 연합체로, 각 방송사는 프로그램을 공유하면서도 사유였다(영국의 ITV 네트워크가 Broadcasting Act 1990 통과 이전과 유사). 그러나 합병 이후, 계열사들은 MBC 서울에 지분 대부분을 넘겨야 했고, MBC 서울은 다시 KBS에 지분의 65%를 넘겨야 했다.[19]

이 과정에서 TBC 텔레비전은 KBS 2TV가 되었고, TBC 라디오는 KBS 2FM과 KBS 3라디오로 분할되었다. DBS는 KBS 서울라디오가 되었다가 이후 주파수는 SBS 러브FM에 넘어갔다. SBC는 KBS 군산[20], 이후 KBS 3라디오 전주가 되었다. VOC는 KBS 3라디오 광주, 한국FM은 KBS 대구FM이 되었다.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은 이 법이 위헌이라고 밝혔고, 2011년 TBC와 DBS는 각각 JTBC채널A로 부활했다.

1980년부터 2002년까지 KBS 2FM은 상업 광고가 금지되었다. 2002년 광고가 재개되었고, KBS 지역 FM(KBS 소유 라디오 방송국으로, KBS 1FM과 KBS 2FM 일부 프로그램 방송)은 한국방송광고진흥회(KOBACO) 광고 외에는 금지되었기 때문에, ''굿모닝팝스''만 KBS 1FM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그러나 2016년 4월부터 박명수의 라디오 쇼가 부산, 창원, 청주, 대전, 제주 지역 KBS 해피FM에서 방송되기 시작했고(2019년 6월 강원도 추가), 이는 지역 해피FM을 통한 쿨FM의 전국 방송 재개를 의미했다. 2016년 9월부터 모든 지역 해피FM에서 ''KBS 가요플라자''가 방송되었고, ''굿모닝팝스''는 2017년 2월 지역 해피FM으로 이동했다. 2020년 8월 31일 ''신선한 아침''이 모든 지역 해피FM에서 방송을 시작했고, 2021년 8월 2일부터 ''사랑하기 좋은 날''이 강원도, 광주, 제주 일부 지역 해피FM에서 방송되었으며, 2024년 11월 4일 ''FM 음악여행''이 지역 해피FM을 통해 전국 방송으로 돌아왔다.

2011년, 당시 민주당 대표였던 손학규는 KBS가 TV 수신료 관련 당 내부 회의를 도청했다고 비난했다.[21] 손학규는 "KBS가 당의 TV 수신료 정책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회의를 도청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당시 한나라당은 TV 수신료 관련 법안을 표결에 부치려 했으나, 민주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는 2011년 6월 28일 법안을 심의할 예정이었으나, 민주당 항의로 취소되었다. 6월 23일, 한선교 위원장은 회의에서 민주당의 수신료 인상 반대를 비판했다. 결국 한나라당 의원들은 민주당 의원 불참 속에 소위원회에서 수신료를 1,000원 인상하여 3,500원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민주당은 2011년 6월 21일 하루 반 동안 6월 임시국회를 보이콧했다.

협력활동연구소장 박한용은 친일파 관련 다큐멘터리에서 친일파 개인들과 이승만의 부정적 발언을 KBS가 검열한 것을 비판했다.[22] 여기에는 친일파 백선엽도 포함된다.[23]

2012년 1월 16일, KBS와 한국케이블TV협회(KCTA) 간 송신료 분쟁이 발생했다. KCTA는 유료방송 사업자를 통한 주요 지상파 채널 송신료 인하를 시도했다. KBS는 가입자당 280원을 요구했지만, TV 사업자들은 100원만 제시했다. 협상 결렬 후 사업자들은 KBS 2TV 방송을 중단했고,[24] KBS 2TV 시청률은 크게 하락했으며, 드라마 ''브레인''에도 영향을 미쳤다.[25] 방송 중단 이후, 방송통신위원회(KCC)는 채널 재송출을 명령했고, 거부 시 과징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사업자들은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1월 17일 채널 재송출에 합의했다.[26]

KBS, MBC, SBS, YTN 등의 언론사 기자들은 이명박 정부에 유리한 보도 관행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27][28][29] KBS 노동조합은 2012년 3월 13일, “리셋 KBS 뉴스9”이라는 동영상을 공개하여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과 이명박 전 대통령 생가 개조 관련 논란을 다루었다.[30]

글로벌 청소년 연맹 DN은 KBS 드라마 제목에 "이순신" 이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이들은 KBS가 (1) 방송 즉시 중단, (2) 제목에서 "이순신" 삭제, (3) 등장인물 이름 변경을 요구했다. 단체는 이순신 장군이 국가 상징이며, 배우 아이유가 연기하는 "약하고 서투른" 인물과 연결되면 위상이 "훼손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1][32][33][34] KBS와 제작사 에이스토리는 제목이나 인물 이름 변경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신, 이순신 장군 초상이 그려진 100원짜리 동전 더미에 앉아 있는 드라마 포스터에서 동전을 무늬 없는 금색 받침대로 교체했다.[35][36]

2014년 5월 초, 길환영 사장은 세월호 침몰 사건 관련 부적절한 발언 의혹으로 KBS 뉴스 보도국장을 해임했다. 보도국장은 길 사장이 친정부 성향을 띠며 뉴스 편집에 개입했다고 비난했다. 이사회가 길 사장 해임 결정을 연기하자 KBS 주요 노조 두 곳이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으로 KBS 뉴스 9는 20분만 방송되었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KBS는 후보 인터뷰 기자를 파견할 수 없었다. 이사회는 2014년 6월 5일 길환영 사장 해임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해임 건의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되었다.[47][48][49]

KBS 노조는 박근혜 정부에 유리한 보도 영향력 행사 주장으로 2017년 9월 4일 파업에 돌입했다.[50][51] 파업 결과, KBS 뉴스, 문화 프로그램, 라디오, 예능 프로그램이 지연되었고,[52] 2017년 KBS 연예대상은 취소되었다.[53] 141일 후, 이사회가 고대영 KBS 사장 해임을 승인하면서 파업이 종료되었다.[54][55]

전두환 정권 시절, KBS는 매일 뉴스 프로그램 첫머리에 대통령 동정을 보도했고(오후 9시 시보와 함께 “전두환 대통령 각하는”으로 시작, 땡전뉴스한국어](땡전뉴스)로 불림), 총선에서 여당 후보 편향 보도를 하여 시청자 반감을 사 KBS 수신료 보이콧 운동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KBS 수신료 수입은 50% 감소했다.

2014년 2월 9일,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쇼트 프로그램에서 아나운서가 "아사다 마오의 연기가 시작됩니다. 아마 실패할 것입니다"라고 중계했고, 해설자는 "지금 아사다 마오는 김연아의 라이벌이 아니죠. [...] 비유하자면, 성숙한 매력을 가진 여성과 어린 소녀의 힘겨루기와 같을 것입니다"라고 답했다.[70]

참조

[1] 서적 A New Modern History of East Asia Vandenhoeck & Ruprecht
[2] 뉴스 "Chun Doo-hwan new military department", media integration http://www.pdjournal[...] 2018-06-09
[3] 뉴스 문화방송·경향신문주식65% 방송공사서 인수 https://www.mk.co.kr[...] 1980-12-11
[4] 뉴스 Computer Networks in South Korea Are Paralyzed in Cyberattacks https://www.nytimes.[...] 2013-03-20
[5] 뉴스 (2nd LD) Gov't confirms Pyongyang link in March cyber attacks http://english.yonha[...] 2013-04-10
[6] 웹사이트 Finding Dispersed Families {{!}} The Archives of the KBS Special Live Broadcast http://english.kbsar[...]
[7] 뉴스 [2018 Inter-Korean summit] Cheong Wa Dae shares live footage from press center for South-North summit http://www.koreahera[...] 2018-04-26
[8] 웹사이트 2019 Korean Broadcasting System Annual Report http://padmin.static[...]
[9] 웹사이트 (2nd LD) KBS board dismisses CEO Kim EUI-chul https://m-en.yna.co.[...] 2023-09-12
[10] 웹사이트 Yoon Approves Appointment of Park Min as New KBS President https://world.kbs.co[...]
[11] 뉴스 Park Jang-beom Inaugurated as the 27th President and CEO of KBS https://about.kbs.co[...] 2024-12-10
[12] 뉴스 Channel Info http://english.kbs.c[...]
[13] 뉴스 Broadcasting Tests Begin for Ultra High Definition http://english.kbs.c[...] 2014-03-31
[14] Youtube https://www.youtube.[...] 2021-08-07
[15] 웹사이트 KBS Launches Children's Channel https://web.archive.[...] 2012-05-29
[16] 뉴스 Korea debuts cable channel dedicated to women https://web.archive.[...] 2013-01-25
[17] 뉴스 Channel Info http://english.kbs.c[...]
[18] 웹사이트 About KBS - Organization Structure http://open.kbs.co.k[...]
[19] 웹사이트 Media Strike in Korea http://askakorean.bl[...] 2012-06-12
[20] PhD thesis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the market place: the BBC and KBS in the 1990s. http://theses.gla.ac[...] University of Glasgow 2005-01-01
[21] 뉴스 DP leader hits KBS for alleged wiretapping https://www.koreatim[...] 2011-07-01
[22] 뉴스 KBS는 정권재창출 위한 독재자·친일파 방송 http://www.mediatoda[...] 2011-06-07
[23] 뉴스 KBS 친일파를 영웅으로···시청자 '경악' "친일방송축하" http://www.mediatoda[...] 2011-06-25
[24]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2012-01-17
[25] 웹사이트 https://www.edaily.c[...] 2012-01-18
[26] 웹사이트 'KBS2' 28시간 만에 송출 재개… 밀실 협상에 불씨 남긴 타결 https://www.khan.co.[...] 2012-01-17
[27] 뉴스 SKorea journalists protest alleged pro-gov't bias https://web.archive.[...] 2012-03-19
[28] 뉴스 Massive Media Strike in South Korea http://www.sampsonia[...] 2012-04-25
[29] 뉴스 Special Show to Celebrate the Retirement of Parachute Executives https://web.archive.[...] 2012-03-19
[30] 뉴스 http://www.mediatoda[...] 2012-03-14
[31] 웹사이트 Group protests IU's TV drama https://www.koreatim[...] 2013-03-12
[32] 웹사이트 Korean drama sued over title http://nwww.koreaher[...] 2013-03-12
[33] 웹사이트 Group protests ''Lee Soon Shin'' drama http://koreajoongang[...] 2013-03-12
[34] 웹사이트 'You′re the Best Lee Soon Shin'' Gets KBS Involved in Another Title Controversy https://archive.toda[...] CJ E&M 2013-03-12
[35] 웹사이트 http://www.tvreport.[...] 2013-03-18
[36] 웹사이트 After outcry, KBS alters drama poster https://web.archive.[...] 2013-03-19
[37] 웹사이트 NEWS > Entertainment > Kim Jung-Tae dropping out in the middle of 'Superman', even made signature campaign https://web.archive.[...] 2014-06-10
[38] 웹사이트 Kim Jung Tae and his son Jihoo ('Yakkungi') to leave 'Superman is Back' https://web.archive.[...] 2022-01-09
[39] 웹사이트 Superman criticized for too much YG https://web.archive.[...] 2022-01-09
[40] 웹사이트 '슈퍼맨이 돌아왔다', YG엔터테인먼트 홍보 방송인가요? https://web.archive.[...] 2022-01-09
[41] 웹사이트 'Superman' takes a jab at 'Dad' through captions https://web.archive.[...] 2022-01-09
[42] 웹사이트 Producers of "Superman Returns" Address Criticism about Mothers' Frequent Appearance https://web.archive.[...] 2017-11-11
[43] 웹사이트 "Superman Returns" Sparks Controversy with Questionable Editing https://web.archive.[...] 2017-07-31
[44] 웹사이트 "Superman Returns" Under Fire for "Rude Behavior" to Owner of Shoot Location https://web.archive.[...] 2016-03-12
[45] 웹사이트 "Superman Returns" PD Says They Do Not Know If Song Il Gook Will Step Down From the Show https://web.archive.[...] 2017-07-31
[46] 웹사이트 Fans of "Superman Returns" Kept on Edge With Song Il Gook's Drama Decision Still Up in the Air https://web.archive.[...] 2017-07-31
[47] 웹사이트 KBS unions on strike demanding CEO's resignation https://web.archive.[...] 2014-05-29
[48] 웹사이트 Boycott at KBS leads to shortening of programs https://web.archive.[...]
[49] 웹사이트 KBS board OKs dismissal of chief https://web.archive.[...] 2014-06-06
[50] 뉴스 KBS, MBC union workers go on strike, programs halt production http://www.dramabean[...]
[51] 뉴스 MBC-KBS Media Strike: Once More, With Feeling http://seoulbeats.co[...]
[52] 뉴스 KBS 파업 '1박2일' 결방···'슈퍼맨이 돌아왔다'만 방송 https://web.archive.[...] 2017-10-29
[53] 웹사이트 KBS confirms '2017 KBS Entertainment Awards' canceled https://web.archive.[...] 6Theory Media, LLC. 2017-12-11
[54] 뉴스 KBS이사회, 고대영 사장 해임제청…총파업 141일 만 https://web.archive.[...] 2018-01-22
[55] 뉴스 [공식입장] KBS 총파업 141일 만에 고대영 사장 퇴출…노조 "우리가 이겼다" https://web.archive.[...] 2018-01-22
[56] 뉴스 今日の歴史(3月3日)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3-03
[57] 뉴스 KBS廣告放送(광고방송) 내일부터 「時間帶式(시간대식)」첫採擇(채택) http://newslibrary.n[...] 京鄕新聞 1981-03-06
[58] 방송 KBS 한국방송, HDTV 본방송 시작 2001-11-05
[59] 방송 디지털방송 시대 개막…지상파 아날로그방송 종료 2012-12-31
[60] 방송 이제는 디지털 방송 시대…과제는? 2012-12-31
[61] 웹사이트 인물검색(人物検索) http://cdb.chosun.co[...] 朝鮮日報
[62] 뉴스 檢, 정연주 사장 체포영장 이르면 주내 청구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8-08-12
[63] 뉴스 朴대통령, 길환영 해임제청안 재가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4-06-11
[64] 뉴스 KBS 理事会が社長の解任案を可決 http://world.kbs.co.[...] 2018-01-23
[65] 기타
[66] 웹사이트 テレビ受信料を分離徴収へ 大統領が改正案承認=韓国 https://jp.yna.co.kr[...] 2023-07-11
[67] 웹사이트 韓国で公共放送の値上げめぐり論争 受信料はNHKよりはるかに安い月額181円 http://moneyzine.jp/[...] 翔泳社 2010-10-24
[68] 웹사이트 韓国公共放送局KBS受信料、電気料金と分離徴収へ https://www.chosunon[...] 2023-06-06
[69] 뉴스 「受信料は欧米より安い!」-籾井会長の発言はホントなの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5-10-30
[70] 웹사이트 <ソチ五輪>韓国KBS、生放送で「浅田はおそらく失敗する」と予言、そして転倒に嘲笑浴びせる―韓国紙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5-02-10
[71] 뉴스 KBS위성방송 일본에서도 생생하게 수신 KBS 뉴스 9 1996-07-01
[72] 웹사이트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11, 1961-06
[73] 웹사이트 중앙방송국
[74] 웹사이트 문화공보부
[75] 웹사이트 한국방송공사(KBS) 지역 방송국
[76] 뉴스 汝矣島로最終 확정 KBS放送센터 매일경제 1972-11-27
[77] 뉴스 朴大統領,李新民代表와 歓談 경향신문 1976-12-02
[78] 뉴스 言論 통폐합 44개 기관 改編┈放送은 公營化 경향신문 1980-12-23
[79] 웹사이트 방송 편성 변경
[80] 웹사이트 뉴스 광고 방송
[81] 웹사이트 블록식 광고
[82] 뉴스 KBS 광고방송 폐지 및 수신료 제도 개선 1994-10-01
[83] 뉴스 KBS 광고방송 폐지 및 수신료 제도 개선 KBS 뉴스 9 1994-10-01
[84] 뉴스 KBS 광고방송 폐지 및 수신료 제도 개선 1994-10-01
[85] 웹사이트 KBS 1TV 광고방송 폐지 이후
[86] 웹사이트 케이블 채널과 KTV의 관계
[87] 웹사이트 KBS UHD혁신서비스 다채널 시범 방송 개시 https://mylove.kbs.c[...]
[88] 뉴스 KBS 재난전문채널 연내 신설 추진 http://www.pdjournal[...] PD저널 2021-08-31
[89] 웹인용 계열사 관계도 https://about.kbs.co[...] 2022-02-15
[90] 웹인용 몬스터유니온 정해룡 대표 “디어엠→ 대박부동산→연모, 탄탄한 라인업” https://star.ytn.co.[...] 2021-05-09
[91] 뉴스 네이버뉴스 https://news.naver.c[...] 2018-12-12
[92] 웹인용 디자인포커스::KBS http://www.designfoc[...] 2009-12-21
[93] 웹사이트 UHD 방송망 확장 시설공사(백련,불광,장위) https://tender.kbs.c[...]
[94] 웹사이트 감악산(중) FM 중계기 1식 구매 https://tender.kbs.c[...]
[95] 웹사이트 KBS 단파 방송
[96] 웹사이트 1991-06-01
[97] 웹사이트 1991-02-01
[98] 웹사이트 PD 한창록의 부인
[99] 웹사이트 1993-06-01
[100] 웹사이트 1994-02-01
[101] 웹사이트 1994-06-01
[102] 웹사이트 1995-02-01
[103] 웹사이트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104] 웹사이트 1995-10-01
[105] 웹사이트 아나운서실 실장 1995-12-01
[106] 직책 아나운서실 라디오팀장,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여자 재진행 MC
[107] 입사일 1996-10-01
[108] 입사일 1997-10-01
[109] 직책 6시 내고향 남자 MC
[110] 직책 KBS 아침뉴스타임 여자 단독 앵커
[111] 직책 사랑의 가족 여자 재진행 MC
[112] 입사일 1998-12-01
[113] 입사일 2000-12-01
[114] 직책 사랑의 가족 남자 MC
[115] 직책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이웃집 찰스 여자 MC 2022-04-15
[116] 입사일 2001-10-01
[117] 직책 아나운서실 차장, 지구촌 뉴스 남자 재진행 앵커
[118] 입사일 2002-10-01
[119] 입사일 2003-12-01
[120] 입사일 2004-12-01
[121] 입사일 2005-12-01
[122] 입사일 2007-12-01
[123] 직책 더 라이브 남자 MC (2명 중 1명)
[124] 입사일 2008-07-01
[125] 입사일 2009-07-01
[126] 입사일 2011-07-01
[127] 입사일 2012-07-01
[128] 입사일 2013-07-01
[129] 입사일 2015-12-01
[130] 입사일 2016-10-01
[131] 입사일 2018-10-01
[132] 입사일 2019-12-01
[133] 입사일 2021-12-01
[134] 입사일 2023-0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