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 항공의 월드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PS 항공의 월드포트는 UPS가 루이빌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다. 1980년부터 루이빌을 허브로 지정했으며, 2002년 10억 달러를 투자한 확장을 통해 시간당 416,000개의 소포를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성장했다. 20,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며, 켄터키주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이다. 월드포트는 국내 및 국제선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2006년과 2010년에 추가 확장을 통해 시설을 확장했다. 야간 근무를 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켄터키주 -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승리와 노예 해방 선언을 통해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학으로 변호사가 되어 정치 활동을 하다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켄터키주 - 존 뷰퍼드
존 뷰퍼드는 남북 전쟁 당시 북군 기병대 장군으로서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여 북군 승리에 기여했으며, 탁월한 군사적 능력과 리더십으로 칭송받았다. - 미국의 항공 - 미국 연방항공규정
미국 연방항공규정(FAR)은 미국 내 항공 활동 전반을 총괄하는 문서로서, 조종사, 학교, 항공기 인증을 규제하며, 다양한 파트로 구성되어 각 파트별로 특정 주제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 미국의 항공 - 연방항공국
연방항공국은 미국의 항공 운송을 규제하고 감독하며, 항공 안전 규제,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개발 및 운영, 항공 관련 기술 개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미국 교통부 산하 기관이다.
UPS 항공의 월드포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항 명칭 | UPS 월드포트 |
공항 종류 | 화물 |
운영자 | UPS |
개장 | 1981년 |
허브 | UPS 항공 |
위치 | 켄터키 주루이빌 |
고도 | 152 미터 / 499 피트 |
활주로 | |
활주로 1 | 길이: 11,887 피트 / 3,623 미터 표면: 아스팔트 |
활주로 2 | 길이: 8,524 피트 / 2,598 미터 표면: 콘크리트 |
활주로 3 | 길이: 7,250 피트 / 2,210 미터 표면: 아스팔트 |
통계 (2022년) | |
항공기 운항 횟수 | 363,384 |
처리 화물량 | 13,362,442,458 파운드 |
2. 역사
UPS는 1980년부터 루이빌 국제공항을 주요 허브 공항으로 활용했으며, 2002년 대규모 확장 프로젝트 완료 후 '월드포트'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 이후에도 월드포트는 지속적인 확장을 거듭하며 UPS 항공 화물 운송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006년에는 멘로 월드와이드(Menlo Worldwide) 인수에 따른 시설 확장이 있었고, 같은 해 발표된 추가 확장 계획은 2010년 완료되어 시설 규모와 처리 능력을 더욱 증대시켰다.[2] 이러한 확장 과정에는 공항 시설의 변경 작업도 포함되었다.
한편, 월드포트는 운영 특성상 야간 및 시간제 근무가 많아, 루이빌 대학교 등 지역 대학생들을 적극적으로 고용하고 학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80년 ~ 2002년)
UPS는 1980년부터 루이빌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1] 2002년까지 5년간 10억달러를 투자하는 '허브 2000' 프로젝트를 통해 시설을 대규모로 확장했다.[1] 이 확장으로 월드포트는 미식 축구 경기장 80개에 달하는 면적을 갖추게 되었으며, 시간당 416,000개의 소포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 또한, 20,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며 루이빌 지역의 주요 고용주로 자리 잡았다. 이 켄터키주 시설은 주로 국내 및 국제 패키지와 문서를 처리하며 모든 주요 국내외 노선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2. 2. 확장과 발전 (2002년 ~ 현재)
UPS는 1980년부터 루이빌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해왔으나, '월드포트'라는 명칭은 2002년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1] 2002년, 10억달러 규모의 5개년 확장 프로젝트인 '허브 2000'이 완료되었다. 이 확장으로 시설 규모는 미식 축구 경기장 80개에 달하는 크기로 커졌다.
2006년에는 멘로 월드와이드 (이전의 에머리 월드와이드) 인수를 계기로 UPS 시스템에 무거운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약 9만m2 규모의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월드포트 화물 시설'로 지정된 이 새로운 시설은 같은 해 4월부터 멘로의 물량을 통합하기 시작했으며, 멘로의 기존 허브였던 데이튼 오하이오 공장은 2006년 6월 운영을 중단했다.
같은 해 UPS는 7년간의 재투자를 통해 월드포트를 다시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이 두 번째 확장은 2010년 완료되었으며, 시설 면적은 약 48만m2로 늘어났다. 또한, 약 31076.07m2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새로운 기술과 장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월드포트의 처리 능력은 시간당 300,000개에서 416,000개로 크게 향상되었다.[2] 이 확장 과정에서 루이빌 국제공항의 일부 램프 시설을 새로 건설하거나 약 28.000000000000004만m2 이상 변경하는 작업도 이루어졌다.
3. 운영 및 특징
UPS는 1980년부터 루이빌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해왔으나, '월드포트'라는 명칭은 2002년 대규모 확장 프로젝트 이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 월드포트는 UPS의 모든 주요 국내 및 국제선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명시(overnight) 및 국제 패키지와 문자를 주로 처리한다.
2006년에는 이전 에머리 월드 와이드(Emery Worldwide)에서 인수한 멘로 월드와이드 포워딩(Menlo Worldwide Forwarding)의 물량을 통합하기 위한 확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월드포트 화물 시설'이 지정되었고, 기존 멘로의 데이튼 허브는 2006년 6월 운영을 중단했다. 이후에도 월드포트는 지속적인 확장을 거쳤다.[2]
월드포트는 운영 특성상 야간 및 시간제 근무가 많아, 학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2008년 6월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에피소드를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3. 1. 규모 및 처리 능력
UPS는 1980년부터 루이빌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해왔으며, 2002년 10억달러 규모의 5개년 확장 프로젝트인 '허브 2000'을 완료했다.[1] 이 확장으로 월드포트는 80개의 미식 축구 경기장에 달하는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2006년에는 약 9만m2 규모의 추가 확장을 통해 UPS 시스템 내 무거운 화물 처리 능력을 강화했다. 이 시설은 '월드포트 화물 시설'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UPS는 월드포트에 대한 추가 확장 계획을 발표했고, 이 확장은 2010년에 완료되어 전체 면적은 약 48만m2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약 31076.07m2의 공간을 새로운 기술과 장비로 개조하여 처리 능력을 기존 시간당 300,000개에서 시간당 416,000개의 소포 및 우편물로 크게 향상시켰다.[2] 이 과정에서 루이빌 국제공항의 일부 경사로 건설 및 변경 작업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규모와 처리 능력으로 월드포트는 UPS의 주요 국내 및 국제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2. 고용 및 지역 경제 기여
월드포트는 20,000명 이상을 고용하여 루이빌 지역의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이다.[1] 이는 켄터키주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국내외 주요 허브 공항으로서 기능한다. 월드포트는 시간당 416,000개의 소포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2]또한, UPS는 파트타임 및 야간 근무자를 위해 학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루이빌 대학교, 제퍼슨 커뮤니티 및 기술 대학 등 지역 대학생들을 적극적으로 고용하며, 이들에게 학비 지원 혜택을 제공한다. 월드포트 전체 노동자의 약 75%가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3. 3. 학비 지원 프로그램
월드포트의 업무 중 상당 부분이 시간제 또는 야간 근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UPS는 대학생 직원들을 위한 학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국적인 학비 보조와 더불어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특히 루이빌 대학교와 제퍼슨 커뮤니티 및 기술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아르바이트의 경우, 야간 근무 시 학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하룻밤 근무로 약 100USD의 학비를 지원받기도 한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현재 월드포트 전체 노동자의 약 75%가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4. 미디어
참조
[1]
웹인용
UPS Pressroom: Press Release Archive
http://pressroom.ups[...]
2002-11-06
[2]
웹사이트
UPS Worldport Facts
http://pressroom.u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