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B 1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B 10은 1944년 조지 밴 비스브록에 의해 발견된 적색 왜성 또는 갈색 왜성으로 추정되는 천체이다. 울프 1055의 동반 천체로 추정되었으며, 밴 비스브록 성표에 수록된 후 밴 비스브록의 별로 불리게 되었다. VB 10은 플레어 별로, 표면 활동이 활발하며, 한때 행성 VB 10b가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후 연구에서 반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독수리자리 - 알타이르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알파 아퀼라에로 표기되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견우성이라는 동양 이름으로 불리고, 지구에서 16.8광년 떨어져 빠르게 자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찌그러진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미와 상징을 지니고 현대 사회에서도 활용된다. - 독수리자리 - GRS 1915+105
GRS 1915+105는 1994년 겉보기 초광속 운동을 보이는 물질 분출이 관측된 최초의 은하계 천체로, 전파 망원경과 찬드라 X-선 관측소의 관측을 통해 상대론적 효과로 인한 착시 현상과 강착 원반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바람에 의해 제트 분출이 조절되는 자체 성장률 조절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 섬광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 섬광성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VB 10 | |
|---|---|
| 기본 정보 | |
![]() | |
| 별자리 | 독수리자리 |
| 겉보기 등급 | 17.30 |
| 분광형 | M8 V |
| 변광성 유형 | UV |
| 고유 운동 (적경) | -614 |
| 고유 운동 (적위) | -1368 |
| 연주시차 | 168.9537 |
| 연주시차 오차 | 0.0668 |
| 절대 등급 | 18.7 |
| 다른 이름 | 2MASS J19165762+0509021 BD+04 4048 B V1298 Aquilae Gliese 752 B 반 비스브룩의 별 GJ 752B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WDS) J19169+0510B |
| 특징 | |
| 질량 | "0.0881+0.0026-0.0024" 태양질량 |
| 반지름 | "0.1183+0.0059-0.0057" 태양반경 |
| 광도 (볼로미터) | 0.000499±0.000004 |
| 광도 (가시광) | 0.000003 |
| 표면 온도 | "2,508±63" K |
| 금속 함량 | ~0 |
| 나이 | "~1" Gyr |
| 관측 데이터 | |
| B 밴드 겉보기 등급 | ~19.42 |
| R 밴드 겉보기 등급 | ~15.6 |
| J 밴드 겉보기 등급 | 9.908 ±0.025 |
| H 밴드 겉보기 등급 | 9.226 ±0.026 |
| K 밴드 겉보기 등급 | 8.765 ±0.022 |
| 추가 정보 | |
| 발견자 | 조지 판 비스브룩 |
| 발견 년도 | 1944년 |
2. 관측 역사
1944년 조지 밴 비스브록은 맥도널드 천문대의 오토 슈트루페 망원경을 이용하여 VB 10을 최초로 발견했다.[20] 그는 적색 왜성 울프 1055의 고유 운동을 관측하던 중 VB 10을 찾아냈는데, 이는 울프 1055의 떨림을 통해 동반 천체를 발견하려는 목적이었다.[20] 울프 1055는 VB 10 발견 25년 전 독일의 천문학자 막스 볼프가 천체 사진술을 이용하여 발견한 별이다.[7] 밴 비스브록은 이 별에 자신의 이름 두문자를 따 'VB 10'으로 명명, 1961년판 《밴 비스브록 성표》에 수록했고,[20]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이 이 별을 밴 비스브록의 별로 부르기 시작했다.[20]
VB 10은 절대 등급이 19등급으로 매우 어두워 맨눈은 물론이고 커다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기 어렵다. 질량은 태양의 약 8%로,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의 최소 질량 한계에 가깝다. 발견 당시 VB 10은 알려진 가장 가벼운 별이었으며, 이전 최저 질량 기록 보유자는 울프 359였다.[10] VB 10은 1년에 1각초 이상 움직이는 매우 큰 고유 운동 값을 가진다.[6][19]
VB 10은 매우 어둡고 훨씬 더 밝은 쌍성인 주성 가까이에 있어 이전의 천문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못했지만, 큰 시차와 큰 고유 운동으로 인해 다른 시기에 찍은 사진 건판에서는 쉽게 눈에 띄었어야 했다.[7]
3. 특징
겉보기 등급을 계산하는 공식에 따르면,[8] VB 10이 태양 위치에 있다면 지구 하늘에서 −12.87등급으로 빛날 것이며, 이는 대략 보름달과 비슷한 밝기이다.[9]
VB 10은 글리제 752A와 중력적으로 묶인 쌍성이다. 글리제 752A는 용자리 BY형 변광성이지만, VB 10보다 6배 무거운 항성이다. VB 10과는 약 434au 떨어져 있다.
3. 1. 플레어 별
VB 10은 플레어 별이며 《변광성 일반 목록》에 '''독수리자리 V1298'''로 수록되어 있다.[18] 고래자리 UV형 변광성으로 플레어 폭발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1990년대 중반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 이 별의 활발한 표면 활동을 관측했는데, 그 결과 이 별의 표면 온도는 2,600 K에 불과할 정도로 차갑지만, 플레어 활동이 일어나는 부분의 온도는 10만 켈빈이 넘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21]
이는 천문학자들에게 놀라운 발견이었다. 이전에는 질량이 작은 적색 왜성이 태양 플레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자기장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적색 왜성은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의 다이너모를 작동시키는 별의 핵 바로 바깥에 있는 복사층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양 플레어의 감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어떤 과정이 저질량 별의 전적으로 대류하는 핵이 그러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하는지를 나타낸다.[11]
4. 쌍성계
VB 10은 쌍성계의 구성원이며, 짝별이다. VB 10의 주인별은 훨씬 밝고 뜨거운 글리제 752 A이다. 따라서 VB 10을 글리제 752 B로 표기할 수도 있다. 두 별은 밤하늘에서 약 74 각초(약 434 AU) 떨어져 있다.[20] 글리제 752A는 용자리 BY형 변광성이지만, VB 10보다 6배 무거운 항성이다.
5. 행성계

2009년 5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JPL) 소속 천문학자들은 팔로마 천문대의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VB 10 주위에 행성 VB 10b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견에는 측성학적 기술이 응용되었다. 만약 존재가 증명된다면 VB 10b는 측성학을 이용하여 발견된 최초의 외계 행성이 되며, 어머니 항성인 VB 10은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외계 행성의 어머니 별 중 가장 가벼운 존재로 기록될 뻔했다.[22][23]
VB 10과 VB 10b가 떨어진 거리는 태양과 수성 간격과 비슷하지만, 어머니 항성이 매우 차갑기 때문에 VB 10b가 별로부터 받는 열기는 목성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만약 VB 10 주위를 지구형 행성이 돌고 있고 VB 10b보다 별에 더 가까이 붙어 있으며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을 공전하고 있더라도, 어머니 별의 플레어 폭발 때문에 행성 표면에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았다.[24]
| 명칭 | 질량 | 궤도 장반경 (천문 단위) | 공전 주기 (일) | 궤도 이심률 | 궤도 경사각 | 반경 |
|---|---|---|---|---|---|---|
| b (논란) | 6.4 ± 2.6/3.1 | 0.360 ± 0.006/0.016 | 271.56 ± 3.0/3.0 | < 0.98 | 96.9 ± 7.4/1.8 |
5. 1. 행성 존재에 대한 논란
2009년 5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 연구소의 천문학자들은 팔로마 천문대의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측성학적 방법으로 VB 10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VB 10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2][13] 이 행성은 목성 질량의 약 6배, 공전 주기는 약 270일로 추정되었다.그러나 이후 도플러 분광법을 사용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14][15] VB 10b의 존재를 주장한 연구진은 도플러 측정법으로는 목성 질량의 3배 이상인 행성만을 배제할 수 있다고 반박했지만,[16] VB 10b의 존재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이다.
2016년에는 비대칭 잔해 원반 신호가 장주기 행성으로 오인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7]
| 명칭 (항성에 가까운 순) | 질량 | 궤도 장반경 (천문 단위) | 공전 주기 (일) | 궤도 이심률 | 궤도 경사각 | 반경 |
|---|---|---|---|---|---|---|
| b (논란) | 6.4 ± 2.6/3.1 | 0.360 ± 0.006/0.016 | 271.56 ± 3.0/3.0 | < 0.98 | 96.9 ± 7.4/1.8 |
참조
[1]
Gaia
[2]
학술지
The M-dwarf Ultraviolet Spectroscopic Sample. I. Determining Stellar Parameters for Field Stars
2021-09
[3]
서적
What's the Name, Please?: A Guide to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Current Prominent Names
1936
[4]
웹사이트
V1298 Aql
http://www.sai.msu.s[...]
2009-05-28
[5]
뉴스
Van Biesbroeck's Star
https://www.oxfordre[...]
2023-10-16
[6]
Simbad
V* V1298 Aql
2009-05-28
[7]
학술지
The star of lowest known luminosity
http://articles.adsa[...]
1944-08
[8]
웹사이트
ADVANCED MAGNITUDE CALCULATOR
http://www.1728.org/[...]
2016-04-03
[9]
웹사이트
Moon Fact Sheet
http://nssdc.gsfc.na[...]
2016-04-03
[10]
학술지
Stellar Activity at the End of the Main Sequence: GHRS Observations of the M8 Ve Star VB 10
1995-12-20
[11]
웹사이트
Red Dwarf Dynamo Raises Puzzle over Interiors of Lowest Mass Stars
http://hubblesite.or[...]
hubblesite
1995-01-10
[12]
학술지
An Ultracool Star's Candidate Planet
http://steps.jpl.nas[...]
2009-05-30
[13]
웹사이트
Planet-Hunting Method Succeeds at Last
http://www.nasa.gov/[...]
2009-05-28
[14]
학술지
The Proposed Giant Planet Orbiting VB 10 Does Not Exist
2010
[15]
학술지
Strong Constraints to the Putative Planet Candidate around VB 10 Using Doppler Spectroscopy
2010
[16]
간행물
Nature 462, 705 (2009) 8 December 2009
http://www.nature.co[...]
2009-12-08
[17]
Citation
Effects of disc asymmetries on astrometric measurements
2016
[18]
웹인용
V1298 Aql
http://www.sai.msu.s[...]
2009-05-28
[19]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V* V1298 Aql -- Flar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5-28
[20]
저널인용
The star of lowest known luminosity
http://articles.adsa[...]
1944-08
[21]
저널인용
Stellar Activity at the End of the Main Sequence: GHRS Observations of the M8 Ve Star VB 10
http://adsbit.harvar[...]
1995-12-20
[22]
저널인용
An Ultracool Star's Candidate Planet
http://steps.jpl.nas[...]
2009-05-30
[23]
웹인용
Planet-Hunting Method Succeeds at Last
http://www.nasa.gov/[...]
2009-05-28
[24]
웹인용
Bizarre Planetary System
http://www.nasa.gov/[...]
NASA News topics/Universe
2009-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