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B 10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B 10b는 미국 우주항공국 제트 추진 연구소의 스티브 프라브도와 샤클란 팀이 발견한 행성이다.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어머니 항성의 위치 변화를 관측하여 발견되었으며, 항성과 행성의 질량비가 1:10 정도로 행성이 항성에 비해 무거운 특징을 보인다. VB 10b는 측성학적 방법으로 존재가 증명된 최초의 행성 사례로, 과거에도 유사한 주장이 있었으나 관측 자료의 신뢰성 부족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수리자리 - 알타이르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알파 아퀼라에로 표기되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견우성이라는 동양 이름으로 불리고, 지구에서 16.8광년 떨어져 빠르게 자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찌그러진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미와 상징을 지니고 현대 사회에서도 활용된다. - 독수리자리 - VB 10
VB 10은 조지 밴 비스브록이 발견한 적색 왜성이며 글리제 752의 반성으로, 밴 비스브로엑의 별, 독수리자리 V1298로도 불리며, 항성 질량 하한선에 가까운 작은 질량, 큰 고유 운동, 잦은 플레어 현상이 특징이나, 2009년 발견 발표된 행성 VB 10b의 존재는 불확실하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글리제 581 e
글리제 581 e는 2009년 미셸 마요르 연구진이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한 글리제 581 항성계의 행성으로, 지구 질량의 약 1.9배이며 항성과의 매우 가까운 거리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다. - 외계 행성 - 슈퍼해왕성
슈퍼해왕성은 해왕성보다 크고 지구 질량의 20~80배 범위에 속하며, 가스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행성을 의미하며, 케플러-101B, HAT-P-11B, K2-33B 등이 대표적이다. - 외계 행성 - 메가지구
메가 지구는 지구 질량의 수 배에 달하는 외계 행성을 지칭하며,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여러 행성들이 메가 지구로 분류된다.
| VB 10b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VB 10b |
| 항성 | VB 10 |
| 별자리 | 독수리자리 |
| 적경 | 19시 16분 57.62초 |
| 적위 | +05° 09′ 02.2″ |
| 실시 등급 | 17.30 |
| 거리 | 19.85 광년 (6.09 파섹) |
| 형태 | M8 V |
| 궤도 정보 | |
| 평균 거리 | 0.360 (+0.016, -0.006) 천문단위 |
| 이심률 | <0.98 |
| 궤도 경사각 | 96.9 (+7.4, -1.8)° |
| 공전 주기 | 271.56 (+6.9, -3) 일 |
| 물리적 특징 | |
| 질량 | 6.4 (+2.6, -3.1) 목성질량 |
| 크기 | 0.99? 목성반경 |
| 발견 정보 | |
| 발견일 | 2009년 5월 |
| 발견자 | 스티브 프라브도, 샤클란(JPL) |
| 발견 방법 | 측성학적 방법 |
| 발견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
| 상태 | 발견 사실 공표됨 |
| 명칭 | 글리제 752 Bb |
2. 발견
VB 10b는 미국 우주항공국 제트 추진 연구소의 스티브 프라브도와 샤클란 팀이 발견한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인 VB 10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변하는 것을 측정하는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발견되었다.[1][2] VB 10b는 어머니 항성에 비해 질량이 매우 큰 편(질량비 약 1:10)이라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항성의 작은 질량으로 인해 행성의 중력적 영향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 발견에 영향을 주었다. 발견자들은 이러한 유형의 행성이 우주에 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3]
2. 1. 발견 과정
스티브 프라브도와 샤클란이 이끄는 미국 우주항공국 제트 추진 연구소 팀이 이 행성을 발견했다. VB 10b는 어머니 항성의 위치가 천구상에서 주기적으로 변하는 것을 측정하는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발견되었다.이 행성계는 항성과 행성의 질량비가 약 1대 10으로, 행성이 어머니 항성에 비해 상당히 무거운 편에 속한다. 이처럼 어머니 항성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행성의 중력에 의해 항성이 '떨리는' 정도가 커져 행성의 존재를 감지하기에 유리했다.[1][2] 하지만 이 떨림의 크기는 매우 미세하여, 약 3km 밖에 있는 머리카락 한 올 굵기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과 같은 정밀함이 요구되었다.[3]
발견자 중 한 명인 프라브도는 VB 10보다 어두운 항성이 우주 전체 별의 약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VB 10b처럼 행성과 항성의 질량 차이가 크지 않은 사례는 우주에서 흔하게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3]
2. 2. 질량비
스티브 프라브도, 샤클란이 이끄는 미국 우주항공국 제트 추진 연구소 팀이 이 행성을 발견했다. VB 10b는 어머니 항성의 위치가 천구상에서 변하는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발견되었다.이 행성계는 항성과 행성의 질량비가 1대 10 정도밖에 되지 않아 행성이 항성에 비해 매우 무거운 사례에 속한다. 이처럼 어머니 항성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떨리는’ 정도도 커서 행성의 존재를 감지하기에 용이했다.[1][2] 그러나 이 떨림의 크기는 3km 밖에 있는 머리카락 한 올 정도 굵기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과 같다.[3]
발견자 중 한 명인 프라브도는 VB 10보다 어두운 항성이 전 우주 별의 70퍼센트이기 때문에 이처럼 행성과 항성의 덩치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사례는 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3]
2. 3. 발견의 의의
스티브 프라브도와 샤클란이 이끄는 미국 우주항공국 제트 추진 연구소 팀이 이 행성을 발견하였다. VB 10b는 어머니 항성의 천구상 위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이 행성계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항성과 행성의 질량비가 약 1대 10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는 행성이 자신이 공전하는 항성에 비해 매우 무거운 경우에 해당한다. 어머니 항성인 VB 10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행성 VB 10b의 중력적 영향으로 인해 항성이 눈에 띄게 '떨리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를 통해 행성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했다.[1][2] 하지만 이 떨림은 매우 미미하여, 약 3 떨어진 곳에서 머리카락 한 올 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정밀한 관측 기술이 요구되었다.[3]
발견팀의 일원인 프라브도는 VB 10과 같이 어둡고 질량이 작은 항성이 우주 전체 별의 약 70%를 차지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VB 10b처럼 행성과 항성의 크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사례가 우주에 흔하게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3] 이는 질량이 작은 항성 주위에서도 목성 질량급의 거대 행성이 형성되고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발견으로 여겨진다.
3. 측성학적 방법
측성학적 방법을 통해 존재가 증명된 최초의 외계 행성은 VB 10b이다.[4][5]
3. 1. 측성학적 방법의 역사
측성학적 방법으로 존재가 증명된 외계 행성은 VB 10b가 최초 사례이지만, 과거에도 이 방법으로 행성을 발견했다는 주장은 여러 차례 있었다. 18세기 윌리엄 허셜을 시작으로 여러 과학자들이 '보이지 않는 동반 천체'가 항성의 움직임에 영향을 준다는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1960년에는 피터 반 데 캄프가 바너드 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1996년에는 조지 게이트우드가 랄랑드 21185 주변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4] 하지만 이러한 과거의 주장들은 현재로서는 다시 신뢰를 얻기 어려워 보인다. 이는 당시 관측 자료의 정밀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신빙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5]3. 2. 과거 주장과의 비교
측성학적 방법으로 존재가 증명된 행성은 VB 10b가 최초 사례이지만, 측성학적으로 행성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사례는 과거에도 여럿 있었다. 18세기 윌리엄 허셜을 시작으로 여러 과학자들이 ‘보이지 않는 동반 천체’가 항성을 흔든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았다. 1960년 피터 반 데 캄프는 바너드 별 주위에 행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으며, 1996년 조지 게이트우드는 랄랑드 21185 주변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4] 하지만 과거 이들의 주장은 관측 자료의 품질이 신뢰성을 얻을 만큼 뛰어나지 않다는 이유로 현재로서는 다시 인정받기 어려워 보인다.[5]참조
[1]
논문
An Ultracool Star's Candidate Planet
https://web.archive.[...]
2009-05-30
[2]
웹인용
Planet-Hunting Method Succeeds at Last
http://www.nasa.gov/[...]
2009-06-21
[3]
뉴스
아주 작은 별 도는 외부행성 발견
http://www.newshanku[...]
뉴스한국
2009-09-01
[4]
뉴스
Data Seem to Show a Solar System Nearly in the Neighborhood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1996-06-12
[5]
웹인용
Astronomers Pioneer New Method for Finding Exoplanets
https://archive.toda[...]
Sky and Telescope
2009-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어머니 별 주위를 도는 VB 10b을 상상한 그림. 마치 [[목성]]과 비슷해 보이는 외관이다.](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