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ASP-1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13은 살쾡이자리 방향으로 약 750 광년 거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이다. 1997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2008년에는 외계 행성 WASP-13b가 발견되었다. WASP-13b는 WASP-13을 공전하며, 목성 질량의 약 0.485배, 반지름은 목성보다 36.5% 더 크다. 2019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WASP-13을 Gloas, WASP-13b를 Cruinlagh로 명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쾡이자리 - NGC 2419
    NGC 2419는 곰자리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 약 275,000 광년 떨어진 구상 성단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과 광역 시야로 관측할 수 있다.
  • 살쾡이자리 - HD 75898 b
  • G형 준거성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G형 준거성 - 글리제 777
    글리제 777은 백조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준거성 글리제 777 A와 적색 왜성 글리제 777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글리제 777 A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및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WASP-13
기본 정보
이름WASP-13
다른 이름Gloas, 2MASS J09202471+3352567, GPM 140.102992+33.882691, 1SWASP J092024.70+335256.6, USNO-B1.0 1238-00183620
별자리살쾡이자리
적경09시간 20분 24.7145초
적위+33도 52분 56.696초
겉보기 등급10.42
특징
분광형G1 V
시선 속도10.00 km/s
고유 운동 (적경)-2.275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20.072 밀리초/년
시차4.3310 밀리초각
질량1.2 M☉
온도6,052 K
광도2.895 L☉
반지름1.5 R☉
표면 중력4.04
금속 함량0.0
자전 속도< 4.9 km/s
나이5.1 ± 2.0 × 10^9 년

2. 관측 역사

WASP-13은 1997년 처음 발견된 이후, 여러 관측 장비와 연구를 통해 그 특성이 밝혀졌다. 주요 관측 역사는 다음과 같다.


  • 1997년: 하늘 특정 영역에서 별들의 고유 운동을 측정하던 중 WASP-13이 처음 발견되었다.
  • 2006년 11월 ~ 2007년 4월: 캐너리 제도의 슈퍼WASP-북쪽 망원경으로 관측하여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추가 관측: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그레고리 망원경, 프랑스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의 SOPHIE 회절격자, 노르딕 광학 망원경 등을 통해 추가적인 관측 및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WASP-13의 광도 곡선, 별 스펙트럼, 시선 속도 등이 측정되었고, 2008년에는 WASP-13b가 발견되었다.
  • 2010년까지: SIMBAD 저장소 자료에 따르면 WASP-13은 발견 이후 10개 이상의 논문에 등장했다.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에 설치된 망원경. WASP-13의 시선 속도 측정에 사용되었다.

2. 1. 추가 관측 및 행성 발견

SIMBAD에 따르면 WASP-13은 1997년에 처음 관측되었는데, 당시 은하가 관측되는 하늘 영역에서 별의 고유 운동을 측정하던 천문학자들이 이 별을 발견했다. 2006년 11월 27일부터 2007년 4월 1일까지 카나리아 제도에 있는 슈퍼WASP-북쪽 망원경으로 WASP-13을 관측했으며, 데이터 분석 결과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영국,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미국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스코틀랜드에 있는 제임스 그레고리 망원경의 광도계를 사용하여 후속 관측을 수행했다. 근처의 밝은 별 HD 80408과 비교하여 별의 광도 곡선을 더 자세히 측정했다. 프랑스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의 SOPHIE 에셸 분광기로 측정한 WASP-13의 별 스펙트럼 자료와 조합하여 별의 시선 속도를 알아냈다. 노르딕 광학 망원경의 섬유 공급 에셸 분광기로 스펙트럼을 추가 수집하여 WASP-13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었다. 2008년 SOPHIE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 WASP-13b를 발견했으며, 이 행성은 2009년에 보고되었다.

SIMBAD 자료에 따르면 WASP-13은 발견 이후 2010년까지 10편 이상의 논문에 등장했다.

2. 2. 연구 현황

SIMBAD에 따르면 WASP-13이 최초 발견된 시기는 1997년으로, 하늘 특정 영역에 있는 항성들의 고유 운동을 측정하던 중 이 별을 발견했다. 2006년 11월부터 2007년 4월 1일까지 캐너리 제도 소재 슈퍼WASP-북부 망원경으로 WASP-13을 관측했으며 여기에서 나온 데이터로부터 행성 하나가 별을 돌고 있다고 추정했다.

스코틀랜드 소재 제임스 그레고리 망원경을 이용하여 영국,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미국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이 이 별을 보다 자세히 연구하였다. 근처 밝은 별 HD 80408과 밝기를 비교하여 이 별의 광도곡선을 보다 자세히 정의할 수 있었다. 프랑스 소재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의 SOPHIE 회절격자를 써서 나온 WASP-13의 스펙트럼 자료를 여기에 조합하여 항성의 시선속도를 알아냈다. 노르딕 광학 망원경의 Fibre-Fed 회절격자로 스펙트럼을 추가 수집하여 항성의 물리적 특징을 정의할 수 있었다. 2008년 SOPHIE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행성 WASP-13b를 발견하였으며 논문은 이듬해에 출판되었다.

SIMBAD 저장소 자료에 따르면 WASP-13은 발견으로부터 2010년까지 10개 이상의 논문에 등장하였다.

3. 물리적 특징

WASP-13은 살쾡이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750ly 떨어져 있는 G형 주계열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10.42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3. 1. 항성 진화

WASP-13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주계열성 이탈점에 가깝고, 핵 수소를 거의 소진하여 준거성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론적인 등시선과 정확하게 나이가 결정된 별과의 비교를 통해 WASP-13의 나이는 약 51억 ± 20억 년으로 추정된다. 별의 이론 모델에 따르면, 태양과 거의 같은 질량과 금속량을 가진 별은 85억 년에 주계열을 떠나 수소 껍질 연소 단계로 진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펙트럼에서 추정되는 리튬의 존재량으로도 이 별이 수십억 년 된 것으로 시사되었지만, 이 방법으로는 정확한 나이 추정은 어렵다.

3. 2. 대기 및 조성

WASP-13의 대기 유효 온도는 5,826,000으로 태양보다 뜨겁다. 그러나 헬륨보다 무거운 물질이 항성 대기에 포함되어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중원소함량 [Fe/H]는 대략 0으로 태양과 비슷하다. 표면 중력은 4.04 km/s2이며 자전 속도는 최대 초당 4.9 km이다.

3. 3. 크기 및 질량

WASP-13의 질량은 태양보다 9% 더 크며, 반지름은 태양보다 55.9% 더 크다. 대기 중 리튬 함량으로 추정해 보면 이 별은 갖고 있던 헬륨을 모두 태웠고 현재 중심핵 주변 껍질부에서 리튬을 태우고 있다. 이론적인 항성 등시선과 정확하게 나이가 결정된 별과의 비교를 통해 WASP-13의 나이는 약 51억 년으로 추정된다. 이전 추정치는 더 오래된 나이를 제시했지만, 불확실성이 매우 컸다.

4. 행성계

WASP-13은 외계 행성 WASP-13b(Cruinlagh)를 가지고 있다. 이 행성은 어머니 별과 약 0.0527 AU 떨어져 있는데, 이는 태양과 지구 거리의 약 5.27% 정도이다. 공전주기는 지구 시간으로 4.35298 일 (4일 8시간 30분)에 불과하다.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46 퍼센트 정도이며 반지름은 목성보다 21 퍼센트 크다.

4. 1. WASP-13b (Cruinlagh)

WASP-13b는 어머니 항성과 약 0.0527 AU 떨어져 있는데, 이는 태양과 지구 거리의 약 5.27% 정도이다. 가까이 붙어 돌고 있는 만큼 공전주기는 지구 시간으로 4.35298 일 (4일 8시간 30분)에 불과하다.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46 퍼센트 정도이며 반지름은 목성보다 21 퍼센트 크다.

WASP-13b (Cruinlagh)의 궤도
항목
질량0.485 MJ
공전주기4.353011 일
긴반지름0.05379 AU
궤도이심률0


5. 명칭

별은 행성 탐색 광역 조사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되었기에 WASP-13으로 명명되었다.

2019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NameExoWorlds의 일환으로 WASP-13과 그 행성 WASP-13b에 영국의 학생들이 선택한 공식 이름을 부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선택된 이름은 WASP-13에 대해서는 '''Gloas''', WASP-13b에 대해서는 '''Cruinlagh'''였으며, 이는 각각 '빛나다'와 '궤도를 돌다'를 뜻하는 맨어 단어이다.[1][2]

2019년, 전 세계 모든 국가 또는 지역에 하나의 외계 행성계 이름을 명명할 기회를 제공하는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WASP-13계는 영국에 할당된 행성계가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이벤트 중 하나로, 영국 국내에서의 선발, 국제 천문 연맹(IAU)에 대한 제안을 거쳐 태양계 외 행성과 그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는 것이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에서 최종 결과가 공표되었고, WASP-13은 '''Gloas''', WASP-13 b는 '''Cruinlagh'''로 명명되었다. 이들은 영국의 맨 섬에서 사용되는 맨 섬어로 행성이나 항성의 물리적 프로세스를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Gloas는 "(별처럼) 빛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에, Cruinlagh는 "(행성처럼) 주회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에 각각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뉴스 Gloas and Cruinlagh: Planet and star become first with Manx nam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9-12-17
[2] 웹사이트 Approved names (§ United Kingdom) http://www.nameexowo[...] IAU 2019-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