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어는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파생된 고이델어의 일종으로, 맨 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켈트족의 아일랜드 이주와 바이킹, 영국의 영향으로 노르드어와 영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974년 마지막 원어민 화자의 사망으로 소멸 위기에 처했으나 부활 운동을 통해 사용 인구가 늘고 있다. 맨섬어는 20세기 초까지 문학 작품이 거의 없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형태의 문학 작품이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맨어 - 고대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현대 아일랜드어 등의 조상이고, 4세기에서 6세기에 오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자음과 모음의 변화, 융합어, VSO 어순, 5가지 격을 가진 명사, 시제와 상 등에 따라 활용되는 동사의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 켈트어파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 켈트어파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영국의 언어 - 영국 영어
영국 영어는 앵글로색슨 시대 고대 영어에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역별 방언과 발음의 다양성을 보이며 미국 영어와 철자, 어휘, 문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영연방 국가들의 영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 영어의 여러 변종을 통칭하는 말이다. - 영국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맨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맨어 |
다른 이름 | 맨크스 게일어 |
고유어 | gv gv |
발음 | gv (gv) gv (gv) gv (gv) gv (gv) gv (gv) gv (gv) |
사용 국가 | 맨섬 |
민족 | 맨섬인 |
소멸 시기 | 1974년 12월 27일, 네드 매드렐의 사망 |
부활 여부 | 제1언어: 23명 (2021년) 제2언어: 2,200명 (2021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도서 켈트어군 고이델어 |
조상 언어 | 원시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 |
방언 | 북부 † 중부 (미확인) 남부 |
국가 | 맨섬 |
언어 관리 기구 | gv (맨어 자문 위원회) |
ISO 639-1 | gv |
ISO 639-2 | glv |
ISO 639-3 | glv |
ISO 639-6 | glvx (역사적) rvmx (부활) |
Linguasphere 코드 | 50-AAA-aj |
Glottolog | manx1243 |
Glottolog 이름 | Manx |
유네스코 위험도 | 위급 |
민족 정보 | |
사람 | Manninagh |
사람들 | Manninee |
언어 | Gaelg/Glare Vanninagh (Manninish) Glare Chowree |
국가 | 맨섬 (Mannin, Ellan Vannin) |
추가 정보 | |
종족 이름 | Gaelg |
종족 이름 | gv |
발음 | ɡilɡ, geːlɡ gilk |
2. 역사
wikitext
켈트족은 기원전 8세기 무렵 남하해 갈리아 지방과 브리타니아 지방까지 진출했다. 그 중에서 아일랜드에 정착한 무리들은 게일어를 사용했다. 이 게일어로부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그리고 맨어가 파생됐다.[108]
맨섬어는 아일랜드어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이델어(게일어)의 하나이다. 알려진 맨섬의 최초 언어는 브리토니아어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게일어 및 현대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기원4세기 이후 오감 문자에 증명되는 고대 아일랜드어에 유래한다. 맨섬 박물관 소장의, 돌에 새겨진 오감 문자는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여 있으며, DOVAIDONA MAQI DROATA 「드로아타의 아들 도바이도의」로 읽을 수 있다.[95]
고대 아일랜드어는 5세기를 통해 고대 아일랜드어로 이행했다. 6세기 이후의 고대 아일랜드어는 라틴 문자로 쓰여졌고, 주로 라틴어 사본의 주석에 증명되고 있지만, 맨섬에서는 현존하는 예는 발견되지 않았다. 10세기까지 고대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전역, 스코틀랜드 및 맨섬에서 사용된 중세 아일랜드어로 변화했다.
8세기경 아일랜드에서 게일어 사용자들이 맨섬으로 이주하여 점차 아일랜드어와 분리되었다. 10세기까지 북유럽 출신 바이킹과 14세기에 정치적으로 확장한 영국 등의 영향으로 맨섬어는 노르드어와 영어의 영향을 받았다.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의 해안부와 마찬가지로, 맨섬에는 노르드인이 이주해 와 약간의 차용어나 인명, 랙시(영 Laxey, 맨섬어 Laksaa)나 램지(영 Ramsey, 맨섬어 Rhumsaa)와 같은 지명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Cronk ny Arrey Laa'' (감시의 언덕)에 있는 ''Lag ny Keeilley'' (교회의 움푹 들어간 곳)처럼 맨섬어는 이 섬의 지명 명명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중세 후기 동안, 맨섬은 점차 잉글랜드의 영향하에 들어갔고, 그 이후로 영어는 맨섬어의 발달에 있어 주요한 외부 요인이었다. 맨섬어는 13세기 무렵 근대 아일랜드어(Early Modern Irish)에서, 또 15세기 무렵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분기하기 시작했다.[96]
맨섬어의 서적은 18세기 초까지 인쇄된 적이 없었고, 더욱이 19세기까지 맨섬어-영어 사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16세기에 만들어진 소수의 서사시와 약간의 종교 문학을 제외하고, 맨섬어에는 20세기 이전의 문학이 없다. 맨섬어는 구전으로 전해져 온 민간 전승이나 역사 등을 가진, 어떤 의미로든 구전 사회(oral society)였다.[97]
1974년 맨섬에 거주하던 최후의 맨어 화자인 네드 매드럴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과 함께 옛 맨어는 소멸됐다.[109]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켈트족은 기원전 8세기 무렵 남하해 갈리아 지방과 브리타니아 지방까지 진출했다. 그 중에서 아일랜드에 정착한 무리들은 게일어를 사용했다. 이 게일어로부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그리고 맨어가 파생됐다.[108]맨섬어는 아일랜드어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이델어(게일어)의 하나이다. 알려진 맨섬의 최초 언어는 브리토니아어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게일어 및 현대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기원4세기 이후 오감 문자에 증명되는 고대 아일랜드어에 유래한다. 맨섬 박물관 소장의, 돌에 새겨진 오감 문자는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여 있으며, DOVAIDONA MAQI DROATA 「드로아타의 아들 도바이도의」로 읽을 수 있다.[95]
고대 아일랜드어는 5세기를 통해 고대 아일랜드어로 이행했다. 6세기 이후의 고대 아일랜드어는 라틴 문자로 쓰여졌고, 주로 라틴어 사본의 주석에 증명되고 있지만, 맨섬에서는 현존하는 예는 발견되지 않았다. 10세기까지 고대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전역, 스코틀랜드 및 맨섬에서 사용된 중세 아일랜드어로 변화했다.
8세기경 아일랜드에서 게일어 사용자들이 맨섬으로 이주하여 점차 아일랜드어와 분리되었다. 10세기까지 북유럽 출신 바이킹과 14세기에 정치적으로 확장한 영국 등의 영향으로 맨섬어는 노르드어와 영어의 영향을 받았다.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의 해안부와 마찬가지로, 맨섬에는 노르드인이 이주해 와 약간의 차용어나 인명, 랙시(영 Laxey, 맨섬어 Laksaa)나 램지(영 Ramsey, 맨섬어 Rhumsaa)와 같은 지명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Cronk ny Arrey Laa'' (감시의 언덕)에 있는 ''Lag ny Keeilley'' (교회의 움푹 들어간 곳)처럼 맨섬어는 이 섬의 지명 명명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중세 후기 동안, 맨섬은 점차 잉글랜드의 영향하에 들어갔고, 그 이후로 영어는 맨섬어의 발달에 있어 주요한 외부 요인이었다. 맨섬어는 13세기 무렵 근대 아일랜드어(Early Modern Irish)에서, 또 15세기 무렵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분기하기 시작했다.[96]
맨섬어의 서적은 18세기 초까지 인쇄된 적이 없었고, 더욱이 19세기까지 맨섬어-영어 사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16세기에 만들어진 소수의 서사시와 약간의 종교 문학을 제외하고, 맨섬어에는 20세기 이전의 문학이 없다. 맨섬어는 구전으로 전해져 온 민간 전승이나 역사 등을 가진, 어떤 의미로든 구전 사회(oral society)였다.[97]
1974년 맨섬에 거주하던 최후의 맨어 화자인 네드 매드럴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과 함께 옛 맨어는 소멸됐다.[109]
2. 2. 영어의 영향과 쇠퇴
켈트족은 기원전 8세기 무렵 남하해 갈리아 지방과 브리타니아 지방까지 진출했다. 그 중에서 아일랜드에 정착한 무리도 있었는데 이들은 게일어를 사용했다. 이 게일어로부터 여러 언어가 파생됐는데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그리고 맨어였다.[108]1974년 맨섬에 거주하던 최후의 맨어 화자인 네드 매드럴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과 함께 옛 맨어는 소멸됐다.[109]
8세기경 아일랜드에서 게일어 사용자들이 맨섬으로 이주하여 점차 아일랜드어와 분리되었다. 10세기까지 북유럽 출신 바이킹과 14세기에 정치적으로 확장한 영국 등의 영향으로 맨섬어는 노르드어와 영어의 영향을 받았다.
중세 후기 동안, 맨섬은 점차 잉글랜드의 영향하에 들어갔고, 그 이후로 영어는 맨섬어의 발달에 있어 주요한 외부 요인이었다. 1400년부터 1900년 사이 맨섬어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게일어에서 상당히 갈라져 나갔다. 17세기 알스터 식민(Plantation of Ulster), 레인스터(Leinster)에서의 아일랜드어 쇠퇴, 그리고 갈로웨이 게일어(Galwegian Gaelic)의 소멸은 다른 게일어 방언들로부터 맨섬어를 지리적으로 고립시켰다. 별개의 표기법(orthography)의 발달 또한 맨섬어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갈라지는 데 기여했다.[11] 맨섬어는 13세기 무렵 근대 아일랜드어(Early Modern Irish)에서, 또 15세기 무렵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분기하기 시작했다.[96]
17세기에 일부 대학생들은 잉글랜드에서 학교에 다니기 위해 맨섬을 떠났다. 동시에, 총독 아이작 배로우(Isaac Barrow (bishop))가 설립한 학교에서는 영어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배로우는 또한 교회에서 영어 사용을 장려했는데, 그는 성경을 읽는 데 있어 영어가 우월한 언어라고 생각했지만, 대다수의 목사들이 맨섬어 일어 사용자였기 때문에 그의 견해는 실질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했다.[11][8]
토마스 윌슨(Thomas Wilson (bishop))은 1698년 맨섬 주교직을 시작하여 마크 힐데슬리(Mark Hildesley)에게 계승되었다. 두 사람 모두 맨섬어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데, 윌슨은 『그리스도교의 원리와 의무』( )를 번역하여 맨섬어로 책을 출판한 최초의 인물이었고, 힐데슬리는 학교 교육 언어로 맨섬어 사용을 성공적으로 장려했다. 신약 성경은 1767년에 처음으로 맨섬어로 출판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거의 모든 학교에서 영어로 수업을 했다. 이러한 감소는 19세기로 계속되어 영어가 점차 맨섬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11][8]
1848년 J.G. 커밍(J.G. Cumming)은 "영어를 전혀 하지 못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아마 젊은이들 중에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헨리 제너(Henry Jenner)는 1874년에 인구의 약 30%(41,084명 중 12,340명)가 맨섬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한다고 추산했다. 공식 인구 조사 수치에 따르면, 1901년 인구의 9.1%가 맨섬어를 사용한다고 답했고, 1921년에는 그 비율이 1.1%에 불과했다.[9] 사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맨섬어는 언어적 "위상"(prestige)이 낮았고, 부모들은 영어에 비해 쓸모없다고 생각하여 자녀들에게 맨섬어를 가르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8] 1848년에 J. G. 커밍은 "영어를 말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젊은이들에게는 아마 전혀 없을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는 1874년에 인구의 약 30%가 습관적으로 맨섬어를 사용한다고 추정하고 있다(41,084명의 인구 중 12,340명). 공식적인 인구 조사 수치에 따르면, 1901년에는 인구의 9.1%가 맨섬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했지만, 1921년에는 이 비율이 겨우 1.1%가 되었다.[98]
브라이언 스토웰(Brian Stowell)에 따르면, "1860년대에는 영어를 할 줄 모르는 맨섬 사람들이 수천 명 있었지만, 불과 1세기 후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져 마을에서 맨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돌을 던지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다." [10]
맨섬어의 서적은 18세기 초까지 인쇄된 적이 없었고, 더욱이 19세기까지 맨섬어-영어 사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16세기에 만들어진 소수의 서사시와 약간의 종교 문학을 제외하고, 맨섬어에는 20세기 이전의 문학이 없다. 맨섬어는 구전으로 전해져 온 민간 전승이나 역사 등을 가진, 어떤 의미로든 구전 사회(oral society)였다.[97]
2. 3. 마지막 원어민 화자의 사망과 부활 운동
1974년 맨섬에 거주하던 최후의 맨어 화자인 네드 매드럴이 세상을 떠나면서 맨어는 소멸됐다.[109] 19세기 맨섬어 사용이 감소한 이후, 1899년에 맨섬어 협회(Yn Çheshaght Ghailckagh)가 설립되었다.[11] 20세기 중반에는 몇몇 고령의 원어민 화자만 남았고, 그 당시 학문적인 부흥이 시작되어 몇몇 사람들이 학교에서 맨섬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11] 1992년에는 맨섬어 담당관이자 언어 운동가인 브라이언 스토웰(Brian Stowell)이 이끄는 맨섬어 부서가 설립되어, 학교에서 맨섬어 교육과 자격 인정의 모든 측면을 담당하게 되었다.[11] 이는 맨섬어 학습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고, 새롭게 민족 정체성에 대한 감각을 고취시켰다. 맨섬어 부흥에는 20세기에 연구자들이 수행한 녹음 작업이 도움이 되었는데, 특히 1948년 에이먼 드 발레라(Éamon de Valera)에 의해 아일랜드 민속위원회(Irish Folklore Commission)가 녹음 장비를 가지고 파견된 것이 큰 역할을 했다.[15] 맨섬어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 또 다른 인물은 브라이언 스토웰로, 그는 현재 맨섬어 부흥에 개인적으로 책임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5] 2017년에는 맨섬어 전략이 발표되어 언어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5개년 계획을 개략적으로 제시했다.[12][13] 컬처 바닌(Culture Vannin)은 맨섬어 사용을 장려하고 촉진하기 위해 맨섬어 개발 담당자(Yn Greinneyder)를 고용하고 있다.2009년, 유네스코(UNESCO)의 세계 멸종 위기 언어 아틀라스(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는 맨섬에 수백 명의 화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맨섬어를 멸종 언어로 선언했다.[14] 그 이후로 유네스코의 맨섬어 분류는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로 변경되었다.[15]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맨섬 주민 80,398명 중 1,823명(인구의 2.27%)이 맨섬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답했는데,[16] 이는 2001년 인구 조사보다 134명 증가한 수치이다.[17] 이들은 섬 전체에 거의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더글러스에서는 566명, 필에서는 179명, 온찬(Onchan)에서는 146명, 램지에서는 149명이 맨섬어를 말하거나 읽거나 쓸 수 있다고 답했다.[16]
전통적인 맥스어 이름은 섬에서 눈에 띄게 부활했는데, 특히 Moirreygv와 Voirreygv (메리), Illiamgv (윌리엄), Orrygv (노르웨이계 맥스 왕 고드레드 크로반(Godred Crovan)에서 유래), Breesheygv/Breeshagv (브리짓), Aalishgv/Ealishgv (앨리스), Juangv (잭), Eangv (존), Joneygv (조앤), Fenellagv (피오누알라(Fionnuala)), Pherickgv (패트릭), 그리고 Freyagv (노르웨이 여신)가 인기가 많다.[18]
2. 4. 현재 상황
맨섬어는 어떤 국가 또는 지역 정부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맨섬 문화와 전통에 대한 기여는 일부 정부 및 비정부 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다.[28] 키즈 하원의 회의 규칙은 "본원의 회의는 영어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의원이 어떤 시점에서 맨섬 게일어 또는 다른 언어로 관습적인 용어나 문장을 발표하는 경우, 의장은 의원에게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24] 예를 들어 2019년 2월 12일 회의에서 한 MHK(맨섬 의회 의원)가 "터무니없는 소리"를 의미하는 "boghtnidgv"라는 표현을 사용했다.[25][26][27]매년 열리는 틴월드 의식에서 맨섬어가 사용되며, 공식 틴월드 간행물에도 맨섬어 단어가 사용된다.[28] 지역 문화와 공동체에 대한 기여를 강화하기 위해 맨섬어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및 영국-아일랜드 협의회의 틀 안에서 인정받고 있다. 맨섬은 유럽 언어 지도에서 맨섬어의 유일한 지역이었다.[29]

맨섬어는 섬의 모든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제2언어로 가르쳐지며, 수업은 선택 과목이다. 교육부의 맨섬어 팀이 A 레벨 수준까지 교육을 제공한다.[30] 세인트존스에 있는 초등학교인 분스코일 게일가에서는 2016년 9월 기준으로 67명의 아동이 맨섬어로 거의 모든 교육을 받고 있다. 이 학교에 다닌 아동들은 피일에 있는 퀸 엘리자베스 2 고등학교에서 맨섬어로 일부 중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다. Bunscoill Ghaelgaghgv를 운영하는 놀이학교 단체인 무인저 베게이는 맨섬어를 소개하는 일련의 유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맨섬 전역에는 이중 언어로 된 도로, 거리, 마을 및 도시 경계 표지판이 일반적이다. 다른 모든 도로 표지판은 영어로만 되어 있다. 맨섬어로 된 상업 간판은 점차 도입되고 있지만 법으로 의무화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1985년 틴월드 보고서에 따르면 맨섬어 구절이 표준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간판이 이중 언어로 표시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19세기 중반 맨섬어의 쇠퇴를 맞아, 1899년에 맨섬어 협회(Yn Cheshaght Ghailckaghgv)가 설립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노년층의 모어 화자만 남았지만(마지막 화자였던 네드 마드렐은 1974년 12월 27일에 사망했다), 그때까지 학문적인 부흥이 시작되었고, 몇몇 사람들이 학교에서 맨섬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1992년에는 "학교에서의 맨섬어 교육 및 자격 인증의 모든 측면을 담당하는" 3인 위원으로 구성된 맨섬어 담당관()이 이끄는 맨섬어 부서(Manx Language Unit)가 조직되었다.[99] 이로부터 맨섬어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이와 함께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감각이 고취되었다. 맨섬어의 부흥은 연구자들에 의해 20세기에 이루어진 녹음 작업에 힘입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1948년에 에이먼 드 발레라에 의해 녹음 장비를 갖추고 파견된 이다. 스스로 맨섬어의 최근 부흥에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언어 애호가이자 유창한 화자인 브라이언 스토웰이 이끈 연구도 있다.[101]
2009년, 유네스코의 세계 소멸 위기 언어 지도는 맨섬에 수백 명의 화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맨섬어를 소멸 언어(extinct language)로 선언했다.[100] 이후 유네스코는 맨섬어의 분류를 "심각한 위기 critically endangered"로 변경했다.[101]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80,398명 중 1,823명, 인구의 2.27%가 맨섬어 지식이 있다고 주장했다.[102] 이는 2001년 인구 조사보다 134명 증가한 수치이다.[103] 화자가 가장 집중된 곳은 더글러스로, 566명이 회화와 읽기 쓰기 능력이 있다고 답했다. 피엘이 2위이며, 회화와 읽기 쓰기가 가능하다고 답한 사람은 179명이었다. 그 외 주요 집중 지역은 온찬(146명)과 램지(149명)였다.
맨섬에서는 맨섬어 이름이 다시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Moirrey'' / ''Voirrey'' (영 Mary), ''Illiam'' (William), ''Orry''(바이킹의 맨 왕에서 유래), ''Breeshey''/''Breesha'' (Bridget), ''Aalish''/''Ealish'' (Alice), ''Juan'' (Jack), ''Ean'' (John), ''Joney'', ''Fenella''(Fionnuala, 아일랜드 신화의 피오누알라), ''Pherick'' (Patrick), ''Freya''(북유럽 신화의 프레이야)가 인기 있다.
3. 언어 명칭
3. 1. 맨섬어 명칭
맨섬어의 내부 명칭은 Gaelggv/Gailckgv이며, "게일어"라는 단어와 어원을 공유한다. 자매 언어인 아일랜드어( Gaeilgega; Gaoluinnga, Gaedhlagga 및 Gaeilicga)와 스코틀랜드 게일어(Gàidhliggd)의 내부 명칭도 마찬가지이다. 맨섬어는 아일랜드어(an Ghaeilgega)와 스코틀랜드 게일어(a' Ghàidhliggd)처럼 y Ghaelgga/y Ghailckgv (정관사 포함) 형태를 자주 사용한다.
다른 두 가지 게일어와 구분하기 위해 Gaelg/Gailck Vanningv "맨섬의 게일어"와 Gaelg/Gailck Vanninnaghgv "맨섬 게일어"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또한, "어머니의 말"이라는 뜻의 애칭 Çhengey ny Mayreygv "모국어"가 가끔 사용되기도 한다.
3. 2. 영어 명칭
이 언어는 영어로 보통 "맥스어(Manx)"로 불린다.[4] "맥스 게일어(Manx Gaelic)"라는 용어는 세 가지 고이델어(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맥스어) 간의 관계를 논의할 때나 섬에서 사용되는 영어인 맥스 영어(Manx English)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4] 게일어에서 유래한 맥스 영어의 특징 중 하나는 "the Manx", "the Gaelic"과 같이 표준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볼 수 없는 방식으로 정관사를 사용하는 것이다.[4]
"맥스(Manx)"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Manks"(특히 섬의 원주민들이 사용)로 표기되기도 하며, "Mannish"를 의미하며 고대 노르드어 망스/*manskrnon에서 유래한다.[5] 맨섬(Isle of Man)은 아일랜드 신 마나난 막 리르(Manannán mac Li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따라서 엘란 바닌/Ellan Vanningv("마나난의 섬")이다.[6]
4. 음운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맨섬어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놓이지만, 많은 경우 두 번째 음절의 긴 모음으로 스트레스가 이동한다.[48]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əˈɣæːn//bugganegv "요정"
- /t̪aˈruːx//tarrooghgv "바쁜"
- /riːˈoːl//reeoilgv "왕족의"
- /vonˈd̪eːʃ//vondeishgv "이점"
== 자음 ==
맨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49]
순음 | 치음 | 치경음 | 치후음 | 경구개음 | 구개음화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 b | t̪ | d̪ | tʲ | dʲ | kʲ | ɡʲ | k | ɡ | ||||||
마찰음 | f | v | s | ʃ | xʲ | ɣʲ | x | ɣ | h | |||||||
비음 | m | n | nʲ | ŋʲ | ŋ | |||||||||||
르르음 | r | |||||||||||||||
측음 | l | lʲ | ||||||||||||||
반모음 | j영어 | w영어 |
무성 파열음은 유기된다. 치음, 치후음, 구개음화 파열음 는 많은 문맥에서 로 파찰음된다.
맨어에는 모음 사이 파열음의 연화라는 선택적 과정이 있다. 유성 파열음과 무성 마찰음은 유성 마찰음이 되고, 무성 파열음은 유성 파열음이나 유성 마찰음이 된다. 이 과정에서 변이음 이 도입된다. 유성 마찰음 는 더욱 연화되어 가 될 수 있으며, 는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50]
- 무성 파열음에서 유성 파열음으로: > (예: ]}} "깃발, 누더기"), > (예: ]}} "죄")
- 무성 파열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예: ]}} "컵"), > (예: ]}} "배"), > (예: ]}} "이빨")
- 유성 파열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예: ]}} "말"), > (예: ]}} "얼굴"), > (예: ]}} "기도", ]}} "막대기"), > (예: ]}} "태어난")
- 무성 마찰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또는 (예: ]}} "결혼한"), > (예: ]}} "서다"), > (예: ]}} "쉬운", ]}} "시작"), > (예: ]}} "살다", ]}} "지난")
또 다른 선택적 과정은 전폐쇄로, 유성 자음 앞에 매우 짧은 파열음을 삽입하는 것이다. 맥스어에서 이것은 강세를 받는 단음절 단어에 적용된다. 삽입된 자음은 뒤따르는 유성 자음과 동소음이며, 이는 발음 위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긴 모음은 전폐쇄음 앞에서 종종 짧아진다.[51]
- > : /t̪roːm//tromegv > "무거운"
- > : /kʲoːn//kionegv > "머리"
- > : /eːnʲ//eingv > "새들"
- > : /loŋ//lhonggv > "배"
- > : /ʃuːl//shooyllgv > "걷는"
르르음 는 음절의 처음에서는 한두 번의 접촉 탄음 로, 같은 음절의 다른 자음 앞에서는 더 강한 르르음 로 실현된다. 음절 끝에서 는 강한 르르음 로 발음될 수도 있고, 더 자주 약한 마찰음 로 발음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무음절 로 구개음화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52] 이러한 구개음화는 맥스 영어의 영향 때문일 수 있는데, 이는 무후음이다.[53]
- 발음 예시: ]}} "올무", ]}} "빵", ]}} "큰"
== 모음 ==
맨섬어의 모음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54]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처럼, 맨섬어는 인접 자음의 ‘폭넓음’(broad)과 ‘가늘음’(slender) 여부에 따라 많은 모음 동소변이 현상을 보인다.[54] /a/, /aː/ 와 같은 모음 음소는 "가늘음(Slender)" 환경에서 [ɛ~æ]/[ɛː~æː], "폭넓음(Broad)" 환경에서 [a]/[aː]/[øː]로 실현된다.[54] 강세를 받을 때의 /ə/는 [ø]로 실현된다.[55]
맨섬어는 상당히 많은 수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하강 이중모음이다.[54]
4. 1. 자음
맨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49]순음 | 치음 | 치경음 | 치후음 | 경구개음 | 구개음화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 b | t̪ | d̪ | tʲ | dʲ | kʲ | ɡʲ | k | ɡ | ||||||
마찰음 | f | v | s | ʃ | xʲ | ɣʲ | x | ɣ | h | |||||||
비음 | m | n | nʲ | ŋʲ | ŋ | |||||||||||
르르음 | r | |||||||||||||||
측음 | l | lʲ | ||||||||||||||
반모음 | j영어 | w영어 |
무성 파열음은 유기된다. 치음, 치후음, 구개음화 파열음 는 많은 문맥에서 로 파찰음된다.
맨어에는 모음 사이 파열음의 연화라는 선택적 과정이 있다. 유성 파열음과 무성 마찰음은 유성 마찰음이 되고, 무성 파열음은 유성 파열음이나 유성 마찰음이 된다. 이 과정에서 변이음 이 도입된다. 유성 마찰음 는 더욱 연화되어 가 될 수 있으며, 는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50]
- 무성 파열음에서 유성 파열음으로: > (예: brattaggv "깃발, 누더기"), > (예: peccahgv "죄")
- 무성 파열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예: cappangv "컵"), > (예: baateygv "배"), > (예: feeacklegv "이빨")
- 유성 파열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예: cabbylgv "말"), > (예: eddingv "얼굴"), > (예: padjergv "기도", maidjeygv "막대기"), > (예: ruggitgv "태어난")
- 무성 마찰음에서 유성 마찰음으로: > 또는 (예: poositgv "결혼한"), > (예: shassoogv "서다"), > (예: aashaghgv "쉬운", toshiaghtgv "시작"), > (예: beagheygv "살다", shagheygv "지난")
또 다른 선택적 과정은 전폐쇄로, 유성 자음 앞에 매우 짧은 파열음을 삽입하는 것이다. 맥스어에서 이것은 강세를 받는 단음절 단어에 적용된다. 삽입된 자음은 뒤따르는 유성 자음과 동소음이며, 이는 발음 위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긴 모음은 전폐쇄음 앞에서 종종 짧아진다.[51]
- > : tromegv > "무거운"
- > : kionegv > "머리"
- > : eingv > "새들"
- > : lhonggv > "배"
- > : shooyllgv > "걷는"
르르음 는 음절의 처음에서는 한두 번의 접촉 탄음 로, 같은 음절의 다른 자음 앞에서는 더 강한 르르음 로 실현된다. 음절 끝에서 는 강한 르르음 로 발음될 수도 있고, 더 자주 약한 마찰음 로 발음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무음절 로 구개음화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52] 이러한 구개음화는 맥스 영어의 영향 때문일 수 있는데, 이는 무후음이다.[53]
- 발음 예시: ribbeygv "올무" , arrangv "빵" , mooargv "큰"
4. 2. 모음
맨섬어의 모음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54]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처럼, 맨섬어는 인접 자음의 ‘폭넓음’(broad)과 ‘가늘음’(slender) 여부에 따라 많은 모음 동소변이 현상을 보인다.[54] /a/, /aː/ 와 같은 모음 음소는 "가늘음(Slender)" 환경에서 [ɛ~æ]/[ɛː~æː], "폭넓음(Broad)" 환경에서 [a]/[aː]/[øː]로 실현된다.[54] 강세를 받을 때의 /ə/는 [ø]로 실현된다.[55]
맨섬어는 상당히 많은 수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하강 이중모음이다.[54]
5. 문법
대부분의 섬켈트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SVO 언어이다.[56] 그러나 대부분의 유한 동사는 보조 동사와 동명사를 함께 사용하는 주변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보조 동사만이 주어 앞에 오고, 동명사는 주어 뒤에 온다. 보조 동사는 ("be", ~이다) 또는 ("do", ~하다)의 형태가 아닌 조동사일 수 있다. ("not", ~아니다)와 같은 부사는 활용된 동사 앞에 온다.
예시:
- ''Hug yn saggyrt e laue urree.'' "사제가 그의 손을 그녀에게 얹었다."[57]
- ''Va ny eayin gee yn conney.'' "양들은 진달래를 먹곤 했다."[58]
- ''Cha jarg shiu fakin red erbee.'' "너희들은 아무것도 볼 수 없다."[59]
보조 동사가 ("do", ~하다)의 형태일 때, 직접 목적어는 동명사 앞에 오며 라는 부사와 연결된다.
예시: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에는 "to be"(~이다)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실질 동사 를 사용하는 방법과 연결 동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질 동사는 술어가 형용사, 부사 또는 전치사구일 때 사용된다.[60]
예시:
- ''T' eh agglagh'' "그것은 무서운/끔찍하다."
- ''T' eh dy mie'' "그는 잘 있다."
- ''T' eh ayns y thie-oast'' "그는 술집에 있다."
술어가 명사일 경우, 실질 동사가 문법적으로 타당하려면 전치사 ("in", ~안에) + 소유격 대명사(주어와 일치)로 이끄는 전치사구로 변환되어야 한다.
예시:
그렇지 않으면, 술어가 명사일 때는 연결 동사가 사용된다. 연결 동사 자체는 현재 시제에서 또는 의 형태를 취하지만, 긍정문에서는 종종 생략된다.
예시:
의문문과 부정문에서 연결 동사의 현재 시제는 이다.
예시:
5. 1. 통사론
대부분의 섬켈트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SVO 언어이다.[56] 그러나 대부분의 유한 동사는 보조 동사와 동명사를 함께 사용하는 주변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보조 동사만이 주어 앞에 오고, 동명사는 주어 뒤에 온다. 보조 동사는 beegv ("be", ~이다) 또는 jannoogv ("do", ~하다)의 형태가 아닌 조동사일 수 있다. chagv ("not", ~아니다)와 같은 부사는 활용된 동사 앞에 온다.예시:
- ''Hug yn saggyrt e laue urree.'' "사제가 그의 손을 그녀에게 얹었다."[57]
- ''Va ny eayin gee yn conney.'' "양들은 진달래를 먹곤 했다."[58]
- ''Cha jarg shiu fakin red erbee.'' "너희들은 아무것도 볼 수 없다."[59]
보조 동사가 jannoogv ("do", ~하다)의 형태일 때, 직접 목적어는 동명사 앞에 오며 ygv라는 부사와 연결된다.
예시: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에는 "to be"(~이다)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실질 동사 beegv를 사용하는 방법과 연결 동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질 동사는 술어가 형용사, 부사 또는 전치사구일 때 사용된다.[60]
예시:
- ''T' eh agglagh'' "그것은 무서운/끔찍하다."
- ''T' eh dy mie'' "그는 잘 있다."
- ''T' eh ayns y thie-oast'' "그는 술집에 있다."
술어가 명사일 경우, 실질 동사가 문법적으로 타당하려면 전치사 ingv ("in", ~안에) + 소유격 대명사(주어와 일치)로 이끄는 전치사구로 변환되어야 한다.
예시:
그렇지 않으면, 술어가 명사일 때는 연결 동사가 사용된다. 연결 동사 자체는 현재 시제에서 isgv 또는 shegv의 형태를 취하지만, 긍정문에서는 종종 생략된다.
예시:
의문문과 부정문에서 연결 동사의 현재 시제는 neegv이다.
예시:
5. 2. 형태론
5. 2. 1. 초성 자음 변화
모든 현대 켈트어와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초성 자음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단어의 초성 자음이 형태론적 및/또는 통사론적 환경에 따라 변하는 과정이다.[64] 맨섬어에는 명사와 동사에서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변화, '''연화'''와 '''엄폐'''가 있다. 형용사는 연화를 겪을 수 있지만 엄폐는 겪을 수 없다. 20세기 후반 구어에서는 이 체계가 무너지고 있었으며, 화자들은 자음 변화가 필요한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필요 없는 환경에서 가끔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기 구어 자료에는 /ɡ/의 엄폐(비음화)의 한 예도 있는데, Ta mee er '''ng'''eddyn yn eayngv("나는 어린 양을 찾았다")라는 문장에서 ng/nggv는 /n/로 발음된다. 그러나 아마도 이것은 잘못된 기록일 것이다. 이 경우 동사 명사는 geddyn/geddyngv "얻다, 가지러 가다"가 아니라 feddyn/feddyngv "찾다"이다.[66]
5. 2. 2. 명사
wikitext맨섬어 명사는 성, 수, 그리고 때때로 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여성 명사 카스/cassgv "발"의 경우 다음과 같다.
단수 | 복수 | |
---|---|---|
주격 | 카스/cassgv | 카신/cassyngv |
호격 | 하스/chassgv | 하신/chassyngv |
소유격 | 코헤이/cosheygv | 카신/cassyngv |
5. 2. 3. 대명사
wikitablecolspan="3" | | 일반형 | 강조형 | |||||||||||||||||||||||||||||||||||||||||||||||||||||||||||||||||||||||||||||||||||||||||||||||||||||||||||||||||||||||||||||||||||||||||||||||||||||||||||||||||||||||||||||||||||||||||||||||||||||||||||||||||||||||||||||||||||||||||||||||||||||||||||||||||||||||||||||||||||||||||||||||||||||||||||||||||||||||||||||||||||||||||||||||||||||||||||||||||||||||||||||||||||||||||||||||||||||||||||||||||||||||||||||||||||||||||||||||||||||||||||||||||||||||||||||||||||||||||||||||||||||||||||||||||||||||||||||||||||||||||||||||||||||||||||||||||||||||||||||||||||||||||||||||||||||||||||||||||||||||||||||||||||||||||||||||||||||||||||||||||||||||||||||||||||||||||||||||||||||||||||||||||||||||||||||||||||||||||||||||||||||||||||||||||||||||||||||||||||||||||||||||||||||||||||||||||||||||||||||||||||||||||||||||||||||||||||||||||||||||||||||||||||||||||||||||||||||||||||||||||||||||||||||||||||||||||||||||||||||||||||||||||||||||||||||||||||||||||||||||||||||||||||||||||||||||||||||||||||||
---|---|---|---|---|---|---|---|---|---|---|---|---|---|---|---|---|---|---|---|---|---|---|---|---|---|---|---|---|---|---|---|---|---|---|---|---|---|---|---|---|---|---|---|---|---|---|---|---|---|---|---|---|---|---|---|---|---|---|---|---|---|---|---|---|---|---|---|---|---|---|---|---|---|---|---|---|---|---|---|---|---|---|---|---|---|---|---|---|---|---|---|---|---|---|---|---|---|---|---|---|---|---|---|---|---|---|---|---|---|---|---|---|---|---|---|---|---|---|---|---|---|---|---|---|---|---|---|---|---|---|---|---|---|---|---|---|---|---|---|---|---|---|---|---|---|---|---|---|---|---|---|---|---|---|---|---|---|---|---|---|---|---|---|---|---|---|---|---|---|---|---|---|---|---|---|---|---|---|---|---|---|---|---|---|---|---|---|---|---|---|---|---|---|---|---|---|---|---|---|---|---|---|---|---|---|---|---|---|---|---|---|---|---|---|---|---|---|---|---|---|---|---|---|---|---|---|---|---|---|---|---|---|---|---|---|---|---|---|---|---|---|---|---|---|---|---|---|---|---|---|---|---|---|---|---|---|---|---|---|---|---|---|---|---|---|---|---|---|---|---|---|---|---|---|---|---|---|---|---|---|---|---|---|---|---|---|---|---|---|---|---|---|---|---|---|---|---|---|---|---|---|---|---|---|---|---|---|---|---|---|---|---|---|---|---|---|---|---|---|---|---|---|---|---|---|---|---|---|---|---|---|---|---|---|---|---|---|---|---|---|---|---|---|---|---|---|---|---|---|---|---|---|---|---|---|---|---|---|---|---|---|---|---|---|---|---|---|---|---|---|---|---|---|---|---|---|---|---|---|---|---|---|---|---|---|---|---|---|---|---|---|---|---|---|---|---|---|---|---|---|---|---|---|---|---|---|---|---|---|---|---|---|---|---|---|---|---|---|---|---|---|---|---|---|---|---|---|---|---|---|---|---|---|---|---|---|---|---|---|---|---|---|---|---|---|---|---|---|---|---|---|---|---|---|---|---|---|---|---|---|---|---|---|---|---|---|---|---|---|---|---|---|---|---|---|---|---|---|---|---|---|---|---|---|---|---|---|---|---|---|---|---|---|---|---|---|---|---|---|---|---|---|---|---|---|---|---|---|---|---|---|---|---|---|---|---|---|---|---|---|---|---|---|---|---|---|---|---|---|---|---|---|---|---|---|---|---|---|---|---|---|---|---|---|---|---|---|---|---|---|---|---|---|---|---|---|---|---|---|---|---|---|---|---|---|---|---|---|---|---|---|---|---|---|---|---|---|---|---|---|---|---|---|---|---|---|---|---|---|---|---|---|---|---|---|---|---|---|---|---|---|---|---|---|---|---|---|---|---|---|---|---|---|---|---|---|---|---|---|---|---|---|---|---|---|---|---|---|---|---|---|---|---|---|---|---|---|---|---|---|---|---|---|---|---|---|---|---|---|---|---|---|---|---|---|---|---|---|---|---|---|---|---|---|---|---|---|---|---|---|---|---|---|---|---|---|---|---|---|---|---|---|---|---|---|---|---|---|---|---|---|---|---|---|---|---|---|---|---|---|---|---|---|---|---|---|---|---|---|---|---|---|---|---|---|---|---|---|---|---|---|---|---|---|---|---|---|---|---|---|---|---|---|---|---|---|---|---|---|---|---|---|---|---|---|---|---|---|---|---|---|---|---|---|---|---|---|---|---|---|---|---|---|---|---|---|---|---|---|---|---|---|---|---|---|---|---|---|---|---|---|---|---|---|---|---|---|---|---|---|---|---|---|---|---|---|---|---|---|---|---|---|---|---|---|---|---|---|---|---|---|---|---|---|---|---|---|---|---|---|---|---|---|---|---|---|---|---|---|---|---|---|---|---|---|---|---|---|---|---|---|---|---|---|---|---|---|---|---|---|---|---|---|---|---|---|---|---|---|---|---|---|---|---|---|---|---|---|---|---|---|---|---|---|---|---|---|---|---|---|---|---|---|---|---|---|---|---|---|---|---|---|---|---|---|---|---|---|---|---|---|---|---|---|---|---|---|---|---|---|---|---|---|---|---|---|---|---|---|---|---|---|---|---|---|---|---|---|---|---|---|---|---|---|---|---|---|---|---|---|---|---|---|---|---|---|---|---|---|---|---|---|---|---|---|---|---|---|---|---|---|---|---|---|---|---|---|---|---|---|---|---|---|---|---|---|---|---|---|---|---|---|---|---|---|---|---|---|---|---|---|---|---|---|---|---|---|---|---|
단수 | 1인칭 | {{llang|gv|mee|} | }
시제 | 독립적 | 종속적 | 관계적 |
---|---|---|---|
과거 | hilggv | (독립적과 동일) | |
미래 | tilgymgv, tilgmaydgv, tilgeegv | dilgymgv, dilgmaydgv, dilgeegv | tilgysgv |
가정법 | tilgingv, tilgaghgv | dilgingv, dilgaghgv | |
명령법 | tilggv, tilg-jeegv | (독립적과 동일) |
- 1인칭 단수에는 tilgymgv를, 1인칭 복수에는 tilgmaydgv를 사용하며, 따라서 뒤에 오는 주어 대명사의 사용은 불필요하다.
- 다른 모든 인칭에는 tilgeegv를 사용하며, 따라서 주어를 명시해야 한다. 예: tilgee ehgv "그는 던질 것이다", tilgee adgv "그들은 던질 것이다"
- 단수 주어에는 tilggv를, 복수 주어에는 tilg-jeegv를 사용한다.
동사가 모음으로 시작할 때, 즉 과거 시제에서 d'gv를 추가하고 미래 및 가정법 종속절에서 n'gv을 추가할 때 몇 가지 특이 사항이 있다. 아래는 aasegv "자라다"의 활용이다.
불규칙 동사는 소수 존재하며, 그중 가장 불규칙적인 동사는 vegv "be"(~이다)이다.
형태 | 독립적 | 종속적 | 관계적 |
---|---|---|---|
현재 | tagv | vel, nelgv | – |
과거 | vagv | rowgv | – |
미래 | bee'm, beemayd, beegv | (독립적과 동일) | veesgv |
가정법 | veign, veaghgv | beign, beaghgv | – |
명령법 | beegv | (독립적과 동일) | – |
5. 2. 5. 전치사
다른 섬켈트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전치사와 대명사 목적어가 결합된 축약형인 굴절 전치사(inflected preposition)를 사용한다. 굴절되지 않은 전치사와 3인칭 단수 남성형 굴절형이 같은 형태를 갖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rowspan="3"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남성 | 여성 |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sgv "in"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ym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 ayndooi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yd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di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je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ndoo, ayndau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agv "to" | 한국어 발음 미표기/do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ooi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hyt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i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a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je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dau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cgv "at"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m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i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ayd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orroo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chey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ck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oc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rgv "on" | 한국어 발음 미표기/orrym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orri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ort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rri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er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urre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orroo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eshgv "with"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iam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ie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iat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i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esh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e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lhieu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eih, voishgv "from"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ym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in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yd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eu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ish, veih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eegv | 한국어 발음 미표기/vouegv |
5. 2. 6. 수사
맥스어의 숫자는 전통적으로 20진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feed"는 20, "daeed"는 40("두 개의 20"), "tree feed"는 60("세 개의 20")을 의미한다.[73]영어 | 맥스어 | 아일랜드어 어원 | 스코틀랜드 게일어 어원 | ||||||||||||||||||||||||||||||||||||||||||||||||||||||||||||||||||||||||||||||||||||||||||||||||||||||||||||||||||||||||||||||||||||||||||||||||||||||||||||||||||||||||||||||||||||||||||||||||||||||||||||||||||||||||||||||||||||||||||||||||||||||||||||||||||||||||||||||||||||||||||||||||||||||||||||||||||||||||||||||||||||||||||||||||||||||||||||||||||||||||||||||||||||||||||||
---|---|---|---|---|---|---|---|---|---|---|---|---|---|---|---|---|---|---|---|---|---|---|---|---|---|---|---|---|---|---|---|---|---|---|---|---|---|---|---|---|---|---|---|---|---|---|---|---|---|---|---|---|---|---|---|---|---|---|---|---|---|---|---|---|---|---|---|---|---|---|---|---|---|---|---|---|---|---|---|---|---|---|---|---|---|---|---|---|---|---|---|---|---|---|---|---|---|---|---|---|---|---|---|---|---|---|---|---|---|---|---|---|---|---|---|---|---|---|---|---|---|---|---|---|---|---|---|---|---|---|---|---|---|---|---|---|---|---|---|---|---|---|---|---|---|---|---|---|---|---|---|---|---|---|---|---|---|---|---|---|---|---|---|---|---|---|---|---|---|---|---|---|---|---|---|---|---|---|---|---|---|---|---|---|---|---|---|---|---|---|---|---|---|---|---|---|---|---|---|---|---|---|---|---|---|---|---|---|---|---|---|---|---|---|---|---|---|---|---|---|---|---|---|---|---|---|---|---|---|---|---|---|---|---|---|---|---|---|---|---|---|---|---|---|---|---|---|---|---|---|---|---|---|---|---|---|---|---|---|---|---|---|---|---|---|---|---|---|---|---|---|---|---|---|---|---|---|---|---|---|---|---|---|---|---|---|---|---|---|---|---|---|---|---|---|---|---|---|---|---|---|---|---|---|---|---|---|---|---|---|---|---|---|---|---|---|---|---|---|---|---|---|---|---|---|---|---|---|---|---|---|---|---|---|---|---|---|---|---|---|---|---|---|---|---|---|---|---|---|---|---|---|---|---|---|---|---|---|---|---|---|---|---|---|---|---|---|---|---|---|---|---|---|---|---|---|---|---|---|---|---|---|---|
하나 | æːn, oːn, uːn/ungv neːn/nanegv | eːnˠ, iːnˠ, (Northwest Ulster) ɯːnˠ/aonga | ɯːn/aongd | ||||||||||||||||||||||||||||||||||||||||||||||||||||||||||||||||||||||||||||||||||||||||||||||||||||||||||||||||||||||||||||||||||||||||||||||||||||||||||||||||||||||||||||||||||||||||||||||||||||||||||||||||||||||||||||||||||||||||||||||||||||||||||||||||||||||||||||||||||||||||||||||||||||||||||||||||||||||||||||||||||||||||||||||||||||||||||||||||||||||||||||||||||||||||||||
둘 | d̪æː/daagv, ɣæː/ghaagv, dʒiːs/jeesgv | d̪ˠoː/dóga, ɣaː/d̪ˠaː/d(h)ága,(사람만) dʲiːʃ/dísga* | t̪aː/dàgd | ||||||||||||||||||||||||||||||||||||||||||||||||||||||||||||||||||||||||||||||||||||||||||||||||||||||||||||||||||||||||||||||||||||||||||||||||||||||||||||||||||||||||||||||||||||||||||||||||||||||||||||||||||||||||||||||||||||||||||||||||||||||||||||||||||||||||||||||||||||||||||||||||||||||||||||||||||||||||||||||||||||||||||||||||||||||||||||||||||||||||||||||||||||||||||||
셋 | t̪riː/treegv | tʲrʲiː/tríga | t̪ʰɾiː/trìgd | ||||||||||||||||||||||||||||||||||||||||||||||||||||||||||||||||||||||||||||||||||||||||||||||||||||||||||||||||||||||||||||||||||||||||||||||||||||||||||||||||||||||||||||||||||||||||||||||||||||||||||||||||||||||||||||||||||||||||||||||||||||||||||||||||||||||||||||||||||||||||||||||||||||||||||||||||||||||||||||||||||||||||||||||||||||||||||||||||||||||||||||||||||||||||||||
넷 | kʲæːə(r)/kiaregv | cahərʲ/ceathairga, ˈcɛɾʲə/ceithrega | ˈkʲʰehɪɾʲ/ceithirgd | ||||||||||||||||||||||||||||||||||||||||||||||||||||||||||||||||||||||||||||||||||||||||||||||||||||||||||||||||||||||||||||||||||||||||||||||||||||||||||||||||||||||||||||||||||||||||||||||||||||||||||||||||||||||||||||||||||||||||||||||||||||||||||||||||||||||||||||||||||||||||||||||||||||||||||||||||||||||||||||||||||||||||||||||||||||||||||||||||||||||||||||||||||||||||||||
다섯 | kweɡ/queiggv | kuːɟ/cúigga | kʰoːkʲ/còiggd | ||||||||||||||||||||||||||||||||||||||||||||||||||||||||||||||||||||||||||||||||||||||||||||||||||||||||||||||||||||||||||||||||||||||||||||||||||||||||||||||||||||||||||||||||||||||||||||||||||||||||||||||||||||||||||||||||||||||||||||||||||||||||||||||||||||||||||||||||||||||||||||||||||||||||||||||||||||||||||||||||||||||||||||||||||||||||||||||||||||||||||||||||||||||||||||
여섯 | ʃeː/sheygv | ʃeː/séga | ʃiə/siagd | ||||||||||||||||||||||||||||||||||||||||||||||||||||||||||||||||||||||||||||||||||||||||||||||||||||||||||||||||||||||||||||||||||||||||||||||||||||||||||||||||||||||||||||||||||||||||||||||||||||||||||||||||||||||||||||||||||||||||||||||||||||||||||||||||||||||||||||||||||||||||||||||||||||||||||||||||||||||||||||||||||||||||||||||||||||||||||||||||||||||||||||||||||||||||||||
일곱 | ʃæːx/shiaghtgv | ʃaxt̪ˠ/seachtga | ʃɛxk/seachdgd, ʃaxkgd | ||||||||||||||||||||||||||||||||||||||||||||||||||||||||||||||||||||||||||||||||||||||||||||||||||||||||||||||||||||||||||||||||||||||||||||||||||||||||||||||||||||||||||||||||||||||||||||||||||||||||||||||||||||||||||||||||||||||||||||||||||||||||||||||||||||||||||||||||||||||||||||||||||||||||||||||||||||||||||||||||||||||||||||||||||||||||||||||||||||||||||||||||||||||||||||
여덟 | hoːx/hoghtgv | ɔxt̪ˠ/ochtga | ɔxk/ochdgd | ||||||||||||||||||||||||||||||||||||||||||||||||||||||||||||||||||||||||||||||||||||||||||||||||||||||||||||||||||||||||||||||||||||||||||||||||||||||||||||||||||||||||||||||||||||||||||||||||||||||||||||||||||||||||||||||||||||||||||||||||||||||||||||||||||||||||||||||||||||||||||||||||||||||||||||||||||||||||||||||||||||||||||||||||||||||||||||||||||||||||||||||||||||||||||||
아홉 | nɛi, nøi, niː/nuygv | n̪ˠiː (n̪ˠɰiː)/naoiga | n̪ˠɤi/naoigd | ||||||||||||||||||||||||||||||||||||||||||||||||||||||||||||||||||||||||||||||||||||||||||||||||||||||||||||||||||||||||||||||||||||||||||||||||||||||||||||||||||||||||||||||||||||||||||||||||||||||||||||||||||||||||||||||||||||||||||||||||||||||||||||||||||||||||||||||||||||||||||||||||||||||||||||||||||||||||||||||||||||||||||||||||||||||||||||||||||||||||||||||||||||||||||||
열 | dʒɛi/jeihgv | dʲɛç, -ɛh, -ɛi/deichga* | tʲeç/deichgd | ||||||||||||||||||||||||||||||||||||||||||||||||||||||||||||||||||||||||||||||||||||||||||||||||||||||||||||||||||||||||||||||||||||||||||||||||||||||||||||||||||||||||||||||||||||||||||||||||||||||||||||||||||||||||||||||||||||||||||||||||||||||||||||||||||||||||||||||||||||||||||||||||||||||||||||||||||||||||||||||||||||||||||||||||||||||||||||||||||||||||||||||||||||||||||||
열한 | neːn dʒeɡ/nane jeiggv | eːnˠ/iːnˠ dʲeːɡ/aon déagga* | ɯːn dʲeːk/aon deug/diaggd, ɯːn dʲiəkgd | ||||||||||||||||||||||||||||||||||||||||||||||||||||||||||||||||||||||||||||||||||||||||||||||||||||||||||||||||||||||||||||||||||||||||||||||||||||||||||||||||||||||||||||||||||||||||||||||||||||||||||||||||||||||||||||||||||||||||||||||||||||||||||||||||||||||||||||||||||||||||||||||||||||||||||||||||||||||||||||||||||||||||||||||||||||||||||||||||||||||||||||||||||||||||||||
열두 | d̪eiɡʲ/daa yeiggv | d̪ˠoː jeːg/dó dhéagga, ɣaː/d̪ˠaː jeːɡ/d(h)á dhéagga | t̪aː ʝeːk/dà dheug/dhiaggd, dà ʝiəkgd | ||||||||||||||||||||||||||||||||||||||||||||||||||||||||||||||||||||||||||||||||||||||||||||||||||||||||||||||||||||||||||||||||||||||||||||||||||||||||||||||||||||||||||||||||||||||||||||||||||||||||||||||||||||||||||||||||||||||||||||||||||||||||||||||||||||||||||||||||||||||||||||||||||||||||||||||||||||||||||||||||||||||||||||||||||||||||||||||||||||||||||||||||||||||||||||
열셋 | t̪ri dʒeɡ/tree jeiggv | tʲrʲiː dʲeːɡ/trí déagga* | t̪ʰɾiː tʲeːk/trì deug/diaggd, t̪ʰɾiː tʲiəkgd | ||||||||||||||||||||||||||||||||||||||||||||||||||||||||||||||||||||||||||||||||||||||||||||||||||||||||||||||||||||||||||||||||||||||||||||||||||||||||||||||||||||||||||||||||||||||||||||||||||||||||||||||||||||||||||||||||||||||||||||||||||||||||||||||||||||||||||||||||||||||||||||||||||||||||||||||||||||||||||||||||||||||||||||||||||||||||||||||||||||||||||||||||||||||||||||
스무 | fiːdʒ/feedgv | fʲɪçə, -hə/fichega; fichidga (단수 여격) {{llang|ga|ˈfʲɪçədʲ, -ɪhə-|} | }*
문자 | 음소 | 예시 | |
---|---|---|---|
a | 강세 | 갤거흐/Ghaelgaghgv, 쿠이너흐턴/cooinaghtyngv 파저/padjergv, 카빌/cabbylgv | |
무강세 | 아르드뉴/ardnieugv, 보잘/bodjalgv 콜라넨/collaneyngv 딜러그/duillaggv | ||
a...e, ia...e | 슬레인/slanegv, 버가네/bugganegv, 키아레/kiaregv | ||
aa, aa...e | (북부) | 바터이/baateygv, 아샤흐/aashaghgv 파르커이/faarkeygv 자흐/jaaghgv 블라/blaagv, 안/aanegv | |
aai | 파이/faaiegv | ||
ae | 갤그/Gaelggv 갤거흐/Ghaelgaghgv 에그/aeggv, 에어/aergv | ||
aew | 브라우/braewgv | ||
ah | 페카/peccahgv | ||
ai, ai...e | 마저이/maidjeygv 아일/ailegv 파체/paitçheygv | ||
aiy | 파이르/faiyrgv | ||
aue | 크라우/crauegv, 프라우/frauegv | ||
ay | 에어르/ayrgv, 케이/kaygv | ||
e | 강세 | 벤/bengv, 베게/veggeygv 메스/messgv 페카/peccahgv, 에딘/eddingv 헹거이/chengeygv | |
무강세 | 파제르/padjergv | ||
ea | 베이거이/beagheygv | ||
eai | 에아르크/eairkgv | ||
eau, ieau | 슬라우/slieaugv | ||
eay | (북부) , 또는 (남부) | 에이스트/eaystgv, 클레이시/cleayshgv 기/geaygv, 킨/keayngv | |
ee | 키오니/kionneegv, 지스/jeesgv | ||
eea | 이스트/yeeastgv, 키드/keeadgv 피아클/feeacklegv, 키흐/keeaghgv 이스트/eeastgv | ||
eei, eey | 피드/feeidgv, 드림/dreeymgv, 밀/meeylgv | ||
ei | 슬레인/sleityngv, 에인/eingv 퀘이그/queiggv 게이나흐/geinnaghgv | ||
eih | 제이흐/jeihgv | ||
eoie | 뢰이/leoiegv | ||
eu, ieu | 규레이/geureygv 아르드뉴/ardnieugv | ||
ey | 강세 | 세이르/seyrgv, 케일/keylgv | |
무강세 | 베게/veggeygv, 콜라넨/collaneyngv | ||
i | 무강세 | 에딘/eddingv, 루깃/ruggitgv 푸싯/poositgv | |
ia | 치아른/çhiarngv, 샤흐트/shiaghtgv 토샤흐트/toshiaghtgv, 스니아흐터이/sniaghteygv 그리안/griangv 스키안/skiangv | ||
미/miegv | |||
io | 글리온/gliongv | ||
io...e | (북부) (남부) | 키오네/kionegv | |
o, oi | 또는 또는 | 롱/lhonggv, 토샤흐트/toshiaghtgv 보잘/bodjalgv, 로흐/loghgv, 모이르/moirgv 본데이시/vondeishgv, 볼그/bolggv, 분스퀼/bunscoillgv 호흐트/hoghtgv, 리윌/reeoilgv 스트론/stroingv | |
o...e | 도네/dhonegv 트로메/tromegv | ||
oa | 클론/cloangv 존/joangv | ||
oh | 쇼흐/shohgv | ||
oie | 또는 | 오이/oiegv | |
oo, ioo, ooh | 샤수/shassoogv, 쿠너이/cooneygv, 글리운/glioongv, 우흐/oohgv | ||
ooa, iooa | 무아르/mooargv | ||
ooi | 무인저/mooinjergv, 쿠이너흐턴/cooinaghtyngv | ||
ooy | 슐/shooylgv | ||
oy | 몰레/moylleygv, 볼라흐/voyllaghgv | ||
u, ui, iu | 강세 | 분스퀼/bunscoillgv 루깃/ruggitgv, 우샤그/ushaggv, 딜라그/duillaggv, 휠/fuillgv 루르거이/lurgeygv | |
무강세 | 버가네/bugganegv | ||
ua | 이 유안/y Yuangv | ||
ue | 크레주/credjuegv | ||
uy | 또는 | 뉘/nuygv | |
wa | 므완날/mwannalgv | ||
y | 카빌/cabbylgv, 슬레인/sleityngv 잉언/yngyngv 피스/fysgv 이 유안/y Yuangv, 이스트/yeeastgv |
문자 | 음소 | 예시 | |
---|---|---|---|
b, bb | 일반적으로 | 분스퀼/bunscoillgv, 벤/bengv | |
모음 사이 | 또는 | 카빌/cabbylgv | |
c, cc, ck | 일반적으로 | 분스퀼/bunscoillgv, 클론/cloangv | |
모음 사이 | 페카/peccahgv, 가칸/gaccangv 피아클/feeacklegv, 크라칸/crackangv | ||
ch | 하/chagv | ||
çh, tçh | 치아른/çhiarngv, 헹거이/çhengeygv, 파체/paitçheygv | ||
d, dd, dh | 폭넓은 | 키드/keeadgv, 아르드뉴/ardnieugv, 테드/teddgv, 돈/dhonegv | |
가는 | 또는 | 피드/feeidgv | |
폭넓은, 모음 사이 | 에딘/eddingv, 모데이/moddeygv | ||
f | 피스/fysgv, 피아클/feeacklegv | ||
g, gg | 폭넓은 | 갤그/Gaelggv, 갤거흐/Ghaelgaghgv | |
가는 | 규레이/geureygv, 게이나흐/geinnaghgv | ||
모음 사이 | 베게/veggeygv, 루깃/ruggitgv | ||
gh | 일반적으로 | ∅ | 갤거흐/Ghaelgaghgv, 베이거이/beagheygv 샤거이/shagheygv |
어말 또는 t 앞 | 지라흐/jeeraghgv, 클라흐/claghgv, 쿠이너흐턴/cooinaghtyngv | ||
-ght | 토샤흐트/toshiaghtgv, 호흐트/hoghtgv | ||
h | 호흐트/hoghtgv | ||
j, dj | 일반적으로 | 무인저/mooinjergv, 지라흐/jeeraghgv | |
모음 사이 | 파저/padjergv 마저이/maidjeygv, 페자그/fedjaggv | ||
k | 폭넓은 | 케일/keylgv, 에아르크/eairkgv | |
가는 | 키오네/kionegv, 키아레/kiaregv | ||
l, ll | 폭넓은 | 갤그/Gaelggv, 슬레인/sleityngv, 몰레/moylleygv | |
가는 | 글리온/gliongv, 블레인/bleingv, 펠/feillgv, 빌레/billeygv | ||
어말, 단음절 단어(남부 방언만) | 슐/shooylgv | ||
-le | 피아클/feeacklegv | ||
lh | 롱/lhonggv | ||
m, mm | 일반적으로 | 무인저/mooinjergv, 드림/dreeymgv, 파만/fammangv | |
어말, 단음절 단어(북부 방언만) | 임/eeymgv, 트로메/tromegv | ||
n | 폭넓은 | 분스퀼/bunscoillgv, 쿠이너흐턴/cooinaghtyngv, 에님/ennymgv | |
가는 | 아르드뉴/ardnieugv, 콜라넨/collaneyngv, 두이네/dooinneygv, 게이나흐/geinnaghgv | ||
어말, 단음절 단어 | 슬레인/slanegv, 벤/bengv | ||
가는, 어말, 단음절 단어 | 에인/eingv | ||
ng | 일반적으로 | 잉언/yngyngv 헹거이/chengeygv | |
어말, 단음절 단어(남부 방언만) | 롱/lhonggv | ||
p, pp | 일반적으로 | 페카/peccahgv, 파저/padjergv | |
모음 사이 | 카판/cappangv | ||
qu | 퀘이그/queiggv | ||
r, rr | 일반적으로 | 규레이/geureygv, 지라흐/jeeraghgv, 페리션/ferrishyngv | |
어말 | 또는 | 에어/aergv, 파이르/faiyrgv | |
s, ss | 일반적으로 | 분스퀼/bunscoillgv, 슬레인/sleityngv, 카스/cassgv 피스/fysgv | |
n 앞 어두 | 스니아흐터이/sniaghteygv | ||
모음 사이 | 샤수/shassoogv 푸싯/poositgv | ||
sh | 일반적으로 | 슐/shooylgv, 본데이시/vondeishgv | |
모음 사이 | 아샤흐/aashaghgv, 우샤그/ushaggv 토샤흐트/toshiaghtgv | ||
-st | 에이스트/eaystgv, 이스트/eeastgv | ||
t, tt, th | 폭넓은 | 트로메/tromegv, 쿠이너흐턴/cooinaghtyngv, 할루/thalloogv | |
가는 | 또는 | 푸싯/poositgv, 우슈터이/ushteygv, 팃침/tuittymgv | |
폭넓은, 모음 사이 | 브라타그/brattaggv 바터이/baateygv | ||
가는, 모음 사이 | 또는 | 슬레인/sleityngv | |
v | 베게/veggeygv, 볼라흐/voyllaghgv | ||
w | 아윈/awingv |
==== 구분 부호 ====
맨섬어는 하나의 구분 부호인 세디유를 사용하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ch/ch영어로 표기되는 두 개의 음소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 치아른/Çhiarngv () "주님"은 영어 "'''ch'''urch"와 같이 로 발음된다.
- 카무/Chamoogv () "nor" 또는 "neither"는 스코틀랜드 영어의 "lo'''ch'''" () 또는 아일랜드 영어의 "lou'''gh'''" ()에서와 같이 로 발음되는데, 이 음은 맨섬어(그리고 아일랜드 영어)에서 단어 끝에서 gh/gh영어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6. 1. 철자와 발음 대응
padjergv, /ə//cabbyl}}
collaneyngv
/eː//duillag}}
(북부)
faarkeygv
jaaghgv
blaagv, /ɛi//aane}}
Ghaelgaghgv
aeggv, /au//aer}}
ailegv
/eː//paitçhey}}
messgv
peccahgv, eddingv
/ə//chengey}}
, 또는 (남부)
geaygv, /iː//keayn}}
feeacklegv, keeaghgv
/iː//eeast}}
queiggv
/ɛː//geinnagh}}
/eː//ardnieu}}
/aː//poosit}}
toshiaghtgv, sniaghteygv
griangv
ie/skian}}
또는
bodjalgv, loghgv, moirgv
vondeishgv, bolggv, bunscoillgv
hoghtgv, reeoilgv
/ɔː//stroin}}
/ɔː//trome}}
/ɔ//joan}}
ruggitgv, ushaggv, duillaggv, fuillgv
/ə//lurgey}}
yngyngv
fysgv
y Yuangv, /b//yeeast}}
문자 | 음소 | 예시 | |
---|---|---|---|
b, bb | 일반적으로 | ||
모음 사이 | /k//cabbyl}} | ||
c, cc, ck | 일반적으로 | ||
모음 사이 | peccahgv, gaccangv feeacklegv, /x//crackan}} | ||
ch | |||
çh, tçh | |||
d, dd, dh | 폭넓은 | ||
가는 | /ð//feeid}} | ||
폭넓은, 모음 사이 | |||
f | |||
g, gg | 폭넓은 | ||
가는 | |||
모음 사이 | |||
gh | 일반적으로 | ||
어말 또는 t 앞 | |||
-ght | |||
h | |||
j, dj | 일반적으로 | ||
모음 사이 | padjergv maidjeygv, /k//fedjag}} | ||
k | 폭넓은 | ||
가는 | |||
l, ll | 폭넓은 | ||
가는 | |||
어말, 단음절 단어(남부 방언만) | |||
-le | |||
lh | |||
m, mm | 일반적으로 | ||
어말, 단음절 단어(북부 방언만) | |||
n | 폭넓은 | ||
가는 | |||
어말, 단음절 단어 | |||
가는, 어말, 단음절 단어 | |||
ng | 일반적으로 | yngyngv /ᶢŋ//chengey}} | |
어말, 단음절 단어(남부 방언만) | |||
p, pp | 일반적으로 | ||
모음 사이 | |||
qu | |||
r, rr | 일반적으로 | ||
어말 | aergv, /s//faiyr}} | ||
s, ss | 일반적으로 | bunscoillgv, sleityngv, cassgv /ʃ//fys}} | |
n 앞 어두 | |||
모음 사이 | shassoogv /ʃ//poosit}} | ||
sh | 일반적으로 | ||
모음 사이 | aashaghgv, ushaggv /s//toshiaght}} | ||
-st | |||
t, tt, th | 폭넓은 | ||
가는 | poositgv, ushteygv, /d̪//tuittym}} | ||
폭넓은, 모음 사이 | brattaggv /dʲ//baatey}} | ||
가는, 모음 사이 | /v//sleityn}} | ||
v | |||
w | {{IPAgv | awingv |
6. 2. 구분 부호
맨섬어는 하나의 구분 부호인 세디유를 사용하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ch/ch영어로 표기되는 두 개의 음소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치아른/Çhiarngv () "주님"은 영어 "'''ch'''urch"와 같이 로 발음된다.
- 카무/Chamoogv () "nor" 또는 "neither"는 스코틀랜드 영어의 "lo'''ch'''" () 또는 아일랜드 영어의 "lou'''gh'''" ()에서와 같이 로 발음되는데, 이 음은 맨섬어(그리고 아일랜드 영어)에서 단어 끝에서 gh/gh영어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7. 어휘
맨섬어 어휘는 주로 고이델어 계통이며,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되었고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동족어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맨섬어 자체뿐 아니라 그 어원이 되는 언어들도 다른 언어, 특히 라틴어, 노르드어, 프랑스어(특히 앵글로-노르만어), 그리고 영어(중세 영어와 현대 영어)에서 단어를 차용했다.
다음 표는 스와데시 목록에서 선택한 명사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발음과 어원을 나타낸다.
맨섬어 | IPA[73] | 영어 | 어원[74] |
---|---|---|---|
aanegv | [eːn] | liver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 aemga < 고대 아일랜드어 óasga; 비교: 아일랜드어 aega, 스코틀랜드 게일어 adhagd |
aergv | [eːə] | sky | 라틴어; 고대 아일랜드어 aersga < 라틴어 aërla; 비교: 아일랜드어 aerga, 스코틀랜드 게일어 adhargd |
ailegv | [ail] | fir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aingelsga "매우 밝은"에서;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aingealgd |
ardnieugv | [ərd̪ˈnʲeu] | snake | "매우 유독한" 듯함 (비교: ardgv "높은", nieugv "독") |
awingv | [aunʲ], [ˈawənʲ] | river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 여격형 abainn에서 유래, abamga < 고대 아일랜드어 abaind abasga; 비교: 아일랜드어 abha/abhainn, 여격 abhainn, 스코틀랜드 게일어 abhainngd (문어적 주격 abha). |
ayrgv | [ˈæːar] | father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 athair, 고대 아일랜드어 athir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athairgd |
beealgv | [biəl] | mouth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bélsga; 비교: 아일랜드어 béalga, 스코틀랜드 게일어 beulgd/bialgd |
beishteiggv | [beˈʃtʲeːɡ], [prəˈʃtʲeːɡ] | worm | 라틴어; 중세 아일랜드어 piastmga, péistmga < 고대 아일랜드어 bíastsga < 라틴어 bēstiala |
bengv | [beᵈn] | woman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와 고대 아일랜드어 ben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beangd |
billeygv | [ˈbilʲə] | tre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bilesga |
blaagv | [blæː] | flowe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bláthsga, 아일랜드어 bláth, 스코틀랜드 게일어 blàth |
bleingv | [blʲeːnʲ], [blʲiᵈn] | yea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bliadainsga; 비교: 아일랜드어 blianga, 여격 bliainga, 스코틀랜드 게일어 bliadhnagd |
bodjalgv | [ˈbaːdʒəl] | cloud | 영어/프랑스어; bodjal niaulgv "구름 기둥"에서 축약 (비교: 스코틀랜드 게일어 baideal neòilgd); bodjalgv은 원래 "기둥" 또는 "흉벽"을 의미 < 영어 battle < 프랑스어 bataille프랑스어 |
bolggv | [bolɡ] | belly, ba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bolgsga,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bolg |
cassgv | [kaːs] | foo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ossga, 비교: 스코틀랜드 게일어 casgd, 아일랜드어 방언 cas, 아일랜드어 cos |
çhengeygv | [ˈtʃinʲə] | tongu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tengae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teangagd |
claghgv | [klaːx] | ston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lochsga; 비교: 스코틀랜드 게일어 clachgd, 아일랜드어 cloch |
cleayshgv | [kleːʃ] | ea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clúaissga "듣기";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cluasgd, 여격 cluaisgd, 아일랜드어 방언 cluais |
collaneyngv | [ˈkalinʲən] | guts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áelánsga; 비교: 아일랜드어 caolán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aolangd, caol "얇은, 가는", -án 명사화 접미사에서 유래 |
crackangv | [ˈkraːɣən] | ski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roiccenn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craiceanngd, 방언 croiceann |
crauegv | [kræːw] | bon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námsga; 비교: 아일랜드어 cnámhga, 여격 cnáim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nàimhgd |
creegv | [kriː] | hear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ridesga; 비교: 아일랜드어 croí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ridhegd |
dooinneygv | [ˈd̪unʲə] | perso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duine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duinega |
dreeymgv | [d̪riːm], [d̪riᵇm] | back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druimmsga, 주격 dromm; 비교: 아일랜드어 drom, 방언 droimga, 여격 droim, 스코틀랜드 게일어 drom, 방언 druimgd, 여격 druim |
duillaggv | [ˈd̪olʲaɡ] | leaf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duilleógsga; 비교: 아일랜드어 duilleógga, 스코틀랜드 게일어 duilleaggd |
eairkgv | [eːak] | hor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adarc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adharcgd, 아일랜드어 방언 aidhearc |
eaystgv | [eːs] | moo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éscasga; 비교: 고어 아일랜드어 éascaga, 스코틀랜드 게일어 easgagd |
eeastgv | [jiːs] | fish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íascga; 비교: 아일랜드어 iascga, 얼스터 아일랜드어 /jiəsk/ga, 스코틀랜드 게일어 iasggd |
ennymgv | [ˈenəm] | nam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ainmm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ainmgd |
faarkeygv | [ˈføːɹkə] | sea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airrgesga; 비교: 아일랜드어 farraigega, 스코틀랜드 게일어 fairgegd |
faiyrgv | [feːə] | grass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érsga; 비교: 아일랜드어 féarga, 스코틀랜드 게일어 feurgd, fiargd |
fammangv | [ˈfaman] | tail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emmsga+ -án 명사화 접미사 (남성형 지소의); 비교: 아일랜드어 feamga, 스코틀랜드 게일어 feamangd |
fedjaggv | [ˈfaiaɡ] | feathe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eteócsga; 비교: 아일랜드어 eiteogga "날개", 스코틀랜드 게일어 iteaggd |
feeacklegv | [ˈfiːɣəl] | tooth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íacail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fiacailgd |
feillgv | [feːlʲ] | mea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feóilsga; 비교: 아일랜드어 feoilga, 스코틀랜드 게일어 feòilgd |
fergv | [fer] | ma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er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feargd |
fliagheygv | [flʲaːɣə] | rai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lechudsga; 비교: 아일랜드어 fleachadhga "빗물; 흠뻑 젖음", fliuch "젖은"과 관련 |
foltgv | [folt̪] | hai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oltsga, 아일랜드어 folt, 스코틀랜드 게일어 falt |
frauegv | [fræːw] | roo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rémga; 비교: 아일랜드어 fréamhga, préam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freumhgd |
fuillgv | [folʲ] | bloo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fuilsga,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fuil |
geaygv | [ɡiː] | win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gaíth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gaothgd, 여격 gaoith |
geinnaghgv | [ˈɡʲanʲax] | san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gainmechsga; 비교: 스코틀랜드 게일어 gainmheachgd, 아일랜드어 gaineamh |
glioongv | [ɡlʲuːnʲ] | kne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glúinsga; 비교: 아일랜드어 glúinga, 스코틀랜드 게일어 glùngd, 여격 glùin |
griangv | [ɡriːn], [ɡriᵈn] | su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grían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griangd |
jaaghgv | [ˈdʒæːax] | smoke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 deathachmga < 고대 아일랜드어 désga; 비교: 스코틀랜드 게일어 deathachgd |
joangv | [dʒaun] | dus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dendsga; 비교: 아일랜드어 deannachga |
kaygv | [kʲæː] | fo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eósga; 비교: 아일랜드어 ceo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eògd |
keayngv | [kiᵈn] | sea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úansga; 비교: 아일랜드어 cuanga "항구", 스코틀랜드 게일어 cuangd "대양" |
keeaghgv | [kiːx] | breas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íochsga; 비교: 아일랜드어 cíoc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ìochgd |
keyllgv | [kiːlʲ], [kelʲ] | fores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aillsga; 비교: 아일랜드어 coillga, 스코틀랜드 게일어 coillegd |
kionegv | [kʲaun], [kʲoːn] | hea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cendsga, 여격 ciond;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ceanngd, 여격 cionn |
laagv | [læː] | day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láasga; 비교: 아일랜드어 lágd, 스코틀랜드 게일어 lathagd, làgd |
lauegv | [læːw] | han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lámga; 비교: 아일랜드어 lám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làmhgd |
leoiegv | [løi] | ashes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lúaithsga; 비교: 아일랜드어 luait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luathgd |
loghgv | [lɒːx] | lak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lochsga |
lurgeygv | [løɹɡə] | le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lurgasga "정강이뼈"; 비교: 아일랜드어 lorgaga |
maidjeygv | [ˈmaːʒə] | stick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aidesga,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maide |
meeylgv | [miːl] | lous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íolsga; 비교: 아일랜드어 míolga, 스코틀랜드 게일어 mialgd |
messgv | [meːs] | frui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es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measgd |
moddeygv | [ˈmaːðə] | do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atradga; 비교: 아일랜드어 madra, 북아일랜드어 mada,madadh [madu], 스코틀랜드 게일어 madadhgd |
moirgv | [mɒːɹ] | mothe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áthirsga; 비교: 아일랜드어 máthair, 스코틀랜드 게일어 màthairgd |
mwannalgv | [ˈmonal] | neck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muinélsga; 비교: 아일랜드어 muineálga, muinéal, 스코틀랜드 게일어 muinealgd |
oiegv | [ei], [iː] | nigh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adaigsga (목적격 aidchisga); 비교: 아일랜드어 oíchega, 스코틀랜드 게일어 oidhchegd |
oohgv | [au], [uː] | eg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ogsga; 비교: 아일랜드어 ubhga,ughga, 스코틀랜드 게일어 ughgd |
paitçheygv | [ˈpætʃə] | child | 프랑스어; 중세 아일랜드어 páitsesga "소년, 시종" < 고대 프랑스어 pagefrm; 비교: 아일랜드어 páistega, 스코틀랜드 게일어 pàistegd |
raadgv | [ræːd̪], [raːd̪] | road | 영어; 고전 아일랜드어 rótmga,róatmga< 중세 영어 roadenm; 비교: 아일랜드어 ródga, 스코틀랜드 게일어 rathadgd |
rassgv | [raːs] | see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rosga |
rollagegv | [roˈlæːɡ] | star | 고이델어; 중세 아일랜드어 rétlumga < 고대 아일랜드어 rétglusga + 여성형 지소 접미사 -óg; 비교: 아일랜드어 réaltógga, 스코틀랜드 게일어 reultaggd |
roostgv | [ruːs] | bark | 브리토니아어; 고대 아일랜드어 rúscsga 브리토니아어 (비교: 웨일스어 rhisg(l)cy; 비교: 아일랜드어 rúscga, 스코틀랜드 게일어 rùsggd |
skiangv | [ˈskiːən] | wing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scíathánsga; 비교: 아일랜드어 sciathánga, 스코틀랜드 게일어 sgiathangd |
slieaugv | [slʲuː], [ʃlʲuː] | mountain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slíab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sliabhgd |
sniaghteygv | [ˈʃnʲaxt̪ə] | snow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snechtasga; 비교: 아일랜드어 sneachtaga, 스코틀랜드 게일어 sneachdgd |
sollangv | [ˈsolan] | salt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salannsga |
sooillgv | [suːlʲ] | ey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súilsga; 비교: 아일랜드어 súil, 스코틀랜드 게일어 sùilgd |
stroingv | [st̪ruᵈnʲ], [st̪raiᵈnʲ] | nos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여격 sróinsga; 비교: 아일랜드어 srón, 방언 sróin, 여격 sróin, 스코틀랜드 게일어 sròngd, 여격 sròin |
teddgv | [t̪ed̪] | rope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tétsga; 비교: 아일랜드어 téadga, 스코틀랜드 게일어 teudgd, tiadgd |
thalloogv | [ˈtalu] | earth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talam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talamhgd |
ushaggv | [ˈoʒaɡ] | bird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uiseógsga "종달새"; 비교: 아일랜드어 fuiseogga, 스코틀랜드 게일어 uiseaggd |
ushteygv | [ˈuʃtʲə] | water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uiscega; 비교: 아일랜드어 uisce, 스코틀랜드 게일어 uisgegd |
yngyngv | [ˈiŋən] | fingernail | 고이델어; 고대 아일랜드어 ingensga; 비교: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iongaga, 여격 iongain, 복수 아일랜드어 iongna, 스코틀랜드 게일어 iongnan 등. |
모든 켈트어로 된 전체 목록은 켈트어 스와데시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맨어 (Gaelggv) | 영어 (Baarlegv) |
---|---|
Moghrey miegv | 좋은 아침 |
Fastyr miegv | 좋은 오후/저녁 |
Oie viegv | 좋은 밤 |
Kys t'ou?gv (주격 단수) Kys ta shiu?gv (주격 복수) Kanys ta shiu?gv (높임법) | 안녕하세요? |
Feer viegv | 매우 잘 지내요 |
Gura mie aydgv (주격 단수) Gura mie eugv (높임법) | 감사합니다 |
As oo hene?gv As shiu hene?gv | 그리고 당신은요? |
Slane lhiatgv Slane lhiugv | 안녕히 계세요 |
Whooineygv | 예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a dhuine처럼 비공식적인 호칭으로 사용되는 "man"(미국식: "dude")에 해당하는 맨섬 영어 표현) |
Ellan Vanningv | 맨섬 |
7. 1. 차용어
맨섬어의 차용어는 주로 노르드어와 영어이며,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수가 적다. 노르드어 차용어의 예로는 gareygv "정원"( "울타리"에서 유래)와 skergv "바위섬"(에서 유래)가 있다. 프랑스어 차용어의 예로는 danjeyrgv "위험"(danger프랑스어에서 유래)과 vondeishgv "이점"(avantage프랑스어에서 유래)가 있다.[75]영어 차용어는 후기(부흥 이전) 맨섬어에서 흔히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boygv "소년", badjergv "오소리"는 보다 일반적인 고유 게일어 guilleygv와 brockgv 대신 사용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차용에 대한 반발이 있어 전문 용어에 대한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캘크가 맨섬어에 존재하며, 화자들에게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다. 기록된 맨섬어 어휘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부흥 운동가들은 단어와 영감을 얻기 위해 현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참고했다.[75]
일부 종교 용어는 궁극적으로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에서 유래했는데, 예를 들어 casherickgv "신성한" (라틴어 consecrātusla에서 유래), agglishgv "교회" (그리스어 ἐκκλησίαgrc/ "집회"에서 유래), abbgv "수도원장" (히브리어 אבאhe/ "아버지"에서 유래) 등이 있다. 이것들은 반드시 직접 맨섬어로 들어온 것은 아니고, 고대 아일랜드어를 통해 들어왔다. 최근에는 현대 히브리어에서 ulpangv이 차용되었다. 많은 아일랜드어와 영어 차용어도 고전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çhellveeishgv "텔레비전" (아일랜드어 teilifísga)과 çhellvanegv "전화" 등이 있다. 외국어 단어(일반적으로 영어를 통해)는 특히 민족 음식, 예를 들어 초리조와 스파게티에 대해 가끔 사용된다.[75]
반대로 맨섬 게일어는 맨섬 영어(앵글로-맨섬어)에 영향을 미쳤다. 맨섬어에서 유래한 앵글로-맨섬어의 일반적인 단어와 구절에는 ''tholtan'' "폐허가 된 농가",[75] ''quaaltagh'' "정초 방문", ''keeill'' "(옛) 교회", ''카마그'', ''traa-dy-liooar'' "시간이 충분하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노르드어 기원이지만 맨섬어에서 유래한 틴월드(''tinvaal'')가 있다. 키스 의회의 이름은 ''Kiare as Feed''(24)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의원 수를 나타낸다고 추정된다.[75]

7. 2. 어휘 비교 예시
Noswaith ddacyGura mie eugv
Go raibh maith agaibhga
Tapadh leibhgd
맨섬어,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간의 어휘 비교표이다.
주기도문은 모든 게일어(그리고 고대 아일랜드어)로 번역되었다.[76][77] 직역은 아니지만, 각 언어의 철자법 차이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맨섬어로 된 주기도문 표준본'''
:Ayr ain t'ayns niau,
:Casherick dy row dt'ennym.
:Dy jig dty reeriaght.
:Dt'aigney dy row jeant er y thalloo,
:myr t'ayns niau.
:Cur dooin nyn arran jiu as gagh laa,
:as leih dooin nyn loghtyn,
:myr ta shin leih dauesyn ta jannoo loghtyn nyn 'oi.
:As ny leeid shin ayns miolagh,
:agh livrey shin veih olk:
:Son lhiats y reeriaght, as y phooar, as y ghloyr, son dy bragh as dy bragh.
:Amen.
:'''1713년 맨섬어 본'''[76]
:Ayr Ain, t'ayns Niau;
:Casherick dy rou dt'ennym;
:Di jig dty Reereeaght;
:Dt'aigney dy rou jeant er y Talloo
:myr ta ayns Niau;
:Cur dooin nyn Arran jiu as gagh laa;
:As leih dooin nyn Loghtyn,
:myr ta shin leih dauesyn ta janoo loghtyn ny noi shin;
:As ny leeid shin ayns Miolagh;
:Agh livrey shin veih olk;
:Son liats y Reereeaght y Phooar as y Ghloyr, son dy bragh as dy bragh.
:Amen
:'''고대 아일랜드어로 된 주기도문'''[77]
:A athair fil hi nimib,
:Noemthar thainm.
:Tost do flaithius.
:Did do toil i talmain
:amail ata in nim.
:Tabair dun indiu ar sasad lathi.
:Ocus log dun ar fiachu
:amail logmaitne diar fhechemnaib.
:Ocus nis lecea sind i n-amus n-dofulachtai.
:Acht ron soer o cech ulc.
:Amen ropfir.
:'''현대 아일랜드어로 된 주기도문'''
:Ár n-Athair, atá ar neamh:
:go naofar d'ainm (''alt.'' go naomhaíthear t'ainm).
:Go dtaga(idh) do ríocht.
:Go ndéantar do thoil ar an (d)talamh,
:mar dhéantar ar neamh.
:Ár n-arán laethúil tabhair dúinn inniu,
:agus maith dúinn ár bhfiacha (''alt.'' ár gcionta),
:mar mhaithimid dár bhféichiúna féin (''alt.'' mar a mhaithimíd dóibh a chiontaíonn inár n-aghaidh).
:Agus ná lig sinn i gcathú (''alt.'' i gcathaíbh),
:ach saor sinn ó(n) olc.
:Óir is leatsa an Ríocht agus an Chumhacht agus an Ghlóir, trí shaol na saol (''alt.'' le saol na saol / go síoraí).
:Áiméan.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된 주기도문'''
:Ar n-Athair a tha air nèamh,
:Gu naomhaichear d' ainm.
:Thigeadh do rìoghachd.
:Dèanar do thoil air an talamh,
:mar a nithear air nèamh.
:Tabhair dhuinn an-diugh ar n-aran làitheil.
:Agus maith dhuinn ar fiachan,
:amhail a mhaitheas sinne dar luchd-fiach.
:Agus na leig ann am buaireadh sinn;
:ach saor sinn o olc:
:oir is leatsa an rìoghachd, agus a' chumhachd, agus a' ghlòir, gu sìorraidh.
:Amen.
8. 다른 게일어와의 관계
맨섬어는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파생된 세 가지 딸 언어 중 하나이며, 나머지 둘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이다. 맨섬어는 음운, 어휘, 문법 면에서 이들 언어와 여러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독자적인 변화를 보인다.
맨섬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유성음의 구개음화 소실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아일랜드어에서는 유성화된 자음 가 구개음화된 와 음소적으로 대조된다.[32] 이러한 음소 합병으로 중세 아일랜드어의 무강세 어말 (-)가 맨섬어에서 (-)가 되었다. 예를 들어, shassoogv "서다" (아일랜드어 seasamhga), credjuegv "종교" (아일랜드어 creideamhga), nealloogv "실신" (초기 근대 아일랜드어 i néalaibhga, '구름 속에'), erriugv "너희들(복수)" (아일랜드어 oraibhga) 등이 있다.[33]
중간 및 어말의 *는 맨섬어에서 및 가 되었다. shiugv '너희들(복수)'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 sibhsg; 루이스 게일어 ), sharroogv "쓴" (스코틀랜드어 searbhgd , 아일랜드어 searbhga (북부/서부) , (남부) ), awingv "강" (스코틀랜드어 abhainngd , 아일랜드어 abhainnga (북부) , (서부) , (남부) ), laauegv "손" (스코틀랜드어 làmhgd , 아일랜드어 lámhgv (북부) , (서부) , (남부) ), soureygv "여름" (스코틀랜드어 samhradhgd , 아일랜드어 samhradhga (북부) , (서부/남부) ) 등이 그 예시이다. 의 이전 발음이 남은 예로는 Divlyngv, Divlingv "더블린"(중세 아일랜드어 ''Duibhlind'' )이 있다.
먼스터 아일랜드어와 유사하게, 역사적인 ()와 (비음화된 )는 맨섬어에서 어중간이나 어말에서 소실되고, 보상적 장음화 또는 로의 모음화를 통해 이전 모음과의 이중모음화를 초래한다. geureygv "겨울" (아일랜드어 geimhreadhga (남부) )와 sleityngv "산들" (아일랜드어 sléibhtega (남부) )가 그 예이다.[34] 먼스터 아일랜드어와의 또 다른 유사점은 유성화된 자음 앞(아일랜드어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에서 구아일랜드어 이중모음 의 로의 발전이다. seyrgv "목수" 및 keylgv "좁은" (아일랜드어 및 스코틀랜드어 saorga 및 caolga)이 그 예이다.[35]
코노트, 얼스터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대부분 방언과 마찬가지로, 맨섬어는 역사적인 자음군 을 로 변경했다. 중세 아일랜드어 cnáidmga "조롱"과 mnámga "여성들"은 맨섬어에서 각각 craidgv와 mraanegv가 되었다.[36] 가는 "" 음의 파찰음화는 맨섬어, 북아일랜드어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에 공통적이다.[37]
무강세 중세 아일랜드어 어말 음절 (-)는 맨섬어에서 (-)로 발전했다. kionneegv "사다" (아일랜드어 ceannaighga 비교), culleegv "장치" (게일어 culaidhgd 비교)가 그 예이다.[38] 이는 북부/서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 남부 방언(예: 아란, 킨타이어)과 같다.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일부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 맨섬어가 공유하는 또 다른 특징은 무강세 음절에서 () 앞에 가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jeeraghgv "똑바른" (아일랜드어 díreachga), cooinaghtyngv "기억하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cuimhneachdgd) 등이 있다.[39]
남부 및 서부 아일랜드어와 북부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마찬가지로, 지리적으로 더 가까운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아란 및 킨타이어 게일어의 방언과는 달리, 맨섬어는 구아일랜드어 강세와 약세 유성음 앞에서 모음 장음화 또는 이중모음화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cloangv "아이들" , dhonegv "갈색" 및 eeymgv "버터" 는 각각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 clannga, donnga, imga에 해당하며, 서부 및 남부 아일랜드어와 외부 헤브리디스 및 스카이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에서는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을 가지지만, 얼스터 아일랜드어, 아란 및 킨타이어에서는 단모음과 '장' 자음을 갖는다(, , ).[40]
남부 아일랜드어와의 또 다른 유사점은 중세 아일랜드어 어말 무강세 (-)의 처리 방식이다. 명사( 동사 명사 포함)에서 이것은 맨섬어에서 남부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가 되었다. caggeygv "전쟁" , moylleygv "칭찬하다" (아일랜드어 cogadhga 및 moladhga (남부 아일랜드어) 및 비교)가 그 예이다.[41] 완전한 명사(대명사가 아닌) 앞의 한정 동사 형태에서 는 맨섬어에서 남부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가 되었다. voyllaghgv "칭찬할 것이다" (아일랜드어 mholfadhga (남부 아일랜드어) 비교)가 그 예이다.[42]
8. 1. 방언

마지막 수십 명의 원어민 화자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결과, 섬의 북부와 남부 간에 여러 가지 방언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북부 맨섬어(Gaelg Hwoaiegv)는 북동쪽의 모홀드에서 서쪽 해안의 피일까지 사용되었고, 남부 맨섬어는 러션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기록된 맨섬어는 더글러스와 그 주변 지역의 '중부' 방언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남부 맨섬어와 북부 맨섬어는 '날'을 뜻하는 laagv (아일랜드어 lága와 비교)의 발음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남부에서는 이었지만, 북부에서는 또는 였다. '젊은'을 뜻하는 aeggv (아일랜드어 ógga)은 두 방언 모두에서 으로, 오래된 는 두 방언 모두에서 항상 이다.[43] 와 앞의 길어진 는 이 되었다. 예를 들어 ''paayrt'' , ''ard'' , ''jiarg'' , ''argid'' , ''aarey'' 등이다.
북부 맨섬어에서는 와 앞의 오래된 가 이중모음으로 변하는 반면, 남부 맨섬어에서는 길어지지만 단모음으로 남았다. '머리'를 뜻하는 kionegv (아일랜드어 ceannga와 비교)는 북부에서는 이지만, 남부에서는 이다.[44]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를 가진 단어는 맨섬어에서는 로 표기된다. 북부 맨섬어에서는 이 소리가 이었지만, 남부 맨섬어에서는 , , 또는 였다. 예를 들어, '바람'을 뜻하는 geaygv (아일랜드어 gaothga와 비교)는 북부에서는 이고 남부에서는 이며, '석탄'을 뜻하는 geaylgv (아일랜드어 gualga와 비교)는 북부에서는 이고 남부에서는 , , 또는 이다.[45]
북부와 남부 모두, 단음절 단어의 단어 끝 앞에 짧은 를 삽입하는 경향(전폐쇄)이 있다. '온전한'을 뜻하는 slanegv은 이 되고, '여자'를 뜻하는 bengv은 이 된다. 남부 맨섬어에서는 앞에 가, 앞에 가 전폐쇄되기도 한다. '걷기'를 뜻하는 shooylgv은 이 되고, '배'를 뜻하는 lhonggv은 이 된다. 이러한 형태는 일반적으로 북부에서는 전폐쇄 없이 발음된다. 반면에 앞에 의 전폐쇄는 북부에서 더 일반적이다. '무거운'을 뜻하는 tromegv은 북부에서는 이지만, 남부에서는 이다.[46]
남부 맨섬어는 일반적으로 북부에서 보존되는 앞의 단어 앞 를 잃는 경향이 있었다. '골짜기'를 뜻하는 gliongv과 '무릎'을 뜻하는 glioongv은 남부에서는 과 이지만, 북부에서는 과 이다.[47]
현대에는 섬의 크기가 작고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지역 방언의 차이는 사라졌다.
9. 문학
맨섬어 사용자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문학 작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았지만, 구전 문학은 존재했다. "피안나" 이야기와 핀 맥쿨(Finn MacCumhail)과 오시안을 기리는 맨섬 발라드 Fin as Oshingv 등이 알려져 있다.[84] 프로테스탄티즘의 등장과 함께 맨섬어 구전 이야기는 서서히 사라졌고, 종교적으로 승인된 기독교 발라드인 카르발(carvals)의 전통이 발전했다. 힐즈리(Hildesley) 주교는 현지 구전 전승에서 켈트 신화의 피니언 서사시에 해당하는 여러 맨섬어 서사시를 수집하여 보존했다.[85]
개혁 이전에는 맨섬어로 독특하게 쓰인 문학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와의 문학적 연관성은 사라졌다. 맨섬어로 처음 출판된 문학은 토마스 윌슨(Thomas Wilson) 주교가 번역한 ''기독교의 원리와 의무 (Coyrie Sodjeygv)''이다.[11]
''공동기도서''는 1605년부터 1633년까지 존 필립스(John Phillips) 주교가 번역했다. 초기 맨섬어 문자는 리스모어 수도원장의 책과 당시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 정자법 관행을 기반으로 한 방대한 텍스트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신약 성서는 1767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18세기에 앵글리칸 교회 당국이 맨섬어로 문학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존 필립스가 개발한 체계는 더욱 "앵글리카화"되었다. 1796년에는 마로운(Marown)의 토마스 크리스천 목사가 ''실낙원''을 번역했다.[86]
20세기와 21세기에는 언어 부흥의 일환으로 상당한 양의 세속 문학이 제작되었다. 2006년에는 브라이언 스토웰이 맨섬어로 된 첫 장편 소설 Dunveryssyn yn Tooder-Folleygv("뱀파이어 살인 사건")을 출판했다. 최근에는 맨섬어판 ''그루팔로''와 ''그루팔로의 아이''가 출판되는 등, 이 언어로 이용 가능한 문학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87]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는 2019년 롭 티어(Rob Teare)가 맨섬어로 번역했다.[88]
10. 기독교와 맨섬어
10. 1. 맨섬어 성경
윌슨 주교 시대에 맨섬 성직자들은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유일하게 자국어 성경이 없는 교회라는 불만을 제기해 왔다.[89] 윌슨 주교는 성경 일부를 번역하고 마태복음을 인쇄했고, 그의 후임 힐데슬리 주교는 맨섬 성직자 전체의 도움을 받아 1775년에 성경 전체를 인쇄했다.[89]성경은 섬의 앵글리칸 성직자 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맨섬어로 제작되었다.[89] 마태복음은 1748년에 인쇄되었다. 복음서와 는 각각 1763년과 1767년에 기독교 지식 전파 협회(SPCK)에 의해 제작되었다. 1772년에는 구약, 솔로몬의 지혜서 및 집회서(시락서)가 외경에서 함께 인쇄되었다.
Yn Vible Casherickgv 구약과 신약의 "성경"은 1775년 SPCK에 의해 한 권으로 출판되어, 거의 변화가 없었던 현대 맨섬어 표기를 확정했다.[89] 제너는 번역 과정에서 일부 검열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매춘부 라합의 직업이 여주인, 여관 주인/ben-oastgv으로 번역되었다고 주장한다.[89] 1975년에 20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으며, 맨섬 우편청의 우표 세트가 포함되었다.
러션의 부목사인 존 클레이 목사가 맨섬어로 쓴 운문 형태의 다윗의 시편/Psalmyn Ghavidgv 번역본이 있었는데, 이것은 1768년의 공동기도서와 함께 인쇄되었다. 힐데슬리 주교는 이러한 시편이 교회에서 불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것들은 1905년에 Yn Çheshaght Ghailckaghgv에 의해 재인쇄되었다.
영국 및 외국 성경 협회(BFBS)는 1810년에 신약/Conaant Noagv을 출판하고 1824년에 재인쇄했다. Yn Vible Casherickgv 구약과 신약(외경 두 권 제외)이 전체적으로 처음 인쇄된 것은 1819년이다. BFBS가 맨섬어로 마지막으로 종이에 인쇄한 것은 1936년 요한복음/Noo Eangv을 재인쇄했을 때였다. 이것은 1968년에 Yn Çheshaght Ghailckaghgv에 의해 재인쇄되었다. 맨섬어 성경은 1979년 7월 Shearwater Press에 의해 맨섬 가족 성경/Bible Chasherick yn Lught Thiegv으로 재출판되었는데, 이것은 BFBS 1819년 성경의 복제본이었다.
2014년부터 BFBS 1936년판 맨섬어 요한복음은 YouVersion과 Bibles.org에서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10. 2. 교회
맨섬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미사에서 사용되지 않았다.[89] 하지만 Yn Çheshaght Ghailckaghgv는 매년 섬에서 크리스마스 예배를 올린다.[90]
맨섬의 가톨릭 교회가 자체 주교를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2023년 9월 세인트 메리 오브 더 아일 교회(더글러스)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공동대성당 지위를 부여받았다.[91][92][93] 말콤 맥마혼 리버풀 대주교가 집전한 봉헌 미사에서 주님의 기도는 맨섬어로 봉독되었고, 맨섬 국가도 연주되었다.[91][92][93]
11. 미디어
맨섬 방송(Manx Radio)에서는 매주 2개의 맨섬어 프로그램을 중파로 방송한다. 월요일에는 , 금요일에는 가 방송된다. 맨섬 방송에서는 맨섬어 뉴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며, , , 등 맨섬어를 사용하는 다른 주간 프로그램 3개도 방송하고 있다. 맨섬 방송의 여러 뉴스 진행자들도 상당량의 맨섬어를 사용한다.
'''맨섬 이그재미너'''(Isle of Man Examiner)지는 매달 맨섬어로 된 이중 언어 칼럼을 게재한다.
맨섬어로 제작된 최초의 영화는 22분짜리 ("눈 속의 양")으로, 1983년에 초연되었으며 1984년 카디프(Cardiff)에서 열린 제5회 켈트 영화 및 텔레비전 축제에 출품되었다. 락시(Laxey)의 포일런 필름(Foillan Films) 소속 쇼리스 이 크레이리(Shorys Y Creayrie, 조지 브로더릭(George Broderick))가 감독했으며, 18세기 초 민요의 배경을 다룬다. 2013년에는 컬처 배닌(Culture Vannin), 파인우드 그룹(Pinewood Group)/시네마NX(CinemaNX), 맨섬 영화(Isle of Man Film)의 재정 지원으로 단편 영화 위카 속 위안(Solace in Wicca)이 제작되었다.[80] BBC 노던 아일랜드(BBC Northern Ireland)에서 제작한 쿠훌린(Cú Chulainn)의 삶을 다룬 단편 만화 시리즈가 제공되며,[81] 맨섬 신화를 다룬 만화 시리즈도 있다.[82] 가장 중요한 것은 수상 경력에 빛나는 시리즈 "[https://www.youtube.com/watch?v=s9n5kihxGf8&list=PLY5y-gRhKs8jDsAbo2Didfz_f51br-kUx 친구와 영웅들(Friends and Heroes)]"의 맨섬어 번역판인 13부작 DVD 시리즈이다.[83]
12. 추가 정보
- 브로데릭(Broderick), 조지(George). 《후기 구어 맨크스어 편람》(A Handbook of Late Spoken Manx). 튀빙겐(Tübingen): 니마이어(Niemeyer). 1984–1986. 3권. ISBN 3-484-42903-8.
- 브로데릭(Broderick), 조지(George). "맨크스어(Manx)". 볼(Ball), M. J. & 파이프(Fife), J. 편. 《켈트어》(The Celtic Languages). 런던(London): 라우틀리지(Routledge). 1993. 228–85쪽. ISBN 0-415-01035-7.
- 커밍(Cumming), 조지프 조지(Joseph George). 《맨섬》(The Isle of Man). 런던(London): 존 반 보르스트(John Van Voorst). 1848. 온라인 자료
- 《아일랜드어 사전》(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based mainly on Old and Middle Irish materials). 더블린(Dublin): 아일랜드 왕립 아카데미(Royal Irish Academy). 1983. ISBN 0-901714-29-1. 온라인 자료
- 귄터(Gunther), 윌프(Wilf). "언어 보존 또는: 오래 전부터 확립된 영국 소수 언어의 생존 가능성은 있는가?(Language conservancy or: Can the anciently established British minority languages survive?)". 고르터(Gorter), D. & 호엑스트라(Hoekstra), J. F. & 얀스마(Jansma), L. G. & 이츠마(Ytsma), J. 편. 《소수 언어에 관한 제4차 국제 학술대회》(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nority Languages). 제2권: 서유럽 및 동유럽 논문(Vol. II: Western and Eastern European Papers). 브리스톨(Bristol), 잉글랜드: 다국어 문제(Multilingual Matters). 1990. 53–67쪽. ISBN 1-85359-111-4. 온라인 자료
- 홀머(Holmer), 닐스 M.(Nils M.). 《아란의 게일어》(The Gaelic of Arran). 더블린 고등연구소(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57. ISBN 0-901282-44-8.
- 홀머(Holmer), 닐스 M.(Nils M.). 《킨타이어의 게일어》(The Gaelic of Kintyre). 더블린 고등연구소(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62. ISBN 0-901282-43-X.
- 휴즈(Hughes), 아트(Art). "울스터 아일랜드어(Gaeilge Uladh) / 울스터 아일랜드어(Ulster Irish)". 매코니(McCone), K. & 맥마너스(McManus), D. & 오 헤인레(Ó Háinle), C. & 윌리엄스(Williams), N. & 브레트너흐(Breatnach), L. 편. 《파드라이그 오 피아낙타를 기리는 아일랜드어 역사》(Stair na Gaeilge in ómós do Pádraig Ó Fiannachta) / 《파드라이그 오 피아낙타를 기리는 아일랜드어 역사》(History of Irish in honor of Pádraig Ó Fiannachta). 메이누스(Maynooth): 세인트 패트릭 대학교 구아일랜드어 학과(Department of Old Irish, St. Patrick's College). 1994. 611–660쪽. ISBN 0-901519-90-1.
- 잭슨(Jackson), 케네스 허슬스톤(Kenneth Hurlstone). 《맨크스 음운론 연구에 대한 기여》(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Manx Phonology). 에든버러(Edinburgh): 넬슨(Nelson). 1955.
- 켈리(Kelly), 존(John). 길(Gill), 윌리엄(William) 편. 《고대 게일어 또는 맨섬의 언어, 일반적으로 맨크스어로 불림에 대한 실용 문법》(A Practical Grammar of the Antient Gaelic, or Language of the Isle of Man, Usually Called Manks). 더글러스(Douglas): 맨크스 협회(The Manx Society). 1870. 온라인 자료
- 키울리-드라스카우(Kewley-Draskau), 제니퍼(Jennifer). 《실용 맨크스어》(Practical Manx). 리버풀 대학교 출판부(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1-84631-131-4.
- 니인(Kneen), 존 J.(John J.). 《맨크스어 문법》(A Grammar of the Manx Language). 에든버러(Edinburgh): AMS Pr Inc. 1911. ISBN 978-0-404-17564-1.
- 맥베인(Macbain), 알렉산더(Alexander). 《게일어 어원 사전》(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제2판. 스털링(Stirling): E. 매케이(E. Mackay). 1911. (1998년 뉴욕(New York): 히포크린(Hippocrene) 재출판). ISBN 0-7818-0632-1.
- 맥 앤 팔리(Mhac an Fhailigh), 에몬(Éamonn). 《메이오주 에리스의 아일랜드어》(The Irish of Erris, Co. Mayo). 더블린 고등연구소(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68. ISBN 0-901282-02-2.
- 오 바오일(Ó Baoill), 콜름(Colm). 《울스터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비교 연구에 대한 기여》(Contributions to a Comparative Study of Ulster Irish and Scottish Gaelic).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Queen's University of Belfast) 아일랜드 연구소(Institute of Irish Studies). 1978.
- 오라힐리(O'Rahilly), 토마스 F.(Thomas F.). 《과거와 현재의 아일랜드 방언》(Irish Dialects Past and Present). 더블린(Dublin): 브라운 앤 놀란(Browne and Nolan). 1932. (1976년, 1988년 더블린 고등연구소(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재출판). ISBN 0-901282-55-3.
- 오 쿠이브(Ó Cuív), 브라이언(Brian). 《코크주 웨스트 머스커리의 아일랜드어》(The Irish of West Muskerry, Co. Cork). 더블린 고등연구소(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4. ISBN 0-901282-52-9.
- 오 세(Ó Sé), 디아르무이드(Diarmuid). 《코르카 두이브네 아일랜드어》(Gaeilge Chorca Dhuibhne) / 《코르카 두이브네 아일랜드어》(Chorca Dhuibhne Irish). 더블린(Dublin): 아일랜드 언어학 연구소(Institiúid Teangeolaíochta Éireann). 2000. ISBN 0-946452-97-0.
- 톰슨(Thomson), 로버트 L.(Robert L.). "맨어". 맥오컬리(MacAulay), 도널드(Donald) 편. 《켈트어》(The Celtic Languages).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00–36쪽. ISBN 0-521-23127-2.
- 윌리엄스(Williams), 니콜라스(Nicholas). "맨크스어(An Mhanainnis) / 맨어". 매코니(McCone), K. & 맥마너스(McManus), D. & 오 헤인레(Ó Háinle), C. & 윌리엄스(Williams), N. & 브레트너흐(Breatnach), L. 편. 《파드라이그 오 피아낙타를 기리는 아일랜드어 역사》(Stair na Gaeilge in ómós do Pádraig Ó Fiannachta) / 《파드라이그 오 피아낙타를 기리는 아일랜드어 역사》(History of Irish in honor of Pádraig Ó Fiannachta). 메이누스(Maynooth): 세인트 패트릭 대학교 구아일랜드어 학과(Department of Old Irish, St. Patrick's College). 1994. 703–44쪽. ISBN 0-901519-90-1.
참조
[1]
논문
The Last Native Manx Gaelic Speakers. The Final Phase: 'Full' or 'Terminal' in speech?
https://journal.fi/s[...]
2017
[2]
UNESCO Atlas
Cite UNESCO Atlas
[3]
문서
Jackson 1955, 49
[4]
서적
A Vocabulary of the Anglo-Manx Dialect
http://www.isle-of-m[...]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Manx
https://en.wiktionar[...]
2022-04-09
[6]
서적
Celtic Cultu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7]
웹사이트
The Ogham Stones of the Isle of Man
http://babelstone.bl[...]
BabelStone
2011-06-30
[8]
서적
Language death in the Isle of Man : an investigation into the decline and extinction of Manx Gaelic as a community language in the Isle of Man
Niemeyer
1999
[9]
문서
Gunther 1990, 59–60
[10]
뉴스
Manx: Bringing a language back from the dead
https://www.bbc.com/[...]
2020-09-06
[11]
논문
A Study of Language Death and Revival with a Particular Focus on Manx Gaelic
University of Wales, Lampeter
[12]
웹사이트
Isle of Man Government - Five year strategy salutes and celebrates Manx language
https://www.gov.im/n[...]
2018-01-06
[13]
웹사이트
Lifelines for indigenous languages The World Weekly
https://www.theworld[...]
2018-01-06
[14]
뉴스
UN declares Manx Gaelic 'extinct'
http://news.bbc.co.u[...]
2015-04-04
[15]
뉴스
How the Manx language came back from the dead
https://www.theguard[...]
2015-04-04
[16]
웹사이트
Isle of Man Census Report 2011
http://www.gov.im/li[...]
Isle of Man Government Treasury
[17]
뉴스
Manx Gaelic Revival 'Impressive'
http://news.bbc.co.u[...]
2005-09-22
[18]
웹사이트
World-Wide Wednesday: Manx Names
http://www.theartofn[...]
2014-01-22
[19]
웹사이트
Censuses of Manx Speakers
http://www.isle-of-m[...]
2000
[20]
서적
A New History of the Isle of Man: The modern period 1830-1999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0-01-01
[21]
웹사이트
2001 Isle of Man Census: Volume 2
https://www.gov.im/m[...]
[22]
웹사이트
2011 Isle of Man Census
https://www.gov.im/m[...]
[23]
웹사이트
2021 Isle of Man Census
https://www.gov.im/m[...]
[24]
웹사이트
Standing Orders of the House of Keys
http://www.tynwald.o[...]
[25]
웹사이트
House of Keys Hansard
http://www.tynwald.o[...]
[26]
웹사이트
Kathleen Faragher's Manx Words & Manx Dialect Words
http://asmanxasthehi[...]
2015-01-18
[27]
Youtube
Braaid Eisteddfod: A poem by Annie Kissack
https://www.youtube.[...]
[28]
웹사이트
Tynwald - the Parliament of the Isle of Man
http://www.tynwald.o[...]
[29]
서적
Ausgewählte Verwandtschaftsbezeichnungen in den Sprachen Europas
Peter Lang
[30]
웹사이트
Isle of Man Department of Education, Sport and Culture
https://www.sch.im/
[31]
문서
Broderick 1984–86, 1:xxvii–xxviii, 160
[32]
문서
Jackson 1955, 66. Jackson claims that northern Irish has also lost the contrast between velarised and palatalised labials, but this seems to be a mistake on his part, as both Mayo Irish and Ulster Irish are consistently described as having the contrast (cf. Mhac an Fhailigh 1968, 27; Hughes 1994, 621; see also Ó Baoill 1978, 87)
[33]
문서
O'Rahilly 1932, 77–82; Broderick 1984–86, 2:152
[34]
문서
O'Rahilly 1932, 24; Broderick 1984–86 3:80–83; Ó Sé 2000:15, 120
[35]
문서
Jackson 1955, 47–50; Ó Cuív 1944, 38, 91
[36]
서적
1932
[37]
서적
1932
[38]
서적
1932
[39]
서적
1932, 1955
[40]
서적
1932, 1955, 1957, 1962
[41]
서적
1932, 1984-1986
[42]
서적
1932
[43]
서적
1984-1986
[44]
서적
1984-1986
[45]
서적
1984-1986
[46]
서적
1984-1986
[47]
서적
1984-1986
[48]
서적
1993
[49]
서적
1992, 1993
[50]
서적
1984-1986, 1992
[51]
서적
1984-1986, 1993
[52]
서적
1984-1986
[53]
웹사이트
Isle of Man
http://www.encyclope[...]
1955, 1998-09-28
[54]
서적
1993
[55]
서적
1993
[56]
서적
1993
[57]
서적
1984-1986
[58]
서적
1984-1986
[59]
서적
1993
[60]
서적
1993
[61]
서적
1993
[62]
서적
1993
[63]
서적
1992
[64]
서적
1984-1986, 1993, 1992
[65]
서적
1984-1986
[66]
서적
1984-1986
[67]
서적
1984-1986, 1993, 1992
[68]
서적
1994
[69]
서적
The Irish of Tourmakeady, Co. Mayo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58
[70]
서적
The Irish of Erris, Co. Mayo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68
[71]
서적
Gaeilge Theilinn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59
[72]
서적
Spoken Sound as a Rule for Orthography
https://books.google[...]
1870
[73]
문서
Broderick
1984-1986
[74]
문서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1911
[75]
뉴스
A snapshpot of Manx history
Warners Group Publications
2018-02-01
[76]
웹사이트
MANX GAELIC ( Gaelig, Gaelg )
http://www.christusr[...]
[77]
웹사이트
http://www.christusr[...]
[78]
웹사이트
Fockley-Magh Cairyssyn Deiney cour y Theihll Slane
https://udhr.audio/U[...]
[7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80]
웹사이트
Solace: A Film in Manx Gaelic
https://www.youtube.[...]
2014-02-17
[81]
웹사이트
Cuchulainn Part One
https://www.youtube.[...]
2013-02-17
[82]
웹사이트
Manannan Episode 4 (part two) Come Dine With Us
https://www.youtube.[...]
2014-03-03
[83]
웹사이트
Gaelg (Manx) | Children's Animated Bible Stories | Friends and Heroes | UK Website
http://www.friendsan[...]
Friends and Heroes
2017-06-25
[84]
웹사이트
pp2/5 Manx Ballads - Fin as Oshin
http://www.isle-of-m[...]
Isle-of-man.com
2013-11-15
[85]
서적
Mannanan's Cloak: An Anthology of Manx Literature
Francis Boutle Publishers
2010
[86]
웹사이트
Shenn Recortyssyn
https://www.learnman[...]
2024-01-02
[87]
웹사이트
Books - Lioaryn | Culture Vannin | Isle of Man
http://www.cultureva[...]
2017-06-25
[88]
웹사이트
Antoine de Saint-Exupery - "The Little Prince" / Gaelic Manx / 2019, Edition Tintenfass, Neckarsteinach
https://petit-prince[...]
[89]
웹사이트
Henry Jenner - The Manx Language, 1875
http://www.isle-of-m[...]
Isle-of-man.com
2013-11-15
[90]
웹사이트
Manx Gaelic Christmas Service
https://www.youtube.[...]
2013-01-10
[91]
웹사이트
https://www.iomtoday[...]
2024-08-01
[92]
웹사이트
https://manxcatholic[...]
2024-08-01
[93]
뉴스
Joy for Isle of Man Catholics as cathedral date confirmed
https://universecath[...]
Universe Catholic Weekly
[94]
서적
ケルト諸語文化の復興
三元社
2012
[95]
웹사이트
The Ogham Stones of the Isle of Man
http://babelstone.bl[...]
BabelStone
2011-06-30
[96]
문서
Broderick
1993
[97]
서적
Appendix M
https://books.google[...]
1848
[98]
문서
Gunther
1990
[99]
논문
A Study of Language Death and Revival with a Particular Focus on Manx Gaelic
University of Wales, Lampeter
2009
[100]
웹사이트
UN declares Manx Gaelic 'extinct'
http://news.bbc.co.u[...]
[101]
웹사이트
How the Manx language came back from the dead
http://www.theguardi[...]
2015-04-02
[102]
웹사이트
Isle of Man Census Report 2011
http://www.gov.im/li[...]
2012-10-19
[103]
웹사이트
Manx Gaelic revival 'impressive'
http://news.bbc.co.u[...]
2008-11-30
[104]
웹사이트
Censuses of Manx Speakers
http://www.isle-of-m[...]
[105]
서적
A New History of the Isle of Man: The modern period 1830-1999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0-01-01
[106]
웹사이트
2001 Isle of Man Census: Volume 2
https://www.gov.im/m[...]
2016-02-07
[107]
웹사이트
2011 Isle of Man Census
https://www.gov.im/m[...]
2016-02-07
[108]
뉴스
[세계의 사라진 언어](4)고대 유럽의 정복자, 영어의 기틀 세우다
http://www.kunews.ac[...]
고대신문
2004-05-31
[109]
뉴스
더 늦기 전에 한 발짝 행동으로, '동무' 만만세!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4-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