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XO-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XO-4는 핫 쥬피터형 외계 행성 XO-4b를 거느린 항성이다. 2008년 XO 망원경 프로젝트를 통해 일식법으로 발견되었다. XO-4b는 Hämarik으로 명명되었으며, 2019년 국제 천문 연맹의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XO-4는 Koit, XO-4b는 Hämarik으로 명명되었다. Koit는 에스토니아어로 "새벽"을, Hämarik는 "황혼"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쾡이자리 - NGC 2419
    NGC 2419는 곰자리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 약 275,000 광년 떨어진 구상 성단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과 광역 시야로 관측할 수 있다.
  • 살쾡이자리 - HD 75898 b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XO-4
기본 정보
XO-4의 위치
XO-4의 위치
별자리살쾡이자리
다른 이름Koit, TYC 3793-1994-1, GSC 03793-01994, 2MASS J07213317+5816051
명칭 유래코이트 (에스토니아 신화 새벽의 여명)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10.674 ± 0.019
특징
분광형F5V
B 대역 겉보기 등급11.240 ± 0.029
V 대역 겉보기 등급10.674 ± 0.019
J 대역 겉보기 등급9.667 ± 0.021
H 대역 겉보기 등급9.476 ± 0.022
K 대역 겉보기 등급9.406 ± 0.023
측성학
고유 운동 (적경)-17.008 ± 0.012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5.463 ± 0.012 밀리초/년
시차3.7812 ± 0.0156 밀리초각
물리적 특징
질량1.32 ± 0.02 M☉
반지름1.56 ± 0.05 R☉
표면 온도6397 ± 70 K
금속 함량-0.04 ± 0.03
나이2.1 ± 0.6 Gyr
행성계
행성1개 (XO-4b)
데이터베이스 링크
SIMBADXO-4

2. 행성계

XO-4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XO-4b는 핫 쥬피터로 분류된다. 2008년 XO 망원경 프로젝트에서 일식법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Hämarik은 "황혼"을 의미하며, Faehlmann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Koit의 상대역을 가리킨다.[4] 자세한 내용은 XO-4b 문단을 참고하라.

2. 1. XO-4b (Hämarik)

XO-4b는 핫 쥬피터로 분류되는 외계 행성이다. 2008년 XO 망원경 프로젝트에서 일식법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이 행성의 이름은 '''Hämarik'''으로, "황혼"을 의미하며 Faehlmann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Koit의 상대역을 가리킨다.[4]

변수
질량1.72 ± 0.20 MJ
공전 주기4.1250823 ± 0.0000039 일
궤도 장반경0.0552 ± 0.0003 AU
궤도 이심률0 (추정)


3. 명칭

2019년,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XO-4는 에스토니아에 할당된 외계 행성계가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에스토니아 국내에서의 선정을 거쳐 국제 천문 연맹(IAU)에 제안되어 태양계 외행성과 그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고, XO-4는 '''Koit''', XO-4b는 '''Hämarik'''으로 명명되었다. 두 명칭은 모두 에스토니아어 천문 용어에서 유래되었다.

3. 1. 에스토니아어 명칭

2019년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XO-4는 에스토니아에 할당되었다.[1]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에스토니아 국내에서 선정된 명칭이 국제 천문 연맹(IAU)에 제안되어 외행성과 그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었다.[2]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고, XO-4는 '''Koit''', XO-4b는 '''Hämarik'''으로 명명되었다.[3] 두 명칭은 모두 에스토니아어 천문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Koit는 해가 뜨는 시간대인 "새벽"을, Hämarik는 해가 지는 시간대인 "일몰" 또는 "황혼"을 의미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2020-01-0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20-01-02
[3] 웹사이트 Estonia has been assigned its own star and planet https://estonianworl[...] 2020-01-20
[4] 웹사이트 Estonia has been assigned its own star and planet https://estonianworl[...] 2020-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